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월크 (DD-723)

USS Walke (DD-723)
USS Walke (DD-723)
역사
미국
이름월크
네임스케이크헨리 A.월크
빌더배스 아이언 워크스
눕다1943년 6월 7일
시작됨1943년 10월 27일
커미셔닝됨1944년 1월 21일
해체됨1970년 11월 30일
스트리킨1974년 2월 1일
운명1975년 4월 16일 폐기 처분
일반적 특성
클래스 및 유형 앨런 M. 섬너급 구축함
변위2200톤
길이376피트 6인치 (1967.76m)
40피트(12m)
초안15ft 8인치(4.78m)
추진
  • 60,000 shp(45,000 kW);
  • 프로펠러 2개
속도34노트(63km/h; 39mph)
범위15kn(28km/h; 17mph)에서 6,500nmi(12,000km/7,500mi)
보완336
무장을

USS 월크(DD-723), 알렌 M. 섬너급 구축함인 섬너급 구축함은 헨리 A호의 이름을 딴 미 해군의 세 번째 함선이었다. 멕시코-미국 전쟁미국 남북 전쟁 당시 해군 제독이었던 월크.세 번째 월크(DD-723)는 배스 아이언웍스에 의해 1943년 6월 7일 메인 배스에서 내려져 1943년 10월 27일 발사되었으며, 부인의 후원을 받았다.더글러스 딜런.이 배는 1944년 1월 21일 보스턴 해군 야드에서 취역했다.존 C. 젬이 지휘한다.

서비스 이력

제2차 세계 대전

보스턴 해군 야드에서 경기를 마친 후, 월키는 2월 12일 버뮤다로 향하기 전 14일부터 18일까지 방문한 워싱턴 D.C.로 출발했다.그녀는 1944년 3월 19일 가용성에 대해 보스턴으로 돌아왔고, 이후 선박국 주관으로 오실라와 함께 고속 연료 주입 훈련을 실시하기 위해 버지니아 노퍽으로 이동했다.이 구축함은 로드에서 4월 첫째 주 말에 플로리다주 키웨스트로 이동해 신형 음향 기어를 탑재한 대잠수함전(대잠전)시험을 했다 햄튼.그녀는 4월 17일에 임무를 마치고 이틀 후에 노퍽으로 향했고, 그곳에서 새로 건설된 구축함들을 위한 거의 한 달간의 임무 훈련을 위해 도착했다.

5월 12일, 월크뉴욕으로 출발하여 다음날 도착했다.5월 14일, 그녀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참가하기 위해 유럽 해역으로 향했다.그녀는 5월 24일 스코틀랜드의 그리녹에 도착했다.월크는 디스트로이드 디비전(DesDiv) 119의 부대로서 6월 6일부터 26일 사이에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참가했다.6월 7일과 8일, 그녀는 해안포 폭격을 실시하여 블록하우스와 기관총 위치를 파괴하고 독일군 기갑부대의 반격을 진압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6월 23일과 24일, 이 군함은 체르부르 폭포에서 지뢰 제거 작전을 지원하고 적 해안 전지를 장착했다.

연합군 지상군이 전투 전선을 구축함 총의 사정권 밖으로 내륙으로 밀어낸 뒤 월키는 7월 3일 유럽 해역을 출발해 7월 9일 보스턴 해군 야드에 도착했다.메인주 카스코베이에서 수리 및 보수교육을 받은 후 그녀는 남쪽으로 항해하여 8월 26일 노퍽에 도착했다.

