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라 2

Venera 2
베네라 2
Zond 2.jpg
베네라 2
미션 타입금성 플라이바이[1]
교환입니다.OKB-1
COSPAR ID1965-091A[2].
새캣1730[2]
미션 기간3개월 15일
우주선 속성
우주선3MV-4 No.4
제조원OKB-1
발사 질량963kg (2,123파운드)
임무 개시
발매일1965년 11월 12일 05:02(1965-11-12)UTC05:02Z) UTC[3]
로켓몰니야 8K78M
발사장소바이코누르 31/6
임무 종료
마지막 연락처1966년 2월 (1966-03)
플라이바이 직전
궤도 파라미터
레퍼런스 시스템지구 중심
정권로우 어스
근지 고도205km(140mi)
아포기 고도315km(140mi)
기울기51.8°
기간89.71분
비너스의 플라이바이
가장 가까운 접근법1966년 2월 27일 02:52 UTC
거리23,810km(14,790마일)

3MV-4 4호라고도 알려진 베네라 2호는 금성을 탐사하기 위한 소련의 우주선이었다.베네라 계획의 일환으로 발사된 3MV-4 우주선은 금성을 통과한 후 데이터를 반환하지 못했다.

베네라 2호는 몰니야 로켓에 의해 발사되어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3]31/6 부지에서 발사되었다.발사는 1965년 11월 12일 05:2 UTC에 이루어졌으며, 첫 번째 3단계는 우주선과 Blok-L 상단을 낮은 지구 주차 궤도로 진입시킨 후 Blok-L이 발사하여 베네라 2를 금성으로 향하게 하고, 근일점 0.197 AU, 이심률 0.19.7 AU, 025 AU를 포함하였다.공전 주기는 341일이다.

베네라 2호 우주선에는 카메라와 더불어 자력계, 태양 및 우주 X선 검출기, 압전 검출기, 이온 트랩, 가이거 계수기, 우주 전파 [4]방출을 측정하기 위한 수신기가 장착되었다.이 우주선은 1966년 2월 27일 UTC 2시 52분에 23,810 킬로미터(14,790 mi)[2]의 거리에서 금성에 가장 근접했다.

비행 중 베네라 2호의 모든 기구가 작동하여 우주선과의 무선 통신을 중단해야 했다.탐사선은 탑재된 녹음기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접촉이 복구되면 이를 지구로 전송하기로 되어 있었다.우주선은 비행에 이어 지상과의 통신을 재정립하는 데 실패했다.1966년 [4]3월 4일 분실 판정을 받았다.고장에 대한 조사 결과 우주선이 라디에이터 [4][5]고장으로 인해 과열된 것으로 밝혀졌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Krebs, Gunter. "Interplanetary Probes". Gunter's Space Page. Retrieved 11 April 2013.
  2. ^ a b c "Venera 2". NASA Space Science Data Coordinated Archive. Retrieved 11 April 2013.
  3. ^ a b McDowell, Jonathan. "Launch Log". Jonathan's Space Page. Retrieved 11 April 2013.
  4. ^ a b c Siddiqi, Asif A. (2002). "1965". Deep Space Chronicle: A Chronology of Deep Space and Planetary Probes 1958-2000 (PDF). Monographs in Aerospace History, No. 24. NASA History Office. pp. 47–52.
  5. ^ "In Depth Venera 2".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Retrieved 18 August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