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0년대
1210s밀레니엄: | 제2천년기 |
세기: | |
수십 년: | |
년: | |
카테고리: |
1210년대는 1210년 1월 1일에 시작해서 1219년 12월 31일에 끝난 율리우스력의 10년이다.
이벤트
1210
장소별
유럽
- 5월 – 플랑드르 황제 헨리(Henry of Flanders)가 소집한 제2차 라베니카 의회는 프랑크 왕국의 왕자와 그들 영토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 사이의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 그리스의) 라베니카 마을에서 열린다.모인 귀족들과 고위 성직자들은 어떠한 봉건적 [1]의무로부터도 그리스에 있는 모든 교회 재산의 독립성과 면책특권을 인정하는 협약을 체결한다.
- 7월 18일 - 게실렌 전투: 스베르커 2세(젊은이)는 에리크 10세(크누트손)에 의해 패배하고 죽임을 당한다.전투 후에 에릭은 스웨덴 왕좌에 올라 고 발데마르 1세(대왕)의 딸인 덴마크의 리체자 공주와 결혼한다.이는 전통적으로 스베르케르 왕가를 지지해 온 덴마크와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 11월 18일 – 오토 4세 황제가 이탈리아 남부 풀리아를 점령한 후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파문당한다.그는 웜스 협약을 파기하고 인노첸시오에게 황실의 권리를 인정하라고 요구한다.독일 내전이 발발하고 오토는 [2]시칠리아의 왕 프레데릭 2세에 대한 침략을 준비한다.
- 11월 21일 – 에릭 10세가 즉위한다 – 이것은 스웨덴 왕의 첫 번째 대관식이다.그는 매제인 발데마르 2세와의 관계를 돈독히 한다.얼마 지나지 않아 발데마르는 발트해 연안의 단치히(현재의 그단스크)와 슬라브족 [3]웬드족으로부터 동부 포메라니아를 정복한다.
- 위메라 전투: 에스토니아군이 리보니아 검의 형제들의 십자군을 물리칩니다.에스토니아인들은 도망치는 십자군을 쫓고 리보니아 연대기에 따르면 - 죄수들 중 일부는 산 채로 불태워지는 반면,[4] 다른 사람들은 처형되기 전에 칼로 등에 십자가를 새겼다.
잉글랜드
- 1208년 교황 금지령은 여전히 유효하다.
- 존(락랜드) 국왕은 세금을 연장하고 교회 재산에서 10만 파운드를 모금한다.그 작전은 현대 [5]소식통들에 의해 "추상할 수 없고 비교할 수 없는 강요"로 묘사된다.
- 11월 1일 - 존은 전국의 유대인들이 왕에게 얼마의 돈을 지불해야 한다고 명령한다.돈을 내지 않는 사람들은 체포되고 감옥에 갇힌다.많은 유대인들이 처형되거나 나라를 [6]떠난다.
레반트
- 9월 14일 – 몬페라토의 18세 마리아는 프랑스 귀족 브리엔의 존과 결혼하는데, 그는 (아우구스투스 왕과 인노첸시오 3세로부터) 40,000 파운드의 지참금을 가져온다.10월 3일, 이 부부는 티레 [7]대성당에서 예루살렘의 왕과 여왕으로 즉위한다.
아시아
- 몽골의 지도자이자 칭기즈칸의 장남인 조치는 키르기스인들을 상대로 캠페인을 시작한다.한편, 서샤의 황제 샹종은 몽골의 지배에 복종하는 것에 동의하고, 징기스와 결혼하여 딸 차카를 주고 그에게 낙타, 매, 직물을 [8]공물로 바친다.
- 12월 12일 - 츠치미카도 천황은 12년 만에 동생 준토쿠에게 왕위를 물려준다.그는 고토바 천황의 차남으로 일본의 84대 천황이 된다.
