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부어
Dobu language도부 | |
---|---|
도부안 | |
네이티브: | 파푸아 뉴기니 |
지역 | 밀른베이 주, 케이프 보겔의 끝 |
원어민 | 10,000 (1998)[1] 60% 단수( (水)[2] L2 스피커: 10만 개(1987)[1] |
라틴 문자(도부아 문자) 도부안 점자 | |
언어 코드 | |
ISO 639-3 | dob |
글로톨로지 | dobu1241 |
도부 또는 도부안은 파푸아뉴기니의 밀네베이 주(Milne Bay State)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다.D'Entrcasteau Islands에서 10만 명이 사용하는 Languagea Franca이다.
음운론
자음
라비알 | 치조류 | 구개체 | 벨라르 | 글로탈 | |||||
---|---|---|---|---|---|---|---|---|---|
평이한 | 연구실. | 평이한 | 연구실. | 평이한 | 연구실. | ||||
플로시브 | 무성음의 | p | p | t | k | kʷ | ʔ | ʔʷ | |
목소리 있는 | b | bʷ | d | ɡ | ɡʷ | ||||
프리커티브 | s | ||||||||
콧물 | m | mʷ | n | ||||||
플랩 | ɺ | ||||||||
근사치 | j | w |
- 사운드 /p, t, k/는 또한 모든 환경에서 [p,, t,, k]]로 자유 변형으로 흡인될 수 있다.
- 측면 플랩 / ɺ/는 스피커의 방언에 따라 치경 활력 플랩[ɾ]으로 변동할 수 있다.
- /j/ 또한 어휘 내에서 마찰 [ []로 변동할 수 있다.
모음.
앞면 | 중앙 | 뒤로 | |
---|---|---|---|
가까운. | i | u | |
중앙의 | ɛ | ɔ | |
개방하다 | a |
- /a/는 음절에서 [ʌ]로 들을 수 있다.
- /ɔ/는 눌리지 않은 위치에서 미립자음을 따를 때 조금 더 중앙집중화된 [ɔ̽]로 들릴 수 있다.
- /u/는 비압축 음절로 [ []로 들을 수 있다.[3]
외부 링크
- 도부에서 노래하는 오픈 액세스 컬렉션이 파라다이스를 통해 가능하다.
- 도부에 있는 기록물의 역사적 공개접속 콜렉션은 파라다이스c(Marcome Ross Collection, MR1)와 아서 캠벨 컬렉션(AC1 및 AC2) 2개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참조
- ^ a b Ethnologue의 도부 (2015년 제18회 에드워드) (가입 필요)
- ^ Ethnologue의 도부어(Dobu language, 2000년 14월호)
- ^ Lithgow, Daphne (1977). Dobu phonemics. Phonologies of Five P.N.G. languages: Ukarumpa: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pp. 7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