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면제프로그램

Visa Waiver Program

비자 면제 프로그램(VWP)은 특정 국가의 국민들이 관광, 비즈니스 또는 운송 중 최대 90일 동안 비자를 취득할 필요 없이 미국으로 여행할 수 있도록 하는 미국 연방 정부의 프로그램입니다.그것은 더 많은 국적에 대한 면제가 있는 추가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뿐만 아니라 미국의 50개 주, 컬럼비아 특별구, 푸에르토리코, 그리고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에 모두 적용됩니다. 아메리칸 사모아는 비슷하지만 별개의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VWP에 선정한 모든 국가들은 대체로 선진국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고소득 경제매우 높은 인간개발지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비자 면제는 특정 지역의 시민들을 위해 존재합니다.

대상국

미국과 그 영토.
자유롭게 연관된 국가(이동의 자유)
무비자(6개월)
비자 면제 프로그램(90일)
경찰 증명서가 있는 무비자(6개월)
미국 입국에 필요한 비자

비자면제프로그램(VWP)에 따라 비자면제를 받기 위해서는 미국에 입국하려는 여행자는 미 국토안보부 장관국무장관과 협의하여 "프로그램 국가"로 지정한 국가의 국적자여야 합니다.자국민이 아닌 지정된 국가의 영주권자는 비자 면제 자격이 없습니다.프로그램 국가로 지정되는 기준은 이민 및 국적법(8 U.S.C. § 1187) 제217조(c)에 명시되어 있습니다.이 기준은 여권 보안, 3% 미만의 비이민 비자 거부율, 그리고 미국 국적자에 대한 상호 비자 면제 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023년 현재 41개국의 국민은 비자면제프로그램에 따라 미국에 입국할 수 있습니다.[1][2]

요구 사항들

여권

VWP 국가에서 온 모든 방문객들은 생체 인식 여권을 소지해야 합니다.[5]

모든 여행객은 개인 여권을 소지해야 합니다.자녀가 부모의 여권에 포함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6] 비록 오늘날 그러한 관행은 드물지만 말입니다.

원칙적으로 여권은 미국에서 출발 예정일을 기준으로 6개월간 유효해야 합니다.그러나 미국은 브루나이를 제외한 모든 VWP 국가를 포함하여 이 요건을 면제하기 위해 많은 국가들과 협정을 맺고 있습니다.[7][6]

ESTA(Electronic System for Travel Authorization)

비자 면제 프로그램을 이용하려는 모든 입국 승객은 미국으로 출발하기 전에 ESTA(Electronic System for Travel Authorization)를 통해 온라인으로 여행 허가를 신청해야 합니다. 가급적이면 최소 72시간 전에 신청해야 합니다.이 요구 사항은 2008년 6월 3일에 발표되었으며, 참가하는 VWP 승객들을 테러범 또는 비행금지 목록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전 선별함으로써 미국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것입니다.[8]이것은 호주의 Electronic Travel Authority 시스템과 비슷합니다.미국으로 여행하기 전에 VWP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는 승인이 의무적이지만, 정식 비자와 마찬가지로 CBP 직원이 미국 입국항에서 최종 입국 자격을 결정하기 때문에 미국 입국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ESTA는 4달러의 신청비가 있으며, 승인을 받으면 17달러의 추가 수수료가 부과되며, 총 21달러입니다.승인된 ESTA는 최대 2년 동안 또는 여행자 여권이 만료될 때까지 유효하며, 미국에 입국하는 여러 번의 입국에 대해 유효합니다.[c][9]

ESTA와 함께 VWP에 따라 항공 또는 해상으로 미국을 여행할 때는 참가 상용 항공사를 이용해야 하며 90일 이내에 유효한 반품 또는 항공권을 소지해야 합니다.[6]승인되지 않은 항공사를 타고 항공 또는 해상을 통해 도착하는 승객의 경우에는 VWP가 전혀 적용되지 않습니다(즉, 비자가 필요합니다).ESTA는 육로로 여행하는 경우에도 필요합니다.[10]

특정 국가의 이전 여행 또는 이중 국적

2016년 이후, 2011년 3월 1일 또는 그 이후이란, 이라크, 리비아, 북한, 소말리아, 수단, 시리아 또는 예멘에, 또는 2021년 1월 12일 또는 그 이후에 쿠바에, 또는 쿠바, 이란, 이라크, 북한, 수단 또는 시리아의 이중국적자인 사람은 VWP에 따라 여행할 수 없습니다.[1]그러나 외교관, 군, 언론인, 인도주의적 노동자 또는 합법적인 사업가와 같은 국가를 방문한 사람들은 국토안보부 장관에 의해 자격이 면제될 수 있습니다.[11]

기타요구사항

비자 면제 프로그램에 따른 입학 신청자:[6]

  • 이전에 미국에 입국한 모든 조건을 준수한 것이어야 하며, 미국 비자를 받을 자격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지 않았습니다.
  • 도덕적 불경죄(18세 이전에 저지른 단일 범죄에 대해서는 면제 규정이 있으며, 범죄로 인해 교도소 또는 교정 기관에 수감된 외국인에 대해서는 해당 범죄에 대해 5년 이상의 기간 내에 석방된 경우)로 유죄 판결을 받거나 체포된 적이 없어야 합니다.비자 신청의 te, 그리고 만약 미국에서 가능한 최대 형량이 1년 이하의 징역이고 6개월 미만의 복역을 한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다만, ESTA에 관한 문제는 구체적) 또는 '통제된 물질 또는 (2개 이상의) 범죄는 아무리 오래 전이라도 총합 5년 이상의 징역형을 선고받은 경우이므로 이러한 예외를 개인이 적용할 수 없습니다.일반적으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범죄기록을 삭제하는 국가 규정(예: 영국의 1974년 범죄자 재활법)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보건 또는 국가 안보상의 이유 등으로 미국에 허용되지 않아야 합니다.
  • 관광, 사업 또는 운송을 목적으로 미국을 방문하려는 경우여야 합니다.

