트랜짓웨이(오타와)
Transitway (Ottawa)![]() | |||
![]() | |||
개요 | |||
---|---|---|---|
소유자 | 오타와 시 | ||
로캘 | 캐나다 온타리오 주 오타와 | ||
운송종류 | 버스 급행열차 | ||
줄 수 | 11 | ||
측점수 | 44 | ||
웹사이트 | OC Transpo 빠른 네트워크 | ||
작전 | |||
작업 시작됨 | 1983 | ||
연산자 | OC 트랜스포 | ||
|
트랜짓웨이(Transitway)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타와에서 OC Transpo가 운영하는 버스급행철도(BRT) 네트워크다. 그것은 시내 도로와 고속도로에 버스전용도로와 지정된 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용 버스전용도로는 환승도로의 버스와 비상차량이 일반 교통과 직접 교차하는 일이 거의 없도록 하고, 출퇴근 시간에도 최대 속도로 계속 운행할 수 있도록 했다. OC Transpo는 지역사회를 O-Train 경전철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해 트랜짓웨이를 사용하는 고속 노선 네트워크를 운영한다. 추가 버스 노선은 또한 트랜짓웨이 구간을 이용한다.
트랜짓웨이(Transitway)는 1983년에 5개의 역이 개설되었다. 그 네트워크는 크게 확장되어 절정기에 50개 이상의 역을 포함했다. 2015년부터는 경전철로 전환하기 위해 환승도로 구간이 폐쇄되었다. 오타와 2단계와 3단계 O-트레인 확장은 트랜짓웨이의 추가 구간이 변환될 것이다.
역사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오타와-칼튼 지방 자치체는 트랜짓웨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환승 통로의 건설을 승인했다. 이 버스전용도로의 목적은 동서남북에서 시내로 향하는 서비스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처음 두 구간은 1983년에 개통되었다: 링컨 필즈와 베이스라인 사이의 남서쪽 교통로와 리스와 허드만 사이의 동쪽 교통로.[1]
그 후 웨스트보로와 메카니즘빌 지역에 중앙 환승 도로가 추가되었다. 시내 중심부에서 버스는 알베르트와 슬레이터 거리의 전용 차선을 따라 이동했다. 동쪽 환승로는 북서쪽 로리에와 동쪽 블레어 쪽으로 양방향으로 확장되었다. 트랜짓웨이의 이러한 구간들은 95번 국도에 의해 서비스되었고, 베이스라인에서 블레어까지 트랜짓웨이의 전체 길이를 이동했다. 이후 우드로프 애비뉴와 174번 국도에 우선순위 조치가 추가되어 바헤이븐과 올리언스 교외까지 서비스가 확대되었다.[1]
1990년대에, 철도 복도가 허드만에서 사우스 키즈까지 이어지는 남동쪽 환승도로로 점차 전환되었다. 이 새로운 구간은 97번 국도를 만들 필요가 있었다. 97번 국도는 새로운 남서쪽 통과로를 따라갔다가 기존 환승 구간을 따라 95번 국도에 합류했다. 97대는 가나타 교외 지역에 봉사하기 위해 연장되었다. 가나타 구간은 이후 96번 국도로 분리되었다.[1]
2001년, 오트레인의 트릴리움 선(당시 단순히 "오트레인")이 개통되었다. 그것의 북쪽 종착역은 중앙 환승로에 있는 새로운 베이뷰 역에 있었고 남쪽 종착지는 남동쪽 환승로에 있는 그린보로에 있었다.[2]
남서쪽 통과로는 점차 남쪽으로 확장되어 2005년에 팔로우필드까지, 그리고 2011년에 바헤이븐 센터까지 확장되었다. 2014년 네판우즈행 채프먼 밀스드라이브를 따라 중앙버스전용도로 구간이 추가됐다. 2009년에 Pinecrest와 Bayshore를 연결하는 서부 교통로의 첫 번째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는 2017년 무디까지 확대됐다.[3]
2015년부터는 연방선 경전철로 전환하기 위해 환승통로 구간이 폐쇄됐다. 버스는 417번 고속도로, 174번 국도, 시내 거리를 따라 버스전용차로로 다시 연결되었다.[4] 컨페더레이션 라인은 트랜짓웨이 네트워크의 주요 재조직과 함께 2019년에 개통되었다. 고속 노선은 더 이상 오타와 시내를 통과하지 않았다. 대신, 모든 고속 노선은 트랜짓웨이를 사용하여 지역사회를 세 개의 역 중 하나에서 연방선과 연결한다. Tunney's Pasture, Hurdman 또는 Blair. 노선은 또한 그들의 지리적 서비스 지역과 일치하도록 번호가 변경되어, 트랜짓웨이에서 가장 바쁘고 오래된 경로인 95번 노선이 폐지되었다.[5]
2020년부터 서부, 남서, 동부의 2단계 확장의 일환으로 환승도로의 추가 구간이 경전철로 전환된다. 빠른 노선은 공사를 수용하기 위해 다시 노선화되어야 할 것이다.