나흘 뒤 함정은 궁극적으로 서태평양으로 향하는 항공모함 티콘데로가의 스크린을 통해 노퍽을 출발했다.파나마 운하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를 거쳐 9월 25일 진주만에 도착한 구축함.그녀는 10월 23일 노스캐롤라이나의 스크린에서 하와이 제도를 떠나기 전에 거의 한 달 동안 그곳에서 훈련을 했다.에니웨톡마누스 섬을 거쳐 11월 5일 울리티에 도착했다.그곳에서, 그녀는 필리핀의 목표물에 대한 일련의 공습을 위해 그날 정렬했던 고속 수송기 태스크 그룹 (TG) 38.4의 부대가 되었다.이 군함은 11월 22일에 울리티로 돌아왔고, 필리핀으로 가는 데스론 60 편대와 함께 11월 27일까지 그곳에 정박해 있었다.그녀는 11월 29일 레이테 주 산 페드로 베이에 도착해 레이테 에서 활동하는 TG 77.2의 스크린에 합류했다.그녀는 12월 4일 산 페드로 만의 정박지로 돌아와 레이테 서쪽 해안의 오르모크 만에서 착륙을 지원하기 위해 TG 78.3으로 출발한 12월 6일까지 그곳에 머물렀다.육군 77사단 병력은 12월 7일 아무런 반대 없이 해안으로 난입했지만, 일본군은 공격을 저지하기 위해 지원함에 가미카제 공격을 가했다.그 공습 동안, 월크는 9기 급습의 세 개의 카미카즈가 그녀를 충돌시키는 데 성공했을 때 구축함 마한을 도왔다.월케는 마한 승무원 여러 명을 구출한 뒤 어뢰와 포화를 들고 격침된 구축함을 바닥에 내려보냈다.다음날 산 페드로 만으로 돌아가는 길에 그녀는 공격 중인 적기를 튀기는 것을 도왔다.그녀는 그날 늦게 목적지에 무사히 도착하여 12월 13일까지 레이테 만과 산 페드로 만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그날, 그녀는 민도로에 대한 공격을 지원하기 위해 TG 77.3과 함께 진행되었다.그녀는 12월 15일 버클리 제독의 근접 엄호 부대의 일원으로 그 섬에 도착했는데, 그 부대는 무거운 순양함 1척, 가벼운 순양함 2척, 그리고 다른 구축함 6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그녀는 공기와 잠수함의 공격으로부터 무거운 원소를 보호하는 것 외에도, 지상에 있는 와카바에게 총격을 가해 파괴했다.그 임무를 마친 후, 그녀는 다시 레이트 만으로 향했다.도중에, 그녀는 그녀에게 접근한 여러 대의 비행기에 대한 공격을 받아 1944년 12월 18일 산 페드로만에 안전하게 도착했다.

월크(오른쪽 중앙)와 전함 미시시피호, 그리고 다른 두 의 구축함이 1945년 1월 9일 링가옌만에 상륙했다.

이 구축함은 링가옌 만루손 침공을 위해 진척된 1945년 1월 2일까지 그곳에 머물렀다.미국의 지뢰제거원들이 1월 6일 그 만으로 이동했고, 월크는 그들과 함께 방어용 화기와 대공 방어를 제공했다.그날, 적군 나카지마 키-43 '오스카' 4대의 항공기가 수심이 낮은 자신의 우현 쪽에서 구축함 앞으로 접근했다.그녀는 포문을 열고 처음 두 공격수를 튀기는 데 성공했다.세 번째 비행기는 그의 콤비네이션이 활주-자살 공격을 막아냈고, 비록 여러 차례 부딪혔지만, 좌현 쪽에 있는 월크다리에 부딪혀 가까스로 화염에 휩싸였다.그 구축함은 상부구조물 전체에 걸쳐 모든 통신, 레이더, 자이로 리피터, 전기를 잃었다.그녀는 또한 총과 어뢰 감독뿐만 아니라 다리 자체에 광범위한 손상을 입었다.이 여객기가 실은 250파운드(110㎏)짜리 폭탄은 폭발하지 않고 전투정보센터 인근에서 배를 완전히 통과했다.

첫 번째 가미카제월크와 충돌한 지 2분 후, 네 개의 "오스카" 중 마지막이 그의 다이빙을 시작했다.이 공격자가 구축함 우현 분기점 쪽으로 들어오면서 현지 통제 3호 탑재와 우현 쪽 40㎜, 20㎜ 포에서 화재를 당했다.그들의 집중적인 화재는 비행기가 화염에 휩싸이고 가까운 바다에 튀었을 때 두 번째 충돌에서 배를 구했다.곧이어 2차 콘으로 통제가 옮겨졌고 화재는 15분 만에 진압됐다.[citation needed]

비록 중상을 입고 끔찍하게 화상을 입었지만, 그 행동 내내, 군함의 지휘관인 Comdr.조지 F. 데이비스는 계속해서 그의 배를 결박하고 그녀의 선원들에게 배를 구하기 위한 영웅적인 노력을 권했다.그는 그녀가 떠내려갈 것이 확실하고 온전할 것을 확신한 후에야, 그는 중역에게 지휘권을 양도하는 데 동의하고 자신을 아래로 나르는 것을 허락했다.Davis 박사는 몇 시간 후에 그의 상처에 굴복했다; 그러나 그의 용감한 행동으로, 그는 사후 명예 훈장을 받았다.그는 구축함 데이비스를 그의 이름으로 임명함으로써 더 큰 영광을 얻었다.

