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성 출혈열
바이러스성 출혈열 | |
---|---|
에볼라에 감염된 한 간호사가 누워있고 그 곁에 두 간호사가 서있다. 누워있는 간호사는 며칠 후 내출혈로 사망했다. | |
진료과 | 감염병 |
바이러스성 출혈열(viral hemorrhagic fevers; VHFs)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출혈과 열이 동반되는 질병을 의미한다. 아레나바이러스과, 필로바이러스과, 분야바이러스과, 플라비바이러스과, 랍도바이러스과의 총 다섯개 RNA 바이러스과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고열과 쇼크, 사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증세도 한타바이러스에 의한 스칸디나비아 신증후군 출혈열의 경우 비교적 경미한 출혈열을 보이는 데에서부터 에볼라바이러스의 매우 치명적인 출혈열 등 다양하다.
원인
[편집]다음의 다섯 바이러스과가 바이러스성 출혈열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 아레나바이러스과: 라싸열(라싸바이러스), 루요출혈열(루요바이러스), 아르헨티나 출혈열(후닌바이러스), 볼리비아 출혈열(마추포바이러스), 브라질 출혈열(사비아바이러스), 차파레 출혈열(차파레바이러스), 베네수엘라 출혈열(과나리토바이러스), 화이트워터아로요출혈열(화이트워터아로요바이러스), 알쿠르마 출혈열(알쿠르마 출혈열 바이러스)
- 분야바이러스과: 오르토분야바이러스가 신증후군 출혈열과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을, 플레보바이러스가 리프트밸리열을 일으킨다.
- 필로바이러스과: 에볼라바이러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 플라비바이러스과: 뎅기열에서 발전한 형태인 뎅기출혈열과 황열이 대표적이며, 진드기매개뇌염군에서 옴스크출혈열, 키야스너삼림병 이 있다.
- 2012년 9월 바콩고 주의 출혈열 환자에게서 랍도바이러스과의 바이러스를 분리했음이 플로스 병원균 학회지(PLOS Pathogens)에 보고되었다. 이 바이러스는 바콩고바이러스라 명명되었는데, 사람간 전염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에페메로바이러스속, 티브로바이러스속과 계통학적으로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멕시코에서 1545년과 1576년에 발생한 코코리츨리유행병의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1545년의 경우 세균성 출혈열일 가능성이 높다.[1][2]
예방
[편집]격리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모든 바이러스성 출혈열 환자들은 손의 위생을 철저히 하고, 장갑을 두 겹씩 끼며, 가운을 입고, 신발과 다리를 덮고, 보안면이나 고글을 착용하는 등 접촉에 각별히 주의해야한다.[3] 라싸바이러스,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들은 모두 원내감염이 발생했다. 따라서 N95 마스크 등 공기를 통한 전염에도 특별히 주의해야한다. 페놀성 소독제나 표백제 등 차아염소산염을 통해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병원체들을 제거할 수 있다.[4]
역학
[편집]바이러스성 출혈열로 여겨지는 유행병은 다음과 같다.
- 멕시코에서 1545년과 1576년에 퍼진 코코리츨리.[1][5][6][7][8]
- 미국 필라델피아의 인구 10%를 앗아간 1793년 필라델피아 황열 유행.
- 가봉의 메캄보에서 발생한 에볼라 출혈열.
- 콩고 민주 공화국의 동부주에 있는 작은 마을 두르바(Durba)와 와차(Watsa)에서 발생한 1998~2000년 마르부르크 출혈열.
- 앙골라의 우이즈주에서 2005년에 발생한 마르부르크 출혈열[9]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음웨카(Mweka)에서 2007년 8월에 발생해 103명의 사람을 죽인 에볼라바이러스.
- 펠로폰네소스중에 발생한 아테네 역병 역시 바이러스성 출혈열로 지목된다.[10]
- 유스티아누스 페스트 역시 바이러스성 출혈열이었다는 이론이 있다.[11]
- 2008년 9~10월에 발생한 루요바이러스 유행.[12]
-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
생화학무기
[편집]바이러스성 출혈열은 주로 호흡기를 통해 전염된다. 소련에서 망명한 케니스 알리벡(Ken Alibek)에 의하면, 1980년대에 중국이 바이러스성 출혈열을 생화학무기로 사용하려고 했으나 밖으로 새어나가면서 개발이 중지되었다.[13] 공기로 전염되는 특징으로 인해 무기로 개발될 잠재력이 충분하다 여겨지며, 여러 종의 바이러스들 중 무엇이 감염원인지 구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무기로 개발 시 충분한 위력이 있다.[14][1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Acuna-Soto R, Stahle DW, Cleaveland MK, Therrell MD (April 2002). “Megadrought and megadeath in 16th century Mexico”. 《Emerging Infect. Dis.》 8 (4): 360–62. doi:10.3201/eid0804.010175. PMC 2730237. PMID 11971767.