경로
다음은 OC Transpo의 빠른 노선으로, O-Train과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빈번한 서비스로 트랜짓웨이를 따라 이동한다. 추가 OC Transpo 경로도 Transportway의 세그먼트를 사용한다.
# | 터미네이터스 | 터미네이터스 | 메모들 | 지도 |
---|---|---|---|---|
39 | 밀레니엄 | 블레어 39 라 시테 N39 뤼도 |
| [1] |
45 | 병원 / 후피탈 | 허드먼 N45년 뤼도 |
| [2] |
57 | 벨스 코너스 베이쇼어 | 툰니 목초지 N57년 뤼도 |
| [3] |
61 | 테리 폭스 스티츠빌 | 툰니 목초지 61 가티나우 N61년 뤼도 | [4] | |
62 | 테리 폭스 62 스티츠빌 | 툰니 목초지 |
| [5] |
63 | 이노베이션 브라이어브룩 | 툰니 목초지 63 가티나우 |
| [6] |
74 | 네판 우즈 | 툰니 목초지 | [7] | |
75 | 바헤이븐 센터 캄브리아누스 | 툰니 목초지 63 가티나우 N75년 뤼도 |
| [8] |
97 | 공항 | 허드먼 N97년 뤼도 |
| [9] |
98 | 호손 | 허드먼 | [10] | |
99 | 바헤이븐 센터 | 그린보로 99 허드먼 |
| [11] |
측점 및 세그먼트
동쪽
역 | 빠른 연결 | 메모들 |
---|---|---|
블레어 | ![]() |
|
몬트레알 | 39 |
|
잔 다르크 | 39 |
|
오를레앙 광장 | 39 |
|
다듬다 | 39 |
|
밀레니엄 | 39 |
|
동부간선도로는 현재 블레어와 오를레앙 사이의 174번 국도를 따라 버스전용차로가 간헐적으로 운행되고 있다.
남동부
역 | 빠른 연결 | 메모들 |
---|---|---|
허드먼 | ![]() |
|
리케 클라우델 | 45 97 98 99 |
|
스미쓰 | 97 98 99 |
|
리버사이드 | 97 98 99 |
|
쾌적한 공원 | 97 98 99 |
|
빌링스 브리지 | 97 98 99 |
|
헤론 | 97 98 99 |
|
워크리 | 97 98 99 |
|
그린보로 | ![]() |
|
사우스 키즈 | 97 98 99 |
|
공항 | 97 |
|
호손 | 98 |
|
레이트림 | 99 |
|
남동쪽 통행로는 허드먼과 사우스 키즈 사이의 일부 철도 회랑에 인접한 전용 버스 도로다.
중앙
역 | 빠른 연결 | 메모들 |
---|---|---|
툰니 목초지 | ![]() |
|
웨스트보로 | 57 61 62 63 74 75 |
|
도미니언 | 57 61 62 63 74 75 |
|
중앙 환승 도로는 툰니의 파스퇴르와 도미니언 사이의 전용 버스 도로다.