월크는 1월 9일 착륙할 때까지 TG 77.2로 계속 운항했다.다음 날, 그녀는 태스크 유닛(TU) 78.4.2와 함께 그 만을 떠나 레이테로 향했다.그녀는 1월 13일 산 페드로만에 도착했고 해군 제도에 가기 전에 이틀 동안 그곳에 머물렀다.그녀는 1월 18일부터 21일까지 마누스 섬에서 임시 수리를 더 받은 후 진주만을 거쳐 귀국하는 항해를 재개했다.이 배는 2월 6일 마레아일랜드 해군 야드에 도착하여 영구적인 수리에 들어갔다.그녀의 대규모 전투 피해 중 마지막은 4월 4일, 콤드르에 의해 수정되었다.존 F.맥길리스는 이 배를 지휘하고 진주만, 에니웨톡, 울리티를 거쳐 5월 10일에 오키나와를 점령하기 위한 캠페인에 동참했다.류큐스에 머무는 1부 때는 오키나와 주변 레이더 피켓 스테이션에서 지원함 역할을 했다.6월 24일, 그녀는 7월 23일까지 그녀가 운영하는 수륙지원대인 태스크포스(TF) 32의 스크린에 합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다음 날, 그녀는 레이테로 향하는 태스크 유닛 스크린에서 류큐스를 출발하여 7월 28일부터 8월 14일까지 산 페드로 만에서 숙박을 받았다.후일, 월크와 바톤은 TF 38과 바다에서 랑데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이 구축함은 교전이 끝난 지 사흘 만인 8월 18일 TG 38.3의 스크린에 합류했다.9월 10일, 그녀는 TG 38.1의 화면으로 전환하여 패스트 캐리어와 함께 작동했다.

전후

이 괌을 거쳐 미국 북서쪽 해안으로 향할 때까지 일본 해역에 머물렀다 9월 30일 군함은.그녀는 10월 24일 시애틀에 도착하여 이듬해 봄까지 서부 해안가를 따라 수술을 했다.1946년 3월 18일 진주만 왕복 항해를 위해 샌디에이고를 출발해 4월 10일 샌디에이고로 돌아와 5월 13일까지 그곳에 머물렀다.지난 19일 다시 진주만에 입항한 뒤 이틀 뒤 다시 그 항구를 떠났지만 이번에는 마셜 군도를 향해 서쪽으로 계속 나아갔다.그녀는 5월 26일에 비키니 아톨에 도착했고, 그 후 두 달 동안 십자군 작전과 같은 그곳에서 수행된 원자 실험을 지원했다.그녀는 8월 15일 진주만으로 돌아와 하룻밤을 머물다가 8월 16일 서해안으로 출발했다.월크는 지난 8월 22일 샌디에이고에 입성한 뒤 3개월간의 수리를 위해 마레아일랜드 해군 조선소로 이동했다.

이 군함은 11월 15일 샌디에이고로 돌아와 연말까지 샌디에이고에 머물렀다.1947년 1월 6일, 월키는 항공모함 타라와와 함께 작전을 수행했을 때 샌디에이고를 떠나 진주만으로 향했고, 후에 해군 공군 태평양함대 사령관의 후원으로 샹그릴라와 함께 특별 임무를 수행했다.그 임무는 그녀가 산호해 전투를 기념하기 위해 호주 시드니로 파견된 부대에 합류한 5월 1일까지 계속되었다.그 배는 6월 중순에 샌디에이고로 돌아왔고 6월 30일에 그곳에서 해체되었다.

한국 전쟁

USS 월크, 1952-53.

태평양 예비역 샌디에이고 그룹에서 3년이 조금 넘은 후, 월크는 1950년 10월 5일 CDR 마샬 F와 함께 재위촉되었다. 톰슨이 지휘한다.서해안을 따라 셰이크 훈련을 마친 구축함은 1951년 1월 2일 샌디에이고를 출발, 6개월간의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극동 항로와 복무에 들어갔다.그녀는 일본 요코스카에서 폭풍 피해를 복구한 뒤 한국 해안에서 TF 77에 합류했다.

