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1
밀레니엄: | 제2천년기 |
---|---|
세기: | |
십수년: | |
연도: |
주제별1231번길 |
---|
리더스 |
출생 및 사망 범주 |
출생 – 사망 |
설치 및 설정 해제 카테고리 |
시설 – 설치 해제 |
미술과 문학 |
시화로1231번길 |
그레고리력 | 1231 MCCXXXI |
아브르베 콘디타 | 1984 |
아르메니아력 | 680 ԹՎ ՈՁ |
아시리아력 | 5981 |
발리 사카 달력 | 1152–1153 |
벵골 달력 | 638 |
베르베르 달력 | 2181 |
영예로운 해 | 15 암탉 3 – 16 암탉 3 |
불교 달력 | 1775 |
버마력 | 593 |
비잔틴 달력 | 6739–6740 |
중국 달력 | 庚寅年 (메탈타이거) 3927년 또는 3867년 — to - 辛卯年 (금토끼) 3928년 또는 3868년 |
콥트 달력 | 947–948 |
불협화음력 | 2397 |
에티오피아 달력 | 1223–1224 |
히브리어 달력 | 4991–4992 |
힌두교의 달력 | |
- 비크람 삼바트 | 1287–1288 |
- 샤카삼바트 | 1152–1153 |
- 칼리 유가 | 4331–4332 |
홀로세 달력 | 11231 |
이그보 달력 | 231–232 |
이란의 달력 | 609–610 |
이슬람력 | 628–629 |
일본 달력 | 강기3길 (寛喜3年) |
자바력 | 1140–1141 |
율리우스력 | 1231 MCCXXXI |
한국 달력 | 3564 |
민궈 달력 | ROC 이전 681년 民前681年 |
나낙샤히 달력 | −237 |
태국의 태양력 | 1773–1774 |
티베트 달력 | 阳金虎年 (남성 아이언타이거) 1357년, 976년, 204년 — to - 阴金兔年 (여자 아이언 래빗) 1358년 또는 977년 또는 205년 |
1231년(MCCXXXI)은 줄리안 달력의 수요일(링크에서 전체 달력을 표시함)부터 시작되는 흔한 해였다.
이벤트
장소별
유럽
- 프레데릭 2세 황제는 살레르노의 칙령뿐만 아니라 시칠리아에 대한 법률 모음집인 멜피(리버 아우구스탈리스) 헌법을 공포하여 의학의 행사를 규제하고 의학과 약학의 전문직을 분리하며 의과대학에 해부를 의무화하고 있다.[1]
- 페르디난드 3세(성인) 휘하의 카스티야 군은 케사다 시를 다시 점령한다.[2]
- 예레스 전투:페르디난드 3세는 무르시아의 타이파의 에미르 이븐 허드를 꺾는다.
잉글랜드
- 봄 – 휴버트 드 버그는 웨일스 행진에서 강력한 영주가 되어 카디건과 카르마텐 성을 지배한다.그는 지역 웨일스 지도자들을 위협하기 시작했으며, Llywelin 대왕은 웨일즈에서 노르만 영주권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 8월 13일 – 헨리 3세는 햄프셔, 도르셋셔, 윌트셔의 보안관에게 그의 아버지인 시몬 드 몽포르(더 엘더)의 소유권을 시몬 드 몽포르에게 주라고 명령한다.
- 12월 – 헨리 3세는 웨일스 캠페인을 끝내고 릴리웰린 대왕과 화해한다.[3]
- 케임브리지 대학은 헨리 3세에 의해 왕실 헌장을 수여받는다.
레반트
- 가을 – 프레데릭 2세는 리처드 필랑기에리 마샬을 그의 황실 공관으로 임명하고, 대부분 롬바드로 구성된 원정군을 보내 예루살렘을 방어한다.그는 600여 명의 기사, 100여 명의 '군함대'와 700여 명의 무장 보병, 3000여 명의 해병대를 모은다.그 군대는 32명의 군인이 지원한다.[4]
- 롬바르드의 전쟁: 리차드 필랑기에리는 베이루트를 향해 항해하고, 그곳에서 도시는 그에게 넘겨진다.그는 시돈과 타이어를 점령하고 다른 롬바르드 세력이 에이커 앞에 나타난다.Acre에서 필랑기에리는 고등법원 회의를 소집하고 프레데릭 2세가 그를 대사(배일리)로 임명한 편지를 보여준다.[5]
중국
- 4월 9일 – 송나라 때 항저우 동남부에서 밤에 큰 화재가 발생한다.시야가 제한되어 불길과 싸우는 것은 어렵다.불이 꺼지면 시 전체 지구, 1만여 채의 주택이 불에 타 버린 것으로 파악됐다.