옛 트랜짓웨이 시내 구간은 알베르트와 슬레이터 거리(각각 서쪽 방향과 동쪽 방향의 일방통행 공공도로)에 버스전용차로 2개로 구성됐으며, 매켄지 킹 브릿지는 물론 베이, 켄트, 뱅크, 메칼프 거리에도 각 방향으로 정차했다. 버스가 자가용 차량과 뒤섞인 이곳의 교통 체증은 종종 서비스 지연을 야기시켰고 몇몇 사람들은 트랜짓웨이 시스템의 주요 약점으로 보았다.
트랜짓웨이의 초기 계획에는 이 구간에 버스 전용 터널이 포함되었지만, 기존 버스의 환기 터널 비용은 너무 비싸다고 여겨져 당시에는 보증되지 않았다. 2006년에는 기존 버스와 차량 통행을 유지하면서 같은 도로를 지나는 전차도로로 오트레인 시내를 연장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그 아이디어는 그 거리에 있는 사업체들로부터 반대에 부딪혔는데, 그 사업체들에 대한 정상적인 접근이 방해될 것이기 때문이다.
2019년, 컨페더레이션 라인이 개통되어, 트랜짓웨이 시내 부분을 지하의 대용량 고속철도 라인으로 대체하였다. 이러한 서비스 변화로 앨버트와 슬레이터 거리를 오가는 버스 수가 크게 줄어들었다.
남서쪽
역 | 빠른 연결 | 메모들 |
---|---|---|
링컨 필드 | 57 61 62 63 74 75 |
|
퀸즈웨이 | 61 62 63 74 75 |
|
아이리스 | 74 75 |
|
기준선 | 74 75 |
|
팔로우필드 | 74 75 |
|
롱필드 | 75 |
|
스트랜더드 | 75 |
|
마켓플레이스 | 75 99 |
|
바헤이븐 센터 | 75 99 |
|
캄브리아누스 | 75 |
|
베아트리체 | 99 |
|
네판 우즈 | 74 99 |
|
리버뷰 | 99 |
|
남서쪽 교통로는 링컨 필즈에서 베이스라인으로 가는 전용 버스 도로를 포함한다. 그 후 버스는 팔로우필드 이전의 버스 도로에 합류하기 전에 지정된 차선으로 이동한다. 이 버스 노선은 팔로우필드에서 바헤이븐 센터까지 뻗어 있다. 마켓플레이스 동쪽에 있는 별도의 중앙버스전용도로는 비어트리스와 네판우즈를 연결한 후 리버뷰까지 지정된 차선을 따라 이동한다.
서쪽
역 | 빠른 연결 | 메모들 |
---|---|---|
파인크레스트 | 61 62 63 |
|
베이쇼어 | 57 61 62 63 |
|
무디 | 61 62 63 |
|
벨스 코너스 | 57 |
|
이글슨 | 61 62 63 |
|
테리 폭스 | 61 62 |
|
캐나다 타이어 센터 | 62 |
|
스티츠빌 | 61 62 |
|
테론 | 62 63 |
|
이노베이션 | 63 |
|
서쪽 교통로는 파인크레스트와 무디 사이의 전용 버스 전용도로로 구성되어 있다. 무디와 이글슨 사이의 417번 고속도로에서도 버스들은 예약된 차선을 이용한다.
참고 항목
- O-Train, OC Transpo의 경전철 운송 시스템
- 온타리오의 기타 버스 급속 환승 시스템
참조
- ^ a b c "Ottawa, Ontario: BRT Case Study" (PDF).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Retrieved April 16, 2020.
- ^ "Ottawa's O-Train rides the freight line". Canadian Consulting Engineer. February 10, 2003. Retrieved April 16, 2020.
- ^ "Bayshore to Moodie Bus Rapid Transit (BRT) Conversion to Light Rail Transit (LRT) Environmental Assessment (EA)". City of Ottawa. Retrieved April 16, 2020.
- ^ "Ottawa light rail construction closing more of Transitway in December, January". CBC News. October 14, 2015. Retrieved April 16, 2020.
- ^ "New route numbers". OC Transpo. Retrieved April 16, 2020.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트랜짓웨이(오타와)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