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럽 사령부
United States European Command미국 유럽 사령부 | |
---|---|
![]() 미국 유럽 사령부의 국장 | |
설립. | 1952년 8월 1일( |
나라 | ![]() |
유형 | 통합 전투 사령부 |
역할. | 지리 전투 사령부 |
일부 | ![]() |
본사 | 독일 슈투트가르트, 패치 병영 |
닉네임 | EUCOM |
웹 사이트 | www.eucom.mil |
지휘관 | |
사령관 | ![]() |
부사령관 | ![]() |
선임 사병단장 | CSM 로버트 5세 미국, 애버네티 |
휘장 | |
나토 지도 기호[2][3] | ![]() ![]() |
미국 군대 |
---|
![]() |
이그제큐티브 부문 |
직원 |
군사 부문 |
병무과 |
명령어 구조 |
미국 유럽 사령부(EUCOM)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에 본부를 둔 미군의 11개 통합 전투 사령부 중 하나이다.이 지역의 초점은 유럽, 러시아, 그린랜드를2 포함한 51개 국가와 영토 2100만 평방 마일(5400만 km)에 이른다.미국 EUCOM 사령관은 군사동맹인 나토(NATO) 내에서 유럽최고동맹사령관(SACEUR)을 겸임하고 있다.걸프전과 노던워치 작전 당시 EUCOM은 인시릭 공군기지에서 날아오는 병력을 통제했다.
이력 및 중요한 운용
1952년 이전에는 "유럽군사령부"라는 호칭이 미국 육군 1군사령부를 지칭했다.유럽 지역의 미군 고위 행정 사령부는 1942년 6월 8일부터 1945년 7월 1일까지 유럽 작전극장(ETOUSA)으로, 1945년 7월 1일부터 1947년 3월 15일까지는 미군 유럽극장(USFET)으로, 그 후에는 유럽전투사령부(UCOM)로 명명되었다.
1950년대
1952년 8월 1일 합동참모본부에 의해 유럽 지역의 첫 통합사령부가 창설되었다.미국 유럽사령부(USEUCOM)로 명명된 이 기구는 유럽의 [4]모든 미군에 "통합된 지휘권과 권한"을 제공하기 위해 창설되었다.1952년 8월 1일 이전, 미 공군, 미 해군, 그리고 미 육군은 합동참모본부에 직접 보고하는 별도의 지휘부를 유지했다.
군 지휘부의 각 직함은 유럽 주둔 미 공군 총사령관, 동부 대서양 및 지중해 주둔 미 해군 총사령관, 유럽 연합군 총사령관이다.합동 유럽군 사령부의 창설에 따라, 유럽의 육군 사령부는 1952년 8월 1일 미국 육군 유럽을 재지정했다.
통일된 지휘체제는 미국의 빠른 전후 해산뿐 아니라 1949년 독일 점령의 종식에 따른 변화에 대처해야 할 필요성에서 탄생했다.소련에 대한 서유럽 방위에 대한 미국의 약속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다.특히 소련이 분단된 도시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고 미국과 영국이 전례 없는 공수 조치로 대응했던 1948-49년 베를린 위기 이후 공동 방어가 큰 관심사였다.1949년 동맹국들은 북대서양조약기구를 설립했다.
1952년에는 유럽 대륙, 영국, 북아프리카, 터키가 담당했다.이후 AOR는 이란과 같은 서남아시아와 사우디 아라비아까지 확대되었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후, 유럽에 대한 인식된 위협은 커졌다.1951년 초, 나토는 연합군 사령부를 창설했다.드와이트 D 장군님 아이젠하워는 퇴역 후 초대 연합군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미국은 소련을 저지하기 위해 유럽에 대규모 증원군을 보냈다.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유럽의 미군 병력은 120,000명에서 400,000명 이상으로 증가했다.유럽 주둔 미 공군은 3개 그룹 35,000명에서 136,000명의 11개 날개로 늘어났다.지중해의 6함대는 40척 이상의 군함으로 두 배가 되었다.유럽의 미 육군은 1개 보병 사단, 3개 경찰 연대에서 5개 사단 2개 군단(동원된 2개 주방위군 사단 포함)으로 성장했고 1950년 11월 슈투트가르트 패치 병영에서 새로운 야전군 7군단을 창설했다.