지원자는 출신 국가에 구속력이 있거나 입국이 거부될 수 있는 사회적, 경제적 유대 관계를 표시해야 합니다.[12]

체포되거나 유죄판결을 받았다고 해서 비자면제프로그램을 사용할 자격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하지만, 어떤 미국 대사관들은 관광 비자를 신청해야 하는 법적인 의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관광 비자를 신청하라고 조언합니다.[6]

비자 면제 프로그램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람은 미국 대사관이나 영사관에서 미국 방문 비자를 발급받아야 합니다.[6]

제약사항

VWP에 의거한 방문객은 미국에서 최대 90일 동안 체류할 수 있으며, 원래 허용된 체류[6] 기간 연장을 요청할 수 없습니다(정규 비자 소지자에게는 이 관행이 허용됨).[13][14][15]하지만, 비자면제 프로그램 방문객들은 미국 시민권자와의 결혼이나 망명 신청을 근거로 신분 조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16]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 담당자는 여행자가 도착할 때 입국 여부를 결정합니다.VWP에 따라 미국에 입국하려다가 입국항에서 CBP 담당자로부터 입국을 거부당한 경우에는 입국 거부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거나 검토할 길이 없습니다.[17]

여행객은 인접 지역(캐나다, 멕시코카리브해)으로 출국할 수 있지만, 미국에 재입국한 후 90일이 지나면 다시 입국할 수 없습니다. 대신 처음 입국할 때 부여된 남은 날짜 동안은 미국으로 다시 입국할 수 있습니다.[18]미국, 캐나다, 멕시코 및 인근 섬에서의 총 소요 시간이 90일 미만일 경우, 미국을 경유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허용됩니다.그러나 예를 들어 여행자가 캐나다에서 6개월 체류하는 길에 미국을 경유하는 경우에는 미국, 캐나다, 멕시코 및 인접 섬에서의 총 시간이 90일 이상이므로 VWP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이 경우 여행자는 B-1/B-2 비자 또는 경유 비자를 신청해야 합니다.[6]

취업과 관련된 활동이 허용되는 형태에는 제한이 있습니다.여행자의 직업, 사업 분야 또는 고용주와 관련된 회의와 회의는 일반적으로 허용되지만, 대부분의 "이익 있는 고용"은 허용되지 않습니다.그러나 미국 이외의 고용주를 위해 미국 내에서 전문적인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람, 판매 계약에 따라 상업용 또는 산업용 장비 또는 기계를 설치, 서비스 및 수리하는 사람 등 분류하기 어려운 예외가 있습니다.[19]운동 경기에 참가하는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그들의 출신 국가에서 제작을 위해 라이브 또는 테이프 장면을 공연할 계획인 공연자(배우 및 음악가 등)도 마찬가지로 각각의 행사에 VWP를 사용할 수 없으며, 대신 도착 에 O 또는 P 비자를 가져야 합니다.해외 언론사 대표와 파견 언론인은 비이민 미디어(I) 비자를 소지해야 합니다.[20]

역사

미국 의회는 1986년에 관광과 단기 비즈니스 방문을 용이하게 하고 미국 국무부가 영사 자원을 더 높은 위험을 해결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비자 면제 프로그램을 만드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21]영국은 1988년 7월 비자면제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참여한 나라가 되었고, 일본은 1988년 12월에 이어 두 번째로 비자면제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22]1989년 7월,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웨덴, 스위스 그리고 서독이 VWP에 추가되었습니다.[23]

1991년에는 안도라, 오스트리아, 벨기에,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모나코, 노르웨이, 산마리노, 스페인 등 더 많은 유럽 국가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23]1993년 브루나이는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두 번째 아시아 국가가 되었습니다.[24]

1995년 4월 1일, 아일랜드는 VWP에 추가되었습니다.[25]1996년에 호주와 아르헨티나(라틴 아메리카 최초의 국가)가 합류했지만,[23] 아르헨티나는 2002년에 해체되었습니다.[26]1997년 9월 30일 슬로베니아가 추가되었습니다.[23]1999년 8월 9일,[27] 포르투갈, 싱가포르, 우루과이가 이 프로그램에 참여했지만, 우루과이는 이후 2003년에 제거되었습니다.[28]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9.11 테러 공격 이후 미국 입국 요건을 강화하기로 결정하였고, 그 결과 2003년 10월 1일부터 비자 면제 프로그램으로 입국하는 외국인 방문객들은 입국 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여권제시하고 생체 인식을 할 것을 요구하는 법안이 통과되었습니다. 2004년 10월 26일 부터의 여권.그러나, 다수의 VWP 국가들이 여전히 기계로 읽을 수 없는 여권을 발행함에 따라(예를 들어, 프랑스스페인 여권 소지자의 3분의 1 이상이 기계로 읽을 수 없는 버전을 보유함), 이 규칙의 시행은 벨기에 국적자를 제외하고 2004년 10월 26일로 연기되었습니다.벨기에 여권의 안전과 무결성에 대한 우려가 있었기 때문에.[29]마찬가지로 생체인식 여권 요건도 2005년 10월 26일로 연기되었으나, 유럽연합의 요청으로 2006년 10월 26일로 1년 더 연기되어 마감을 할 수 있었던 참가국의 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30]이날 새 규정이 발효됐을 때 3개국(안도라, 브루나이, 리히텐슈타인)은 아직 생체인식 여권 발급을 시작하지 않았습니다.[21]

2006년 11월, 미국 정부는 VWP 여행자들이 미국 여행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자 여행 허가" 프로그램(공식적으로 "여행 허가 전자 시스템"이라고 명명됨)에 대한 계획이 개발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그 대가로, 그들은 미국으로의 입국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전자적으로 미국 여행 허가를 받게 될 것입니다.이 프로그램은 호주에서 수년간 사용되어 온 전자여행청 제도를 모델로 하고 있습니다.[31]

아르헨티나의 VWP 참여는 2002년에 종료되었는데, 이는 아르헨티나에서 일어나고 있는 재정 위기와 VWP를 통한 미국 내 자국민의 대량 이민 및 불법적인 과잉 체류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을 고려할 때입니다.우루과이의 프로그램 참여는 2003년에도 비슷한 이유로 취소된 바 있습니다.한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지위가 그 국가의 자격을 직접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치적으로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선진화된 국가의 국민들은 미국에 있는 동안 불법적으로 취업을 하고 비자를 위반할 동기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정설입니다.영사관 직원들이 비자를 승인하거나 거부할 때 심각하게 고려하는 위험.