- ↑ France-Presse, Agence (2018년 1월 16일). “500 years later, scientists discover what probably killed the Aztecs”. 《The Guardian》.
- ↑ 《Viral hemorrhagic fevers》. Boca Raton: CRC Press. 2014. ISBN 978-1-4398-8431-7.
- ↑ Woods, Lt Col Jon B., 편집. (2005). 《USAMRIID's Medical Management of Biological Casualties Handbook》 (PDF) 6판. Fort Detrick MA: U.S. Army Medical Institute of Infectious Diseases. 143–44쪽. 2007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9일에 확인함.
- ↑ “Was the Huey Cocoliztli a Haemorrhagic Fever?” (PDF). 2010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5일에 확인함.
- ↑ “Indigenous Hemorrhagic Fever and The Spanish Conquest” (PDF). 2018년 5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Acuna-Soto R, Romero LC, Maguire JH (June 2000). “Large Epidemics of Hemorrhagic Fevers in Mexico 1545–1815” (PDF). 《Am J Trop Med Hyg》 62 (6): 733–39. doi:10.4269/ajtmh.2000.62.733. PMID 11304065. 2007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4일에 확인함.
- ↑ “Epidemics in New Spain”. 2010년 6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Towner, J. S.; Khristova, M. L.; Sealy, T. K.; Vincent, M. J.; Erickson, B. R.; Bawiec, D. A.; Hartman, A. L.; Comer, J. A.; Zaki, S. R.; Ströher, U.; Gomes Da Silva, F.; Del Castillo, F.; Rollin, P. E.; Ksiazek, T. G.; Nichol, S. T. (2006). “Marburgvirus Genomics and Association with a Large Hemorrhagic Fever Outbreak in Angola”. 《Journal of Virology》 80 (13): 6497–516. doi:10.1128/JVI.00069-06. PMC 1488971. PMID 16775337.
- ↑ Olson PE, Hames CS, Benenson AS, Genovese EN (1996). “The Thucydides syndrome: Ebola déjà vu? (or Ebola reemergent?)”. 《Emerging Infect. Dis.》 2 (2): 155–56. doi:10.3201/eid0202.960220. PMC 2639821. PMID 8964060.
- ↑ Scott, Susan and Duncan, Christopher. (2004). Return of the Black Death: The World's Greatest Serial Killer West Sussex; John Wiley and Sons. ISBN 0-470-09000-6.
- ↑ Briese, T.; Paweska, J.T.; McMullan, L.K.; Hutchison, S.K.; Street, C.; Palacios, G.; Khristova, M.L.; Weyer, J.; Swanepoel, R.; Engholm, M.; Nichol, S.T.; Lipkin, W.I. (2009). “Genetic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ujo Virus, a New Hemorrhagic Fever–Associated Arenavirus from Southern Africa”. 《PLoS Pathog》 5 (5): e1000455. doi:10.1371/journal.ppat.1000455. PMC 2680969. PMID 19478873.
- ↑ Alibek, Ken; Handelman, Steven (1999). 《Biohazard: the chilling true story of the largest covert biological weapons program in the world, told from the inside by the man who ran it》. New York: Random House. 286쪽. ISBN 978-0-375-50231-6.
- ↑ Woods 2005, 145쪽
- ↑ Peters, C. (2000). 〈Are Hemorrhagic Fever Viruses Practical Agents for Biological Terrorism?〉. Scheld, W. M.; Craig, W. A.; Hughes, J. M. 《Emerging Infections》 4. Washington, D.C.: ASM Press. 201–09쪽. ISBN 978-1555811976.
외부 링크
[편집]- “Viral Haemorrhagic Fever”. 《The National Archives of United Kingdom》. Public Health England (PHE). 2014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Viral Haemorrhagic Fevers”.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United Nations (UN).
- “Viral Hemorrhagic Fevers (VHFs) Virus Families”. 《National Center for Emerging and Zoonotic Infectious Diseases (NCEZID)》.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9년 9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