육군은 1952년 포트 브래그에서 제10특전단체를 창설해 1953년 11월 소련 블록 국가들의 비전통적인 전쟁 임무를 위해 바드 l츠에 배치했다.아이젠하워 장군은 나토 내의 국가 지휘권을 제공하고 이러한 병력 증강을 통제하기 위해 유럽에 있는 모든 미군을 위한 별도의 지휘권을 제안했다.미국의 고위 사령관은 유럽 연합군의 최고 사령관으로 계속 근무할 것이기 때문에, 아이젠하워는 4성급 부사령관에게 "최대한의 위임권한"을 줄 것을 권고했다.
아이젠하워는 새로운 사령부가 창설되자마자 미국으로 돌아왔다.최초의 미국 유럽 총사령관은 매튜 리지웨이 장군으로 한국전쟁 당시 8군 사령관이자 극동군 사령관이었다.그의 대리인은 토마스 T 장군이었다. 핸디, 유럽 미군 사령관입니다.이 시점에서 USCINCEUR의 지위는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관(SACEUR)과 '이중모자'가 되었다.
EUCOM 사령부는 처음에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I.G. Farben 빌딩을 유럽 미군 사령부와 공유했습니다.1953년까지 400,000명 이상의 미군이 유럽에 주둔했다.1954년, 본부는 파리 서쪽의 프랑스 육군 기지이자 SHAPE에서 조금 떨어진 Camp des Loges로 이전했다.그곳에서 EUCOM은 소련과 바르샤바 조약에 대한 나토의 틀 안에서 서유럽 방어 계획을 준비했다.
EUCOM은 1955년 이후 독일 연방군을 포함한 나토 회원국들의 군사력 강화를 돕기 위해 군사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했다.1955년 EUCOM은 지원작전사령부 유럽을 창설하였고, 곧이어 특수작전임무를 위한 지원작전태스크포스 유럽(이후 특수작전사령부 유럽)으로 개명하였다.1961년 EUCOM은 실크 핸드백 작전이라는 공중 지휘소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
1961년 베를린 위기 당시인 1961년 8월 25일 국방부는 14만8천명의 예비역 병력이 10월 1일 12개월간의 현역으로 소집될 것이라고 발표했다.이 중 27,000개는 공군 예비군 및 공군 주방위군 비행중대와 공군을 증강하기 위한 지원부대에서, 11만 2,000개는 미 육군 예비군이다.많은 예비군들이 지상 전투 부대를 전력화하기 위해 유럽에 파견되었다.
1958년 레바논에서 종교 및 정치적 갈등의 고조로 내전이 발발했다.EUCOM은 정부 내 안정을 회복해 달라는 레바논의 요청에 따라 대규모 비상 작전인 '블루배트 작전'을 수행했다.
1966년, 나토 군사 정책에 대한 프랑스의 의견 불일치가 있은 후, 샤를 드골 대통령은 1969년 4월까지 프랑스 국경 내의 모든 군대가 프랑스의 통제 하에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곧이어 프랑스는 1967년 [5]4월까지 SHAPE와 그 산하 본부가 프랑스 영토를 떠나야 한다고 발표했다.이듬해 SHAPE는 벨기에 몬스로, 본사 EUCOM은 독일 슈투트가르트에 있는 패치 병영으로 이전했습니다.제7군 사령부는 하이델베르크로 이전하여 미국 유럽 육군 사령부와 합병하였다.패치 병영에서 EUCOM은 건물을 개조하고 새로운 운영 센터를 건설하며 통신 인프라를 현대화했습니다.
EUCOM은 유럽 방위에 대한 준비를 계속했고 1967년에 일련의 연례 REFORGER(독일 주둔군 반환) 훈련을 시작했다.1968년 바르샤바 조약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등 냉전 위기는 계속됐다.그러나 베트남 전쟁 때문에 유럽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의 수는 서서히 감소하였다.유럽의 병력은 1970년까지 265,000명으로 감소했다.
1970년대
1970년대 동안, 유럽의 무력 보호 우려는 붉은 군대 파벌과 붉은 여단 같은 테러리스트 집단이 미국의 시설과 직원들을 폭격, 납치, 암살로 공격하면서 증가했다.팔레스타인 테러 단체들은 1972년 뮌헨 올림픽 당시 이스라엘 선수 납치와 같은 테러 작전을 유럽에서 수행했다.