그녀는 TF 77의 항모에 대한 대잠수함 방호 제공 외에도 한국 해안 가까이 이동하여 연대갑, 원산, 송진, 청진, 초민진 등 다양한 적항과 그 외 여러 철도 및 도로의 위치의 봉쇄에 기여하였다.6월 12일 TF 77로 한국 해안에서 약 60마일 떨어진 곳에서 쪄내던 중 월키는 부유 기뢰를 치거나 어뢰에 맞아 좌현에서 선체가 심하게 파손돼 26명이 사망하고 35명의 선원이 부상했다.이 사건은 한국전쟁 당시 미 해군이 겪은 가장 치명적인 사건이었다.[1]

그녀는 사세보에서 임시 수리를 한 뒤 미국으로 돌아가 7월 영구 수리와 전면적인 정비를 위해 마레아일랜드 해군 조선소에 들어갔다.월크는 1952년 6월 한국전투구역으로 돌아와 TF 77이 해안포격 임무에 의해 중단되는 가운데 심사를 재개했다.이 전투 순항은 1953년 1월 캘리포니아 롱비치에 도착하여 정상적인 서부 해안 작전을 수행할 때까지 계속되었다.7월에, 군함은 한국 해안에서 TF 77에 합류하여 7개월의 임무를 더 수행했지만, 그 무렵에는 그녀의 임무의 전투적인 측면을 끝내는 휴전협정이 체결되었다.[citation needed]

포스트 코리아

1953년 7월 한국 전쟁이 끝나고 1964년 8월에 시작된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이 극적으로 증가하면서, 월크는 롱비치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서해안의 작전 기간과 함께 서태평양에 평시 배치를 번갈아 하는 일과로 정착했다.그 간격에 그녀는 오리엔트에 6개의 배치를 했는데, 매회 7함대의 부대로서 그리고 보통 TF 77의 패스트 캐리어들의 ASW 화면의 일부로 운용되었다.그녀는 또한 대만해협 순찰대원으로서 주기적인 임무를 수행했다.이 배는 일본의 사세보, 요코스카, 홍콩, 필리핀의 수빅 베이와 같은 항구들을 자주 방문했다.1956년부터 1957년까지의 서부 태평양 유람선 여행에서 월키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브리즈번을 방문한 후 1957년 4월 28일 다시 롱비치로 돌아왔다.

극동에 배치되지 않았을 때 구축함은 서해안을 따라 ASW와 포병 훈련, 독립함 훈련을 실시하였다.미국에서 보낸 많은 시간 또한 수리나 과도한 훌로 갔다.예를 들어, 1961년에 그녀는 완전한 비행대 재활 및 현대화(FRAM II)를 받았다.

베트남 전쟁

그러나 1964년과 1965년에 남베트남에서 있었던 사건들이 공모하여 월크의 마지막 네 번의 극동 전투여행 배치를 만들었다.1965년 3월 24일 롱비치를 출발해 진주만을 거쳐 4월 30일 일본 요코스카에 도착했다.5월 4일 구축함은 필리핀으로 향했다.그녀는 10일 마닐라 만에 입항해 다른 SITO 해군 소속 선박에 합류했다.5월 12일, 이 군함은 태국 방콕으로 가는 길에 "해마" 훈련에 참가하기 위해 그들과 정렬했다.그녀는 5월 22일 방콕에 도착하여 이틀간의 자유통화를 했다.그녀는 5월 28일 수빅베이에 있는 필리핀으로 돌아왔다.6월에는 홍콩에서 항만 호출을 한 뒤 유지보수를 위해 일본 사세보로 향했고, 나머지 한 달을 일본 항만에서 조업하는 데 보냈다.월케는 7월 초 대만 가오슝을 방문한 뒤 대만해협 순시대로 4주간 순찰을 했다.

이 배의 베트남전 첫 직접 참전은 지난 8월 톤킨만 양키역에서 TG 70.4용 ASW 피켓선으로 근무하면서 이뤄졌다.그녀는 8월 17일 수빅베이에서 5일간의 유지보수를 위해 베트남 해역을 떠났다.그녀는 8월 27일 양키역으로 돌아와 TG 70.4와 함께 ASW 피켓 근무를 재개했다.9월 4일, 그 구축함은 해안에서 작전 중인 부대에 대한 총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해안으로 이동했다.그 임무는 그녀가 양키역에서 70.4 TG에 다시 합류한 9월 9일까지 계속되었다.9월 19일 요코스카에서, 그녀는 9월 23일에 미국으로 돌아가기 전에 4일간의 유지 기간을 가졌다.