도로지도

2004년 유럽연합의 확대 이후, 새로 가입한 국가들과 유럽연합 기관들은 그러한 새로운 국가들을 VWP에 포함시키기 위한 집중적인 로비 노력을 시작했습니다.미국 정부는 우선 비자면제 로드맵 절차로 알려진 19개 후보국과 양자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이러한 노력에 대응했습니다.[32]미국 정부는 이민법 자체에 포함되어 있던 원래의 국가 지정 기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받아들이고, 정치적 기준을 추가함으로써 그 기준을 확대하기 시작했고, 후자는 전자를 무시할 수 있습니다.이 개발은 먼저 VWP에 폴란드를 유일하게 추가된 국가로 명시적으로 지명한 Bill S.2844로[33] 시작되었고, 2006년의 포괄적 이민 개혁법(S.2611)의 개정으로 계속되었습니다. S.413, 비자 면제 프로그램 확장,[34]이라크아프가니스탄의 다국적군에 "물질적 지원"을 제공한 EU 국가에 적용될 보다 광범위한 기준을 정의했습니다.그러나 "물질적 지원"의 정의는 폴란드와 루마니아에서만 다시 충족될 것이며, 이는 다른 EU 후보국들로부터 호의적인 평가를 받지 못한 사실입니다.아이러니하게도 폴란드는 2019년까지 VWP에 참여하지 않은 유일한 중부 유럽 국가로 남아 있었는데, 이는 비자 거부율이 임계 기준인 3%를 초과했기 때문입니다.

2006년 11월 에스토니아를 방문한 부시 대통령은 "우리의 비자 면제 프로그램을 수정하기 위해 우리 의회 및 국제 파트너들과 협력할 것"이라는 의사를 밝혔습니다.2006년, 안전 여행 및 대테러 파트너십 법안이 상원에 상정되었으나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고, 그 법안과 그 다음 해 하원에 상정된 유사한 법안은 2년 동안 활동하지 못하다가 사망했습니다.[35]이 법안은 국토안보부 장관이 안보와 대테러 문제에 관해 미국과 협력하고 있는 5개의 새로운 국가에 대한 비자 면제 프로그램을 확대하기 위한 시범 프로그램을 수립하도록 지시했을 것입니다.[36]

2007년 6월 허드슨 인스티튜트 패널은 중부 유럽을 비자 면제 프로그램에 포함하는 것의 시급성을 강조했습니다. "새로운 중부 유럽과 동유럽 나토 동맹국들과 함께 미국에 헤아릴 수 없는 피해를 주고 있는 설명할 수 없는 정책은 이 지역을 비자 면제 프로그램에서 제외하는 것입니다.헬레 데일은 유럽 문제의 봄호에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한편, 문제는 반미 반목과 미국 관료들의 변덕스러운 차별에 대한 인식을 부추기고 있으며, 미국이 상업적 및 지적 관계를 개선하기를 원하는 국가에서 온 사람들의 미국 방문을 위축시키고 있습니다.한편, 미국을 방문하려는 외국인들을 괴롭히는 문제들에 대해 중부와 동유럽에서 온 친구들과 외교관들로부터 공포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사실 이 나라들의 주민들과 비자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는 것은 황소 앞에서 붉은 깃발을 흔드는 것과 같습니다."비자면제는 최종적으로 만족스럽게 해결되어야 합니다.[37]

2007년 9/11 위원회법의 권고사항 이행은 2008년 10월부터 비자 거부율이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10%(표준 요건인 3%에서 증가)까지 새로운 국가를 VWP에 포함할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38]완화된 기준으로, 2008년 11월 체코, 에스토니아,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슬로바키아 그리고 한국,[39] 그리고 2008년 12월 몰타 8개국이 프로그램에 추가되었습니다.[40]미렉 토폴라네크 체코 총리는 "공산주의와 냉전의 마지막 유물을 제거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41]그러나 2009년 7월부터 이러한 비자거부율이 높은 국가를 포함할 수 있는 권한이 생체식별자를 이용하여 VWP상 여행자의 미국 입국과 출국을 일치시킬 수 있는 제도의 시행에 조건이 붙었습니다.[38]이런 제도가 시행되지 않아 비자 거부율 요건은 3%로 돌아갔습니다.

그리스는 2010년 4월 5일 공식적으로 이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42][43]

2012년 10월 2일 Janet Napolitano 장관은 2012년 11월 1일부로 대만을 프로그램에 사실상 포함시켰다고 발표했습니다.[44]비자 면제 혜택은 국적을 가진 여권 소지자만 받을 수 있습니다.[45]

2013년에 미국-이스라엘 전략적 동반자 관계법을 둘러싸고 갈등이 있었는데, 이 법안의 상원 버전은 미국 국민들의 상호 여행 특권에 관한 요건의 충족이 보안 문제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명시했습니다.[46]많은 하원 의원들은 이 보안 언어가 아무런 이유도 제시하지 않고 아랍계 미국인들을 외면하는 이스라엘의 경향을 입증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반대했습니다.비자 면제 프로그램의 다른 37개국 중에서 어느 나라도 그러한 면제를 받지 못했습니다.[47]

도널드 창 홍콩 행정장관은 2011년 미국 방문 당시 홍콩 특별행정구 여권이나 영국 국적(해외) 여권 소지자의 비자면제 프로그램 참여를 허용하는 문제를 제기했지만, 이를 허용하는 제안은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습니다.[48][49]

홍콩은 미국보다 인간개발지수가 높은 유일한 관할구역으로 시민들이 이 프로그램을 즐길 수 없습니다.홍콩의 비자 거부율은 2012년 홍콩특별행정구 여권의 경우 1.7%, 영국국적(해외) 여권의 경우 2.6%로 떨어졌습니다.[50]홍콩은 모든 비자면제 프로그램 기준을 충족했지만, 독자적인 여권과 독립적인 사법 시스템, 화폐 시스템, 이민 통제에도 불구하고 법적으로 분리된 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당시 자격을 얻지 못했습니다.도널드 창홍콩 행정장관은 2011년 미국 방문 당시 힐러리 클린턴 당시 국무장관에게 문제를 제기해 호응을 얻은 바 있습니다.[51]2013년 5월 16일, 초당적인 수정안이 상원 법사위를 통과했지만 법안으로 비준되지는 않았습니다.2015년 8월 10일, 클리포드 하트 주홍콩·마카오 미국 총영사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비자면제법이 참가자를 "주권국가"로 규정하고 있고, 홍콩이 독립적이지 않기 때문에 비자면제는 "조만간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이로써 홍콩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가능성은 끝이 났습니다.그는 또 이 문제에 대한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의 로비 시도가 실패한 것은 2013년 에드워드 스노든의 구금을 거부한 데 따른 것이라고 부인했습니다.[51]

칠레는 2014년 3월 31일 VWP에 가입했습니다.[52]

2018년 12월 현재 ESTA는 더 이상 자격을 갖춘 승객에게 실시간으로 승인되지 않으며 승객은 출발 72시간 전까지 신청해야 합니다.[53]

