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V1/FVC 비율

FEV1/FVC ratio
Lungvolumes Updated.png
TLC총 폐활량: 최대 팽창 시 폐의 부피, VC와 RV의 합계.
TV조석량: 조용한 호흡 중에 폐로 또는 폐 밖으로 이동한 공기량(TV는 폐의 분열을 나타내며, 조석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때 가스 교환 계산에서와 같이 기호 TV 또는 V를T 사용한다.)
RV잔류량: 최대 호기 후 폐에 남아 있는 공기의 양
얼버호기 예비량: 끝-배출 위치에서 배출할 수 있는 최대 공기량
IRV흡기 예비량: End-Inspiration 레벨에서 흡입량
IC흡기 용량: IRV와 TV의 합계
IVC흡기 활력 용량: 최대 만료 지점에서 흡입한 최대 공기량
VC활력: 심층 흡입 후 숨을 내쉬는 공기의 양.
브이T조석량: 조용한 호흡 중에 폐로 또는 폐 밖으로 이동한 공기량(VT는 폐의 분열을 나타내며, 가스 교환 계산에서와 같이 조석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때 기호 TV 또는 V를T 사용한다.)
FRC기능 잔류 용량: 끝-팽창 위치에서 폐의 부피
RV/TLC%TLC의 백분율로 표시되는 잔차 부피
브이A치경 가스량
브이L전도 기도 체적을 포함한 폐의 실제 체적.
FVC강제 활력 용량: 최대 강제 소비 노력을 통한 필수 용량 결정
FEVt강제 호기량(시간): 첫 t초 동안 강제 조건에서 배출된 공기의 양을 나타내는 총칭
FEV1강제 만료 후 첫 번째 초가 끝날 때 배출된 볼륨
FEFxFVC 곡선의 일부와 관련된 강제 호기 흐름, 수식어는 이미 배출된 FVC의 양을 의미한다.
FEFmaxFVC 기동 중에 달성되는 최대 순간 흐름
FIF강제 흡기 흐름: (강제 흡기 곡선의 특정 측정은 강제 호기 곡선에 대한 것과 유사한 명명법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최대 흡기 흐름은 FIF로max 표시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볼륨 한정자는 측정 지점의 RV에서 영감을 받은 볼륨을 나타낸다.)
PEF피크 호기 흐름: 피크 유량계로 측정한 최고 강제 호기 유량
MVV최대 자발적 환기: 반복적인 최대 노력 중 특정 기간 동안 공기량이 만료됨

Tiffeneau-Pinelli 지수라고도 불리는 FEV1/FVC 비율은 폐쇄성 폐질환제한성 폐질환 진단에 사용되는 계산된 비율이다.[1][2][3] 강제 만료(FEV1)의 첫 번째 초에서 전체 강제 유효 용량(FVC)에 만료될 수 있는 개인의 필수 용량의 비율을 나타낸다.[4] 이 비율의 결과는 FEV1%로 표현된다.

정상 값은 약 75%[5]이다. 예측된 정상 값은 온라인에서 계산할 수 있으며, 나이, 성별, 키, 민족성은 물론 이들이 기초하고 있는 연구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FEV1%의 파생값은 예측 FEV1%로, 이는 환자의 FEV1%를 연령, 성별, 신체 구성이 유사한 사람에 대한 모집단의 평균 FEV1%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질병 상태

폐쇄성 폐질환에서는 폐에서 공기가 빠져나가는 장애로 인해 FEV1이 감소한다. 따라서 FEV1/FVC 비율이 감소할 것이다.[4] 구체적으로는 국립임상우수연구소에 따르면 COPD의 진단은 FEV1/FVC 비율이 0.7 미만이거나[6] FEV가1 예측치의 75% 미만일 때 이루어지지만,[7] 다른 권위 있는 기관들은 진단 컷오프 포인트가 다르다.[8] 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글로벌 이니셔티브 기준에서는 진단을 위해 기관지폐소생제 약물을 투여한 후의 값이어야 한다. 유럽호흡기학회(ERS) 기준에 따르면 환자가 COPD(즉, 환자의 FEV1%가 남성 예측값의 88% 미만 또는 여성 89% 미만인 경우)를 정의하는 것은 FEV1% 예측이다.[8]

제한성 폐질환에서 FEV1과 FVC는 섬유화 또는 다른 폐병리학(폐쇄성 병리학이 아님)으로 인해 균등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FEV1/FVC 비율은 FEV1에 비해 FVC의 크기가 감소하여(일부 병리학적 조건에서 섬유화의 존재와 관련된 준수성이 감소했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정상이거나 심지어 증가해야 한다.[4]

참조

  1. ^ 미넬리 R. 아푼티 달레 레지오니 디 피시아 우마나 1992년 파비아의 라 골리아디카 파베스
  2. ^ Swanney MP, Ruppel G, Enright PL, et al. (2008). "Using the lower limit of normal for the FEV1/FVC ratio reduces the misclassification of airway obstruction". Thorax. 63 (12): 1046–51. doi:10.1136/thx.2008.098483. PMID 18786983.
  3. ^ Sahebjami H, Gartside PS (1996). "Pulmonary function in obese subjects with a normal FEV1/FVC ratio" (PDF). Chest. 110 (6): 1425–9. doi:10.1378/chest.110.6.1425. PMID 898905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9-02-19.
  4. ^ a b c Wayback Machine보관된 2008-07-25 스피로메트리 해석. gp-training.net
  5. ^ "Forced Expir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6. ^ 만성폐쇄성폐질환 : 1차 2차 진료 성인의 만성폐쇄성폐질환 관리(부분 업데이트) NICE.org.uk. 2010년 6월
  7. ^ 만성폐쇄성폐질환 : 1차 2차 진료 성인의 만성폐쇄성폐질환 관리(부분 업데이트) NICE.org.uk. 2010년 6월
  8. ^ a b Nathell, L.; Nathell, M.; Malmberg, P.; Larsson, K. (2007). "COPD diagnosis related to different guidelines and spirometry techniques". Respiratory Research. 8 (1): 89. doi:10.1186/1465-9921-8-89. PMC 2217523. PMID 18053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