몽골 제국
- 아우구스트 – 외게데이 칸은 한국의 침략을 명령한다.몽골군이 압록강을 건너 국경도시 의주의 항복을 신속하게 확보한다.몽골인들은 고려 장군인 홍복원(洪福元)과 함께 1500여 가구에 이르는 부하들을 거느리고 편을 든다.[6]
- 쿠주 공방전:몽골군은 구주성을 포위한다.그들은 공격팀을 배치하여 포위탑과 사다리 규모를 조정한다.고려군이 수적으로 크게 열세임에도 불구하고 수비대는 항복을 거부하고 있다.
주제별
종교
- 4월 13일 – 교황 그레고리오 9세는 파렌스 사이언티어럼을 발행한다.황소는 파리 대학의 독립과 자치권을 보장한다.
출생
- 3월 17일 – 시조 (미쓰히토) 일왕 (1242년)
- 궈수징, 중국 천문학자 겸 엔지니어 (d. 1316)
- 제임스 살로모니(James Salomoni), 이탈리아 도미니카 신부, 이전 (1314년)
- 존 드 바렌느, 영국 귀족이자 기사 (d. 1304)
- 부르고뉴의 존, 프랑스의 귀족과 기사 (d. 1268년)
- 카스티야의 필립, 스페인 왕자 겸 대주교 (1274년 dd)
- 로저 모티머, 영국 귀족 및 크나트 (d. 1282년)
- 토마소 데글리 스테파니, 이탈리아의 화가 겸 예술가 (d. 1310)
- 비안덴의 욜란다, 룩셈부르크 프리오레스 (1283)
죽음
- 4월 6일 – 윌리엄 마샬, 영국 귀족 (b. 1190)
- 5월 7일 – Beatrice II, 프랑스 백작부인 팔라틴 (b. 1193)
- 6월 13일 – 포르투갈 신부 파두아의 앤서니 (b. 1195년)
- 7월 2일 – 헨리 1세, 독일 귀족(자링겐 가문)
- 8월 3일 – 캔터베리 대주교 리처드 르 그랜트
- 8월 28일 – 포르투갈의 엘리노르, 덴마크의 여왕
- 9월 3일 – 윌리엄 2세, 프랑스 귀족 (b. 1196)
- 9월 15일 – 루이 1세, 독일 귀족 (b. 1173)
- 11월 3일 – 와디스와프 3세, 폴란드 귀족 (b. 1167)
- 11월 6일 – 쓰치미카도 일본 천황(b. 1196년)
- 11월 17일 – 엘리자베스, 헝가리 공주 (b. 1207)
- 11월 28일 – 덴마크의 왕, 젊은이 발데마르
- 12월 7일 – 리차디스, 독일 귀족 (b. 1173년)
- 12월 11일 – 니벨레스의 아이다, 플랑드르 수녀 및 신비주의자
- 12월 25일 – 폴켓 드 마르셀하, 프랑스 주교
- 압드 알 라티프 알 바그다디, 압바스드 의사 (b. 1162)
- 아부사이드 알모하드의 지도자 겸 학자 (b. 1156)
- Aurembiaix, 스페인 백작 부인(House of Purbell) (b. 1196)
- 두인닌 OO 마올코네르, 아일랜드 역사학자, 시인, 작가
- 브란덴부르크의 엘리자베트 (b. 1206)
- 곤살로 로드리게스 기론, 스페인 귀족 (b. 1160)
- Ibn al-Qatan, 알모하드 이맘, 학자 및 지식인
- Ibn Muti al-Zawawi, Almohad 법학자, 문헌학자 및 작가
- 크와라즈미아 제국의 통치자 잘랄 알딘 망부니
- 매튜 피츠허버트 영국 귀족 겸 고등 보안관
- 마인하르트 2세(장로), 독일 귀족 및 기사
- 프랑스의 대집사 겸 신학자인 오세르의 윌리엄
- 자오루쿠오, 중국 역사학자 겸 정치인 (b. 1170)
참조
- ^ Rashdall, Hastings (1895). The Universities of Europe in the Middle Ages. Clarendon Press. p. 85. Retrieved November 20, 2016.
- ^ Peter Linehan (1999). "Chapter 21: Castile, Portugal and Navarre". In David Abulafia (ed.).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1198-c.130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668–673. ISBN 0-521-36289-X.
- ^ Hywel Williams(2005년)캐셀의 세계사 연대기 138. ISBN 0-304-35730-8.
- ^ 스티븐 런시먼(1952년).십자군 전쟁의 역사. Vol III: 에이커 왕국, 164페이지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먼(1952년).십자군 전쟁의 역사. Vol III: 에이커 왕국, 페이지 165.ISBN 978-0-241-29877-0
- ^ 피로젠코, 올레그(2005)몽골 지배기 홍보원 씨족의 정치동향, 240페이지.국제 한국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