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리케 드레이즈너
Ulrike Draesner울리케 드레이즈너 | |
---|---|
![]() 울리케 드레이즈너(2014년) | |
태어난 | 1962 뮌헨 ![]() |
웹사이트 | http://www.draesner.de/ ![]() |
울리케 드레이즈너(Ulrike Draesner, 1962년 뮌헨 출생)는 독일의 작가다. 그녀는 2016년 니콜라스 탄생 상을 받았다.
삶과 일
건축가의 딸인 울리케 드레이즈너는 독일 뮌헨에서 자랐다. 그녀는 스티프퉁 막시밀리안음으로부터 체육관(식스 폼)에서 최우수 연주 학생에게 바이에른 주 장학금을 받았다. 그녀는 뮌헨, 살라망카, 옥스퍼드에서의 철학뿐만 아니라 법, 영어, 독일 문학도 읽었다. 그녀는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독일어 언어학 강사로 일했다. 1992년 그녀는 독일 중고등학교 로맨스 파르지발(Middle High German Romance Parzival)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3년 울리케 드레이즈너는 전업 작가로 활동하기 위해 학업을 그만두었다. 그녀는 1994년부터 베를린에서 시와 산문을 모두 쓰며 살아왔다. 그녀의 소설 보를리베(2010년)는 로맨스 소설이다. 2014년 그녀의 획기적인 소설 Sieben Sprünge가 Rand der Welt를 토해내면서 유명한 성공을 거두었다. 드레이즈너는 종종 다른 예술가들과 크로스 미디어 프로젝트에서 협력하고, 문학을 조각, 공연 예술, 음악과 병합한다. 그녀는 1999년에 PEN-Zentrum Deutschland의 회원이 되었다. 2010년, 그녀는 노르트라인-웨스트팔리안 과학, 인문, 예술 아카데미에서 펠로우쉽에 선출되었다. 그녀는 국제 문학 축제의 단골손님으로 현재(2018년)는 이르세르 페가수스 시상식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2015/16 학년 동안, Ulrike Draesner는 옥스퍼드 뉴 칼리지의 방문 연구원이 될 것이며,[1] 옥스퍼드 대학교의 중세 및 현대 언어 교수 연구소의 상주 작가로서의 정체성, 시 번역 및 중용 현대 프로젝트의 리더인 Karen Leeder와 함께 일하게 될 것이다.[2] 그녀와 그녀의 작품에 대한 심포지엄은 2016년 4월로 계획되어 있다.
출판물
- 단일 작성자 제목
- 베게 뒤르흐 에르잘테 웰튼 Intertextuelle Verweise als Mittel der Bedeutungskonfilation in Wolframs Parzival, 논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u.a] 1993.
- Gedéchtnisschleifen, 시, 프랑크푸르트 am Main 1995, 개정판 Munich 2008.
- 아니스오트로프, 시, 함부르크 1997.
- Lichtpause, 소설, 시 1998.
- 라이젠 unter den 아우겐라이더른, 단편소설 클라겐푸르트 1999.
- 뮌헨 2001년, 시, 나흐트 게우에르테 젤렌이 죽다 나흐트 게우에르테 젤렌, 시, 뮌헨 2001.
- 2002년 베를린 (로타 세루셋과 함께) 블라울리체 스핑크스.
- Mitgift, 소설, 2002년 뮌헨.
- 핫도그, 단편 소설, 뮌헨 2004.
- 2005년 뮌헨의 쿠겔블리츠 시.
- 소설, 뮌헨 2005.
- 쇤 프라우엔 레센, 수필, 루히터핸드, 뮌헨 2007, ISBN978-3-630-62121-0
- 2008년 뮌헨 루히터핸드 시, 베뤼에르테 오르테 시, ISBN 978-3-630-87268-1.
- 보를리베, 소설, 뮌헨 루히터핸드, ISBN 978-3-630-87294-0.
- 리치티그 리겐. 파렌의 게시히텐, 단편소설, 뮌헨의 루히터핸드, ISBN 978-3-630-87324-4.