EUCOM과 그 구성 요소들은 유럽 전역에서 인도적 지원, 재난 구호, 비전투원 대피, 평화 유지 활동 지원 및 기타 유럽, 아프리카 및 중동에서의 비전통적인 임무를 계속 제공했다.예를 들어 콩고가 1960년 독립한 후 EUCOM은 1960년 평화유지, 인도적 지원, 비전투원 철수 등 콩고에서 여러 다국적 작전에 참여했으며, 1964년 11월(드래곤루즈 작전), 1967년 2차 스탠리빌 폭동, 1978년(샤바 II 기간)에도 마찬가지였다.중동에서 EUCOM은 1967년, 1973년 및 1982-1984년에 이스라엘에 대한 군사 지원과 미국 시민들에 대한 비전투원 대피를 제공했다.
1970년대 후반 소련은 SS-20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동유럽에 배치하고 1979년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다.나토는 소련의 행동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의 중거리 퍼싱 II 미사일과 지상발사순항미사일(GLCM)을 배치하는 한편 협상을 강화하기로 한 투 트랙(two-track) 결정으로 대응했다.
1980년대
1980년대 동안 유럽에 주둔한 미군은 35만 명 이상으로 증가하였다.EUCOM은 1980년에 Fleet Marine Force Europe(이후 MARFOREUR)를 창설했다.
1983년 통합사령부 계획은 중동에 대한 책임을 EUCOM에서 새로운 전투사령부인 미 중부사령부(CENTCOM)로 이양했지만 EUCOM은 이스라엘, 레바논, 시리아에 대한 책임을 유지했다.동시에 EUCOM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대한 책임을 공식적으로 부여받았다.따라서 책임 지역은 유럽(영국 및 아일랜드 포함), 지중해(섬 포함), 지중해 연안(이집트, 수단, 케냐,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및 지부티 제외)이 되었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복무한 콜린 파월 합참의장과 함께 1986년 골드워터-니콜스 법은 전투 지휘관의 역할을 더욱 강화했다.Goldwater-Nichols는 또한 미국 특수작전사령부를 창설하여 새로운 소통합사령부, 유럽 특수작전사령부의 활성화를 이끌었다.
1980년대 소련과 전략 및 극장 차원의 무기 제한 협상은 계속되었다.1987년 중거리핵전력조약(INF조약)은 SS-20, 페르싱II 및 GLCM의 배치를 중지하도록 요구했으며 1990년 나토와 바르샤바 조약 회원국은 유럽의 재래식 군사력에 관한 조약(CFE)에 서명했다.
1989년 소련과 동유럽의 다른 소련 국가들은 붕괴되고 냉전이 종식되었다.동베를린과 서베를린 시민들은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을 허물기 시작했다.
1990년대
긴장완화의 신호로 1991년 EUCOM은 공중지휘소 경계태세를 해제했다.한편, 1991년에 EUCOM과 그 구성 요소들은 사막 폭풍 작전을 위해 CENTCOM에 병력(주로 VII 군단)을 제공했다.
EUCOM은 옛 소련 블록 국가들의 공동 계약 팀 프로그램, 평화를 위한 나토 파트너십, 국가 방위국 국가 파트너십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보스니아, 마케도니아, 코소보를 포함한 발칸반도의 작전에도 적극적이었다.이 기간 동안 EUCOM의 할당 병력은 12만 명 이하로 감소했습니다.
1990년 이후 EUCOM은 매년 열리는 세계 유일의 채플레인 국제군장회의를 개최하거나 공동 주최하고 있으며, 종교 지도자들 간의 협력과 전쟁을 위한 힘이자 평화를 위한 힘으로서의 종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999년에는 통합지휘계획 개정 후 지휘부 책임영역 변경이 발표됐다.유럽 앞바다와 아프리카 서해안을 포함한 미국 대서양사령부 지역은 유럽사령부로 [7]이관될 예정이었다.미 유럽사령부는 이미 유럽과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의 모든 미군 육·공군 계획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다.이 변경에 의해 EUCOM은 동일한 일반 운영 영역의 해양 계획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2000년대
그 변경은 2000년 10월 1일에 시행되었다.현재 유럽 앞바다와 아프리카 서해안을 포함하는 대서양사령부 지역도 유럽사령부로 이관되었다.