2019년 7월 조지트 모스바흐 폴란드 주재 미국 대사는 관료주의적 절차에 따라 "폴란드는 2019년 9월 이후 3~6개월 안에 비자면제 프로그램을 완전히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54]2019년 10월 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국무부가 폴란드를 비자 면제 프로그램에 공식적으로 지명했다고 확인했습니다.[55]2019년 11월 11일 폴란드는 공식적으로 이 프로그램에 가입하여 39번째 회원국이 되었습니다.[56]

2021년 2월 12일 크로아티아 주재 미국 대사관 돌격대(Chargé d'Affaires, a.i.빅토리아 제이테일러는 트위터를 통해 2020년 크로아티아의 비즈니스 및 관광 비자 거부율이 2.69%로 떨어졌다고 발표하여 크로아티아가 "가까운 미래에" VWP에 가입하기 위한 한 걸음을 내디뎠습니다.2021년 8월 2일, 안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크로아티아가 VWP에 가입할 것으로 공식 지명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57][58]2021년 9월 28일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국토안보부 장관은 크로아티아가 2021년 12월 1일 이전에 VWP에 가입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습니다.[59]크로아티아는 2021년 10월 23일 VWP에 가입했습니다.[60]

2023년 9월 27일, 이스라엘은 2023년 11월 30일까지 VWP에 가입하도록 지정되었습니다.[3]

비자 면제 프로그램에 추가된 날짜
  • 1988년 7월 1일: 영국[23]
  • 1988년 12월 15일: 일본[23]
  • 1989년 7월 1일: 프랑스, 스위스[23]
  • 1989년 7월 15일: (서)독일, 스웨덴[23]
  • 1989년 7월 29일:이탈리아,네덜란드[23]
  • 1991년 10월 1일: 안도라, 오스트리아, 벨기에,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모나코, 뉴질랜드, 노르웨이, 산마리노, 스페인[23]
  • 1993년 7월 29일: 브루나이[23]
  • 1995년 4월 1일:아일랜드[25]
  • 1996년 7월 29일:오스트레일리아[23]
  • 1997년 9월 30일: 슬로베니아[23]
  • 1999년 8월 9일: 포르투갈, 싱가포르[27]
  • 2008년 11월 17일: 체코[61], 에스토니아,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슬로바키아, 대한민국
  • 2008년 12월 30일: 몰타[62]
  • 2010년 4월 5일: 그리스[63]
  • 2012년 11월 1일:타이완[64]
  • 2014년 3월 31일: 칠레[52]
  • 2019년 11월 11일: 폴란드[65]
  • 2021년 10월 23일: 크로아티아[60]
  • 2023년 11월 30일: 이스라엘[3]

아르헨티나는 1996년 7월 8일에 프로그램에 추가되었고 2002년 2월 21일에 제거되었습니다.[26]
우루과이는 1999년[27] 8월 9일에 프로그램에 추가되었고 2003년 4월 15일에 제거되었습니다.[66]

헝가리 참가

2017년 10월, 미국 관리들은 헝가리에서 수백 명의 헝가리인이 아닌 사람들이 진짜 헝가리 여권을 획득한 대규모 여권 사기 계획을 발견했습니다.[67][68](워싱턴 포스트가 입수하여 2018년 5월에 보도된) 미국 국토안보부 보고서에 따르면 여권을 취득한 약 700명의 비헝가리인 중 85명이 허위 신분으로 미국 여행을 시도했으며 65명이 비자 면제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에 입국했으며 (2017년 10월 기준) 대략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0명은 그들의 위치를 찾고 추방하려는 미국 당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에 남아있었습니다.[67]이 사기는 2011년 헝가리 총리 빅토르 오르반에 의해 시행된 정책에 의해 가능하게 되었고, 이 정책에 따라 헝가리 정부는 헝가리 밖에 거주하는 헝가리인들에게 여권을 제공하였는데, 이들은 그들의 조상 중 한 명이 귀화를 신속하게 할 목적으로 헝가리 시민임을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67][69]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헝가리 시민권을 얻었습니다.[68][67]이 프로그램은 엄격한 신원 확인 절차가 없기 때문에 범죄자와 헝가리 혈통을 거짓으로 주장하기 위해 위조된 문서를 사용한 지원자들을 포함한 나쁜 행위자들에 의해 악용되었습니다.[69][67]이 프로그램에 따라 헝가리 여권을 받은 일부는 헝가리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범죄자들이었습니다.[69]

미국 관리들은 그 여권이 마약 밀수, 조직 범죄, 불법 이민, 스파이, 또는 테러에 사용될 수 있는 위험을 포함하여, 그 프로그램이 야기하는 위험에 대해 걱정했습니다.[67]2017년 10월, 미국 정부는 헝가리의 VWP 내 지위를 "임시"로 격하하고 45일 이내에 "협력적 행동 계획"을 수립하려고 했습니다.[67][70]미국과 헝가리 관리들은 안보 리스크 해결을 위해 몇 년간 대화를 나눴지만 헝가리 당국은 미국 정부가 만족할 만한 해결에 실패했습니다.[69]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2020년부터 2021년까지 헝가리에서 태어나지 않은 헝가리 여권 소지자가 ESTA 사전 여행 허가를 받는 것을 금지했습니다.[71][72]2023년 8월, 미국 정부는 헝가리의 VWP 참여에 추가적인 제한을 가했습니다. 헝가리 여권 소지자에 대한 ESTA 유효 기간이 2년에서 1년으로 단축되었으며, 헝가리 여권의 각 ESTA는 미국에 한 번만 유효합니다.[69][68]

지망국

2007년에 등재된 19개의 로드맵 국가 중 12개 [32]국가가 비자면제 프로그램에 가입했습니다.2023년 기준, 미국 정부는 VWP 가입을 희망하는 7개국을 언급했습니다.[73]

2014년 유럽 연합은 비자 면제 프로그램을 아직 포함되지 않은 5개 회원국(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폴란드, 루마니아)으로 확대하도록 미국에 압력을 가했습니다.[74]2014년 11월 불가리아 정부는 미국이 자국민에 대한 비자 요건을 해제하지 않는 한 대서양 횡단 무역 투자 파트너쉽을 비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75]불완전한 미국 상호주의로 인해 2017년 3월 유럽 의회유럽연합 집행위원회솅겐 지역으로의 미국인 무비자 여행을 취소할 것을 요구하는 구속력 없는 결의안을 승인했습니다.[76]2017년 5월 2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이 결의안에 대해 조치를 취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새 미국 행정부와 남은 EU 회원국 통계에 대한 완전한 비자 상호주의 협상을 재개하기를 희망했습니다.[77]폴란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19년에 이 프로그램에 가입했으며, 이 프로그램은 솅겐 지역 국가 중 마지막으로 가입하지 않은 국가였습니다.2023년 3월 15일, 민주당 상원의원 더빈은 프로그램 요건에 관계없이 루마니아를 비자 면제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법안을 발의했습니다.[78][79]2023년 현재 EU 3개 회원국(불가리아, 키프로스, 루마니아)은 여전히 VWP에 포함되지 않고 있으며, 헝가리 이외 지역에서 태어난 헝가리 국적자는 위에서 설명한 여권 사기 계획으로 인해 자동으로 ESTA가 거부됩니다.[80][81]

