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로나의 제노
Zeno of Verona베로나 성제노 | |
---|---|
산제노 바실리카의 생제노 동상 | |
비숍, 순교자 | |
태어난 | 300 모레타니아 |
죽은 | 371년 4월 12일 베로나 |
주요 사당 | 베로나 산제노 대성당 |
잔치 | 4월 12일; 5월 21일 (유물 번역) |
특성 | 물고기, 낚싯대, 또는 낚싯대를 들고 있는 주교, 또는 그의 크로지어에 물고기가 매달려 있는. |
단골손님 | 어부, 낚시꾼, 신생아, 베로나, 캄피오네 디탈리아 |
베로나의 제노(이탈리아어: Zenone da Verona; 약 300 – 371 또는 380)는 베로나의 초기 기독교 주교이거나 순교자였다. 그는 로마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삶과 역사성
7세기 공증인 코로나토라는 베로니스의 저자에 따르면 제노는 모레타니아 태생이었다. 그는 아프리카의 많은 아이들에게 카톨릭 종교에 대해 가르쳤고 또한 그들의 학교 공부를 도왔다. 아이들은 자신을 도와줄 수 있는 누군가에게 의지할 수 있었다.[1] 또 다른 이론은 제노가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 아타나시우스의 추종자였다는 것인데, 아타나시우스가 340년 베로나를 방문했을 때 주인과 동행했다는 것이다.[1]
제노에게 귀속된 90여 명의 세르모네스의 문체는 당시의 기독아프리카 작가들이 신조어와 말장난 등을 자주 사용했기 때문에 그의 아프리카 출신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지기도 했다.[1] 많은 세르모네스인들은 구약성서 발명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그 안에 확실한 반유대적 요소가 있다"[2]고 말했다.
도시에 머물면서 제노는 그리시누스 주교(크리시누스, 크리시노)가 죽은 후 베로나 시(Se of Verona)의 후계자로 선출된 362년경까지 수도사로 생활하며 수도생활에 들어갔다.[1]
제노는 "좋은 고전 교육을 받았다"[3]고 했고, 주교가 많은 사람들에게 세례를 주었을 때, 아리안교에서 개종한 사람들을 얻고, 가난의 삶을 살았으며, 교구에서 일하도록 사제들을 훈련시키고, 여자들을 위한 수녀원을 설립하고, 아가페 잔치가 어떻게 축하되는지를 개혁했으며, 장례 미사가 참석자들의 큰 신음과 통곡에 동행하는 것을 금했다.[3] 제노의 다른 개혁에는 성인 세례(완전한 몰입으로 일어난 일)와 가톨릭 신앙에 새로 세례를 받은 사람들에게 훈장을 수여하는 것에 관한 지침이 포함되었다.[3]
제노의 성공회는 약 10년간 지속되었고, 그의 사망일은 때때로 371년 4월 12일로 주어진다.[1]
제노는 초기 순교에서 신앙고백자로 묘사된다.[3] 성 그레고리오 대왕은 그의 대화에서 그를 순교자라고 부른다; 제노의 동시대의 성 암브로스는 그렇지 않다.[3] 암브로스는 고백자로서 제노가 콘스탄티우스 2세와 사도 율리우스 율리우스 치세에 박해를 받았을지는 모르지만, 제노가 '행복한 죽음'을 말한다.[3] 현재 로마 순교학에는 4월 12일에 그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지만 순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4]
그의 존재에 대한 첫 번째 증거는 암브로스가 베로나의 시아그리오스 주교에게 쓴 편지에서 발견되는데, 암브로스는 제노의 거룩함을 가리킨다.[1] 이후 베로나의 성 페트로니우스 주교(재위 412–429)는 제노의 덕목을 썼으며, 또한 제노에게 바치는 사이비 종교의 존재를 확인했다.[1]
781년에서 810년 사이에 쓰여진 시로, 시의 조조인 Vsi de Verona라고 불리는 시는 제노가 베로나의 여덟 번째 주교였다고 말한다.[1]
존경

제노의 소송 잔치 날은 4월 12일에 기념되지만 베로나 교구에서는 807년 5월 21일에 그의 유물이 번역된 것을 기념하여 5월 21일에 기념하기도 한다.[1]
전통에 따르면 제노가 베로나에 최초의 성당을 세웠는데, 이 곳은 아마도 오늘날의 성당이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1] 현재 위치에 있는 그의 성당은 샤를마뉴와 그의 아들 Pepin이 이탈리아 왕에게 기증한 9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것은 806년 12월 8일에 성결되었다. 두 마리의 지방 헤르미트인 베니그누스와 카루스는 제노의 유물을 새로운 대리석 지하에 번역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1] 페핀 왕은 크레모나와 잘츠부르크의 주교들과 더불어 수많은 마을 사람들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되었다.[1]
제노의 유물은 무사했지만 10세기 초에 헝가리인들에 의해 교회가 훼손되었다.[1] 바실리카는 다시 재건되었고, 훨씬 더 크고 강하게 만들어졌다. 재정 지원은 오토 1세에 의해 제공되었고, 967년 베로나의 라테리우스 주교가 주재하는 의식에서 다시 정해졌다.[1]
현재 베로나의 산제노 교회는 대부분 12세기, 13세기, 15세기 초의 작품이다. 성경의 이야기 외에도 생제노의 기적을 묘사한 청동문(c. 1100~c. 1200)과 공증인 코로나토가 기록한 것,[1] 니콜라우스와 동료 구글리엘무스가 서명한 파사드 조각, 브리오톨로토의 작품인 장미창(c. 1200) 등 이야기에서 그린 이미지로 잘 알려져 있다.