토픽별
예술과 문화
- 1210–1211 – 샤지는 페르시아(이란) 또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온 펜 상자를 만듭니다(현재 워싱턴 D.C.의 스미스소니언 인스티튜트 프리어 미술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 Gottfried von Strassburg는 그의 서사시 Tristan을 쓴다.
천문학
종교
-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의 탁아소 수도회 형성을 허락하여 소수도회 개시를 개시하였다.
- 런던 시티에 있는 세인트 헬렌 비숍게이트 교회는 베네딕토 수녀들의 수도회로서 설립되었습니다.
1211
장소별
비잔틴 제국
- 6월 17일 - 미안데르 강 안티오키아 전투:술탄 카이쿠스로 1세가 이끄는 셀주크군은 처음에는 측면 돌격으로 사상자를 가장 많이 낸 라틴 용병 기병(약 800명)과 함께 승리한다.테오도르 1세(라스카리스)가 이끄는 라틴군은 셀주크군의 측면과 후방을 공격한다.그러나 셀주크족은 라틴 진영을 약탈하기 위해 싸움을 중단한다. 이것은 테오도르의 군대가 결집하여 지금은 무질서한 터키인들을 반격할 수 있게 해준다.한편, 케이후스로는 테오도르를 찾아 단일 전투에 참여시키지만, 그는 목이 잘리고 참수된다.셀주크는 패주하고 테오도르의 장인인 전 비잔틴 황제 알렉시오스 3세(안젤로스)는 체포되어 투옥되어 강제적인 수도원 [9]은둔 생활을 마감한다.
- 10월 15일 - 린다쿠스 전투: 플랜더스의 라틴 황제 헨리는 페가이에 원정군(약 3,000명)과 함께 상륙하여 동쪽으로 진군하여 린다쿠스 강으로 향합니다.테오도르 1세가 이끄는 비잔틴군은 매복을 준비하지만, 헨리는 강을 따라 있는 그의 진지를 공격하고 하루 동안의 전투에서 비잔틴군을 물리친다.헨리는 반대하지 않고 남아 있는 비잔틴 땅을 지나 남쪽으로 [10]님파이온까지 행진합니다.
몽골 제국
- 봄 – 칭기즈칸은 몽골 족장을 소환하여 중국 북부에서 주르첸이 이끄는 진 왕조에 대항할 준비를 합니다.그는 약 10만 명의 전사들과 30만 마리의 말들과 함께 고비 사막을 가로질러 나아간다. 그들은 각각 5,000명에서 10,000명씩 10~20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낙타가 끄는 수레와 함께, 모두 빠르게 움직이는 전령들과 연결되어 있다.한편, 진 정부는 80만 명의 군사를 동원하는데, 대부분 사기가 떨어지는 미숙한 농민들과 15만 명의 고도로 훈련된 기병을 동원한다.그러나 이 거대한 군대는 만리장성을 넘어 분산되어 있으며,[11] 별도의 요새를 주둔시키고 있다.
- 예후링 전투:칭기즈칸은 거의 반대하지 않고 만리장성을 우회하여 그의 군대를 두 개의 군대로 나눈다.본군(60,000명)은 자신이 지휘하고, 다른 군대는 그의 아들 우게데이가 데리고 다퉁을 공격한다.징기스는 수도 중두(현재의 베이징)로 이어지는 전략적인 주용고개(젊은 오소리 입)로 향하지만, 도중에 그는 진군의 대부분이 그를 기다리고 있는 예허링 고개에서 멈춰 선다.3월과 10월 사이에 전투는 3단계로 진행되는데, 징기스는 금나라 군대를 물리친 후,[12] 겨울을 나기 전에 시골 지역을 습격하기 시작한다.
유럽
- 봄 – 알비겐 십자군:시몬 드 몽포르가 이끄는 십자군은 툴루즈를 정복하고 프랑스 남부 라바우르를 포위한다.5월 3일, 도시는 탈환된다; 몽포르의 명령에 따라 선임 기사들은 교수형에 처해지고 약 400명의 카타르는 [13]산 채로 불태워진다.
