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ML 8인치 하우처

RML 8-inch howitzer
RML 8인치 하우처
RML 8-inch 46 cwt howitzer diagram.jpg
RML 8인치 46 cwt 하우처 다이어그램, pub. 1879 (HMSO)
유형하우처
원산지영국
서비스 이력
가동중1872–1902
사용자대영 제국
생산이력
디자이너울리치 아스널
제조사울리치 아스널
변형46 cwt Mark I 및 II
70 cwt Mark I 및 II[note 1]
사양
미사길이 4600kg(2300kg)
크루9

껍질180파운드(82kg) (공통 껍질)
180파운드(82kg) (파편)
칼리브레8인치(제곱.2 mm)
액션RML
브리치없음 – 입마개
입마개 속도초당 1,210피트(405m/초)
유효 사격장3,500야드(3,200m)

RML 8인치 호이처는 19세기 영국에서 제조된 영국식 리프팅 머즐 로딩(RML) 호위처 제품으로, 무게는 약 180파운드(82kg)의 발사체를 발사했다. 그것은 포위 배터리와 요새에 사용되었다.

설계 및 제조

그 총은 강화강으로 된 'A' 튜브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튜브 위로 연철과 재킷으로 된 'B' 튜브가 줄어들었다. 끝에 계단식으로 된 것이 장착되었다.

원래의 46 cwt 하우처는 4개의 나선형 홈이 있는 "울리치" 패턴으로 발사체에서 돌출된 스터드가 스핀을 전달하고, 이후 70 cwt 하우징은 24개의 그루브와 발사체가 있는 "폴리그로브" 패턴에 홈을 결합한 베이스에 "자동 가스 검사"가 부착되어 있었다.

3대의 비행기가 하우처 상면에 가공되어 사분면에 사용되어 30도로 상승할 수 있었다. 이것은 간접적인 혹은 직접적인 화재를 위해 총을 볼 수 있게 했다.

탄약

RML 8인치 46 cwt howitzer studded common Shell di

46 cwt 총과 70 cwt 총은 리프팅 홈의 수와 종류에 차이가 있어 스터드된 발사체는 46 cwt 총에만 사용할 수 있었고 스터드 없는 발사체에 대해서는 다른 자동 가스 점검이 필요했다.

검은 가루 추진체가 들어 있는 실크 백을 이용해 총을 발사했다. 그들은 세 가지 종류의 탄약 – 공통 탄약 (건물이나 요새에 사용하기 위해), 파편 탄약 (보병이나 기병대를 위해 사용), 그리고 케이스 샷 ('소프트' 목표물에 대해 근거리 사용을 위해)을 사용했다. 발화는 총구 끝의 구리 선 통풍구를 통해 있었다. 구리 마찰관을 삽입하고 비상 장치를 부착할 것이다. 랜야드를 당겼을 때 튜브에 불이 붙으면서 총을 발사했다.[1] 쉘이 미리 정해진 시간(및 범위)에 폭발하거나 충돌 시 폭발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다른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인 화력은 분당 1회전이었다.

작전

Howitzer는 보통 4발의 배터리에 배치되었다. 각각의 총은 코끼리 팀에 의해 당겨졌다. 그곳에는 9명의 선원이 있었다. 각 포 외에 각 포와 함께 변연탄 트레일러도 배치됐다.

서비스 이력

8인치 RML 하우저, Lydd, c1903

리플리 머즐 로딩 호미츠는 1870년대 왕립 포병대에 의해 사거리와 정확성이 뛰어나 구식 매끈한 보어인 모타르와 호미츠를 대체하기 위해 선발되었다. 그것들은 반모바일일 뿐이며, 인도 왕립 포병대의 게리슨 전지에 의해 사용되거나, 코끼리가 그렸거나, 고정된 장소나 요새에 보관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1890년대까지, 포트 위들리는 그들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 이동할 수 있는 포위 마차에 대한 두 명의 호위꾼을 두었다.[2]

몇몇은 영국의 예비 유닛의 배터리에 의해 사용되었다. 제2차 켄트 포병 자원 봉사자들은 1903년 Lydd에서 그들과 함께 연습을 실시했다.[3]

참고 항목

잔존 예시

메모들

  1. ^ cwt = 100kg =190kg(51kg). 영국은 일반적으로 같은 칼리브레이션으로 총기의 버전을 구분하기 위해 가장 가까운 cwt로 둥근 총통의 무게를 사용했다. 따라서 4600kg(2,337kg)과 7000kg(3,556kg)의 무게가 나가는 버전이 있었다. 영국은 로마 숫자를 사용하여 서번스의 마크(모듈) Mk I = Mark I, Mk II = Mark 2 따라서 이 기사는 RML 8인치 46 cwt 와 70 cwt 호위츠의 각각 2개 모델을 언급하고 있다.

참조

  1. ^ Moore, David. "List of British Service Artillery in Use During the Victorian Period". victorianforts.co.uk. Victorian Forts and Artillery. Retrieved 29 December 2015.
  2. ^ Corney, Arthur (1984). Fort Widley and the Great Forts on Portsdown. Portsmouth City Museums. p. 14.
  3. ^ 이킨, C, Maj, Lewisham Gunners: 291년(제4회 런던) 100주년 역사야전 연대, R.A.(T.A.), 이전의 제2 켄트 R.G.A. (자원봉사자), (1962), p8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