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모노누시
Ōmononushi오모노누시노카미 | |
---|---|
![]() | |
기타 이름 | Ōmononushi-no-Ōkami (大物主大神) Yamato-no-Ōmononushi-Kushimikatama-no-Mikoto (倭大物主櫛甕魂命, 倭大物主櫛𤭖玉命) 야토카스미모로노미코토( (八戸須)) 오모노누시아시하라노시코(o) (大物主葦原(( ( Miwa-no-Ōkami (三輪大神) Ōmiwa-no-Ōkami (意富美和之大神) Miwa Myōjin (三輪明神) Miwa Daimyōjin (三輪大明神) KonpiraDaigongen (金毘羅大権現) Ōsugi Daimyōjin (大杉大明神) Ōsugi Daigongen (大杉大権現) |
일본인입니다 | 大物主神 |
메이저 컬트 센터 | 오미와 신사(미와 산), 고토히라 신사, 오수기 신사 등 |
기호 | 뱀 |
텍스트 | 코지키, 니혼쇼키, 하리마후도키 등 |
개인정보 | |
배우자 | 이쿠타마요리히메 미호츠히메 (니혼쇼키) 세이야다타라히메 (코지키) 야마토토히모소히메 (쇼키) |
아이들. | 이즈케오리히메 / 이즈히메 쿠시미카타 (코지키) 오타타네코 (니혼쇼키) |
오모노누시(일본어: 大物主神, 로마자: 오모노누시노카미, 역사 맞춤법:오오모노누시)는 나라 현 사쿠라이 시에 있는 미와 산(미모로 산이라고도 한다)과 연관된 일본 신화에 나오는 가미다.그는 고지키 (ca. 712 CE)와 니혼쇼키 (720 CE)에 기록된 황실 신화 사이클에서 지상의 카미 오쿠니누시 (오나우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실제로 후자 본문은 '오모노누시'를 오나우치의 다른 이름 또는 한 측면 - 더 정확히 말하면, 정신이나 미타마 -로 취급한다.
오모노누시의 주요 예배 장소는 미와 산 기슭에 위치한 오미와 신묘로, 신사의 예배 대상(신타이) 역할을 하고 있어 미와노오카미(三和大美, '미와'의 대왕) 또는 미와(大王)묘진(輪(大王)으로도 알려져 있다.또, 이바라키 현의 오에스기 신사 등 일부 다른 사당에도 안치되어 있다.가가와 현 고토히라에 있는 고토히라 신사(고토히라구)의 신으로, 통속적으로는 곤피라 다이공겐(金大大公)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오모노누시와도 동일시하고 있다.
이름
'오모노누시'(오모노누시)라는 이름이다.大物主; historical orthography: おほものぬし, Ohomononushi; Old Japanese:오포모노누시22)는 '위대한 것 마스터'([1][2]이름에 사용된 문자를 문자 그대로 번역한 후) 또는 '위대한 정령 마스터'([3]모노를 '정신' 또는 '초자연적 실체'[4]라는 뜻으로 받아들임)로 번역된다.The deity is also given the name 'Yamato-no-Ōmononushi-Kushimikatama-no-Mikoto' (倭大物主櫛𤭖玉命, lit. 'Great Master of Things / Spirits, the Wondrous Awe-Inspiring Spirit (tama) of Yamato') in the Izumo no Kuni no Miyatsuko no Kanʼyogoto (出雲国造神賀詞, 'Congratulatory Words of the Chieftain of Izumo'), a ritual declaration (norito) delivered by the governor또는 이즈모 국의 구니노 미야츠코를 임명한 즉시 황실에 모셨다.[1]