- 3월 26일 – 코임브라에서 25년간의 통치 끝에 산초 1세가 사망한다.그는 그의 아들 아폰소 2세에 의해 포르투갈의 통치자가 되었다.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포르투갈의 첫 번째 성문법을 고안했다.
- 리보니아 십자군:빌리안디와 투라이다 전투– 십자군은 빌리안디 요새를 정복하는 데 실패했지만, 사칼라와 우간디 카운티(에스토니아 남부)에 세례를 주었다.
- 9월 [14]- 16세의 프레데릭 2세가 독일 뉘른베르크 국회에서 반항적인 귀족(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지지)에 의해 부재중 독일 왕으로 선출됩니다.
잉글랜드
- 여름 – 존 왕(락랜드)은 웨일스에서 귀네드의 왕자 러웰린 대제에 대항하는 캠페인을 벌인다.웨일즈 폭동 이후인 7월 존과 라웰린은 합의에 도달하고 평화협정이 체결된다.
- 6월 – 교황 특사 판둘프 베라치오는 인노첸시오 3세의 파문과 함께 요한(락랜드)을 섬기기 위해 노샘프턴에 도착한다.존에게 이것은 나라를 통치하는 그의 능력에 심각한 타격이다.
- 존(락랜드)은 파문자 신분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수녀원에 청어 선물을 보낸다.
- 인노첸시오 3세가 내린 교황 금지령(1208년 참조)은 요한(락란드)이 교황의 지명자를 받아들이지 않은 후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아시아
토픽별
종교
- 4월 21일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11세기 비건)이 레온의 알폰소 9세 앞에서 봉헌된다.
- 오브리 대주교(혹은 험버트의 알베릭)는 랭스 대성당의 천막의 첫 번째 돌을 안치한다.
1212
장소별
잉글랜드
- 7월 10일 – The Great the Great Fire:런던의 몇몇 초기 화재들 중 가장 심각한 화재는 도시의 대부분을 태워버린다; 3,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죽는데, 그들 중 다수는 템즈 강에 빠져 죽는다.동시대의 한 설명에 따르면, "런던 다리의 사우스워크 쪽에서 끔찍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그것이 맹위를 떨치고 있는 동안, 다른 쪽 끝에서도 화재가 발생했고, 그래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모인 수많은 군중들이 몰려들었습니다.이재민들은 불길을 피하기 위해 다리를 건너 배와 바지선에 몸을 던졌지만, 이 중 많은 수가 가라앉아 사람들이 [15]몰려들었다.
- 존(락랜드) 왕은 주교들이 임명한 모든 고위 성직자들의 수입을 압류한다. 그들은 그의 파문 때 그를 버렸다.그러나 그는 올해 존에게 [16]보석을 물려준 샘프슨 수도원장을 비롯해 그의 곁을 지켜준 교회인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유럽
- 봄 – 아르고스가 함락된 후 십자군은 그리스 남부의 모레아 정복을 완료했다.이 도시는 나우플리아와 함께 [17]코린트로부터 400 하이퍼피론의 수입과 함께 부르고뉴 귀족인 오토 드 라 로슈에게 영지로 주어집니다.한편, 베네치아인들은 크레타를 정복하고 지중해에서 활동하던 제노바 탐험가이자 해적인 엔리코 페스카토레를 추방한다.
- 7월 16일 –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알폰소 8세(노블)의 기독교 세력은 칼리프 무함마드 알나시르가 이끄는 알모하드군(약 3만 명)을 결정적으로 물리쳤다.이 승리는 레콘키스타에게 더 많은 자극을 주지만,[18] 이것은 카스티야 왕국을 재정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한다. 왜냐하면 많은 군인들이 재무부에서 급여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 어린이 십자군은 조직되어 있다.양치기 소년들이 이끄는 젊은이들의 운동은 아마도 두 가지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두 가지 모두 성지로 가지 않는다. 하지만 두 가지 모두 상당한 [19]어려움을 겪고 있다.
