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구미

Unggumi

옹고미라고도 쓰여진 웅구미서호주 킴벌리 지역의 원주민이다.

나라

노먼 틴데일은 운구미의 영토가 약 3800 평방마일(9800km2)에 걸쳐 있으며, 이 지역은 레오폴트 산맥의 위쪽 석회석 범위와 고지를 중심으로 펼쳐져 있다고 추정했다.그들은 레나드 강과 체스트넛 크릭까지 이스델 강 협곡 남쪽 지역을 점령했다.그들의 서부 개척지는 로빈슨수변지대 주변에 있었다.남동쪽에서는 리첸다 강까지 사냥을 했다.[1]

역사

틴데일은 추기경 포인트에 대한 용어상의 뉘앙스를 근거로, 한때는 언구미가 고지대의 단단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지형에 성역을 구하라는 부족 압력에 이끌려 온 해안인이었다고 추측했다.[2]난가린진은 북동쪽에, 워라(Wurla)는 직동쪽에, 부누바는 남동쪽에, 니기나는 직남쪽에, 워라와(Warrwa)와 우미이다(Umiida)는 그 사이에, 서쪽 측면에 놓여 있었다.

대체 이름

  • 옹코미.
  • 웡코미.
  • 온가란잔.
  • 운구미, 운가미.
  • 난가랑가리.– '톱워밍(top-dwelling)'을 뜻하는 난진(Ngarinjin exonymon)으로, 레인지의 꼭대기에서 생활하는 것을 가리킨다.[3]
  • 웡게미치, 난가랑가리, 옹, 코미, 웡카미, 웡코미.(언어 이름)[4]

메모들

인용구

  1. ^ 틴데일 1974, 페이지 255.
  2. ^ 틴데일 1974, 페이지 49.
  3. ^ 1974년 틴데일 페이지 2
  4. ^ 오스틴.

원천

  • "AIATSIS map of Indigenous Australia". AIATSIS.
  • "Tindale Tribal Boundaries" (PDF). Department of Aboriginal Affairs, Western Australia. September 2016.
  • Tindale, Norman Barnett (1974). "Ongkomi (WA)". Aboriginal Tribes of Australia: Their Terrain, Environmental Controls, Distribution, Limits, and Proper Nam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ISBN 978-0-708-10741-6.
  • "Unggumi".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