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츠야카이단

Yotsuya Kaidan
우타가와 구니요시의 오이와의 초상화.

오이와 다미야 이에몬의 이야기인 요쓰야 카이단(四谷怪談)은 배신과 살인, 귀신 같은 복수극이다.[a]거의 모든 시대를 통틀어 가장 유명한 일본 귀신 이야기인 이 영화는 30번 이상 영화로 각색되었고 오늘날에도 계속해서 일본 공포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825년 쓰루야 난보쿠 4세가부키 연극으로 쓴 원제는 도카이도 요쓰야 가이단(東京都ya谷;; 번역:토카이도 요쓰야 귀신이야기).[1]지금은 일반적으로 줄여서 요쓰야의 고스트스토리로 느슨하게 번역된다.[b]

역사

1825년 7월 초연된 가이단 요쓰야는 엄청나게 인기 있는 카나데혼 추싱라와 함께 2인극으로 에도 나카무라 극장(현재의 도쿄의 옛 이름)에 출연했다.보통 가부키 복식으로는 첫 번째 연극 전체가 무대에 오르고, 두 번째 연극이 이어진다.그러나, 요쓰야 카이단의 경우, 1막부터 6막까지 가나데혼 추싱우라, 1막부터 3막까지 이어지는 첫날부터 2막까지, 2막에서 3막까지 두 드라마의 인터웨이트가 결정되었다.다음 날은 온보 운하 장면에서 시작해, 7막에서 11막까지 가나데혼 추싱우라( kanadeuraura)가 이어졌고, 그 후 요쓰야 가이단 도카이도 4막과 5막이 나와 프로그램을 마무리했다.[2]

그 연극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성공적이었고, 제작자들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시즌 외 특별 공연 일정을 잡도록 강요했다.이 이야기는 일본의 귀신들을 사찰과 귀족들의 저택에서 꺼내어 그의 극장의 관객이었던 정확한 유형의 사람들인 평민의 집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사람들의 공포를 자극했다.

이야기

가장 많이 적응한 일본 귀신 이야기로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요쓰야 카이단의 디테일이 변형되어 원작의 가부키 연극과 거의 유사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유령적인 요소를 완전히 제거하기도 한다.하지만, 기본 이야기는 대개 똑같고 인식될 수 있는 것으로 남아 있다.

(주: 1825년 나카무라자 원작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이와 같이, 그것은 그 동안 이야기에 추가된 수많은 하위 플롯과 등장인물들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1막

로닌인 다미야 이에몬이 사몬의 딸 오이와를 두고 장인인 요쓰야 사몬과 열띤 교류를 하고 있다.이에몬과 그의 딸이 분리되어야 한다는 것이 사몬에 의해 제안된 후, 로닌은 격분하여 사몬을 살해한다.다음 장면은 이미 다른 남자 사토 요모시치와 결혼했음에도 불구하고 오이와 누이동생인 매춘부 오소데에게 성적으로 집착하는 나오스케 캐릭터에 초점을 맞춘다.이 장면이 시작되자 나오스케는 요모시치와 그 사창가의 주인인 다쿠에쓰가 들어서자 동네 사창가에서 오소데를 향해 낭만적인 진격을 하고 있다.다쿠에쓰가 요구하는 요금을 지불할 수 없게 된 그는 요모시치와 오소데 양쪽에서 조롱을 당하고 강제 퇴거한다.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사몬이 살해되는 정확한 시간에 요모시치로 착각하고 있는 전 주인을 살해한다.이에몬과 나오스케가 단결하여 오이와와 오소데를 오도하여 아버지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에게 복수를 강요할 것이라고 믿게 하는 음모를 꾸민 것은 바로 이 시점이다.그 대가로 오소데는 나오스케와 결혼하기로 동의한다.

2장.

이타 기헤이의 손녀인 오오메는 이에몬과 사랑에 빠졌다.그러나 오이와보다 덜 매력적이라고 믿는 그녀는 이에몬이 결코 남편이 되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오메의 곤경에 동정하며 이츠스는 오이와에게 안면 크림을 가장한 국소적인 독약을 보내서 오이와를 망가뜨리려는 계략을 꾸미고 있다.당시 그녀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오이와는 크림으로 바르면 순식간에 상처가 난다.아내의 끔찍할 정도로 새로운 얼굴을 보자, 이에몬은 더 이상 그녀와 함께 있을 수 없다고 결심한다.그는 타쿠에쓰에게 이혼에 대한 명예로운 근거를 갖도록 오이와의 강간을 부탁한다.타쿠에쓰가 스스로 이렇게 할 수는 없지만, 대신 단순히 거울에 비친 오이와의 모습을 보여준다.자신이 속았다는 것을 깨달은 오이와는 히스테리가 되어 검을 집어들고 문 쪽으로 달려간다.타쿠에쓰가 그녀를 잡으려고 몸을 움직이지만, 그를 피하려다 오이와가 실수로 칼끝으로 자신의 목을 자른다.기가 막힌 타쿠에쓰 앞에 피를 흘리며 누워 있는 그녀는 이에몬의 이름을 저주한다.얼마 지나지 않아 이에몬은 우메와 약혼하게 된다.2막은 오이와의 귀신에게 속아 결혼식이 있던 날 밤 오메와 할아버지를 모두 살해하도록 한 이에몬과 함께 막을 내린다.