미국령

비자 면제 프로그램은 미국령 사모아를 제외한 모든 영구 거주 미국 영토에 적용됩니다.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

비록 미국 비자 면제 프로그램이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의 미국 영토에도 적용되므로 비자 면제 프로그램 국가의 국민들은 ESTA를 통해 이 영토들을 여행할 수 있지만, 두 영토 모두 특정한 국적을 위한 추가적인 비자 면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습니다.1988년 10월에 처음 제정되어 주기적으로 개정된 괌-CNMI 비자 면제 프로그램은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의 12개국 국적자가 미국 비자나 ESTA 없이 최대 45일간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에 관광객으로 입국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82]가석방 정책으로 중국 국민들은 북마리아나 제도에 14일까지 무비자로 출입할 수 있습니다.[83]

아메리칸사모아

미국 비자 정책은 미국령 사모아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미국령 사모아는 입국 요건이 있고 자국 국경을 통제하기 때문입니다.따라서 미국 비자나 ESTA는 미국령 사모아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필요한 경우, 미국령 사모아 법무부로부터 입국 허가 또는 전자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87]

캐나다, 이스라엘,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팔라우 및 미국 비자 면제 프로그램 국가(크로아티아 및 폴란드 제외)의 국적자는 입국 허가 없이 최대 30일 동안 방문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항공편으로 도착하는 경우, 최소 48시간 전에 온라인으로 "OK Board"라는 전자 인증을 신청해야 하며, 수수료는 $20입니다.[88][89]

다른 나라의 국민들은 입국 허가서가 필요한데, 이 허가서는 미국령 사모아 법무부의 이민국에 있는 현지 후원자가 요청해야 합니다.[90]

통계

2022 회계연도(2021년 10월~2022년 9월)의 미국 B 비자 거부율:
<3%
3–5%
5–10%
10–20%
20–30%
30–40%
40–50%
>50%
미국
비자면제국

입학금

국가별, 회계연도별 VWP에 의거한 미국으로의 입국

비자거부율

비자 면제 프로그램을 받기 위해서는 한 국가가 지난 해 동안 비자 거부율이 3% 미만이어야 합니다.[38]이 거부율은 관광 및 사업 목적의 B 비자 신청을 기준으로 합니다.B 비자는 지원자 인터뷰를 기준으로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60초에서 90초 사이로 진행됩니다.[97]

국가별, 회계연도별[j] B비자 거부율

오버스테이율

아래 표는 비자 면제 프로그램에 따라 미국에 도착한 방문객 중 최대 허용 체류일인 90일 이상 체류한 사람의 비율을 나타내는 초과 체류율입니다.이 방문객들 중 일부는 나중에 미국을 떠나거나 이민을 합법화했습니다.[113]

국가별 및 회계연도별[113] 오버스테이율

기타비자면제

인접국 국민

비자면제프로그램과는 별도로, 미국 8.§ 1182(d)(4)(B)는 법무장관과 국무장관(공동으로 행동하는)이 외국 인접 영토 또는 인접 섬의 국적자 또는 해당 국적자와 공통 국적을 가진 해당 영토 또는 섬의 거주자에 대해 비이민 신분으로 미국 입국을 위한 비자 요건을 면제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그러한 입학과 관련된 규정은 8 CFR 212.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114]

이 조항에 따라 다음과 같은 관할권의 국민은 비자 없이 미국으로 여행할 수 있습니다.

  • 바하마 – 바하마 국적자는 바하마에 위치한 미국 사전 통관 시설에서 입국을 신청할 경우 미국 여행을 위해 비자가 필요하지 않습니다.14세 이상의 지원자는 범죄 기록이 없음을 나타내는 증명서를 왕립 바하마 경찰이 발급해야 합니다.[82][115]
  • 버뮤다 – 버뮤다의 영국 해외 영토 시민들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최대 180일 동안 미국을 방문하기 위해 비자가 필요하지 않습니다.[116]
  •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의 해외 영토 시민들은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로 비자 없이 여행할 수 있습니다.만약 그들이 범죄 기록이 없음을 나타내는 로열 버진 아일랜드 경찰국이 발행한 증명서를 제시한다면, 그들은 미국의 다른 지역으로 계속 여행할 수도 있습니다.[82]
  • 캐나다 – 캐나다 국민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미국을 방문하는 데 비자가 필요하지 않습니다.[116]또한 USMCA(및 이전 NAFTA)에 따라 간소화된 절차에 따라 작업할 수 있습니다.
  • 케이맨 제도 – 케이맨 제도의 영국 해외 영토 시민들은 영토에서 미국으로 직접 여행을 가서 범죄 기록이 없음을 나타내는 경찰 증명서를 제시하는 경우 비자가 필요하지 않습니다.[82]
  • 멕시코 – 멕시코의 일부 국민들은 미국 여행을 위해 비자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정부 공무원들은 미국에 영구적으로 배정되지 않고, 외교관이나 공식 여권을 소지한 동반 가족들, 텍사스나 오클라호마의 키카푸 부족의 일원들, 양식 I-872를 소지한 사람들,아메리칸 인디언 카드; 그리고 미국에서 운항하는 멕시코 항공사의 승무원들.[82]멕시코의 다른 국민들은 비자와 유사한 요건을 가진 국경 횡단 카드를 가지고 미국으로 여행할 수 있습니다.[117]USMCA (및 이전 NAFTA)에 따라, 그들은 또한 단순화된 절차 하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의 영국 해외 영토 시민들은 이 지역에서 미국으로 직접 여행을 가서 범죄 기록이 없음을 나타내는 경찰 증명서를 제시하면 비자가 필요하지 않습니다.[82]

비자 면제 프로그램의 사용에 대한 제한은 별도의 법령 또는 규정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 한 이 등급의 여행객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예를 들어, 이전에 미국을 방문한 적이 있는 캐나다 시민은(180일 미만) 앞으로의 방문을 위해 여전히 비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반면, 초과 체류한 비자 발급국 국민은 평생 비자 발급 자격이 없어지며 앞으로의 방문을 위해 비자가 필요합니다.ESTA는 위의 면제 중 하나를 해당 영토의 여권과 함께 사용하는 영국 해외 영토 시민에게 요구되지 않지만, 영국 시민 여권과 함께 VWP를 사용하는 경우 요구됩니다.