- 헤임리히 헬덴 우베르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제임스 조이스, 토마스 만, 고트프리드 벤, 칼 발렌틴 유바, 루히터핸드, 2013년 뮌헨, ISBN 978-3-630-87373-2.
- 시벤 스프린지는 소설, 뮌헨 루히터핸드, ISBN 978-3-630-87372-5를 토해낸다.
- 편집자
- Verführung – Novellen von 괴테 비스 무실, 1994년
- 문학 번역
- Louise Gluck: Wilde Iris, 2008년 뮌헨.
- 루이스 글뤼크: 아베르노, 뮌헨 2007.
- 찰스 시몬스: 벨레스 레트레스, 뮌헨 2003 (클라우스 모딕과 번역)
- 윌리엄 셰익스피어: 트윈 스핀, 괴팅겐 2000.
- 거트루드 스타인: 첫번째 독자, Clagenfurt 2001.
수상(선정)
- 1994년 뮌헨 시에서 수여된 문학 학자 직위
- 1995년 선진화상: 레온스-은드-레나-프레리스
- 1997년 포글리오-프레리스 퓌르 융게 리터커터
- 1997년 바이에리스처 슈타츠페르데르프레리스 퓌르 리터쳐
- 2001년 상 쾰른슬러하우스 에덴코벤
- 2001년 선진화상: 바드홈부르크 시의 프리드리히-혼데를린-프레리스
- 2002년 프리스 데 리터투어호이저
- 2006년 드로스테-프리스 데르 스타트 메어스부르크
- 2006년 밤베르크[3] 대학교 시학과 교수
- 2010년 솔로투르네르 리타투르프리스
- 2012년 그렌즈강거-레허슈티펜디움 데르 로베르보슈-스티프퉁 퓌르 시벤 스프뤼네게가 랜드 데르 웰트를 토해낸다.
- 2013년 로즈위다프레리스
- 2014년 요아힘-링겔나츠-프리스
- 2014년 롱리스트 베임 독일 부크프레리스 미트 시벤 스프린지가 랜드 데어 웰트를 토해냈다.
- 2016년 니콜라스 본상[4]
참조
- ^ Karen Leeder에 대한 지식 교환 파트너십 상 정보
- ^ 2015년 4월 24일 중세·현대언어학부 뉴스게시판
- ^ 시인 아 더 우니베르시테트 밤베르크
- ^ "Nicolas-Born-Preise 2016 / Ulrike Draesner und Joachim Meyerhoff ausgezeichnet". www.boersenblatt.net (in German). Retrieved 22 November 2018.
이차 출처
- Stephanie Catani, Friedhelm Marx (eds): Familien – Geschlechter – Macht – Beziehungen im Werk Ulrike Draesners, Wallstein Verlag, 2008, 161 S. ISBN 9783835308206
- 코넬리아 색스: Schöne Frauen lesen und schreiben – Die Ulrike-Draesner-Homestory, In: „Dünn ist die Decke der Zivilisation – Begegnungen zwischen Schriftstellerinnen“, Maike Stein (eds.), Ulrike Helmer Verlag, Frankfurt/M., 2007, S. 21 – 32, ISBN 978-3-89741-244-6
- Susanna Brogi(et al.), Text + Kritik 201 "Ulrike Draesner", 2014년 뮌헨(Munich 2014) (자신의 작품에 대한 다양한 에세이 표현)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울리케 드레이즈너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독일 국립도서관 카탈로그의 Ulrike Draesner에 관한 문헌
- 페르손리히 웹사이트 폰 울리케 드레이즈너
- 울리케 드라즈너 베에 데르 노르드르딘-웨스트펠리스첸 아카데미에 데르 위센샤프텐과 데르 쿤스테
- 드레이즈너 베임 바흐만프레리스
- 베를린 자유대학의 Linksamlung
- Ulrike Draesner, perlentaucher.de – Das Kulturmagazin(독일어)
- 쿤스트 알스 위센샤프트: 울리케 드레이즈너
- Ulrike Draesner Im Litaturportal Bierin
- 인터뷰 zu "Sieeben Sprünge가 Rand der Welt를 토함" / 비디오 / 7분 / LeseZeichen 토함 30. 2014년 4월 / 바이에리체스 펀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