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3
밀레니엄: | 제2천년기 |
---|---|
세기: | |
십수년: | |
연도: |
주제별1233번길 |
---|
리더스 |
출생 및 사망 범주 |
출생 – 사망 |
설치 및 설정 해제 카테고리 |
시설 – 설치 해제 |
미술과 문학 |
시화로1233번길 |
그레고리력 | 1233 MCCXXXXIII |
아브르베 콘디타 | 1986 |
아르메니아력 | 682 ԹՎ ՈՁԲ |
아시리아력 | 5983 |
발리 사카 달력 | 1154–1155 |
벵골 달력 | 640 |
베르베르 달력 | 2183 |
영예로운 해 | 17 암탉 3 – 18 암탉 3 |
불교 달력 | 1777 |
버마력 | 595 |
비잔틴 달력 | 6741–6742 |
중국 달력 | 壬辰年 (수룡) 3929년 또는 3869년 — to - 癸巳年 (물뱀) 3930년 또는 3870년 |
콥트 달력 | 949–950 |
불협화음력 | 2399 |
에티오피아 달력 | 1225–1226 |
히브리어 달력 | 4993–4994 |
힌두교의 달력 | |
- 비크람 삼바트 | 1289–1290 |
- 샤카삼바트 | 1154–1155 |
- 칼리 유가 | 4333–4334 |
홀로세 달력 | 11233 |
이그보 달력 | 233–234 |
이란의 달력 | 611–612 |
이슬람력 | 630–631 |
일본 달력 | 조에이 2 / 덴푸쿠 1 (天福元年) |
자바력 | 1142–1143 |
율리우스력 | 1233 MCCXXXXIII |
한국 달력 | 3566 |
민궈 달력 | ROC 전 679년 民前679年 |
나낙샤히 달력 | −235 |
태국의 태양력 | 1775–1776 |
티베트 달력 | 阳水龙年 (남수룡) 1359년 또는 978년 또는 206년 — to - 阴水蛇年 (암수뱀) 1360년 또는 979년 또는 207년 |

헨리 1세(뚱뚱한 사람)는 메시지를 받는다.
1233년(MCCXXX)III)는 줄리안 달력의 토요일(링크에 전체 달력이 표시됨)에 시작되는 일반적인 해였다.
이벤트
장소별
유럽
- 롬바르드의 전쟁: 키레니아의 롬바르드 군대는 10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베이루트의 존에게 항복한다.수비수들은 개인 소지품을 가지고 티레로 은퇴할 수 있다.붙잡힌 죄수들은 롬바르드의 사령관인 리차드 필랑기에리가 티레에 억류한 죄수들과 교환된다.키프로스는 16세의 헨리 1세(뚱뚱한 사람)의 지배하에 완전히 회복된다.그의 신하들은 상을 받고, 그들이 한 대출은 갚는다.[1]
- 8월 20일 – 베레그 선서: 헝가리의 앤드루 2세는 교황청에 유대인과 이슬람교도들을[2] 고용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 윈터 – Reconquista: 페르디난드 3세(성인) 왕이 트루히요와 우베다의 도시를 정복한다.카스티야 군은 페니스콜라 시를 포위한다.페르디난드는 사라고사의 타이파 통치자인 이븐 허드에게 휴전에 서명하도록 강요한다.[3]
잉글랜드
- 8월 – 펨브로크 제3대 백작 리처드 마샬이 릴레린 대왕과 동맹을 맺고 헨리 3세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킨다.리차드는 9월에 우스크 성의 수비대가 항복할 수밖에 없는 왕실 집행관들의 요구에 직면해 있다.
- 11월 – 그로스몬트 성에 진을 친 헨리 3세의 군대는 웨일스와 영국 반군의 군대에 의해 밤에 공격을 받는다.헨리의 지지자 몇 명이 붙잡히고 성은 반란군 중 한 명인 휴버트 드 버그에게 반환된다.