2003년까지, 이 비자 면제는 그 나라들과 영토들의 국적자들뿐만 아니라, 영연방이나 아일랜드에 있는 나라들의 국적자들이었던 버뮤다와 캐나다의 영주권자들에게도 주어졌습니다.[114]

자유롭게 관련된 주의 시민들.

자유 연합 협약에 따라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및 팔라우의 시민들은 비자 없이 미국에 무기한 입국, 거주, 학습 및 일을 할 수 있습니다.이 혜택은 출생 또는 독립한 시민권자와 투자로 시민권을 취득한 사람을 제외하고 해당 국가에 5년 이상 거주한 귀화자에게 부여됩니다.[118][119]

참고 항목

메모들

  1. ^ 국가 신분증 번호를 가진 여권 소지자만 해당됩니다.
  2. ^ a b 비자 면제 대상은 오직 영국 시민들 뿐입니다.[4]
  3. ^ ESTA는 2023년 7월 6일부터 신청하는 브루나이 국적자의 경우 1년간 유효합니다.ESTA는 2023년 8월 1일부터 신청하는 헝가리 국적자의 경우 1년간 유효하며 미국 입국은 1회만 가능합니다.[9]
  4. ^ 1996년부터 2002년까지 VWP에 포함되었습니다.[26]
  5. ^ 1999년부터 2003년까지 VWP에 포함되었습니다.[66]
  6. ^ 북마리아나 제도에 한해 14일까지 별도의 가석방 정책을 적용합니다.
  7. ^ 홍콩 신분증과 함께 영국 국적(해외) 여권 또는 홍콩 특별행정구 여권 소지자.2020년 7월 14일, 행정명령 13936호는 미국 이민법에 따라 홍콩을 중국과 분리하여 취급을 종료함으로써 홍콩을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에 대한 비자 면제에서 제외시켰습니다.[84][85]2021년 7월 9일, 북마리아나 제도의 주지사는 북마리아나 제도에 대한 비자 면제에서 홍콩을 환생시키라는 연방 정부의 요청을 승인했다고 발표했습니다.[86]홍콩이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에 대해서는 45일까지 체류할 수 있는지, 아니면 중국의 일부로서 가석방 정책 하에 있는지, 북마리아나 제도에만 체류할 수 있는지, 아니면 14일까지 체류할 수 있는지, 아니면 어떤 다른 협정 하에 있는지는 불분명합니다.
  8. ^ 대만에서 직항편으로 여행해야 하며 유효한 대만 여권과 국가 신분증을 소지해야 합니다.
  9. ^ a b c d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에 한해서만 비자 면제.
  10. ^ 비자 면제가 없는 국적자에 대한 비자 면제 요건(2008 회계연도의 경우 10% 또는 기타 연도의 경우 3%)보다 낮은 거부율이 표의 녹색으로 강조되어 있습니다.비자 면제를 받은 국적자의 거부율은 노란색으로 강조되어 있습니다.