- 튜턴 교단은 상인들이 다닐 수 있는 산길 입구에 요새화된 거점으로 부르젠란드(현 루마니아)에 브란 성(또는 디트리히슈타인)을 건설합니다.튜턴 기사단은 또 다른 5개의 성을 지었는데, 그 중 일부는 돌로 만들어졌다.헝가리에서 그들의 급속한 팽창은 이전에 그 지역에 관심이 없었던 귀족들과 성직자들을 질투하고 의심하게 만든다.
- 12월 9일 – 18세의 프레데릭 2세가 마인츠에서 독일인의 왕으로 즉위한다.독일에서 프레데릭의 권위는 여전히 미약하며, 그는 독일 남부에서만 인정받고 있다.구엘프 권력의 중심인 북부 독일의 드 지역에서는 경쟁자인 오토 4세가 [20]파문에도 불구하고 황권을 계속 쥐고 있다.
아시아
토픽별
문학.
종교
1213
- 5월 15일 – 영국의 존 왕은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게 복종하고,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다음 [22][23]해 1208년의 금지령을 해제한다.
- 5월 30일 – 댐 전투:제3대 솔즈베리 백작 윌리엄 롱스페가 이끄는 영국 함대는 신생 영국 [24][25]해군의 첫 번째 주요 승리로 벨기에 항구 앞바다의 프랑스 함대를 격파한다.
- 9월 12일 - 뮤레 전투:툴루즈의 레몽 6세와 아라곤의 페테르 2세의 툴루주와 아라곤군은 시몬 드 [26][27]몽포르가 이끄는 알비겐 십자군 원정에 의해 패배했다.
- 진중국은 두 번의 유혈 쿠데타와 오랜 포위에도 [28][29]불구하고 베이징만이 자유로워질 때까지 칭기즈칸이 이끄는 몽골족에 의해 점령된다.
-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30][31][32]예루살렘을 탈환하기 위한 제5차 십자군 원정을 촉구하는 헌장을 발표한다.
1214
장소별
비잔틴 제국
- 11월 1일 - 시노페 공성전:술탄 케이카우스 1세 치하의 셀주크 투르크족은 전략적인 흑해 항구도시 시노페를 점령했다.그 당시 트레비존드 제국이 지배하고 있었다(제4차 십자군 이후 형성된 비잔틴 후계국 중 하나).트레비존드의 알렉시오스 1세 황제는 포위망을 뚫기 위해 군대를 이끌지만 패배하고 생포된다.그의 생포는 비잔티움으로 하여금 카이카우스의 [33]지류 지위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했다.
유럽
- 2월 15일 - 존(락랜드) 왕은 침략군과 함께 라 로셸에 상륙한다; 영국의 많은 귀족들이 그의 캠페인에 동참하기를 거부한다.존은 그의 이복형제 윌리엄 롱스페(롱 소드)를 그곳에 용병 군대를 모으기 위해 돈을 가지고 플랜더스로 보낸다.존은 프랑스군을 푸아투에서 파리로 북동쪽으로 밀어내고, 오토 4세 황제는 [34]플랑드르에서 남서쪽으로 행진한다.
- 필립 2세(Augustus)는 루아르 계곡에서 존(Lackland)과 맞서기 위해 그의 아들 루이 왕자 휘하의 군대의 3분의 1을 남겨두고 프랑스 영토를 지키기로 결심한다.7월 2일, 존의 군대는 로슈-오-모앙 성을 포위하는 동안 프랑스 구호군과 대치한다.존은 라로셸로 후퇴하지만 그의 후위는 프랑스군에 [35]의해 엄청난 고통을 받는다.
