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의 영역

Zones of the lung

폐의 영역폐포(PA), 동맥(Pa), 정맥(Pv) 및 폐간압(Pi)의 관계에 기초하여 를 4개의 수직 영역으로 나눈다.

  • 구역 1: PA > Pa > Pv
  • 구역 2: Pa > PA > Pv
  • 영역 3: Pa > Pv > PA
  • 영역 4: Pa > Pi > Pv > PA

이 개념은 일반적으로 1964년 West et al.의 기사에 기인하지만,[1] 실제로 Permutt et al.에 의해 2년 전에 제안되었다.[2] 이 글에서 퍼머트는 "폐동맥과 정맥의 압력이 폐 밑바닥보다 위쪽에 덜하다. 폐동맥의 압력이 폐동맥의 압력에 비해 낮은 직립 대상에서는 폐의 일부가 상부를 향해 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개념은 다음과 같다.

종료 시 치경압력(PA)은 대기압(0cm H2O 차압, 제로 유량)에 폐 전체에서 2cm H2O(1.5mmHg)를 더한 값과 같다. 반면에 중력은 직립 자세에서 20 mmHg의 폐 위아래 사이에 혈압의 경사를 일으킨다(반듯이 반듯이 누운 자세에서). 전체적으로 평균 폐정맥 압력은 약 5 mmHg이다. 국소 정맥 압력은 정점에서 -5까지 떨어지고, 발기 폐에 대해서는 베이스에서 +15 mmHg까지 상승한다. 폐 혈압은 일반적으로 평균 압력이 15 mmHg인 25–10 mmHg 범위에 있다. 국소 동맥 혈압은 일반적으로 폐의 정점에 가까운 5 mmHg에서 기저에 있는 25 mmHg 범위에 있다.

구역 1은 정상적인 건강한 인간의 폐에서 관찰되지 않는다. 정상적인 건강상태에서 폐동맥(Pa) 압력이 폐의 모든 부분에서 폐동맥압(PA)을 초과한다. 일반적으로 양압이나 출혈로 환기를 할 때만 관찰된다. 이런 상황에서 혈관은 치경압(PA)에 의해 완전히 붕괴될 수 있고 혈액이 이 지역을 통해 흐르지 않는다. 그들은 치경 사지가 된다.

2구역은 심장의 약 3 cm 위에 있는 폐의 부분이다. 이 지역에서는 혈액이 맥박으로 흐른다. 처음에는 모세관 침대의 정맥 끝에 방해로 인해 흐름이 없다. 동맥 쪽의 압력이 치경압을 초과하여 흐름이 재개될 때까지 쌓인다. 이렇게 하면 모세관 압력이 소멸되고 주기의 시작으로 되돌아간다. 이곳의 흐름은 때로는 항성 저항이나 폭포 효과와 비교되기도 한다.

3구역은 건강에 있는 대부분의 폐로 구성되어 있다. 혈류에 대한 외부 저항은 없으며 혈류는 심장 주기 내내 지속된다. 흐름은 폐의 이 부분을 일정하게 내려가는 Ppa-Ppv 차이(Ppa - Ppv)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중력 때문에 혈관 벽을 가로지르는 투과압력은 이 구역 아래로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혈관 벽이 더 늘어나서 혈관의 용량이 증가하여 저항이 낮아져 흐름이 증가하게 된다.

4구역은 폐활량이 낮거나 폐부종이 있을 때 볼 수 있다.실질의 방사상 테더링 감소로 폐 부피가 감소함에 따라 폐간압력(Pi)이 상승한다. Pi는 위의 폐조직의 무게로 인해 폐 밑부분에서 가장 높다. Pi는 또한 폐정맥에서 유출된 '액체'의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상승할 수 있다. Pi의 증가는 외측혈관의 경량화를 초래하고, 다시 혈류량을 감소시킨다(외측혈관은 외측혈관이다). 혈관내 혈관(심폐 모세혈관)은 구역 1-3에서 설명한 압력 변화에 따라 폐포와 인접한 얇은 벽으로 된 혈관이다. 구역 4의 흐름은 동맥간압차(Pa - Pi)에 의해 제어된다. 파이가 떠오를수록 동맥경량이 줄어들어 흐름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i는 두 혈관에 모두 적용되므로 Pa/Pv 차이는 변경되지 않는다.

관류량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사람이 서 있을구역 #1(폐의 정점)에서 관류비(V/Q 비율)가 구역 #3(폐의 기저)보다 더 높다. 그러나 환기와 관류는 폐의 기저부에서 가장 높아 상대적으로 V/Q 비율이 낮다.

참조

  1. ^ West J, Dollery C, Naimark A (1964). "Distribution of blood flow in isolated lung; relation to vascular and alveolar pressures". J Appl Physiol. 19 (4): 713–24. doi:10.1152/jappl.1964.19.4.713. PMID 14195584.
  2. ^ Permutt S, Bromberger-Barnea B, Bane HN (1962). "Alveolar Pressure, Pulmonary Venous Pressure, and the Vascular Waterfall". Med. Thorac. 19 (4): 239–269. doi:10.1159/000192224. PMID 1394249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