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 43°41'46.68 ″N 20°38'44.66 ″E / 43.6963000°N 20.6457389°E / 43.6963000; 20.6457389

ž이치차

Žiča
ž이치차 수도원
ž이치차 수도원
Žiča is located in Serbia
Žiča
세르비아 내 위치
수도원 정보
풀네임Манастир - Жича
주문세르비아 정교회
설립된1207-1217
전용그리스도인 팬터크라토르
교구Eparchy of Žiča
사람
설립자슈테판 프보벤차니
연관된 중요 수치슈테판 밀루틴
건축
유산지정유달리 중요한 문화재
지정일자1947
위치
위치Trg 요바나 사리차 1, 세르비아 크랄예보
좌표43°41'46.68 ″N 20°38'44.66 ″E / 43.6963000°N 20.6457389°E / 43.6963000; 20.6457389
공용접속네.
웹사이트www.zica.org.rs/english

ž치차 수도원(세르비아어: м анастир ж ича, 로마자: 마나스티르 ž치차, ʒî ʃ타(, ) 또는 ʒîːʃ타()는 세르비아의 크랄예보 인근에 있는 13세기 초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입니다. 이 수도원은 신성한 기숙사의 교회와 함께 세르비아의 초대 스테판 1세세르비아 교회의 초대 수장인 성 사바에 의해 지어졌습니다.

ž치는 대주교 (1219년 ~ 1253년)의 소재지였고, 전통적으로 세르비아 왕들의 대관식 교회였습니다. 비록 어떤 세르비아 교회에서도 왕이 즉위할 수 있었지만, 그는 ž디차에 임명되기 전까지는 진정한 왕으로 여겨지지 않았습니다. ž치차는 1979년에 예외적으로 중요한 문화적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세르비아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2008년, ž치는 존재의 800년을 기념했습니다.

배경

세르비아 교회 설립

ž이치차 수도원 입구

세르비아인들은 처음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지도 하에 오흐리드 대주교의 관할 하에 있었습니다. 스테판 네마냐(Stefan Nemanja)의 아들인 라스트코 네만치(Rastko Nemanjich)는 이전에 미로슬라프 대공(Miroslav Grand Prince)[3]이 보유했던 훔(Hum)의 대공(Grand Prince 1190-1192)으로 통치했습니다.[4] 1192년 가을(혹은 그 직후)[5]

라스트코는 러시아 승려들과 함께 아토스 산으로 여행을 가서 수도 서약을 하고 몇 년을 보냈습니다. 1195년, 그의 아버지가 그와 합류했고, 그들은 함께 세르비아 종교의 근거지인 칠란다르를 설립했습니다.[6] 라스트코의 아버지는 1199년 2월 13일 힐란다르에서 사망했고, 후에 성 시메온(Saint Simeon)으로 시성되었습니다.[6] 라스트코는 카리에스에 교회와 감방을 지었고, 그곳에서 몇 년간 머물면서 히에로몽크가 되었고, 그 후 1201년에 아르키만드라이트가 되었습니다. 그는 그곳에 머무는 동안 카리스 타이피콘을 썼습니다.[6]

그는 1207년에 아버지의 유해를 가지고 세르비아로 돌아왔고, 그는 이전에 후계 분쟁을 벌이던 부칸과 스테판 네마냐 2세를 화해시키고 스투데니카 수도원으로 이주했습니다. 스테판 네마냐 2세는 그에게 성직자들과 함께 세르비아에 머물 것을 요청했습니다. 는 ž티차 수도원을 포함한 여러 교회와 수도원을 설립했습니다.

토대

수도원은 1208년에서 1230년 사이에 슈테판 프르보벤차니 왕과 성 사바[6]라시아 양식의 건축 양식으로 그리스의 거장들의 도움을 받아 설립했습니다.[7]

스테판 1세 а о은 미래의 세르비아 왕 а르 е о를 ž리치 а에서 즉위시키라고 명령했습니다.

역사

수도원에 있는 거룩한 기숙사 교회
Žiča in 1889

1219년, 시어도어 1세 라스카리스 황제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마누엘 1세에 의해 세르비아 교회는 자가두증을 얻게 되고, 아르키만드라이트 사바가 세르비아의 첫 번째 대주교가 됩니다.[9] 수도원은 모든 세르비아 땅의 대주교 자리를 맡고 있습니다. 성 사바는 형 스테판 프르보벤차니를 ž디차 수도원에서 "모든 세르비아의 왕"으로 칭했다. 1221년 ž티차 수도원에서 보고밀교를 비난하는 시노드가 열렸습니다.

세르비아가 헝가리의 침략을 받았을 때, 성 사바는 새로운 감독청을 설립하기 위해 아르세니예 스레막을 남쪽에 더 안전한 장소를 찾기 위해 보냈습니다. 1253년 아르세니제에 의해 페치 대주교구(현재의 총대주교구)로 이전되었습니다.[10] 세르비아 영장류는 그 이후로 두 영장류 사이를 이동했습니다.[11]

1289-90년에 성 예브스타티제 1세의 유해를 포함한 폐허가 된 수도원의 주요 보물들이 페치로 옮겨졌습니다.[12]

1219년 ž시는 세르비아 대주교의 첫 번째 자리가 되었습니다. 우리 주님의 승천을 위해 헌신하는 교회는 라스카 학파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지상 계획은 동쪽 끝에 큰 구멍이 있는 넓은 배꼽 모양입니다. 중앙 공간은 돔형입니다. 교회는 돌과 벽돌로 지어졌습니다. 건축학적으로 비잔틴 정신이 우세합니다. 그림에는 세 개의 층이 있으며 각각 별개의 개체입니다. 최초의 프레스코화는 초대 대주교 사바가 니케아에서 돌아온 직후(1219년) 그려졌지만, 이 중 일부만이 합창단에서 보존되고 있습니다. 1276년에서 92년 사이에 쿠만족이 수도원을 불태웠고 스테판 밀루틴 왕은 1292년에서 1309년에 이브스타티제 2세의 재임 기간 동안 수도원을 개조했습니다.[10] 니콘 [11]총대주교는 1430년대 터키-헝가리 전쟁 이후 수도가 스메데레보로 옮겨졌을 때 데스포트 주라지 브란코비치와 함께 했습니다.