- 6월 – 오토 4세는 소규모 군대를 이끌고 플랜더스에 도착한다; 4명의 독일 귀족들이 그와 합류했지만, 그는 곧 플랑드르 백작(주르 uxoris)과 윌리엄 롱스페의 용병들에 의해 강화된다.7월 26일, 필립 2세는 그의 군대(약 7,000명)와 함께 플랑드르 마을 투르나이(프랑스)에 도착한다.
- 7월 2일 – 1208년 영국 왕국에 대한 교황 금지령이 해제된다.
- 7월 27일 - 부빈 전투:필리프 2세는 오토 4세가 이끄는 독일군, 영국군, 플랑드르군(약 9,000명)을 부빈 근처에서 물리치고 영불전쟁을 종결시킨다.프랑스군은 131명의 기사와 [34]페르디난드, 르노 1세, 윌리엄 롱제페를 포함한 5개의 백작 등 상당한 수의 병사를 포로로 잡았다.
- 9월 18일 - 치농 조약: 존(락랜드)은 치농성에서 필립 2세와 휴전하고, 앙주 [34]제국을 희생시키면서 카페(프랑스) 영토의 이득을 인정한다.
- 10월 5일 – 아버지 알폰소 8세(노블)와 어머니 엘레노어(10월 31일)가 사망하자 베렌겔라는 10살 된 동생 헨리 [18]1세의 섭정이 된다.
- 11월 20일 – 영국 귀족들이 자유헌장 사본을 발견한 후, Burry St.의 제단에서 선서를 합니다. 에드먼즈, 존(락랜드)에게 그들의 권리를 인정하도록 강요한다.
- 12월 4일 – 사자왕 윌리엄이 스털링에서 49년간의 통치 끝에 사망한다.그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알렉산더 2세가 스코네에서 스코틀랜드의 통치자로 즉위한다.
아시아
- 봄 – 여진이 이끄는 중국 진나라의 현종황제는 1년 동안 수도 중두(현재의 베이징)를 포위한 칭기즈칸이 이끄는 몽골족에게 항복한다.그는 몽골 칸에게 예속과 함께 공물을 바쳐야 한다(약, 10,000개의 비단과 그의 딸 포함)을 해야 한다.현종은 중국 북부를 버리고 카이펑으로 [36]궁정을 옮깁니다.
- 황하 북쪽의 모든 진 땅을 확보한 칭기즈칸은 현종이 카이펑으로 수도를 옮겼다는 전갈을 받는다.그는 중두(中都)로 돌아와 수천 명의 중국 기술자들의 도움을 받아 이 도시에 진출한다.몽골인들은 도시를 굶겨 죽인다.대포의 탄약 공급이 부족한 수비대는 겨울을 [37]견딘다.
- 몽골의 장군 무칼리는 요동에서 새로운 거란-중국 군대와 약 12,000명의 중국 보조 부대로 구성된 특수 부대를 결성했다.
토픽별
교육
종교
- 4월 13일 – Apulia의 Simon이 영국 Exeter의 주교로 선출되었습니다(대략적인 날짜).
1215
장소별
잉글랜드
- 3월 4일 – 요한은 남작들에 맞서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지지를 얻기를 바라며 십자군 원정을 맹세한다.그렇게 함으로써, 인노첸시오는 존을 자신의 신하로 선언하고 (교회 [38]법에 따라 정치적 보호를 받으며) 왕국 전체의 소유권을 주장합니다.4월 1일, 인노첸시오는 남작들에게 존에 대한 그들의 행동을 중지해 달라고 요청하는 편지를 보낸다.
- 5월 5일 – Robert Fitzwalter는 "하나님과 성스러운 교회의 군대"라는 직함으로 Barons에 의해 장군으로 선출됩니다.그는 존(랙랜드)에 대한 경의를 진지하게 포기하고 노샘프턴 성을 포위하기 시작한다.이것이 실패하는 동안 로버트는 그의 군대를 통합한다.그는 지원을 [39]위해 필립 2세(아우구스투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프랑스의 루이 왕자에게 의지한다.
