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라카 이븐 나우팔

Waraqah ibn Nawfal
와라카 이븐 나우팔
죽은CE 610년
아버지나우팔 이븐 아사드
어머니힌드 빈트 아비 카티르

Waraqah ibn Nawfal ibn Asad ibn Abd-al-Uzza ibn Qusayy Al-Qurashi (Arabic ورقه بن نوفل بن أسد بن عبد العزّى بن قصي القرشي) was the paternal first cousin of Khadija bint Khuwaylid, the first wife of the Islamic prophet Muhammad. 그는 이슬람 이전 시대에 일신교의 순수한 형태를 실천한 하니프로 여겨졌다. 와라카는 무함마드가 그의 첫 계시를 받았다고 전해진 직후인 610년 CE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

와라카와 카디자는 또한 무함마드와 두 번 떨어져 나온 첫 번째 사촌이었다: 그들의 친할아버지인 아사드 이븐 압드알 우자는 무함마드의 모계 증조부였다.[2] 또 다른 계산에 의하면 와라카는 무함마드의 삼촌이었다. 아사드 이븐 압드알 우자는 무함마드의 대증조부 쿠사이 이븐 킬랍의 손자였다. 와라카는 나팔이라는 남자와 그의 아내인 하인드의 아들이었다. 하인드는 아브 캇̲르의 딸이었다. 와라카는 카디자와 결혼하자고 제안받았지만 결혼은 성사되지 않았다.[3]

와라카는 이슬람 전통에서 무함마드의 예언을 믿는 최초의 헤니프 중 한 명으로 존경받고 있다.[4]

하디스 레전통

무함마드의 증인

와라카는 무함마드의 첫 계시를 듣고(수라 96:1-5로 이해된다) 예언에 대한 그의 소명을 진실로 인정했다. 전통은 와라카에게 다음과 같이 전한다. "모세에게 온 가장 위대한 율법이 그에게 왔다. 그는 이 백성의 예언자다."[5]

아이샤의 두 개의 다른 서술은 이러한 세부사항을 제공한다.

아이샤는 또 "예언자는 심장이 빠르게 뛰는 동안 카디자로 돌아왔다. 그녀는 그를 기독교 개종자로 아랍어로 복음을 읽던 와라카 빈 나우팔로 데려갔다. 와라카는 (예언자)에게 '무엇이 보이나?'라고 물었다. 그가 그에게 말하자 와라카는 '그것은 알라가 예언자 모세에게 보낸 것과 같은 천사다. 네가 신성한 메시지를 받을 때까지 내가 살면, 나는 너를 강하게 지지할 거야.'"[6]

그 후 카디자는 사촌 와라카 빈 나우필 빈 아사드 빈 압둘 '우자'에 동행했는데, 그는 이슬람 전 시대에 기독교인이 되어 히브리 문자로 글을 쓰곤 했다. 그는 하나님이 쓰기를 바라시는 만큼 복음서를 히브리어로 쓰곤 했다. 그는 노인이라 시력을 잃었었다. 카디자가 와라카에게 말하였다. `내 사촌아, 네 조카의 이야기를 들어 보아라.' 와라카가 물었다. "오 나의 조카여! 뭘 본 거야?" 신의 사도광탄은 그가 본 모든 것을 묘사했다. 와라카는 "이 사람은 알라가 모세(천사 가브리엘)에게 보낸 비밀을 지키는 바로 그 사람이었다. 내가 젊어서 네 백성이 너를 내쫓을 때까지 살 수 있었으면 좋으련만." 하나님의 사도가 "그들이 나를 쫓아낼까?"하고 물었다. 와라카는 이에 긍휼히 여겼다. `네가 가져온 것과 비슷한 것을 가지고 온 사람은 누구든지 적개심으로 대하였으니, 내가 네가 나타날 날까지 살아있어야 한다면, 나는 너를 강하게 지지할 것이다.' 그러나 며칠 후 와라카가 죽고 신령도 잠시 중단되었다.[7]

와라카에 의해 그의 동반자 자이드 이븐 암르 빈 누팔이를 위해 작곡된 시들도 있다고 보도되었다.

Ibn Amr, 너는 모두 옳은 길로 가고 있었다.

넌 지옥의 불타는 오븐에서 탈출했다.

유일무이한 신을 섬김으로써.