범례 및 아이콘그래피

제노는 어부와 낚시꾼, 베로나 시, 신생아는 물론 말과 걸음마를 배우는 아이들의 수호성인이다. 피스토아 대성당을 비롯해 30여 개의 교회나 예배당이 그에게 헌정됐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태어날 때 도둑맞았고 잠시 악마의 변화로 대체되었다고 한다. 한 가지 이야기는 언젠가 아디게 둑에서 낚시를 하던 생제노가 (휴양이 아닌) 스스로 먹이를 주기 위해 한 농민이 말과 수레를 타고 강을 건너는 것을 보았다는 것이다. 말들이 이상하게 미끄러지기 시작했다. 이것을 악마의 소행이라고 믿은 제노는 십자가의 표식을 만들었고, 말들은 잠잠해졌다.[1] 제노는 종종 악마와 싸운다고 하며, 때때로 악마를 밟는 모습이 그려지기도 한다.[1] 또 다른 이야기는 그가 갈리에누스 황제의 딸의 몸에서 악마를 쫓아냈다는 것이다(제노가 아마도 갈리에누스 통치 기간에는 살지 않았을 것이다). 이 이야기는 고마운 갈리에누스가 제노와 다른 기독교인들이 제국의 예배의 자유를 허용했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1]
6세기 말에 성 그레고리오 대왕은 제노의 신의 중합과 관련된 기적을 말한다.[1] 588년 아디게는 베로나를 범람시키면서 둑을 범람시켰다. 홍수는 성제노를 모시는 교회에 이르렀으나 문이 활짝 열려 있는데도 기적적으로 들어가지 않았다. 이 교회는 아하리 왕의 기적을 목격한 것으로 알려진 테오델린다에게 기증되었다.[1]
제노는 낚싯대, 낚싯대, 낚싯대를 들고 있는 주교 또는 크로지어에 매달린 물고기와 같은 낚시 관련 물품으로 가장 많이 표현된다. 알바 버틀러는 "현지 전통은 주교가 인근 아디게 강에서 낚시하는 것을 좋아했다고 말하고 있다"고 썼다."[2]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Borrelli, Antonio (14 December 2006). "San Zeno (Zenone) di Verona". Santi e Beati. Retrieved 15 August 2008.
- ^ a b 알바 버틀러, 데이비드 휴 파머, 폴 번즈, 버틀러의 '성인의 삶'(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995), 85년.
- ^ a b c d e f 알바 버틀러, 데이비드 휴 파머, 폴 번즈, 버틀러의 '성인의 삶'(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995), 84–5.
- ^ 마티뇨 로마눔(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4), 232쪽.
- 니콜라스 에버렛, 중세 초기의 이탈리아 AD c.350-800 (PIMS/Durham University Press, 2016), 페이지 60–72.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생제노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수호성인지수
- 영원한 워드 텔레비전 네트워크에 의해 재인쇄된 삶 또는 아버지, 순교자 및 기타 주요 성도들
- Documenta Catholica Omnia (라틴어)
- 산제노 디 베로나 (이탈리아어로)
- 베로나의 제노 – 유럽 성인의 발자취에 따름: 사진 문서와 지도가 있는 기사 시리즈(독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