A passage in the Fudoki of Harima Province (modern Hyōgo Prefecture) meanwhile refers to a deity worshiped at Misaka Shrine in the village of Shijimi in Minō District (modern Miki City) known both as 'Yatokakesu- / Yatokakasu-Mimoro-no-Mikoto' (八戸桂掛須御諸命) and 'Ōmononushi-Ashihara-no-Shiko(o)' (大物主葦原志許(乎); Ashihara-no-Shikoo 'Ugly Man / Young Warrior'갈대 평원'은 오지니누시의 다른 이름으로 코지키와 쇼키에서 사용된다.[5][6]
신화
오모노누시·오쿠니누시
오모노누시는 오쿠니누시 신이 지상세계를 평정하고 발전시킨 이야기, 아시하라노나카쓰쿠니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수전우의 후손(그래서 코지키)이나 아들(니혼 쇼키)인 오쿠니누시(오나우치라고도 한다)가 아시하라노나카쓰쿠니 개발이라는 기념비적인 과제를 스스로 떠맡았을 때, 바다 저편에서 수쿠나비코나라는 난장이가 나타나 그의 파트너가 되었다.그러나 얼마 후 수쿠나비코나는 오쿠니누시를 떠나 '영원한 땅'('世国, 토코요노쿠니)으로 갔다.오쿠니누시가 수쿠나비코나의 출국을 한탄하고 있을 때, 오쿠니누시(오쿠니누시)가 예배를 드리면 그의 일을 돕겠다고 약속하면서, 오쿠니누시 앞에 또 다른 '바다를 비추는 신'이 나타난다.오쿠니누시는 신의 뜻에 따라 야마토 땅에 있는 미모로 산(미와 산)에 안치했다.[7][8]이 신이 코지키 현시점에서 아직 신원이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니혼쇼키에서 발견되는 신화의 버전에는 오나우치의 신(본문에서는 오쿠니누시의 기본명) 쿠시미타마와 사키미타마(幸奇魂, '원한 영혼', '행운/의심스러운 영혼'으로 각각 명시되어 있다.[9]실제로, 이 같은 구절에는 '오모노누시'가 오나우치의 다양한 이름 중 하나로 나열되어 있다.[10]
쇼키에서 발견된 천국 다카마가하라 다카마하라의 신에게 오나우치가 아시하라-나카쓰쿠니를 세습한 신화의 변형판은 '오모노누시'를 영의 보이지 않는 세계를 지배하기 위해 물리적 영역을 떠난 후 오나우치의 이름으로 취급한다.이 이야기에서 오나우치아스오모노누시는 아들 고토시로누시와 함께 다카마가하라로 올라가 천상의 가미에게 충성을 맹세한다.원신 다카미무수비는 그 보답으로 딸 미호쓰히메(三三姫)를 아내로 맞아들이게 한 다음, '80여 무수한 신'으로 다시 지구로 보내어 아마테라스 여신의 후손인 일본 황실의 후견인이 되게 한다.[11]
In the Izumo no Kuni no Miyatsuko no Kanʼyogoto, Ōnamochi (Ōkuninushi), after relinquishing his authority over the land, attaches his nigitama (和魂, 'gentle spirit') in an 'eight-hand mirror' (八咫鏡 yata no kagami), which he then enshrined in Miwa under the name 'Yamato-no-Ōmononushi-Kushimikatama-no-Mikoto' to serve as a patron of the imperial house그가 야마토 지역의 여러 사당에 설치한 자녀들과 [1][12]함께
이스케요리히메 (이즈히메)

The Kojiki relates that when Kamuyamato-Iwarebiko (also known as Emperor Jimmu), the great-grandson of Ninigi (Amaterasu's grandson who came down from heaven to govern Ashihara-no-Nakatsukuni after it was surrendered by Ōkuninushi), was searching for a wife, he was told about a woman named Seyadatarahime (勢夜陀多良比売) who bore a daughter after she was도랑에서 배변을 하다가 붉은 화살의 형태를 취하고 성기를 때린 오모노누시에게 함침되었다.이웨어비코는 이 딸을 호토타타라-이수스키히메(Hotototatara-Isuskihim) 또는 히메타타라-이수케요리히메(Himetatara-Iskeyhim;[7][13][14] 比多良伊;;;;;;;;;;;;;;;;;;;;;;;;;;;;;;;;;;;;;;;;;;;;;;;;;;;;;;;;;;;;;;;;;;;;;;;;;;;;;;;;