2001년 9월 11일 뉴욕과 워싱턴 D.C.에 대한 테러 공격 직후 나토는 조약 제5조를 발동하고 북미 상공 감시를 돕기 위해 나토 조기경보기를 배치했다.EUCOM은 아프가니스탄에서의 후속 작전에 주요 병력을 제공했으며 유럽과 아프리카에서의 미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했다.이후 카사블랑카, 마드리드, 런던, 알제리의 EUCOM 극장에 대한 테러공격으로 EUCOM은 2007년 영속적 자유의 트랜스-사하라 작전을 개시하고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 순환병력을 계속 공급했다.
2002년 통합 지휘계획은 레바논과 시리아에 대한 책임을 CENTCOM에 이양하였으나 EUCOM은 이스라엘에 대한 책임을 유지하였고, 러시아(옛 합동참모부)와 북대서양 지역의 증가된 부분에 대한 책임을 맡았으며, 아이슬란드와 포르투갈 아조르스(옛 미국 합동군)를 포함시켰다.아이슬란드 방위군은 2002년부터 2006년까지 EUCOM의 일부를 구성했다.
불가리아와 루마니아 기지를 통해 미국 대륙에서 순환하는 병력으로부터 제공되는 합동 기동부대는 처음에는 순환하는 미국 주둔 여단에 의해 제공될 예정이었다.루마니아 콘스탄차 기지에 두 개의 기지가 개발되었으며, 미하일 코겔니체아누 비행장에 주요 시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처음에는 동부 합동 기동부대가 제2기병연대 스트리커 중대를 순환 배치하기로 되어 있었다.태스크 포스는 원래 동유럽 태스크 포스로 불릴 계획이었다.그러나 이라크와 아프간 파병 압박 이후 동부 합동 기동부대의 병력은 흑해 회전부대로 알려진 해병대로 대체되었다.
2003년 본사는 EUCOM Plans and Operations Center(EPOC)를 설립하기 위해 재편성되었습니다.2006년부터 2008년까지 EUCOM은 새로운 지리적 통합 전투 사령부인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AFRICOM)를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이 사령부는 2008년 10월 1일 인근 켈리 병영으로 이전하여 아프리카 국방부의 활동을 인계받았다.
2020년대
2021년 1월 15일 EUCOM은 이스라엘의 군사활동 조정을 [8]CENTCOM으로 이관했다.
타임라인
이 섹션은 어떠한 출처도 인용하지 않습니다.(2011년 11월 (이 및 을 확인) |
1967년: 미국 유럽사령부 본부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패치 병영으로 이전.
1970년: 265,000명의 미군이 유럽에 주둔하고 있다.
1980년: 35만 명의 미군이 유럽에 주둔하고 있다.
1983년 : 미 중부사령부가 창설되어 EUCOM에서 중동에서의 국방 활동을 담당.
1990년: 걸프전을 위해 EUCOM에서 사우디아라비아로 VII 군단(미국 육군) 및 기타 USARUR 부대가 배치된다.
1992: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에서 재배치된 후 VII 군단(미군)은 EUCOM에서 철수하여 비활성화됩니다.
1999년: 유럽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이 12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2002년: 이라크 전쟁을 위해 V군단(미군)이 EUCOM에서 쿠웨이트로 배치되었습니다.
2003년: James L. Jones 장군은 EUCOM 사령관이 된 최초의 미 해병대원이 되었습니다.
2006년: V군단(미군)은 다국적군단-이라크의 지휘통제요소로 EUCOM에서 이라크에 배치된다.
2008년 :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가 창설되어 EUCOM에서 아프리카에서의 국방 활동을 담당.
2009년: 해군 제독 제임스 G. Stavridis는 EUCOM의 15번째 사령관이자 본부를 지휘하는 최초의 해군 제독이 된다.
2012년: V군단(미군)이 EUCOM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배치되어 [9]전장에 종사하는 모든 미국 지상군을 지휘 및 통제합니다.
2013년: 아프가니스탄에서 재배치된 후 V 군단(미군)이 비활성화되어 [10]1951년 이후 처음으로 군단 본부가 없는 EUCOM을 떠났다.
2020: 포트 [11][12]녹스에서 V 군단(미군)이 재활성화되었습니다.군단 전방 사령부는 폴란드 [13]포즈난에 배치될 예정입니다
운용
다음의 리스트는, EUCOM이 [14]개시되었을 때부터 관여해 온 모든 조작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
구조.