헛된 우상을 버리고…

하나님의 자비가 사람에게 이르기 때문에

지하 70계곡의 깊은 골짜기에도 불구하고[8]

빌랄 박해

한 번은 와라카 열풍이 몰아칠 무렵, 우마야 이븐 칼라프가 자신의 신앙을 부정하고 알라트알 우짜를 숭배할 때까지 그의 노예 빌랄 이븐 라바에게 가슴에 커다란 바위를 얹고 누워 있으라고 강요하고 있었다. 빌랄은 계속 "하나, 하나!" 즉 하나님은 단 한 분이었다. 와라카가 합류했다. "하나님, 하나님께서 빌랄에게!" 그러자 그는 우마야와 그 일족에게 "이런 식으로 그를 죽이면 그의 무덤을 사당으로 만들겠다고 맹세한다"고 말하면서 학대에 항의했다. 우마야는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9]

Ibn Kathir는 이 전통을 의심한다. 왜냐하면 이슬람교도들에 대한 박해는 와라카 사후 몇 년 후에야 시작되었기 때문이다.[10] 그러나 스프레저는 빌랄이 혈통으로 아비시니아인이었던 것은 무슬림이기 이전에 아마도 기독교 신자였을 것이며, 우마야는 610년 이전에 이러한 이유로 그를 박해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다. 그럴 경우 와라카가 자신의 공동 핵심주의자를 도우려 했다는 이야기는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11] 반면 빌랄을 기독교인으로 규정하는 출처는 없는 반면 이슬람교도가 되기 전 그는 우상숭배를 포기하면서 빌랄이 이슬람교로 전향하기 전 다신교 신자임을 시사했다.[12][13][14] 게다가 빌랄은 이슬람으로 개종한 최초의 사람 중 한 명이었다.

사후경력

무함마드는 와라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와라카 이븐 나우팔에게 비방하지 말아라. 나는 그가 파라다이스에 정원이 한두있을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15]

카디자는 무함마드에게 와라카가 "당신 안에서 믿었지만, 당신이 나타나기 전에 죽었다"고 말했다.

무함마드는 "나는 꿈속에서 그를 보았다. 그리고 그의 위에는 하얀 의상이 있었다. 만약 그가 불의 주민들 중 한 명이었다면 그는 그것 말고도 옷을 입고 있었을 것이다."[16]

참조

  1. ^ "Sahih Bukhari". 'Anyone (man) who came with something similar to what you have brought was treated with hostility; and if I should remain alive till the day when you will be turned out then I would support you strongly.' But after a few days Waraqah died[...]
  2. ^ 무함마드 이븐 사드, 타바카트 제 1. 하크 번역, S. M. 이븐 사드의 키타브타바카트카비르, 54페이지. 델리:키타브 바반.
  3. ^ Robinson, C. F. (2012). Encyclopedia of Islam (Second ed.). ISBN 9789004161214.
  4. ^ 이슬람 백과사전 온라인 에드 "와라카 빈" 나우팔."
  5. ^ Ibn Ishaq/Guillaume 페이지 107.
  6. ^ 북하리 4:55:605.
  7. ^ 북하리 1:1:3. 또한 북하리 4:55:605; 북하리 9:87:111; 무슬림 1:301을 참조하십시오.
  8. ^ 무하마드 이븐 이스하크 라술 알라 시라트 기욤(Guillaume)이 번역했다. 무함마드의 삶.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9. ^ Ibn Ishaq/기욤 페이지 143-144.
  10. ^ Ismail ibn Umar ibn Kathir.시라나바위야 T. (1998년) Le Gassick이 번역했다. 예언자 무함마드의 생애, 357권. 영국 리딩: 가넷 출판.
  11. ^ 스렌저, A. (1851) 모하마드의 생명은 원본 161-162쪽이다. 알라하바드: 장로교 선교사 기자.
  12. ^ Saad, Ibn. At Tabaqat Al Kubra. pp. VIII/ pp. 256.
  13. ^ Janeh, Sabarr. Learning from the Life of Prophet Muhammad: Peace and Blessing of God Be upon Him, 2010. pp. 235-238. p. 23. ISBN 1466924160.
  14. ^ Sodiq, Yushau. Insider's Guide to Islam. Bloomington, Indiana: Trafford, 2011. Print.
  15. ^ 사희알자미사저, 1534년 6월 6일, 7197호
  16. ^ 티레미디 4:8:228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