니혼쇼키 1권의 주요 서술은 먼저 이 딸을 묘사한 반면, 코지키와 일치한 오미와(즉, 오모노누시)의 신의 자손으로서 히메타타타라-이수즈히메( (媛et鞴 ()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그 직후에는 고토시로누시 신의 자녀로 묘사되는 대체 계제가 뒤따른다.다마쿠시히메(田馬hime)라고도 알려진 미조쿠히히메(美子hi)[15]는 고토시로루시가 자신을 거대한 완이로 변신시켜 그녀와 성교를 한 후 착안했다.마찬가지로 3, 4권의 주요 서술은 그녀를 오모노누시라기보다는 고토시로누시의 딸로 언급하고 있다.[16][17]
오타타네코와 이쿠히가 오모노누시를 섬기다
고지키와 니혼쇼키 모두 수진 천황 때 일련의 엄청난 재앙이 나라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이후 가미의 뜻을 확인하기 위해 점괘를 행한 후, 천황은 꿈(코지키)이나 천황의 거인 야마토토히모소히메(山島-토토히모쇼히메)가 전한 신탁을 통해 오모노누시로부터 계시를 받았다.In it, Ōmononushi claimed responsibility for the pestilence and announced that it would not stop until he was offered due worship by a man named Ōtataneko (意富多多泥古命 / 大田田根子), who is either his son (Shoki) or his great-great-grandson (Kojiki) through a woman named Ikutamayorihime (活玉依毘売 / 活玉依媛).오타타네코가 발견되어 오모노누시를 사당에서 모시게 된 후, 전염병은 중단되었다.오타타네코는 가모 가모 가모와 미와 가모 가모 가문과 미와 가모 가문의 조상이라고 여겨진다.[18][19][20][21]
쇼키는 수진이 오모노누시에게 바치는 사케의 양조장으로 이쿠히(hi日)라는 또 다른 개인을 임명했다고 덧붙인다.미와에 있는 사당에서 신에 대한 예배가 행해졌을 때, 이쿠히는 다음과 같은 노래를 부르면서 황제에게 이 신성한 사케(미키)의 일부를 바쳤다.[20]
코노미키와와 | 이 신성한 사케 |
—W. G. Aston에[20] 의한 번역 |
그 후 사당에서 잔치가 열렸고, 그 후 황제는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우마자케 | 미와 홀 |
—W. G. Aston에[20] 의한 번역 |
이쿠타마요리히메와의 불륜
코지키는 오오타네코가 이쿠타마요리히메와 불륜을 저지른 사연과 함께 오모노누시의 사제로 임명된 이야기를 따른다.
아름다운 이쿠타마요리히메는 아이를 데리고 온 잘생긴 젊은 이방인이 밤마다 찾아왔다.남자의 정체를 밝혀내고 싶어 안달인 이쿠타마요리히메의 부모는 남자의 옷자락에 삼베 실을 꿰매라고 충고했다.이튿날 아침, 실밥은 그녀의 방 문 열쇠구멍을 지나 곧장 미와산으로 통하는 것이 발견되었다.이에 따라 이쿠타마요리히메와 그녀의 부모는 그녀의 연인이 산의 신 오모노누시였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이 전설은 '미와'라는 이름을 남아 있는 삼베 실의 세 개(미-)의 고리 또는 꼬임(와)에서 유래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23][24][25]
야마토토히모소히메의 죽음
니혼쇼키는 고레이 천황과 수진 천황의 딸 야마토토히모소히메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다.