월크는 1965년의 남은 기간과 1966년의 첫 5개월을 정상적인 서부 해안 작전, 주로 ASW 훈련에 종사하며 보냈다.1966년 6월 9일, 그녀는 서태평양으로 또 다른 배치를 위해 롱비치를 떠났다.하지만, 그녀가 바깥 방파제를 지나던 중, 화재실 뒤에 큰 불이 났다.이 구축함은 화재 진압에 성공했지만, 6월 10일 롱비치로 다시 견인되는 동안, 그녀의 견인선이 갈라졌고, 그녀는 좌초되었다.그날 늦게, 그녀는 마침내 그녀의 선체와 주 추진 공장 모두의 수리를 위해 롱비치 해군 조선소에 들어갔다.

그녀는 7월 18일에 수리를 마치고 실 비치에서 탄약을 장전하고 극동으로 진로를 잡았다.그녀는 8월 3일 요코스카에 도착하여 잠깐 연료정지를 한 뒤 5일에 도착한 사세보까지 계속 갔다.그녀는 TG 77.9의 ASW 스크린에 합류하기 위해 Yankee Station이 진행중인 8일까지 그곳에 머물렀다.8월 16일, 그녀는 TG 77.9를 떠나 대만 카오슝으로 가는 코스와 대만 해협 순찰대의 임무 관광을 설정했다.9월 12일, 그녀는 다시 양키역으로 향했지만, 3일 후, 태풍으로 인해 수빅베이에 강제입국했다.그녀는 9월 17일 TG 77.9와 함께 임무를 재개했지만, 9월 22일 SITO 연습 '실버스케이트'에 참가하기 위해 루손 인근 해역으로 향할 때까지만 남아 있었다.

그녀는 9월 29일에 베트남 해역으로 돌아왔고 해안가에 있는 부대에 대한 총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역에 올랐다. 임무는 10월 4일까지 계속됐다. 그녀는 또 다른 SITO 훈련을 위해 필리핀으로 돌아간 뒤 구축함인 브라이스 캐니언과 함께 9일간의 입찰 준비를 위해 수빅베이에 입항했다.그녀는 10월 18일에 수빅베이를 나와 10월 20일에 양키역에 도착하여 8일 동안 그곳의 운송업자들과 함께 근무했다.홍콩을 방문한 후, 그녀는 타이완으로 가는 코스와 또 다른 4주간의 대만해협 순찰 근무를 설정했다.그녀는 12월 1일에 그 임무를 마치고 요코스카로 향했고 그곳에서 12월 6일부터 9일까지 유지보수를 받았다.12월 9일, 군함은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진행되었다.그녀는 12월 20일 롱비치에 도착하여 배치 후 대기근무를 시작했다.

새크라멘토는 1966년 화성월크에 연료를 보급했다.

월크는 그 후 7개월을 롱비치 외곽의 지역 작전에 바쳤다.대부분의 경우, 이 임무는 항공모함으로 수행되는 ASW 훈련으로 구성되었다.8월 17일, 이 구축함은 롱비치를 출발하여 서태평양으로 항로를 잡았다.진주만을 거쳐 9월 24일 요코스카에 도착한 군함.그녀는 10월 18일까지 ASW 훈련을 하는 일본 항구를 운항했고, 그 때 양키 역에서 진행되었다.이 구축함은 10월 23일 톤킨만 TF 77에 합류해 필리핀으로 퇴역하는 11월 16일까지 ASW 스크린에서 복무했다.그녀는 11월 14일에 수빅베이에 도착하여 입찰이 가능한 상태로 열흘 동안 그곳에 머물렀다.그 후, 그녀는 11월 28일에 완료한 또 다른 "실버스케이트" ASW 연습에 참가하기 위해 바다로 갔다.

거기서부터 군함은 톤킨 만으로 향했고 양키 역에서 수송선과 함께 임무를 수행했다.그 임무는 12월 11일까지 계속되었고 그 때 그녀는 I군단 전투 구역에서 해안으로 작전 중인 부대에 대한 총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해안으로 이동했다.12월 17일, 그녀는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사이의 비무장지대 근처로 해안으로 이동하여 그 지역에서 싸우는 군대를 지원했다.12월 19일, 배는 베트남 해역을 출발하여 사세보가 12월 23일에 도착한 곳으로 항로를 잡았다.

