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기어
Wahgi language와기 | |
---|---|
원어민 | 파푸아뉴기니 |
지역 | 웨스턴하이랜드 주 |
원어민 스피커 | 86,000(1999년)[1] |
언어 코드 | |
ISO 639-3 | 다음 중 하나:wgi – 미드 와기whg – 북와기 |
글로톨로그 | nucl1620 핵 와기nort2921 북와기 주 |
와기어는 침부어족의 트란스-뉴기니 언어이다.파푸아 뉴기니의 고지대에서 약 10만 명이 사용하는 와기어파.다른 침부어족과 마찬가지로 와기어족도 특이한 측면 자음을 가지고 있다.
음운론
자음
양순골 | (구개음) 치과의[3] | 폐포 | 구개음 | 벨라 | |||
---|---|---|---|---|---|---|---|
비음 | m | nn~nnnnnnnnnnnnnnnnn | n | ŋ | |||
방해물 | 오랄 | p | ~의 | t | k | ||
프리나스라이즈드 | § | d(z)~d(d) | d | ᵑɡ | |||
측면 | 【~】 | ɺ | ʟ | ||||
세미보웰 | w | j |
치아 자음은 "분포"되어 있으며, 성관의 상당한 거리를 따라 닫힙니다.이것은 아마도 그것들이 라미날이고 치경 자음은 첨단을 의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치아 자음은 자유 변이형으로 구개음화 되었다.
(구개화) 치아에 대한 설명은 치경구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이것은 /̪/에 의해 촉발된 전이 모음에 의해 더욱 제시되며, 명백히 /o̪/[oɪ̪] '달', /ɬɬ///[éɬ]]]] '여기'라는 비구개음화 알로폰에도 의해 제시된다.
사전 사음화 자음의 비음 요소는 모음 앞에 없을 때는 음절 문자이지만, 대조적이지 않은 저음을 취하며, 강세가 전혀 없다: / /mbà/[m̩ba] 'but', /ppɪmbé/[ppɪ̩mbé] '우리는 알고 있다.'사전 순음 자음은 처음에는 단일 세그먼트로 인식되지만, 비음 + 단어 중간에서 [4]멈춥니다.
비음 및 반음에는 /n//의 선택적 구개음화 외에는 주목할 만한 이음매가 없습니다.다른 자음은 현저하게 다양하며, 대부분의 변형은 위치에 있습니다.
![]() | 이 기사 또는 섹션은 번역된 언어의 경우 {{lang}, {{transliteration}}, {{transliteration}}을 사용하여 영어 이외의 콘텐츠의 언어를 지정해야 합니다.IPA}: 적절한 ISO 639 코드를 가진 음성 문자 변환용.Wikipedia의 다국어 지원 템플릿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를 확인하세요. (2021년 10월) |
단어 선두의 | 워드메디얼 | 최종 단어 | 워드 이니셜, 구절의 | Word-final, 구절의 | |
---|---|---|---|---|---|
/p/ | p~b pʷ~bʷ[5] | p~b | ph~philledge. | ʰ~~~ᵊ~p[6] | |
/mb/ | ~p~ᵐb | mp~mb | mp~m | mp~mp~mp[6] | |
/s/ | t~̪~̪~̪~ɕ~ɕ~ɕ 할[5] 수 없다 | ~s~s~t~t~t~t~t~t. 동작하다[7] | ~s~s~t~t~t~t~t~t. | [8] | |
/nz/ | 【d】~【d】~【d】~【d】~【t】~【t】~【t】 | n'd'~n'd'z'~n'd'~n't'~n't's~n't' | n̪̪~n̪̪~n̪̪~n̪̪~n̪̪~n̪ n | ||
/t/ | t~d 동작하다[5] | ~r | 인식하다 | t~d[9] ~r[10] | 【~r~r】 동작하다[11] |
/nd/ | tt ~ dd | nt~nd | 하지 않다 | ~하지 않다 | |
/k/ | k~module ʷ~ɡ[12] | k~module §(?)[13] | 키 | ||
/ng/ | ~~ᵑ ᵑɡʷ[5] | ~~ŋ | (발생하지 않음) | ||
ɬ̪ | (발생하지 않음) | ★★★★★★★★★★★★★▼[14] | ̪̪ɬ~ɬɬ | ||
/timeout/ | ɺ̥~ɺ̥~ɺ̥tʰ~ɺ̥tr̥~ɺ̥r̥~ɺ~ɺ̥d | 【~】【~】【~】【~】【tr】【~】【~】【r】 | |||
/timeout/ | ~ʟ~ʟ~ɢ~[15]ɢ~ɢ | 【~k】 |
남부 쿠마 방언에는 이 세 개의 옆말들이 있지만 치조류는 드문 편이다.(북단가 사투리에는 두 개의 측면, 치경 마찰과 치경 플랩이 있습니다.)치경 및 치경 측면은 치경 및 치경 자음 앞에 []] 또는 [ɬ]에 동화되며 치경 자음 앞에는 []]에만 동화됩니다./t/로 시작하는 접미사를 가진 위치형식에서는 /t/가 옆면을 따라 미끄러져 나와 표면상 Wahgi가 치경측면 마찰과 치경측면 마찰과 플랩을 구별한다.