EUCOM의 주요 서비스 컴포넌트 명령어는 미국 육군 유럽, 미국 해군 유럽/미국 6함대, 유럽의 미국 공군 및 미국 해병대, 유럽입니다.
미국 육군 유럽(구 제7군)은 독일에 본부를 두고 있습니다.2개 여단, 1개 항공여단 및 여러 지원부대를 관할하고 있으며 유럽의 다른 육군 부대에도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이전에는 두 개의 사단을 가지고 있었지만, 냉전의 거의 모든 기간 동안 두 개의 사단으로 구성된 두 개의 군단을 통제했다.V 군단은 아프가니스탄에서 귀환한 후 2013년에 해체되었다.VII 군단은 걸프전 이후 독일로 돌아온 후 1992년에 해체되었다.
6함대는 나토 합동군사령부 나폴리의 액티브 엔데버 작전에 선박을 제공하여 지브롤터 해협과 지중해 나머지 지역의 선박에 대한 위협을 막는다.6함대 사령관의 지휘하에 창설된 특수작전부대 아즈텍 사일런스는 영속적 자유-트랜스 사하라 작전에 참여하고 있다.또한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의 지휘 아래 서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 해안 주변에서 역할이 커지고 있다.과거 소련 해군의 제5작전비행대(지중해함대, 사실상 함대 규모)에 대한 지중해 주둔 기능이 상당했고, 냉전의 대부분은 나토의 남쪽 측면을 따라 가장 강력한 해상 타격 부대였다.
유럽의 미 공군, 윙 지원 사령부와 USFE의 제3 공군은 둘 다 독일 람슈타인 공군 기지에 주둔하고 있다.그들은 이제 냉전시대의 높은 전력에서 훨씬 떨어졌고 미국에서 날아오는 항공기보다 많은 분쟁 지역에 가까운 공군의 풀을 제공한다.
유럽의 미국 해병대는 독일 뵈블링겐(슈투트가르트)의 판저 카세네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EUCOM의 해병 부대 역할을 한다.MARFORER는 흑해 회전군의 계획과 실행에 필수적입니다.
EUCOM의 하위 통합 지휘부는 독일 슈투트가르트 바이힌겐의 패치 병영에 본사를 둔 SOCEUR(Special Operations Command Europe)입니다.AOR 소속 특수부대에는 영국 RAF 밀덴홀에 본부를 둔 미 공군 제352특수작전단, 미 해군 특수전부대, 독일 판차저 기지에 위치한 제10특수전단 제2 및 제1BN특수전단 등이 있다.
EUCOM은 독일 슈투트가르트 바이힌겐에 있는 패치 병영에도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카이저슬라우테른 군사공동체는 미국 이외에서 가장 큰 미군 집단이고 랜드스툴 지역 의료센터는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온 부상자들을 치료하는 해외 최대 미군 병원이다.
서비스 컴포넌트
![]() |
- 미국 육군 유럽(USAREUR) (루시우스 D.클레이 카제네([15]독일 비스바덴):
- 제2스트라이커 기병연대: 독일[16] 빌섹 로즈 병영
- 제173공수여단전투단: 이탈리아[17] 비첸차
- 제12전투항공여단: 독일[18] 안스바흐, 카테바흐 카세네
- 제7군 합동 다국적 훈련 사령부: Graffenwoehr, 독일
- 미군 나토 여단:독일 Sembach, Heuberg Kaserne
- 제19전장조정사단: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10군 방공미사일방어사령부: 독일[19]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21전구보전사령부: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판저 카세네
- 제16지속여단:독일 바움홀더, 스미스 병영
- 제18헌병여단: Graffenwohr, 독일
- 제30의료여단:셈바흐, 독일
- 제7임무지원사령부: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1인재지원센터
- 제405군 야전지원여단: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대너 카세른
- 제409계약지원여단: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266금융경영지원센터
- 미국 해군 유럽(NAVEUR) (나폴, 이탈리아):
- 유럽 주둔 미 공군(USAFE)(독일 람슈타인 공군기지):
- 미국 해병대, 유럽(MARFOREUR) (Panzer Kaserne, Böblingen, 독일)
미 유럽군 사령부는 이스라엘 내 저명 미군 저장 시설을 관리합니다.윌리엄 아킨은 그의 책 코드네임에서 이스라엘에 [20]있는 미군 기지들의 위치를 밝혔다.Arkin은 이 사이트들이 지도에 나타나지 않으며 정확한 위치는 분류되어 있다고 쓰고 있다.책에 따르면, 그 장소들 중 일부는 벤구리온 공항, 네바팀, 오브다 공군 기지, 그리고 헤르즐리야 피투아에 위치해 있다.