3막

Itô 가의 나머지 구성원들은 전멸한다.이에몬은 오메의 어머니 오유미를 온베 운하로 차고, 오유미의 종 오마키는 우연히 익사한다.나오스케는 장어장수 곤베이로 변장하여 도착하고, 이에몬은 귀중한 서류를 넘겨주도록 블랙메일을 보냈다.이에몬은 온베 운하에서 낚시를 하면서 그의 장래를 심사숙고한다.운하 위 제방 이에몬에서는 죽지 않은 요모시치(나오스케가 자신의 자리에서 실수로 다른 사람을 죽였다)가 어둠 속에서 손끝으로 지나가는 쪽지를 차지하기 위해 몸부림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4막

오프닝에서 나오스케는 오소데에게 그들의 결혼생활을 끝내라고 압박하고 있는데, 오소데는 이상하게 혐오스러워 보인다.요모시치가 나타나 오소데를 간통죄로 고발한다.오소데는 속죄로 스스로 목숨을 끊으며 나오스케와 요모시치에게 그녀를 죽여야 한다고 설득한다.그녀는 오소데가 그의 여동생이었다는 것을 나오스케가 알게 되는 고별 편지를 남긴다.이것의 수치심뿐만 아니라, 전 주인을 죽인 것에 대해서도, 그는 자살한다.

5막

아직도 오이와의 귀신에 시달린 이에몬은 고립된 산으로 피신한다.거기서 그는 자신의 꿈과 현실이 합쳐지기 시작하고 오이와의 잊혀지지 않는 일이 격화되면서 광기로 급속히 하강한다.그 행위는 요모시치가 이에몬을 복수심과 동정심에서 죽이는 것으로 종결된다.

역사적근거

난보쿠는 두 건의 선정적이고 실제적인 살인 사건을 요쓰야 카이단(Yotsuya Kaidan)에 접목시켜 관객들에게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방식으로 사실과 허구를 결합시켰다.첫째는 각자의 주인을 살해한 두 명의 하인이 관련되어 있었다.이들은 이날 붙잡혀 처형됐다.두 번째 살인은 자신의 첩이 하인과 바람을 피우고 있다는 것을 발견한 사무라이에게서 나온 것이었다.사무라이는 그 믿음 없는 첩과 하인을 나무판에 못박아 칸다 강에 던져넣었다.

인기

요츠야 카이단의 인기는 보편적인 주제를 사용하는 [1]것뿐만 아니라 시대 분위기에 맞는 방식으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분세이 시대는 사회 불안의 시기였고, 사회에서 억압된 여성의 입장은 엄했다.무력함을 위한 100가지 힘의 교환은 관객들이 공감할 수 있는 것이었다.오이와는 섬세한 희생자에서 강력한 복수자로, 이에몬은 고통에서 고통으로 변모했다.

또한 오이와는 또 다른 인기 있는 가부키 귀신인 오키쿠보다 복수에 훨씬 직접적이고, 훨씬 잔인하다.이 추가되는 폭력은 점점 더 폭력적인 형태의 엔터테인먼트를 추구하는 관객들을 흥분시켰다.

또한 무대 위 등불에서 폐허가 된 얼굴이 웅장하게 투영되고 머리카락이 불가능한 양으로 빠지는 등 가이단 요쓰야의 공연은 환상적인 특수효과로 가득했다.

요츠야 카이단은 논노블의 삶을 바라보는 키즈워모노의 '원생놀이'와 가이단모노의 '유령놀이'[1]의 관례를 짝을 지었다.

오이와 고스트

랜턴에서 떠오르는 오이와에 대한 호쿠사이의 모습.

오이와는 온료, 복수를 추구하는 귀신이다.복수에 대한 그녀의 강한 열정은 그녀가 지구로 그 간격을 다시 메울 수 있게 해준다.그녀는 자신이 입었을 기모노를 상징하는 흰색 드레스, 길고 너덜너덜한 머리, 가부키 극장에서 유령을 표시하는 흰색/인디고 얼굴 등 이런 일본 유령의 일반적인 특징을 대부분 공유하고 있다.