모음.
전선. | 뒤로 | |
---|---|---|
가까운. | i | u |
중앙의 | ɪ | ɔ |
열다. | e | ä |
- /a/는 /k/ 및 /p/ 이전을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 in]로 표시됩니다. 여기서 [ it]는 [ɐ]입니다.중간 위치에서는 [e]와 함께 때때로 자유 변동한다.
- /nasals/는 nasals를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nasals]로 표시됩니다.마지막으로 [o]와 자유 변형이 있다.
- /u/는 /p t s k ng/와 /i/ 또는 /sng/ 사이의 순음화([labialization])로 감소합니다.
모든 모음은 마지막 비강세 닫힌 음절에서 [̈]로 중화된다(이후 "clitics"에 관계없이).
빠른 스피치에서는 강세가 없는 /u, ,, e/는 강세가 있는 음절 사이를 활주한다.예를 들어 /petepˈka/는 빠른 말투로 [peɾpˈka]로 발음됩니다.
톤과 강세
와기는 음절마다 음소적인 톤이 아니라 세 개의 단어 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적어도 한 음절은 발음적인 높은 톤을 가질 것이며, 그 결과 한 음절에서 한 음절 또는 두 음절의 단어에서 오르내리고, 3~5 음절의 단어에서 피킹, 오르내림 등의 패턴이 나타난다.스트레스도 대조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분석이 어렵다.
단음절어와 이음절어 모두 [HH], [LH], [HL]의 3가지 톤이 하이와 다운으로 실현됩니다.HIGH와 LOW라는 두 음소적인 음절 톤의 분석은 최종 폐색 코다(및 음소적으로 짧은 모음)[16]를 가진 단음절에 세 단어 톤이 모두 나타나기 때문에 복잡하다.
다절어로 말하면
- HIGH(H)는 음소적으로 높으며, 강세가 있는 음절에서는 선택적으로 매우 높습니다.
- LOW(L)는 운율 구문의 끝에 음운적으로 강세가 없는 음절에 떨어진다.하이톤과 다른 로우톤 사이의 음운상 중간(시퀀스 /HLL/은 [HML], /LLH/는 [LMH])입니다.다른 곳에서는 음성적으로 낮다.
트리실러블에서는 LHL, HLL 및 LLH 패턴이 증명됩니다.테트라실러블에는 LLHL, LLLH 및 LHL(LMH, LLMH, LHL)이 있습니다.펜타실러블에서는 LLHH와 LLHHL(LMHHH와 LMHHL)의 두 가지 패턴만 발견되었습니다.
6음절에서 9음절을 가진 단어들은 오직 하나의 패턴으로 증명된다. 첫 세 음절에 피킹톤(LHL)이 이어지고 나머지 음절에 걸쳐 하강톤(LH)이 이어진다.6음절 단어에 대해서는 LHLHLL(음성 LHLHML), 7음절 LHLL, 8음절 LHLL, 9음절 LHLHLLL에 대해서는 LHLHLL(음성 LHLLL), 두 번째 음절(제1음)도 강세가 있다.그래도 음소적인 차이는 없는 것 같습니다.
음성학
와기어의 최대 음절은 CVCC이고, 최소 음절은 V로 /// 이외의 모음일 수 있습니다.세 개의 측면음을 제외한 모든 자음은 시작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반음 및 /ng/를 제외한 모든 자음은 코다에서 발생할 수 있다.코다 자음 군집의 경우 첫 번째 자음은 /p, t, k, l̪, //(두 개의 일반적인 좌우방향)일 수 있으며, 두 번째 자음은 /m, s/일 수 있습니다.
단어 길이는 1음절에서 9음절 사이일 수 있습니다.단음절 단어는 V와 CV 이외의 모든 종류의 음절일 수 있습니다. (음절 길이와 음색 분포는 CV 단음절로 표기된 단어가 실제로 동일한 모음을 가진 CVV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음절-onset 및 -coda 제한 외에 /i, "/"는 word-initial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는 word-final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단어 내에서 관측되는 모음 군집은 /i, i.o, i.u; e.i, e.o, e.i, a.i, a.a, a.u; o.i, o.i, u.i, u.i, u.i, u.o.i, u.i, u.o.i, u.i, u.o.o.i, u.i, u.a.a.a.a.a.a.a.a.a.a.a.a.a.a.a.a.a.a.a.a.일부 경우(예: /ɪ.i/)에서는 이러한 시퀀스가 형태소 경계를 넘어 감소하며, 강세는 모음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강세 분석의 어려움 중 일부는 음절에 걸친 모음 시퀀스와 단일 무거운 (중성 CVV) 음절의 시퀀스의 결합일 수 있다.