현장 번호는 '사이트 51', '사이트 53', '사이트 54', '사이트 55' 및 '사이트 56'으로 지정되며, 일부 창고는 지하에 있고, 다른 창고는 개방 격납고로 건설되었다.아킨에 따르면 51번 현장에는 지하 창고에 탄약과 장비가 보관돼 있다.53번지는 이스라엘 공군 기지의 군수품 보관 및 전쟁 예비 차량, 54번지는 500개의 병상을 갖춘 텔아비브 인근 응급 군 병원, 55번지와 56번지는 탄약고입니다.
하위 통합 명령어
- 특수작전사령부 유럽(SOCEUR)– (Panzer Kaserne, Böblingen, 독일)
추가 지원 유닛
지휘관 목록
이전에 이 직책은 "미합중국 유럽군 사령관(CINC)"이라는 직함을 가지고 있었다.그러나 2002년 10월 24일 도널드 럼스펠드 국방장관의 명령에 따라 미군 내 모든 CINC는 "사령관"으로 개칭되었고 "CINC"를 대통령 이외의 약자로 사용하는 것은 [21]금지되었다.
No. | 사령관 | 용어 | 서비스 브랜치 | |||
---|---|---|---|---|---|---|
초상화 | 이름. | 취임. | 퇴사 | 지속 | ||
미국 유럽 사령부(CINC) 총사령관으로서 | ||||||
1 | 매튜 리지웨이 (1895–1993) | 제너럴1952년 5월 30일 | 1953년 7월 11일 | 1년 42일 | ![]() 미군 | |
2 | 알프레드 제너럴 알프레드 그루엔터 (1899–1983) | 1953년 7월 11일 | 1956년 11월 20일 | 3년 132일 | ![]() 미군 | |
3 | 로리스 노르스타드 (1907–1988) | 로리스 제너럴1956년 11월 20일 | 1963년 1월 1일 | 6년 42일 | ![]() 미국 공군 | |
4 | 라이만 라이만 렘니처 (1899–1988) | 1963년 1월 1일 | 1969년 7월 1일 | 6년 181일 | ![]() 미군 | |
5 | Andrew General의 앤드류 굿파스터 (1915–2005) | 1969년 7월 1일 | 1974년 12월 15일 | 5년 167일 | ![]() 미군 | |
6 | 알렉산더 M.헤이그 주니어 (1924–2010) | 제너럴 하이그1974년 12월 15일 | 1979년 7월 1일 | 4년 198일 | ![]() 미군 | |
7 | 버나드 W. 로저스 (1921–2008) | 버나드 제너럴1979년 7월 1일 | 1987년 6월 26일 | 7년 360일 | ![]() 미군 | |
8 | 존 겔빈 (1929–2015) | 존 제너럴1987년 6월 26일 | 1992년 6월 23일 | 4년 363일 | ![]() 미군 | |
9 | 존 샬리카슈빌리 (1936–2011) | 요한 제너럴1992년 6월 23일 | 1993년 10월 22일 | 1년 121일 | ![]() 미군 | |
10 | 조지 줄완 (1939년 ~ ) | 제너럴 주1993년 10월 22일 | 1997년 7월 11일 | 3년 262일 | ![]() 미군 | |
11 | 웨슬리 클라크 (1944년 ~ ) | , 웨슬리 제너럴1997년 7월 11일 | 2000년 5월 3일 | 2년 297일 | ![]() 미군 | |
12 | 조지프 랄스턴 (1943년 ~ ) | 제너럴2000년 5월 3일 | 2003년 1월 17일 | 2년 259일 | ![]() 미국 공군 | |
13 | 제임스 L. 존스 (1943년 ~ ) | 제임스 제너럴2003년 1월 17일 | 2006년 12월 7일 | 3년, 324일 | ![]() 미국 해병대 | |
미국 유럽 사령부 사령관으로서 | ||||||
14 | 밴츠 J. 크래독 (1949년생) | , 밴츠 제너럴2006년 12월 7일 | 2009년 7월 2일 | 2년 207일 | ![]() 미군 | |
15 | 제임스 G.스타브리디스 (1955년생) | 제임스 애드미럴2009년 7월 2일 | 2013년 5월 13일 | 3년 315일 | ![]() 미국 해군 | |
16 | 필립 M.브리드러브 (1955년생) | 필립 제너럴2013년 5월 13일 | 2016년 5월 4일 | 2년 357일 | ![]() 미국 공군 | |
17 | 커티스 제너럴 커티스 M스카파로티 (1956년생) | 2016년 5월 4일 | 2019년 5월 3일 | 2년 364일 | ![]() 미군 | |
18 | 토드 D. 울터스 (1960년생) | 일반2019년 5월 3일 | 2022년 7월 1일 | 3년 59일 | ![]() 미국 공군 | |
19 | 크리스토퍼 카볼리 (1965년생) | 일반2022년 7월 1일 | 현존재 | 28일 | ![]() 미군 |
메모들
- ^ EUCOM 부사령관 2018년 8월 9일
- ^ FM 1-02 Operational Terms and Graphics (PDF). US Army. 21 September 2004. pp. 5–36.