야마토토토히모노쇼히메는 오모노누시와 혼례를 치렀지만, 신은 밤에만 그녀를 찾아왔고 낮에는 결코 볼 수 없었다.그녀가 그의 진짜 모습을 보자고 하자, 그는 그녀의 빗통에 숨었고, 그곳에서 그녀는 그를 작은 뱀으로 발견했다.그녀의 경보로 뱀이 부끄러움과 분노로 미와산으로 도망간 후, 회한에 빠진 야마토토토히모쇼히메는 젓가락으로 그녀의 성기를 찌르고 죽는다.[26]
이 설화는 미와 산 서쪽 기슭에 있는 하시하카 코분(하시 (노)하카는 '찹스틱 무덤'이라는 뜻)의 유래 신화로 작용하는데, 이곳이 야마토토히모소히메의 무덤이라고 주장되고 있다.그 이야기이라고 자랑하는 tumulus가 돌로 장착 tomb[27]의 Ōsaka(大坂山, 마운트 Nijō과 나라와 오사카의 국경에 확인된 위치한 15.3km(9.5마일)서쪽)로 만든 화살은 낮에 남자들과 신들은 밤에에 의해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그 돌들을 그것의 건설에 사용된에서 운반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호모한 줄로 서서 돌을 이리저리 넘기는 인부들에 의해 마운드까지 [26]풀다
유랴쿠 천황과 미와산의 독사
유랴쿠 천황과 관련하여 쇼키에 기록된 에피소드는 미와산의[a] 신의 육체적 형태를 눈으로 직접 보고자 하는 황제가 치이사코베 노 슈가루(子子蠃)라는 가신에게 신위를 가져오라고 명령했다는 것과 관련된다.슈가루는 산으로 올라가 큰 뱀을 잡아 황제에게 선물했다.그러나 유랴쿠가 사전에 이성적으로 정화시키는 것을 소홀히 하자 독사는 천둥소리(혹은 소환된 천둥소리)를 내며 눈알이 번쩍였다.황제는 뱀이 무서워서 도망쳐 미와산으로 돌려보내라고 명령했다.이어 산(또는 슈가루)에게 '밑'이라는 뜻의 '이카즈치'(雷)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28]
이 이야기의 다른 변종은 니혼 료키(ca. 822 CE)에서 발견된다.그곳에서 슈가루는 황제가 황후와 사랑을 나누던 중 슈가루가 우연히 궁으로 들어간 후 천둥 신을 사로잡도록 명령을 받는다.그러자 슈가루는 밖으로 나가 황제 앞에 나타나기 위해 신을 불러들였는데, 이때 도유라데라 신전(나라현 아스카 마을의 현대 고겐지) 부근에 번개가 쳤다.슈가루는 사제들에게 이 번개(즉, 천둥의 신)를 가마에 넣으라고 보냈고, 그는 그 번개를 황제 앞에 가져갔다.황제는 신이 찬란한 섬광을 발하여 그것이 떨어진 언덕에 풀어 놓자 겁을 먹었는데, 이 섬광은 이카즈치노오카( (丘 ' '썬더힐')[30]로 알려지게 되었다.
후기 신화에서
13세기 말(가마쿠라 시대) 문헌인 미와 다이묘진 엥기(美와 다모노누시 엥기)는 불교적 틀 안에서 재해석된 오모노누시와 관련된 위의 신화 중 두 가지를 리텔링한 것이 특징이다.
- 오나무치가 오모노누시(니혼쇼키에서 발견된 신에 근거한 것)와 마주친 이야기를 엥기판에서는 미와에 안치된 신을 고타이진 텐쇼(高太津, 고전 신화의 아마테라스)라고 밝히고 있다.실로 미와산의 신 미와 다묘진, 이세 국 가미지 산의 신(즉, 고타이진)이다.이세신궁)은 본문에서 같은 천신 텐쇼/아마테라스의 두 다른 지상의 화신으로 취급되며, 그는 다시 비로자나불(다이니치)의 발현이다.그러나 동시에 본문에서는 미와 신의 지세가 신화시대 때 일어났다는 점에서 미와에 있는 사당이 이세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텐쇼 다이진은 훨씬 늦게 수인황제 때 이세상에 안치되었다.[31]
- 오모노누시가 이쿠타마요리히메와 교제하던 이야기는 여기서 중세 오미와 신사와 관련된 사찰(진구지)인 다고린지(大古仁之, 역시 오미와데라)의 유래 전설로 탈바꿈한다.