- 5월 17일 – 런던으로 가는 문이 반란 남작들의 지지자들에 의해 열립니다.유대인들의 집은 수색과 소각의 표적이 된다.로버트 피츠월터 휘하의 반란군은 여전히 존(락랜드) 편에 있는 영국 귀족들에게 합류하여 성벽을 수리할 것을 요구한다.존의 지지자들에 의해 장악된 런던탑은 반군의 손에 넘어갈 수 없을 정도로 잘 방어되어 있다.
- 6월 15일 – 캔터베리 대주교 스티븐 랭턴이 이끄는 많은 귀족들이 런니메데 템스강의 한 섬에서 존(락랜드)을 만난다.그들은 존에게 "자유인" 즉 남작, 교회, 마을들에게 자유를 주는 문서인 마그나 카르타에 서명하도록 강요한다.그는 6월 [40]19일 배심원들에 의한 재판 상황을 확인함으로써 법의 지배를 받는다.
- 8월 – 존(락랜드)은 마그나 카르타를 거부하고 인노첸시오 3세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헌장에 서명했다는 이유로 헌장을 취소해 달라고 요청한다.동시에 존은 계속해서 그의 용병 군대를 증강한다.
- 9월 13일 - 존(락랜드)은 남작과의 싸움에서 인노첸시오 3세에게 도움을 구한다.도버 성에 머무는 동안 쓴 편지에서 그는 영국의 방위는 신과 교황의 책임이라고 말한다.
- 10월 – 남작 부부는 프랑스의 루이에게 영국 왕관을 제공하고 그를 영국으로 초대합니다.존(락랜드)은 남작의 땅을 압수하고 로체스터 성을 포위한다. 수비대는 굶주려 그에게 항복한다.
- 12월 - 제1차 남작 전쟁: 존(락랜드)은 미들랜즈에서 성공적으로 캠페인을 벌여 12월 24일 노팅엄 성을 점령한다.스코틀랜드의 알렉산더 2세는 남작과 합류하여 영국 [34]북부를 침략한다.
유럽
- 1월 8일 - 시몽 드 몽포르(장자)는 알비겐 십자군 기간 중 카타르의 이단자들에 대한 캠페인을 벌인 후 몽펠리에(프랑스 남부)의 한 평의회에서 랑그독의 영주로 선출되었습니다.십자군은 카스텔노 성을 점령하고 툴루즈로 진입하여 몽포르에게 [41]증여한다.
- 여름 – 오토 4세 황제는 파문당하고 신성 로마 제국의 통치자 자리에서 물러나게 된다.인노첸시오 3세의 지원을 받은 독일 귀족들은 7월 25일 20세의 프레데릭 2세를 아헨에서 왕위에 오른 로마의 왕으로 다시 선출한다.같은 날, 프레데릭은 십자가를 지고 십자군 원정에 나설 것을 약속한다.
아시아
- 6월 1일 – 몽골의 진중국 정복: 오랜 중두 전투 후 몽골군은 중두(오늘날의 베이징)를 점령한다.한편 칭기즈칸은 초원 가장자리로 내려가 켈렌강으로 돌아가는 길이다.그의 통제력 없이 몽고군은 맹위를 떨쳤다.그들은 도시를 파괴하고 샅샅이 뒤져서 수천 명을 죽였다.왕궁은 불타고 수도의 일부는 한 [42]달 동안 타버린다.
- 인도 칼링가 주에서 온 칼링가 마하 왕은 24,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스리랑카에 상륙하여 폴론나루와 시를 점령하고 왕인 파라크라마 판디야를 축출한다.
토픽별
예술과 과학
문학.
종교
- 8월 24일 – 교황 인노첸시오는 마그나 카르타를 폐지하고 요한(락랜드)을 구속에서 해방시킨다.그는 존이 강제로 서명했고 그 서류가 불법이라는 이유로 헌장을 무효화한다.