참고문헌

  1. ^ a b 비자 면제 프로그램, 미 국무부.
  2. ^ 비자 면제 프로그램 요건, 미국 국토안보부, 2022년 9월 19일
  3. ^ a b c Mayorkas 장관과 Blinken 장관, 2023년 9월 27일 미국 국토안보부 비자면제 프로그램에 이스라엘 지정 발표
  4. ^ 여권, 영국 주재 미국 대사관 및 영사관.
  5. ^ Miller, Candice (December 9, 2015). "Text – H.R.158 – 114th Congress (2015–2016): Visa Waiver Program Improvement and Terrorist Travel Prevention Act of 2015". Retrieved February 6, 2017.
  6. ^ a b c d e f g h "Visa Waiver Program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Canberra, Australia". March 2,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 2012. Retrieved February 22, 2020.
  7. ^ "9 FAM 101.1 INTRODUCTION TO 9 FAM". fam.state.gov. Retrieved February 6, 2017.
  8. ^ Bloxham, Andy (June 3, 2008). "US to demand 72hrs notice for British tourists". The Daily Telegraph.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6, 2008. Retrieved May 27, 2010.
  9. ^ a b 자주 묻는 질문, 여행 허가 전자 시스템, 미국 세관 및 국경 보호.
  10. ^ CBP, 비자 면제 프로그램 여행자에 대한 ESTA 요건 확대, 미국 세관 국경 보호, 2022년 4월 7일
  11. ^ 2016년 1월 21일, 미국 국토안보부 비자 면제 프로그램에 대한 변경 사항 이행 시작
  12. ^ 비자 거부 2012년 4월 19일 회수된 웨이백 머신에서 2013년 12월 22일 보관.
  13. ^ "B-1 Temporary Business Visitor". USCIS. July 14, 2015. Retrieved February 3, 2020.
  14. ^ "B Visa Overview". US Immigration Lawyer, Law Offices of Rajiv S. Khanna, PC, Rajiv S. Khanna. February 6, 2009. Retrieved February 3, 2020.
  15. ^ "Do you want or need to extend your stay in the U.S.?". USCIS. May 22, 2019. Retrieved February 3, 2020.
  16. ^ "8 USC §§ 1187, 1255(c)(4); Freeman v Gonzales, 444 F.3d 1031 (9th Cir. 2006)" (PDF). Ca9.uscourts.gov.
  17. ^ Smith, Lamar (October 30, 2000). "H.R.3767 - 106th Congress (1999-2000): Visa Waiver Permanent Program Act". www.congress.gov. Retrieved July 1, 2020.
  18. ^ "Visa Waiver Program". The American Embassy in The Hag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9, 2011.
  19. ^ "Working (Legally) on a Visitor's Visa or Visa Waiver Entry". Usvisalawyers.co.uk.
  20. ^ "U.S. Department of State: Visa Waiver Program (VWP)". State.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 2013.
  21. ^ a b "Most countries meet e-passport deadline – Defense". GovExec.com. Retrieved July 12, 2012.
  22. ^ "TRAVEL ADVISORY; Accord Allows Trips to Japan Without a Visa". The New York Times. October 30, 1988.
  23. ^ a b c d e f g h i j k l m 슬로베니아를 비자 면제 시범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은 국가 목록에 추가하고 아일랜드를 영구 참여 국가로 지정(Gold With Proservary Status), 연방 등록부, 1997년 9월 30일
  24. ^ "United States General Accounting Office: Implications of Eliminating the Visa Waiver Program" (PDF). Retrieved July 12, 2012.
  25. ^ a b 비자 면제 파일럿 프로그램; 아일랜드, 연방 등록부, 1995년 3월 28일.
  26. ^ a b c 2002년 2월 21일 연방관보, 비자면제프로그램에 따른 아르헨티나의 참가국 지정 종료
  27. ^ a b c 포르투갈, 싱가포르, 우루과이를 비자 면제 시범 프로그램 참여 승인 국가 목록에 추가, 연방 등록부, 1999년 8월 3일.
  28. ^ "Visa Waiver Program". Americanlaw.com. Retrieved July 12, 2012.
  29. ^ Shenon, Philip (September 9, 2003). "TWO YEARS LATER: THE BORDERS; New Passport Rules to Fight Terrorism Are Put Off for a Year". The New York Times.
  30. ^ "US imposes biometric entry demand". BBC News. October 26, 2006. Retrieved November 30, 2011.
  31. ^ 2007년 6월 13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비자 면제 프로그램의 보안 개선 사항
  32. ^ a b Alison Siskin (January 24, 2007). Visa Waiver Program (PDF).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p. 14.Alison Siskin (January 24, 2007). Visa Waiver Program (PDF).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p. 14."현재 19개의 로드맵 국가가 있습니다.아르헨티나, 브라질, 불가리아, 키프로스, 체코, 에스토니아, 그리스, 헝가리, 이스라엘, 대한민국,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타,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대만, 터키, 우루과이입니다."
  33. ^ 캘린더 제715호 108th CONGESS 2d Session S. 2844 2015년 10월 19일 웨이백 머신에서 아카이브,
  34. ^ "Comprehensive Immigration Reform Act of 2006 S.2611". Thomas.loc.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9, 2015. Retrieved July 12, 2012.
  35. ^ Sen. George Voinovich [R-OH, 1999–2010]. "Govtrack.us". Govtrack.us. Retrieved July 12, 2012.
  36. ^ "Congress.gov". Congress.gov. December 7, 2006. Retrieved May 30, 2016.
  37. ^ 허드슨 인스티튜트 패널: 중부와 동유럽 공산주의의 지속적인 변종들 [1]
  38. ^ a b c 비자 면제 프로그램, 의회 조사국, 2020년 6월 29일
  39. ^ "Seven Nations to Join U.S. Visa Waiver Program". America.gov. Retrieved June 10, 2016.
  40. ^ "DHS Designates Malta as a Visa Waiver Program Country".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December 22, 2008. Retrieved June 10, 2016.
  41. ^ "Bush announces visa waiver for 7 countries". USA Today. October 19, 2008. Retrieved June 22, 2011.
  42. ^ "Secretary Napolitano Announces Greece's Designation as a Member of the Visa Waiver Program". Dhs.gov. March 9, 2010. Retrieved July 12, 2012.
  43. ^ "Greeks Can Travel to U.S. under Visa Waiver Program Starting April 5 With an Easy Electronic Application". Athens.usembassy.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7, 2011. Retrieved July 12, 2012.
  44. ^ DHS, 2012년 10월 2일 http://www.dhs.gov 부터 대만 비자면제 프로그램 지정 발표
  45. ^ "Visa Waiver Program". American Institute in Taiwan. Retrieved January 26, 2021.
  46. ^ "2013년 미국-이스라엘 전략적 동반자 관계법"의 토마스 검색, S. 462 2015년 8월 30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47. ^ 론 캄페아스, 이스라엘에 대한 비자 면제를 둘러싼 미국의 싸움에서 양측은 차별을 이유로 들고 있습니다, 유대전신국, 2013년 4월 15일.
  48. ^ "Return to 'moderate mainstream' path to achieve democracy, US consul urges Hong Kong". South China Morning Post. August 20, 2015.
  49. ^ Viola Zhou and Joyce Ng (June 7, 2017). "What is the United States visa waiver scheme that envoy Kurt Tong wants to be applied to Hong Kong?". South China Morning Post.{{cite web}}: 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 (링크)
  50. ^ "Adjusted Refusal Rate B-Visa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12"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17, 2013. Retrieved May 16, 2013.
  51. ^ a b "Return to 'moderate mainstream' path to achieve democracy, US consul urges Hong Kong". South China Morning Post. August 20, 2015. Retrieved May 23, 2016.
  52. ^ a b 2014년 3월 31일 연방관보, 비자면제프로그램 칠레 지정
  53. ^ Andrea Smith (December 20, 2018). "Travelling to the USA? The ESTA service has one important chan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1, 2018.
  54. ^ "To już przesądzone. Koniec wiz dla Polaków do USA".
  55. ^ "Statement from the Press Secretary Regarding the Nomination of Poland for Entry into the Visa Waiver Program – the White House".