이 절은 수인왕 재위 99년에 세워진 최초의 불교 시설로, 인류 열한 번째[주권]이다.당시엔 어떤 타케이치하라 다이나곤(武一(二一)原大大)이 있었다.그에게는 딸이 한 명 있었다.이 [오미와] 사당의 신은 밤마다 몰래 길을 내어 이 여자와 사랑을 나누고 있었는데, 결국 남자 아이를 낳았다.여자의 부모는 물론 다른 모든[높고 낮음]들도 의심스러워하며 그 이유를 물었다.딸은 자기 자신과 타인의 의심을 풀기 위해 고운 실을 잡아 [연인의] 옷자락에 붙이며 실이 어디로 이어졌는지 알아보았다.대신사(오미야노샤단 大神社)의 제단인 세 곳 가운데로 바로 들어갔다.그때 그들은 그것이 [미와]의 대신이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그 후 다이나곤의 청에 따라 신(神)이 큰 뱀의 모습으로 나타나 왕자의 등을 핥았다(일부 전설에서는 그의 가슴을 핥았다고 한다).On the licked spot a golden mark appeared that said, "The Master of Great Things, of Upper First Rank, the Great Deity, Outstanding [for its services in the matters of state] (shō ichii daimyōjin kun ittō Ōmono no nushi 正一位大明神勲一等大物之主)." [...] The dainagon retired from the world to his own mansion and converted his private residence into a Buddhist절(가란 伽藍)오미와데라였습니다.[31]
- 이 이야기는 이 소년의 어머니가 출산 후 7일 만에 사망했다고 덧붙인다.왕자는 자라서 인정 많은 어머니를 그리워했다.비탄에 잠긴 소년을 위로하기 위해 미와 신은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모습이 새겨진 상을 주었다.그 후 왕자는 10대가 될 때까지 끊임없이 신의 사당에서 예배를 드렸는데, 그때 그는 성전 안의 감방에 몸을 숨기고 사마디로 들어가 다시는 나오지 않았다.6세기 후, 쇼토쿠 왕자가 이 절을 방문하여 왕자의 어머니상을 발견하였는데, 이 이야기는 열한 얼굴의 칸논(아발로키테스바라)의 주요 이미지와 동일시된다.[31]
참고 항목
메모들
참조
- ^ a b c Aston, William G. (1905). Shinto (The Way of the Gods). Longmans, Green & Co. p. 276.
- ^ Cranston, Edwin A. (1998). A Waka Anthology. Volume One: The Gem-Glistening Cup. Stanford University Press. p. 72.
- ^ Andreeva, Anna (2007). "Saidaiji Monks and Esoteric Kami Worship at Ise and Miwa". 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34 (2): 352. Retrieved 2020-10-01.
- ^ Nishimiya, Kazutami (2014). Shinchō Nihon Koten Shūsei: Kojiki (新潮日本古典集成 古事記). Shinchōsha.
- ^ Inoue, Michiyasu (1931). Harima Fudoki Shinkō (播磨風土記新考). Ōokayama Shoten. pp. 513–515.
- ^ Records of Wind and Earth: A Translation of Fudoki,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ies. Translated by Aoki, Michiko Y.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Inc. 1997. p. 231.
- ^ a b Philippi, Donald L. (2015). Kojiki.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115–117.
- ^ 체임벌린 (1882)섹션 XXVII.—8-럭-스피릿-더-원더풀-스피릿
- ^ Aston, William George (1896). Wikisource. .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p. – via
- ^ Aston, William George (1896). Wikisource. .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p. – via
- ^ Aston, William George (1896). Wikisource. .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p. – via
- ^ Tsugita, Uruu (1928). Norito Senmyō: Kōchū (祝詞宣命 校註). Meiji Shoin. pp. 96–97.