- 11월 11일부터 30일까지 – 인노첸시오 3세가 소집한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또는 "대평의회")는 로마에서 종료되고 팔레스타인에서 [43]제5차 십자군 원정을 위한 교황의 제안을 승인한다.
1216
장소별
잉글랜드
- 봄 – 제1차 남작들의 전쟁:존(락랜드) 왕이 이끄는 영국군은 버릭온트위드(또는 버릭) 마을을 점령하고 스코틀랜드 남부를 급습한다.존은 10일 동안 에딘버러 쪽으로 나아간다.돌아오는 길에 그는 이스트 앵글리아에서 반란을 진압한다.3월 24일, 존 왕은 다가오는 프랑스의 [34]침략에 대처하기 위해 허트포드에 도착한다.
- 5월 18일 - 존(락랜드)은 프랑스의 침략에 맞서 방어하기 위해 해군 부대를 소집한다.심한 폭풍우가 함대를 해산시키고 존은 여름 내내 전국의 방어망을 재정비한다.그는 남부에서 [44]존의 군대 사령관인 그의 이복형제 윌리엄 롱스페를 포함한 그의 군가 중 몇 명이 남작가로 사막을 떠나는 것을 목격한다.
- 5월 21일 - 필립 2세(아우구스투스) 왕의 아들인 프랑스의 루이 왕자가 남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영국을 침공하여 타네에 상륙한다.그는 반대하지 않고 런던으로 들어가 올드 세인트 폴 대성당에서 영국 왕으로 선포되지만 왕위에 오르지는 않는다.6월에 루이스는 로체스터성과 윈체스터를 점령하고 곧 영국 [34]왕국의 절반 이상을 장악한다.
- 6월 – 반란군 남작들이 윈저성과 도버성을 포위한다. 윈저성은 프랑스로 가는 최단 루트를 통제하는 '잉글랜드로 가는 관문'으로서 전략적으로 중요하다.한편, 존(락랜드)은 남서쪽에 있는 코르페 성을 작전 기지로 사용하면서,[45] 남작과 루이 휘하의 프랑스 침략군에 대한 작전을 계획한다.
- 10월 19일 - 존(락랜드)은 뉴어크 성(노팅엄셔)에서 이질로 사망한다.그의 후계자는 9살 난 아들 헨리 3세이며, 윌리엄 마셜, 펨브로크 백작이 섭정을 맡고 있다.어린 헨리는 10월 [40]28일 글로스터 대성당에서 윈체스터의 주교인 피터 데 로체스에 의해 영국 왕좌에 올랐다.
- 11월 12일 – 영국 주재 이탈리아 외교관이자 교황 특사인 윌리엄 마셜과 구알라 비치에리 추기경은 마그나 카르타에 기초한 자유 헌장을 새로운 영국 왕의 [40][46]이름으로 발행합니다.
유럽
- 4월 10일 – 에리크 10세(크누트손)는 비싱쇠 섬의 나스성에서 8년간의 통치 후 열병으로 사망한다.그의 뒤를 이어 스베르커 2세의 아들이자 에릭의 라이벌인 10세의 존 1세가 승계한다.
- 4월 22일 - 리피차 전투:키예프 왕자인 음스티슬라브 음스티슬라비치와 로스토프의 콘스탄틴은 콘스탄틴의 동생 유리 2세와 야로슬라브 2세를 물리치고 블라디미르 수즈달(현대 러시아) 공국을 통치한다.
- 7월 24일 - 알비겐 십자군:툴루즈 백작 레이몽 7세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5월에 보케아르 성을 포위했다.3개월 후, 거주자들은 보급품이 부족해지고 [47]레이먼드에게 항복합니다.
