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몰로 하모니카

Tremolo harmonica
Tremolo Harmonica - Key of C (Common East Asia)
Tremolo Harmonica - 키 오브 C (동아시아 공통)
Pitch range for Tremolo Harmonica (common east Asia)
Tremolo Harmonica(동아시아 공통)의 피치 범위

트레몰로 하모니카는 디아토닉 하모니카의 일종으로 음표당 2개의 갈대가 있어 구별된다.트레몰로 하모니카에서 두 갈대는 기준 피치에서 약간 떨어져 조율되며, 하나는 약간 날카롭고 다른 하나는 약간 평평합니다.이로 인해 두 리드가 서로 정확히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후속 파형이 서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독특한 흔들림 또는 뒤틀림 소리가 발생합니다.박동 정도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갈대가 기준 피치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박자가 빠른 악기는 '습기'라고 하며, 갈대가 음이 더 잘 맞아 박자가 느리고 눈에 띄지 않는 악기는 '건기'라고 한다.

트레몰로의 구별

"Tremolo"는 대부분의 경우 음량의 주기적인 변화(때로는 음높이의 변화, 엄밀하게는 진동으로 잘못 정의됨)로 정의됩니다.대부분의 관현악기는 한 음을 반복해서 연주함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얻는다.트레몰로 하모니카는 비트라고 불리는 물리적 현상을 이용하여 그 효과를 달성합니다.각각의 음은 두 개의 갈대에 의해 동시에 연주되며, 부분적으로 서로 음이 맞지 않는다.결과적으로 발생하는 소리는 일정한 피치이지만 볼륨은 큰 소리와 조용한 소리 사이에서 진동합니다.이 효과는 서양의 자유 리드 악기들 사이에서 꽤 흔하며 다양한 이름(셀레스트, 복스 주빌란테 등)의 아코디언, 하모니움, 리드 오르간에서 발견되지만, 예를 들어 피아노에서도 사용되며, 3개의 현이 각각 매우 날카롭게 조율되거나 평평하게 조정되어 악기에 풍부한 소리를 제공한다.

위너 시스템

대부분의 트레몰로 하모니카는 그들이 처음 출현한 비엔나(오스트리아 빈)의 이름을 딴 "비너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이 설계에서는 두 개의 비팅 리드가 각 리드 플레이트(위 및 아래)에 하나씩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은 공통 챔버를 공유합니다.그러나 실제로는 각 갈대마다 자체 공기실이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표준 10홀 고조파(예: "리치터 시스템"에 구축됨)와 달리,호너의 마린밴드)는 갈대와 갈대가 같은 방을 공유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있다.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각 리드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보통 플레이어는 트레몰로 리드를 한 번에 연주하지만, 다른 것이 아닌 특정 리드와 챔버를 선택하면 다양한 벤딩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마찬가지로, 상부와 하부의 챔버를 선택하고 다른 챔버를 입술로 차단하는 것만으로 트레몰로 효과 없이 연주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실제로는 주로 효과를 위해 사용되며, 대부분의 악기는 마치 두 갈대가 하나의 방을 공유하는 것처럼 연주된다.

튜닝

tremolo harmonas에 사용되는 세 가지 일반적인 튜닝 또는 음표 레이아웃이 있습니다.오래된 배열은 표준 디아토닉 하모니카에서 사용되는 것과 매우 유사하며 디아토닉 아코디언과 협주곡에서도 볼 수 있다.이 튜닝은 하모니카의 중간 옥타브와 상단 옥타브에 주요 전음 음계가 있으며, 가장 낮은 옥타브에 두 개의 화음, 즉 블로우의 강장음과 드로우의 지배적 또는 다섯 번째 화음이 있습니다.이것은 비교적 단순한 포크 멜로디 뒤에 있는 하모니카의 강세나 다섯 번째 건반에서 연주하는 화음 연주에 매우 효과적입니다.아시아에서는 멜로디를 재생하기 위해 4번째와 6번째를 다시 넣지만, 레이아웃 전체에서 옥타브가 반복되지 않기 때문에 아래 음계 튜닝과는 다릅니다.

유럽과 북미 공통 튜닝
호너즈
라벨링
1 2 3 4 5 6 7 8 9 10
표준.
라벨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불다. C E G C E G C E G C
그리다 D G B D F A B D F A
동아시아 공통 튜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불다. G3 C4. E4. G4 C5. E5. G5 C6. E6. G6 C7. E7.
그리다 D4. 에프4 A4. B4. D5. 에프5 A5. B5. D6. 에프6 A6. B6.

보다 최근에 개발된 튜닝은 일반적으로 아시아에서 제조되거나 아시아용으로 설계된 트레몰로에서 볼 수 있습니다.이 레이아웃은 색조 고조파에서 볼 수 있는 "솔로" 튜닝에서 파생되며 "스케일" 튜닝이라고도 합니다.여기서 장음계의 음은 베이스 옥타브에서 별도의 코드 섹션 없이 하모니카 전체 음역에서 찾을 수 있다.이는 하모니카의 각 옥타브에서 기본적으로 동일한 음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완전한 색도를 달성하기 위해 C와 Cica 하모니카를 적층하여 연주하는 아시아에서의 일반적인 관행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이 튜닝은 톰보의 S-50에도 적용됩니다.

스케일 튜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불다. C E G C C E G C C E G C
그리다 D F A B D F A B D F A B

주의: 일부 제조업체는 반복된 루트 노트(7 및 15)를 스페이서로 교체하거나(S-50 참조), 완전히 폐기합니다(예:호너).

최근 호너는 3개의 완전한 스케일 튜닝 옥타브를 가진 스케일 튜닝 트레몰로 "21 트레몰로 드 룩스"도 출시했다.

사용하다

트레몰로 하모니카는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흔한 하모니카 형태일 것이며,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포크 음악에서도 매우 인기가 있다.서양에서 트레몰로 하모니카는 보통 전통적인 포크 음악에서 볼 수 있으며, 유럽과 남미 전역에서 이 역할로 발견된다.그러나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및 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는 포크에서 클래식까지 거의 모든 음악 영역에서 트레몰로 하모닉을 볼 수 있다.실제로 앙상블 연주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트레몰로 하모닉이 있다.연주자들은 종종 한 악기에서 사용할 수 없는 음표와 화음을 연주하기 위해 한 번에 여러 개의 다른 고조파를 다른 악기 위에 올려놓는다.

다른.

크로마토 하모니카의 슬라이더 디자인과 트레몰로 하모니카의 듀얼 리드 비팅 사운드를 조합한 크로마토 트레몰로 하모니카가 있습니다.하모니카 기술자 존 인판드는 몇 년 [1]전부터 한정된 수의 독자적인 디자인을 제작하고 있으며, 일본의 하모니카 회사인 스즈키 악기 주식회사[2]최근 디자인을 발표했습니다.

레퍼런스

  1. ^ "MUSET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10-28. Retrieved 12 January 2021.
  2. ^ "Tremolo Chromatic Harmonica SCT-12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12-30. Retrieved 12 January 20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