1968년 1월 3일 월크는 사세보를 떠나 베트남으로 돌아왔다.그녀는 지난 7일 전투지대에 도착해 다음 달 해안에서 전투 중인 부대를 향해 총 지원을 아끼지 않고 포진했다.2월 20일, 군함은 사세보를 위한 항로를 만들었고, 그녀는 그곳에서 유지 기간을 가졌다.일본해에 대잠전 일련의 연습을 따라서 그녀는 3월 24일에 미국으로 돌아가기 시작.

그녀는 4월 6일 롱비치에 도착하여 배치 후 대기근무를 시작했다.5월 14일, 이 구축함은 4개월간의 정비를 위해 롱비치 해군 조선소에 진입했다.지난 9월 보수기간이 끝나면서 그녀는 셰이크다운 훈련을 한 뒤 정상적인 서해안 작업을 시작했다.

그 임무는 1969년 3월 29일까지 계속되었고, 그 때 그녀는 그녀의 경력의 마지막 서부 태평양 투어를 위해 진행되었다.진주만을 경유하여 김이 오른 그녀는 4월 26일 요코스카에 도착했다.4월 30일, 그녀는 톤킨 만으로 진로를 잡았다.이 구축함은 5월 5일에 고속 항모에 합류하여 수빅베이로 향하는 5월 15일까지 그들에게 ASW 방어를 제공했다.수빅베이에서의 유지와 마닐라 방문에 이어, 그녀는 5월 26일 SITO 연습 "바다 정령"에 참가하기 위해 바다로 갔다.그녀는 6월 7일 수빅베이로 돌아와 6월 10일까지 그곳에 머물다가 대만 가오슝을 거쳐 다시 베트남으로 향했다.이 군함은 6월 19일 양키역에 도착하여 7월까지 TG 77.3의 ASW 스크린에서 복무했다.그녀는 7월 7일부터 15일까지 다시 가오슝을 방문한 후 7월 17일에 도착한 사세보로 향했다.

군함은 7월 18일 연습 "해왕"을 위해 사세보를 출발했다가 잠시 사세보로 돌아왔다.월크는 곧 베트남으로 다시 향했고 7월 25일 양키역에 도착했다.그녀는 8월 7일까지 그곳에서 복무한 후 다시 가오슝으로 향했다.그녀는 8월 8일부터 14일까지 대만 항구를 방문한 후 8월 15일부터 22일까지 홍콩으로 전화를 걸었다.그녀는 8월 25일 양키역으로 돌아와 9월 21일까지 군대에서 복무했다.그녀는 9월 23일 수빅베이로 은퇴했고, 5일 후에 베트남으로 돌아왔다.그녀는 일본을 향한 항로를 형성한 10월 4일까지 I군단 전투 구역과 다낭에서 총 지원을 했다.

그녀는 사세보에서 9일부터 17일 10월이 항공 모함 컨스텔레이션을 일본해에 운동을 시작 upkeep를 실시했다.사세보를 답방하고 오키나와를 경유한 뒤 요코스카로 돌아와 귀항 준비를 했다.11월 6일, 그 구축함은 서해안으로 항해했다.그녀는 11월 21일 롱비치에 도착하기 전에 미드웨이 섬과 진주만을 경유했다.

운명

월크는 지난 1년간 서해안을 따라 활동하면서 보냈다.1970년 11월 30일, 그녀는 푸젯 사운드 해군 조선소에서 해직되었고 1974년까지 컬럼비아 리버 그룹 태평양 예비 함대에 정박되었다.1974년 2월 1일, 그녀의 이름은 해군 명단에서 삭제되었다.그녀는 1975년 4월 16일 워싱턴 타코마에 있는 제너럴 메탈스에 폐기 처분으로 팔렸다.

월크(DD-723)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전투별 6개, 625전쟁 때 전투별 4개, 베트남 복무용 전투별 7개를 얻었다.

참조

  1. ^ L. Collier, Rebecca (2003). "The Korean War. Reference Information Paper 103" (PDF). National Archives Records. Appendix A p. 218

이 글에는 공용 도메인에서 온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미국 해군 전투함 사전이 항목은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