오이와에게는 다른 온류와는 신체적으로 차별화되는 특별한 특성이 있다.가장 유명한 것은 이에몬이 준 독극물 때문에 얼굴을 아래로 처뜨리는 그녀의 왼쪽 눈이다.이러한 특징은 가부키 공연에서 과장되어 오이와의 뚜렷한 외모를 갖게 한다.그녀는 종종 부분적으로 대머리로 보여지는데, 이것은 독의 또 다른 효과다.가부키 연극의 화려한 장면에서 살아 있는 오이와는 거울 앞에 앉아 독약 때문에 빠져 나오는 머리를 빗는다.이 장면은 가부키 러브 플레이에서 색전 충전된 머리 빗는 장면의 전복이다.[3]오이와가 빗질을 하는 동안 무대 밑에 앉아 점점 더 많은 머리카락을 바닥으로 밀어올리는 무대 손이 이룬 머리카락은 엄청난 높이까지 쌓인다.

오이와는 도쿄근린인 스가모에 있는 묘교지 절에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그녀의 사망일은 1636년 2월 22일로 기록되어 있다.[4]텔레비전과 영화 각색을 포함한 요츠야 카이단의 여러 작품들은 의문의 사고, 부상, 심지어 죽음까지도 보도했다.[citation needed]요츠야 카이단을 각색하기 전에 이제 주연 배우들과 감독이 오이와의 무덤을 순례하며 제작에 대한 허락과 축복을 구하는 것이 전통이 되었다.[5]이는 오이와 역을 맡은 배우에게 특히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영화 ''의 야마무라 사다코는 오이와에 대한 분명한 경의를 표한다.그녀의 마지막 모습은 폭포처럼 늘어뜨린 머리와 처진 기형적인 눈매 등 오이와를 직접 각색한 것이다.[6]또한 히토미가 텔레비전을 보고 있을 때 주온에서 텔레비전 진행자는 한쪽 눈이 작고 한쪽 눈이 큰 여자로 변하는데, 이는 아마도 오이와에 대한 언급일 것이다.[citation needed]

요츠야카이단우키요에

인기 있는 가부키 연극이 되면서 요츠야 카이단은 곧 우키요에 예술가들에게도 인기 있는 소재가 되었다.[6]1826년, 오사카의 스미자 극장에서 연극이 개봉한 같은 해, 슌코사이 호쿠슈는 「오이와 고스트」를 제작했다.그녀는 처진 눈과 부분 대머리로 알아볼 수 있다.

아직 살아 있는 오이와가 등장하는 이색적인 이미지는 츠키오카 요시토시 감독의 '신형 서른여섯 귀신' 중 하나로 그려졌다.

호쿠사이 가쓰시카는 그의 시리즈인 '백 귀신의 이야기'에서 아마도 오이와의 가장 상징적인 이미지를 창조했는데, 이 작품에서 그녀의 분노한 영혼의 얼굴을 절등과 합쳐지게 했다.슌코사이 호쿠에이는 위 일러스트에서 호쿠사이 도안을 시각적으로 인용했는데, 이에몬이 유령을 만나려고 몸을 돌려 칼을 빼들었다.[6]연등장면은 애용하는 것으로, 넷스케에도 새겨져 있다.[7]이 오이와의 이미지는 아케이드 게임 The Last Blade에서 아카리 이치조우의 승리 포즈에서 차 한잔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우타가와 쿠니요시는 헤비야마에서의 장면을 묘사하면서, 뱀과 연기에 둘러싸인 채 이에몬을 향해 오고 있는 스틸 랜턴 머리의 오이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필름 어댑테이션

첫 영화 각색은 1912년에 이루어졌으며, 1913년에서 1937년 사이에 약 18번 촬영되었다.주목할 만한 각색은 당대 최고의 일본 감독 중 한 명인 이토 다이스케심판 요쓰야 카이단이다.

기노시타 게이스케가 1949년에 각색한 <요쓰야의 유령 신판(신샤쿠 요쓰야 카이단)>[8]은 귀신 같은 요소를 제거하고 오이와를 남편의 죄지은 정신의 귀신으로 제시하였다.[9]그것은 요츠야의 유령으로도 알려져 있다.