단어 내에서 관찰된 자음 클러스터는 음절 코다, /ps, pm, tm, ks, km, lµm, µm/, plus /p.p, p.t, mb.m; t.mb, t.nd, t.ndp;ndp;ndp;ndp;ndp;ndp로 허용된다.t, l440.k, l440.w, l.mb, l.nd; ".p", ".mb", ".t", ".nz", ".n", ".n", ".n", ".n", ".d", ".w/".
빠른 스피치에서는 /ks.mp, ks.n, ks.m, ps.nd, lm.dev, tm.dev/의 추가 조합이 알려져 있습니다.
진화
다음은 폴리(2012)가 램지(1975)[17][18]에서 제시한 트랜스 뉴기니 원어의 반사작용이다.
트란스뉴기니조어 | 미들 와기 |
---|---|
*ma-'NEG 클리틱' | 안 돼! |
*ma(n,k,L)[a] '접지' | 동작하다 |
*maggV '콤팩트한 원형 객체' | 과일, 견과류, 덩어리 |
*mo(k, µg)Vm '조인트' | mokum, mokem '접속, 접합' |
*mundun-maggV '하트' | 먼드뮤지션 |
* mV '타로' | 미 |
*mV(k,))V[C]+t(e,i)- 'vomit' | mek(si-) 'mek', mek 'requitus' |
*am(a,i) '엄마' | 아마 |
* amu 'displayed' | am |
*니만 '쥐' | 숫자 |
*n(o,u) man '마음, 영혼' | 생각, 마음, 의지 |
*kumV- '죽음' | 쿰- '죽음' |
*mo(k, µg)Vm '조인트' | mokum, mokem, (ange) mokem '접합' |
*na-'먹다' | 없다 |
*니만 '쥐' | 숫자 |
*n(o,u) man '마음, 영혼' | 생각, 마음, 의지 |
* '내장기' 문둔 | (?) 문둔모-'배불러라' |
*니만 '쥐' | 숫자 |
*n(o,u) man '마음, 영혼' | 숫자 |
*mundu[n]-maggV '하트' | 먼드뮤지션 |
*'아기' | ①'작은 남자아이' |
*앰비 '맨' | amb 'woman', ambi 'wife' |
* imbi '이름' | 횡령하다 |
*pu-'고' | 뿌 |
*apa '아버지' | apa-'아저씨' |
*mund-mangV '하트' | 먼지에 닿다 |
*tVk-'컷, 컷' | 툭- 'tuk- 'tuk' |
*maggV '콤팩트한 원형 객체' | 문검 '사기' |
*maggV '콤팩트한 원형 객체' | 과일, 견과류, 덩어리 |
*mundu[n]-maggV '하트' | 먼드뮤지션 |
*kakV- '어깨에 메고' | (?) kau- '머리 또는 어깨에 메고' |
*tVk-'컷, 컷' | 툭- 'tuk- 'tuk' |
* '파란색'으로 표시 | 묵 |
*mV(k,))V[C]+t(e,i)- 'vomit' | mek(si-), mek 'critus' |
*ma(n,k,l)[a] '접지' | 땅, 흙, 세상 |
* '물'을 마신다. | 하지 않다 |
*'아기' | 【아기】【아기】【아기】【남자 아이】 |
*-i(t,l) '2DL 언어 접미사' | -i420 |
폴리(2012)는 또한 그의 트란스 뉴기니어 재구성을 지원하기 위해 아팔리어, 칼람어, 카테어, 셀레페트어, 비난데어, 카티어, 키와이어, 텔레폴어, 아스마트어에서의 가능한 반사작용을 인용한다.
의미론
색상
Middle Wahgi는 14가지 색상 용어를 구분합니다(Evelyn Ramsey 1975).[18]
- 흰빛, 흰빛, 흰빛
- nganimb '검은색'
- 푸르스름한 검은색을 띠다
- 무감각한 검은 색; 끈을 짙은 회색으로 염색하는 데 쓰이는 식물
- 먹 '진청색'
- 맨기('파랑-그린')
- 싱싱한 생으로, 완전히 익지 않은.
- balu '연갈색, 녹슨'
- '갈색, 빨간색, 주황색, 핑크색'
- 갈린진 '갈색'
- 질니 '갈색'
- bulni '노란색; 식물의 노란색 염료'(gi- '노란색, 밝아지다' 및 gispe kerem '노란색, 노란색-now-nothern'으로 덮는다)
미들 와기는 세 가지 대비되는 색상의 [18]패턴을 가지고 있다.