- ^ R. A. B. Ponsonby-Fane (3 June 2014). Studies In Shinto & Shrines. Taylor & Francis. p. 412. ISBN 978-1-136-89301-8.
- ^ Kadoya, Atsushi. "Ōmononushi". Encyclopedia of Shinto. Kokugakuin University. Retrieved 22 September 2015.
- ^ Aston, William George (1896). Wikisource. .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p. – via
- ^ Aston, William George (1896). Wikisource. .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p. – via
- ^ Aston, William George (1896). Wikisource. .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p. – via
- ^ Philippi, Donald L. (2015). Kojiki.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201–202.
- ^ 체임벌린 (1882)섹션 LXIV.—제2부 수진(제2부).—해충은 오호타타네코(Oho-tata-ne-ko)의 스테이드(Staid)
- ^ a b c d Aston, William George (1896). Wikisource. .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pp. – via
- ^ Handbook of Contemporary Japanese Religions. BRILL. 3 September 2012. p. 85. ISBN 978-90-04-23436-9.
- ^ a b Takeda, Yūkichi, ed. (1948). Kiki Kayoshū (記紀歌謡集). Iwanami Shoten. pp. 122–123.
- ^ Philippi, Donald L. (2015). Kojiki.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203–204.
- ^ 체임벌린 (1882)섹션 LXV.—엠페로르 수진 (PART III: 오호타타네코의 탄생 이야기)
- ^ Carmen Blacker (2 August 2004). The Catalpa Bow: A Study of Shamanistic Practices in Japan. Routledge. p. 94. ISBN 978-1-135-31873-4.
- ^ a b Aston, William George (1896). Wikisource. .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pp. – via
- ^ Izumori, Kō (1984). Yamato no kofun o kataru (大和の古墳を語る). Rokkō Shuppan. p. 104.
- ^ a b Aston, William George (1896). Wikisource. .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p. – via
- ^ Mori, Mizue. "Udanosumisaka". Encyclopedia of Shinto. Kokugakuin University. Retrieved 2020-10-07.
- ^ Nakamura, Kyoko Motomuchi (2013). Miraculous Stories from the Japanese Buddhist Tradition: The Nihon Ryoiki of the Monk Kyokai. Routledge. pp. 102–103.
- ^ a b c Andreeva, Anna (2010). "The Karmic Origins of the Great Bright Miwa Deity: A Transformation of the Sacred Mountain in Premodern Japan". Monumenta Nipponica. 65 (2): 245–296. doi:10.1353/mni.2010.0003. JSTOR 41303211. S2CID 162818503.
참고 문헌 목록
- Andreeva, Anna (2010). "The Karmic Origins of the Great Bright Miwa Deity: A Transformation of the Sacred Mountain in Premodern Japan". Monumenta Nipponica. 65 (2): 245–296. doi:10.1353/mni.2010.0003. JSTOR 41303211. S2CID 162818503.
- 아오키, 미치코 Y, tr. (1997년)바람과 지구의 기록: 후도키의 번역, 소개와 논평이 있다.아시아학 협회ISBN 978-0924304323.
- 애스턴, 윌리엄 조지, 창간호(1896년)니혼기: 초기 타임즈부터 서기 697. 2권까지의 일본 연대기.케건 폴, 1972년 터틀 재인쇄
- 체임벌린, 바질 H, tr. (1919)《고대 물질 기록》. 1981년 《터틀 재인쇄》.
- 필리피, 도널드 L.(2015).코지키 입니다프린스턴 대학 출판부.ISBN 978-1400878000.
외부 링크
- 오미와 신사 공식 홈페이지(일본어)
- 오수기 신사 공식 홈페이지(일본어)
- 고토히라 신사 공식 홈페이지(일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