보수 공사는 대주교 예브스타티제 2세 (1292-1309)와 니코딤 (1317-37) 시기에 이루어졌는데, 당시에 식당은 프레스코 벽화로 장식되었고, 교회는 납 지붕으로 덮여 있었고, 탑이 세워졌습니다. 그 새로운 프레스코화들은 밀루틴 왕의 치세 동안 그려졌지만, 그 이후로 그것들은 심각한 손상을 입었습니다. 조각들은 나르텍스, 네이브, 사이드채플에 있는 탑 아래 통로의 동쪽 벽(스테판 네마냐 2세와 그의 장남 라도슬라프의 구성)에서 현재까지 남아 있습니다.[13]

1941년 세르비아 봉기 동안 크랄예보 포위전의 첫 번째 교전은 1941년 10월 9일 이른 오후에 ž티차 수도원 근처에서 밀루틴 얀코비치가 지휘하는 체트니크 부대가 독일 부대를 공격하여 독일군이 수도원을 포격한 후 크랄예보로 후퇴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10월 10일, 독일 공군은 ž티차 수도원에 5대의 비행기를 동원해 폭격을 가했고, 수도원 교회가 크게 파손되었습니다. 수도원 근처의 전투는 10월 11일 이른 아침 독일인들이 반란군의 경계를 허물고 수도원을 불태울 때까지 계속되었습니다.[16]

프레스코즈

판토크라테스를 묘사한 프레스코화입니다.[17][18]

갤러리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Pravopisna komisija, ed. (1960). "Žiča". Pravopis srpskohrvatskoga književnog jezika (Fototipsko izdanje 1988 ed.). Novi Sad, Zagreb: Matica srpska, Matica hrvatska. p. 288.
  2. ^ "Споменици културе у Србији". Spomenicikulture.mi.sanu.ac.rs. 1947-10-25. Retrieved 2016-09-24.
  3. ^ 중세 후기 발칸반도, 19-20쪽.
  4. ^ 중세 후기 발칸반도, 52쪽
  5. ^ A. P. Vlasto (2 October 1970). The Entry of the Slavs Into Christendom: An Introduction to the Medieval ... p. 218. ISBN 9780521074599. Retrieved 2016-09-24.
  6. ^ a b c d e Đuro Šurmin (1808). "Povjest književnosti hrvatske i srpske". Books.google.com. p. 229. Retrieved 2016-09-24.
  7. ^ a b A. P. Vlasto (2 October 1970). The Entry of the Slavs Into Christendom: An Introduction to the Medieval ... p. 222. ISBN 9780521074599. Retrieved 2016-09-24.
  8. ^ Kalić, Jovanka (2017). "The First Coronation Churches of Medieval Serbia". Balcanica. Belgrade (XLVIII).
  9. ^ a b 실비오 페라리, W 콜 더럼, 엘리자베스 A. Sewell, Law and Religion in post-communist Europe, 2003, p. 295; ISBN 978-90-429-1262-5
  10. ^ a b [1][데드링크]
  11. ^ a b Stevan K. Pavlowitch (2002). Serbia: The History Behind the Name. p. 11. ISBN 9781850654766. Retrieved 25 April 2017.
  12. ^ Radivoje Ljubinković (1975). "The Church of the Apostles in the Patriarchate of Peć". Books.google.com. Retrieved 25 April 2017.
  13. ^ "Monasteries and churches". Serbia Visi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uly 2019. Retrieved 25 April 2017.
  14. ^ Nikolić, Kosta (2003). Dragan Drašković, Radomir Ristić (ed.). Kraljevo in October 1941. Kraljevo: National Museum Kraljevo, Historical Archive Kraljevo. p. 32.
  15. ^ Nikolić, Kosta (2003). Dragan Drašković, Radomir Ristić (ed.). Kraljevo in October 1941. Kraljevo: National Museum Kraljevo, Historical Archive Kraljevo. p. 32.
  16. ^ Nikolić, Kosta (2003). Dragan Drašković, Radomir Ristić (ed.). Kraljevo in October 1941. Kraljevo: National Museum Kraljevo, Historical Archive Kraljevo. p. 33.
  17. ^ Moran, Neil K. (1986). Singers in Late Byzantine and Slavonic Painting: - Neil K. Moran. ISBN 9004078096. Retrieved 22 April 2013.
  18. ^ Underwood, Paul Atkins (1967). The Kariya Djami - Paul A. Underwood. ISBN 9780710069320. Retrieved 22 April 2013.
  19. ^ (그리스어로) 스테파노스 파파스, 공동체, 지방 자치체이오안니나 현의 형성과 진화, 2004. Original title: Στέφανος Παππάς, Σύσταση και Διοικητική Εξέλιξη των Κοινοτήτων, των Δήμων & του Νομού Ιωαννίνων, λήμμα Δήμος Ζίτσας. Έκδοση ΤΕΔΚ Νομού Ιωαννίνων, 2004; ISBN 960-88395-0-5

서지학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