- 페페 'feet'
- 몬펀덕 판딜 니파파- '점찍히고, 얼룩덜룩'
- ngingani sim '다양한 색깔, 얼룩덜룩'
시간을
미들 와기(Middle Wahgi)는 '어제'나 '내일'(1975년 Evelyn Ramsey)[18]를 훨씬 뛰어넘어 전후 며칠 동안 적어도 12개의 단어를 사용합니다.
- 파이, opi '오늘'
- 토파 '아예'
- '모레'
- 퉁명스럽게 말하다
- 그저께라는 말을 하다
- '4일째, 즉 오늘로부터 3일 후'
- amb tupu '오늘부터 5일째'
- 이투푸 '오늘부터 6일째'
- 금화(金花) '오늘로부터 7일째'
- 만와(th和) '오늘로부터 8일째
- 오늘로부터 9일째
- 키알와('ɫ) '오늘부터 10일째'
사전
중와기어의 첫 번째 사전은 나사렛 교회 의료 선교사 에블린 램지에 [19][20]의해 1975년에 출판되었습니다.
레퍼런스
- Phillips, Donald (1976) 와기 음운론과 형태론.태평양 언어학 B, 제36호
- ^ Mid-Wahgi at Ethnologue (2015년 제18호) (구독 필요)
North Wahgi at Ethnologue (2015년 제18호) (구독 필요) - ^ a b c 필립스 1976
- ^ 구개음화 알로폰 추정치 oftš ̪ ̪ ̪ ̪ ̪ ̪ ̪ ̪ ̪ presumed presumed presumed presumed presumed presumed 。
- ^ Phillips 1976: 54
- ^ a b c d 모음 시퀀스 /uii/ 또는 /uˈi/( /i/ 또는 /uˈi/에 강세가 있음): /puˈi/=[ppʷi~bbʷi], /suii/=[ss̪i] 등 전에 순음으로서 실현된다.
- ^ a b [(m)p] 방해물 앞의 옵션
- ^ [t]]는 자음 클러스터의 두 번째 멤버로 단어-중간으로만 나타난다.
- ^ Final [s]가 다음 [s] 앞에 표시됩니다.]
- ^ 폐포, 벨라, 비강(/nz/ 제외) 및 측면부에 이어
- ^ 다음 모음, 양순음 및 자매모음(/nz/ 포함)
- ^ [n] 이전
- ^ /k/는 /ui/와 /u//의 바로 앞이 아니라 /o/의 뒤에 /n/ 또는 /n//가 이어지는 경우 또는 /kon/'bag' 및 /konze/'ball'과 같이 다음 모음에 관계없이 /nd/ 또는 /nz/로 순음화된다.
- ^ 본문에는 "/k/는 /// 뒤에 이어지는 단어-초성 모음과 함께 자유 변동으로 발생한다"라고 쓰여 있다.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불분명하다.예시는 /ˈàm/ / [pàáá,, àmmm ''''' ]의 [k~']를 나타내지만 /mínkín / [mmínèèè]의 []]는 [ in]만을 나타내며, 어느 것도 ///와 자유롭게 변화하는 표현과 일치하지 않는다.
- ^ "무성의 홈이 있는 치아의 마찰 방출이 있는 무성의 치아의 마찰 외측부"
- ^ 카나이트와 멜파에는 연수개 측면 플랩[̆]]이 있기 때문에, 이 플랩도 측면 플랩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 Phillips 1976 에서는, 하강 톤의 단음성이 저음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 ^ Pawley, Andrew (2012). Hammarström, Harald; van den Heuvel, Wilco (eds.). "How reconstructable is proto Trans New Guinea? Problems, progress, prospects". History, Contact and Classification of Papuan Languages. Port Moresby, Papua New Guinea: Linguistic Society of Papua New Guinea (Language & Linguistics in Melanesia Special Issue 2012: Part I): 88–164. hdl:1885/38602. ISSN 0023-1959.
- ^ a b c d 램지, 에블린 1975년산중와기 사전.하겐 산 + 나사렛 교회
- ^ Reay, Marie (1 March 1977). "REVIEWS". Oceania. 47 (3): 245–246. doi:10.1002/j.1834-4461.1977.tb01291.x.
- ^ Gerald H. Anderson (1999).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ristian Missions. Wm. B. Eerdmans Publishing. pp. 557–. ISBN 978-0-8028-4680-8.
외부 링크
- 정리된 음운론 데이터
- 와기 맞춤법, 음운학, 단어 목록 및 샘플 경로 2018-07-09 Wayback Machine에 보관
- Paradisec는 Stephen A Wurm(SAW3)을 포함한 와기어 자료를 포함한 다수의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