몽골 제국
- 5월 29일 – 몽골-진 전쟁:외게다이 칸이 이끄는 몽골군은 13개월간의 포위전 끝에 진나라(대진)의 수도 카이펑을 점령한다(카이펑 포위전 참조).몽골인들은 도시를 약탈하고, 진의 아이종 황제는 카이저우 마을을 향해 출격한다.한편 외게데이는 마지막 정복을 떠나 자신이 아끼는 장군 수부타이에게 맡긴다.
- 12월 – 카이저우 전투:외게다이칸 휘하의 몽골인들은 카이저우(海州)를 포위하고 중국 송나라와 동맹을 맺어 진나라를 척결한다.
주제별
시티 앤 타운스
종교
출생
- 8월 15일 – Philip Benizi, 이탈리아 종교 지도자 (d. 1285년)
- 부르고뉴의 애들레이드, 브라반트 공작부인 (d. 1273년)
- 알나와위, 시리아 학자, 법학자, 작가 (d. 1277년)
- 최의, 한국군 지도자 겸 독재자 (d. 1258년)
- Ibn al-Quff, Ayubid 내과 및 외과의사 (d. 1286)
- Ibn Manzur, 아랍어 사전 편찬자 겸 작가 (d. 1312)
- 카스티야의 산초, 톨레도 대주교 (1261년)
죽음
- 1월 6일 – 마틸다(또는 Maud), 영국 귀족(b. 1171)
- 1월 18일 – 양(또는 공성), 중국 황후(b. 1162)
- 2월 12일 – Ermengarde de Beaumont, 스코틀랜드의 여왕
- 3월 1일 – 토마스 1세(또는 토마소), 사보이 백작(b. 1178년)
- 7월 8일 – 코노에 모토미치, 일본 귀족 (b. 1160)
- 7월 26일 – 우트레흐트의 왕자 주교 올덴부르크의 윌브랜드
- 7월 27일 – 페르디난드(또는 페란드), 플랜더 수(b. 1188)
- 7월 29일 – 프랑스 귀족 사바리 드 몰레온 (b. 1181년)
- 7월 30일 – 콘라트 폰 마르부르크, 독일 신부 (b. 1180)
- 10월 8일 – Ugo Canefri, 이탈리아 보건원 (b. 1148)
- 11월 22일 – 브런즈윅뤼네부르크 공작 부인 헬레나
- 11월 27일 – 중국 정치인 시미위안(b. 1164)
- 알리 이븐 알 아티르, 셀주크 역사학자 겸 전기작가 (b. 1160)
- 베르트란 드 본(lo Filhs), 프랑스어 트러블다두르(b. 1179)
- 안디옥의 왕자 보헤몬드 4세 (11275)
- 후지와라노 슌시, 일본 황후(b. 1209)
- 괴크보리(파란늑대), 아유비드 장군 겸 통치자(b. 1154년)
- 기옌 페레스 데 구즈만, 스페인 귀족 (b. 1180)
- 비잔틴 주교 겸 신학자 존 아포카우코스
- 마리아누스 2세(토레스의 마리아누스 2세), 로구도로의 사르디니아 판관
- 프랑스 귀족 앙굴렘의 마틸드 (b. 1181년)
- Sayf al-Din al-Amidi, Ayyubid 학자 및 법학자 (b. 1156)
- 조인빌의 사이먼, 프랑스 귀족과 기사 (b. 1175)
- 윌리엄 코민, 스코토 노먼 귀족 (b. 1163년)
- 헝가리의 여왕 욜란다 데 쿠르테나이
참조
- ^ 스티븐 런시먼(1952년).십자군 전쟁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169-170페이지. ISBN978-0-241-29877-0.
- ^ Berend, Nora (2001). At the Gate of Christendom: Jews, Muslims and "Pagans" in Medieval Hungary, c. 1000-c.13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58. ISBN 978-0-521-02720-5.
- ^ Lourie, Elena (2004). Jews, Muslims, and Christians in and around the Crown of Aragon: essays in honour of Professor Elena Lourie. Brill. p. 270. ISBN 90-04-129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