신토호 스튜디오는 나카가와 노부오의 1959년작 요쓰야 고스트(토카이도 요쓰야 카이단)[10]를 제작했는데, 평론가들이 흔히 이 이야기를 스크린으로 가장 잘 각색한 작품이라고 평가한다.토호는 1965년 토요다 시로 감독이 연출을 맡고 나카다이 다쓰야가 출연한 요쓰야 고스트 버전을 제작해 해외에서는 '의 환상'으로 개봉했다.[11]1994년 후카사쿠 긴지는 가부키 뿌리로 돌아와 주싱구라와 가이단 요쓰야의 이야기를 하나의 배신볏으로 합쳤다.[9]

텔레비전에 각색된 것도 있다.일본 텔레비전 드라마카이단 히아쿠 쇼세츠》의 스토리 1은 요츠야 카이단 버전이었고,[12] 2006년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시리즈 《아야카시: 사무라이 호러 테일즈》의 1~4편도 이 이야기의 리트레이닝이었다.

전통적으로 영화나 연극을 위해 이 이야기를 각색한 제작진은 도쿄 도시마구 스가모에 있는 묘교지사에 있는 오이와의 묘소를 찾아 참배하는데, 이는 그들이 하지 않으면 부상과 사망자가 배역에 떨어진다는 도시 전설이다.[citation needed]

일부 비평가들은 오이와의 이야기와 주온 영화의 줄거리 사이에 느슨한 연관성을 확인했다.[13]

참고 항목

메모들

  1. ^ 이에몬은 때때로 e를 ye로 렌더링한 헵번의 옛 로마자화 체계 때문에 이이에몬으로 로마자화되기도 한다.이러한 로마자화는 그 이름에 더욱 고풍스러운 느낌을 준다(또한 서양인에게 '레몬'으로 잘못 읽히는 것을 덜하게 한다).
  2. ^ 요쓰야는 도쿄 신주쿠 구 동남부에 있는 동네다.

참조

  1. ^ a b c Kennelly, Paul. "Realism in Kabuki of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A case study" (PDF). Proceedings of the Pacific Rim Conference in Transcultural Aesthetics: 157.
  2. ^ "Yotsuya Kaidan". Retrieved July 6, 2006.
  3. ^ Brazell, Karen (1998). Traditional Japanese Theater: An Anthology of Plays. James T. Araki (trans.).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0872-0.
  4. ^ "Yotsuya Kaidan". Retrieved February 22, 2006.
  5. ^ Plutschow, Herbert E. (1990). Chaos and Cosmos: Ritual in Early and Medieval Japanese Literature. BRILL. ISBN 978-90-04-08628-9.
  6. ^ a b c Sumpter, Sara L. (2006). "From scrolls to prints to moving pictures: iconographic ghost imagery from pre-modern Japan to the contemporary horror film" (PDF). Retrieved 2010-12-04.
  7. ^ Bush, Laurence C. (2001). Asian Horror Encyclopedia. Writers Club Press. ISBN 978-0-595-20181-5.
  8. ^ 갈브레이스, 스튜어트(1994)일본 공상과학, 판타지, 호러 영화.맥팔랜드 324페이지
  9. ^ a b "Yotsuya-Kaidan on Film". Wild Realm Review. Retrieved July 28, 2006.
  10. ^ 갈브레이스, 슈타르트(1994)일본 판타지, SF, 호러 영화.맥팔랜드 주식회사
  11. ^ 갈브레이스, 스튜어트(1994)일본 공상과학, 판타지, 호러 영화.맥팔랜드 357페이지
  12. ^ 카이단 하야쿠 쇼세츠 [怪談百物語] :: jdorama.com
  13. ^ 28 December 2019. "The Grudge's Ghost Origin Story Explained". Screen Rant. Retrieved 5 November 2020.
  • 애디스, 스티븐, 일본 유령과 악마, 미국, 조지 브레이저, 주식회사, 1986, ISBN 0-8076-1126-3
  • 아라키, 제임스 T, 일본 전통극장: 1998년 미국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연극집
  • 이와사카, 미치코, 귀신과 일본인: 일본 사망전설의 문화체험, 미국 유타주립대 출판부 1994, ISBN 0-87421-179-4
  • 로스, 캐트리엔, 초자연적이고 신비로운 일본, 일본 도쿄, 터틀 출판, 1996, ISBN 4-900737-37-2
  • Scherer, Elisabeth, Haunting Gaps: 성별, 현대성, 필름요츠야 카이단의 유령, 2014년 겨울: 중국 12.1 현대문학 저널, 73–88페이지.ISSN 1026-5120
  • "Yotsuya Kaidan". Retrieved July 6, 2006.
  • "Yotsuya Kaidan". Retrieved February 22, 2006.
  • "Yotsuya-Kaidan, A Japanese Ghost Story". TOPICS online magazine. Retrieved February 22, 2006.
  • "Yotsuya-Kaidan on Film". Wild Realm Review. Retrieved July 28, 200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