- ^ ADP 1-02 Terms and Military Symbols (PDF). US Army. 14 August 2018. pp. 4–8.
- ^ US European Command. "History of EUCOM". US European Command Web 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anuary 2012. Retrieved 18 April 2012.
- ^ "1966-1967: SHAPE Finds a New Home". Allied Command Operations - History of ACO. Retrieved 5 August 2014.
- ^ 중령님에드워드 A.프레이저와 사령부 병장.로버트 5세 소령아베네티 (2019년 4월 1일)강력한 유럽:대륙 규모의 전투 지속 연구소
- ^ "Defense.gov News Article: Unified Command Plan Changes Announced". archive.defense.gov. Retrieved 29 January 2016.
- ^ "CENTCOM mission expands to include Israel". Stars and Stripes. Retrieved 17 March 2022.
- ^ "V Corps colors return to Wiesbaden". Eur.army.mil. 2 May 2013. Retrieved 12 June 2013.
- ^ Matt Millham (12 June 2013). "V Corps cases its colors in 'bittersweet' ceremony in Wiesbaden". Stars and Stripes. Retrieved 7 June 2014.
- ^ "US Army names head of V Corps HQ to be based in Poland". ABC News. Associated Press. 4 August 2020. Retrieved 10 August 2020.
- ^ Rempfer, Kyle (5 August 2020). "Army's resurrected V Corps will go to Poland". Army Times. Retrieved 10 August 2020.
- ^ [https://www.army.mil/article/238882/v_corps_headquarters_forward_in_poland_to_be_located_in_poznan 미 육군 V 군단 본부 (2020년 9월 9일) 폴란드 V 군단 본부 (전방) 포즈난에 배치 예정
- ^ John Pike. "Operations - European Command". Global Security.org. Retrieved 7 June 2014.
- ^ "Units U.S. Army Europe". Eur.army.mil. 24 July 2013. Retrieved 7 June 2014.
- ^ "The United States Army 2D Cavalry Regiment "Dragoons"". 2cr.army.mil. Retrieved 7 June 2014.
- ^ "The United States Army 173D ABCT "Sky Soldiers"". Eur.army.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May 2014. Retrieved 7 June 2014.
- ^ "12th Combat Aviation Brigade". 12cab.army.mil. Retrieved 7 June 2014.
- ^ "United States Army 10th Air & Missile Defense Command". Archive.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December 2012. Retrieved 7 June 2014.
{{cite web}}
: CS1 maint: bot: 원래 URL 상태를 알 수 없습니다(링크). - ^ William Arkin, Code Names, 139, Al-Monitor.com, If War Comes, US Will Its Military Depots In Israel?, 2012년 8월 20일.2014년 12월 13일 Wayback Machine에 보관
- ^ "'CINC' Is Sunk". U.S. Department of Defense. American Forces Press Service. 25 October 2002. Retrieved 4 November 2011.
The term 'CINC' is sunk. Defense Secretary Donald Rumsfeld put out a memo Oct. 24 to DoD leaders saying there is only one commander in chief in America — the president.
레퍼런스
- Duke, Simon; 유럽의 미군 및 시설, Oxford University Press for SIPRI,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