  56. ^ "Acting Secretary McAleenan Announces Designation of Poland into the Visa Waiver Program". November 6, 2019. Retrieved November 6, 2019.
  57. ^ "Croatians Soon to Travel Visa-Free to US, After the Country Met Another Condition for Joining Visa Waiver Program". SchengenVisaInfo.com. February 18, 2021. Retrieved February 19, 2021.
  58. ^ 크로아티아는 2021년 8월 2일 공식적으로 주크로아티아 미국 대사관의 미국 비자 면제 프로그램 가입을 지명했습니다.
  59. ^ "Secretary Mayorkas Announces Designation of Croatia as a New Participant in the Visa Waiver Program".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September 28, 2021. Retrieved September 28, 2021.
  60. ^ a b "FAQ: Croatia's Inclusion in the Visa Waiver Program". U.S. Embassy in Croat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5, 2021.
  61. ^ 비자 면제 프로그램을 위해 지정된 추가 국가, 연방 등록부, 2008년 11월 17일
  62. ^ 비자면제프로그램 몰타 지정, 연방등록부, 2008년 12월 30일
  63. ^ 2010년 3월 31일 연방관보, 비자면제프로그램 그리스 지정
  64. ^ 2012년 10월 22일, 연방관보, 비자면제 프로그램을 위한 대만 지정.
  65. ^ 2019년 11월 11일 연방관보, 비자면제 프로그램 폴란드 지정
  66. ^ a b 2003년 3월 7일 법무장관의 비자면제 프로그램에 따른 벨기에, 이탈리아, 포르투갈, 우루과이의 참가국 지정에 대한 평가
  67. ^ a b c d e f g 존 허드슨 앤드라스 페토 헝가리에서 발생한 대규모 여권 사기 사건으로 수십 명이 허위 신분으로 미국에 입국할 수 있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습니다.
  68. ^ a b c 러베데이 모리스, 대규모 헝가리 여권 사기 사건 이후 미국, 여행 제한 강화 워싱턴포스트(2023년 8월 1일)
  69. ^ a b c d e 벨라 산델스키, 보안 문제로 헝가리 여권 소지자 무비자 여행 제한 (2023년 8월 1일) AP통신
  70. ^ "US threatens end to Hungary visa waivers after passport 'fraud': Report". The Sun Daily. May 11, 2018. Retrieved May 11, 2018.
  71. ^ 릴리 바이엘, 미국, 헝가리인 비자 면제 제한 폴리티코(2023년 8월 1일)
  72. ^ 미국, 해외 출생 헝가리 시민 비자 면제 철회, 사기 우려, 투자이주 내부자 (2022년 4월 22일)
  73. ^ 비자면제 프로그램에 국가 추가: 국가안보와 관광에 미치는 영향, 의회조사국, 2021년 10월 27일이 보고서는 본문에서 7개국(이스라엘 포함, 2023년 VWP 가입)을 인용하고 있으며, 수치에서도 터키를 인용하고 있습니다.칠레와 크로아티아는 2007년에 로드맵 국가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나중에 비자면제 프로그램에 승인되었습니다.
  74. ^ 고테프, 조지."EU, 미국 비자정책 투명화 6개월 내줘"유락트.2014년 2월 5일.
  75. ^ "불가리아는 미국이 비자 요건을 해제하지 않으면 TTIP에 서명하지 않을 것이다 – 장관"노빈트.2014년 11월 26일.
  76. ^ Sharman, Jon (March 3, 2016). "European Parliament votes to end visa-free travel for Americans". The Independent. Retrieved March 4, 2017.
  77. ^ "Press corner". European Commission - European Commission. Retrieved February 19, 2021.
  78. ^ "S.814 - Romania Visa Waiver Act of 2023 [118th Congress (2023-2024)]". Congress.gov. Retrieved July 8, 2023.
  79. ^ "Romanian citizens could travel to the United States without a visa for a maximum of 90 days". Radio Moldova. March 16, 2023.
  80. ^ 미국 입국체류 조건에 대한 정보, 헝가리 영사 서비스(헝가리어)
  81. ^ 2022년 1월 20일 Krónika Online, (헝가리어로) 해외 헝가리 국민들은 더 이상 비자 없이 미국을 여행할 수 없습니다.
  82. ^ a b c d e f 8 CFR 212.1 비이민자위한 문서 요건, 미국 정부 출판국, 2021년 1월 21일.
  83. ^ "Limit of parole of national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to Guam and/or Commonwealth of Northern Mariana Islands" (PDF).
  84. ^ 2020년 7월 29일, Kandit News Group, 2020년 7월 29일, Trump, & CNMI 홍콩 관광 종료; MSN은 나머지를 감축하지 않음; 카지노에 영향을 줄 수 있음.
  85. ^ 트럼프 대통령, 미-홍콩 관계 행정명령 발표, Mayer Brown, 2020년 7월 27일
  86. ^ 바이든 행정부는 2021년 7월 9일 북마리아나 제도 주지사 CNMI 비자 면제 프로그램에 홍콩을 다시 포함시켜 달라는 토레스 주지사의 요청을 승인했습니다.
  87. ^ 미국령 사모아 법무부 출입국관리사무소.
  88. ^ 미국령 사모아 방문객 안내국 일반 정보
  89. ^ 미국령 사모아 법무부의 입국 허가 면제 프로그램.
  90. ^ 30일간의 허가증, 미국령 사모아 법무부.
  91. ^ "Yearbook of Immigration Statistics 2021".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92. ^ "Yearbook of Immigration Statistics 2020".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93. ^ "Table 28. Nonimmigrant Admissions (I-94 Only) by Selected Category of Admission and Region and Country of Citizenship: Fiscal Year 2019".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94. ^ "Table 28. Nonimmigrant Admissions (I-94 Only) by Selected Category of Admission and Region and Country of Citizenship: Fiscal Year 2018".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95. ^ "Table 28. Nonimmigrant Admissions (I-94 Only) by Selected Category of Admission and Region and Country of Citizenship: Fiscal Year 2017".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96. ^ "Table 28. Nonimmigrant Admissions (I-94 Only) by Selected Category of Admission and Region and Country of Citizenship: Fiscal Year 2016".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97. ^ "Shortcuts to Immigration". Center for Immigration Studies. January 2003. Retrieved October 10, 2013.
  98.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22" (PDF). U.S. Department of State.
  99.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21" (PDF). U.S. Department of State.
  100.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20" (PDF). U.S. Department of State.
  101.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19" (PDF). U.S. Department of State.
  102.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18" (PDF). U.S. Department of State.
  103.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17" (PDF). U.S. Department of State.
  104.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16" (PDF). U.S. Department of State.
  105.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15" (PDF). U.S. Department of State.
  106.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14" (PDF). U.S. Department of State.
  107.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13" (PDF). U.S. Department of State.
  108.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12" (PDF). U.S. Department of State.
  109.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11" (PDF). U.S. Department of State.
  110.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10" (PDF). U.S. Department of State.
  111.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09" (PDF). U.S. Department of State.
  112. ^ "Adjusted refusal rate – B-visas only, by nationality, fiscal year 2008" (PDF). U.S. Department of State.
  113. ^ a b "Entry/Exit Overstay Report".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114. ^ a b "Removal of Visa and Passport Waiver for Certain Permanent Residents of Canada and Bermuda". Federal Register. 68: 5190. January 31, 2003. Retrieved October 28, 2013.
  115. ^ 바하마 시민 문서 요건, 미국 세관국경보호국, 2019년 12월 10일.
  116. ^ a b "Citizens of Canada and Bermuda". U.S. Department of State. Retrieved January 24, 2021.
  117. ^ 미국 국무부 국경 통과 카드.
  118. ^ 미크로네시아 연방과 마셜 제도 공화국의 자유 연합 국가 시민 현황, 미국 시민권 및 이민 서비스, 2019년 10월 29일
  119. ^ 팔라우 공화국 시민 현황, 미국 시민권 및 이민국, 2019년 10월 29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