레반트
- 2월 14일 – 레오 2세(대왕)가 안티오키아 공국 기사단의 지원을 받아 재정복한다.아르메니아 군대는 안티오키아로 들어가고, 보헤몽 4세(애꾸눈) 왕자는 부재중이다.보헤몽을 지지하는 템플 기사단은 성채를 버리고, 레이몽 루펜은 라틴 총대주교인 페드로 2세에 의해 안티오키아의 [48]왕자로 임명된다.
- 10월 8일 - 알레포의 아이유브 통치자 아즈 자히르 가지 23년 통치 후 사망.그의 3살 난 아들 알 아지즈 무함마드가 뒤를 이었다.그의 어린 나이 때문에, 토그릴은 알 아지즈의 섭정 혹은 후견인이 된다.
토픽별
문학.
종교
- 5월 –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제노바와 피사 사이의 오랜 불화를 해결하기 위해 페루자를 방문한다. 양국은 제5차 십자군 원정의 수송에 기여할 것이다.그곳에서, 약간의 병후, 인노첸시오는 7월 16일에 죽는다.그가 선종한 지 이틀 후, 늙은 추기경인 첸시오 사벨리가 가톨릭 [49]교회의 177대 교황으로 선출되었습니다.
- 12월 22일 – 호노리우스 3세는 교황 칙서 Religiosam vitam에 의해 설교자 기사단(도미니카 기사단)을 공식적으로 승인한다.
- 발린터버 수도원은 코나흐트의 카탈 크로브데어그 우아 콘코바이르 국왕이 아일랜드에 설립한 수도원이다.
1217
장소별
제5차 십자군
- 여름 – 다양한 프랑스 기사단이 이탈리아 항구에 도착합니다.헝가리 왕 앤드류 2세는 그의 군대를 이끌고 달마티아 스플릿에 도착한다.그는 레오폴드 6세가 이끄는 독일군과 합류한다.7월 말, 교황 호노리오 3세는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에 모인 십자군들에게 키프로스로 진격하라고 명령하지만, 이탈리아 도시 국가인 베네치아, 제노바, 피사가 제공하는 수송수단은 없다.
- 9월:레오폴드 6세는 스플릿에서 자신과 소규모 병력을 아크레로 데려오는 배들을 발견한다.앤드류는 약 2주 후에 그를 따라갑니다; 스플릿에서는 그는 오직 두 척의 배만 받습니다.앤드류의 나머지 군대는 뒤에 남겨졌다.한편, 키프로스의 왕 휴 1세는 십자군을 지원하기 [50]위해 군대를 이끌고 아크레에 상륙한다.
- 11월 - 앤드류 2세가 이끄는 십자군(약 15,000명)은 아크레를 출발하여 에스드레일론 평원을 향해 진군한다.술탄 알 아딜 1세는 십자군이 집결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들의 전진을 막기 위해 일부 이슬람 군대를 팔레스타인으로 보낸다.알 아딜이 다마스쿠스에 대한 공격을 저지할 준비가 되어 있는 동안 십자군은 베이산을 향해 이동한다.그는 예루살렘을 취재하기 위해 그의 아들 알-무아잠을 보낸다.11월 10일, 앤드류의 잘 정비된 군대는 요르단 강 벳사이다에서 알 아딜을 물리친다.베이산은 점령당하고 약탈당했다; 무슬림들은 그들의 요새와 [51]마을로 후퇴했다.
- 12월 – 예루살렘의 요한 1세 국왕이 레바논 원정대를 이끈다.12월 3일, 그는 이슬람 요새와 타보르 산을 무익하게 공격한다.한편 앤드류 2세가 이끄는 십자군 군대는 요르단 계곡을 가로질러 갈릴리해의 동쪽 해안으로 떠난다.점령 기간 동안 앤드류는 유물을 수집하는데 시간을 보낸다.12월 말이면 보급품이 바닥나 십자군은 [52]아크레로 후퇴한다.
잉글랜드
- 봄 – 제1차 남작 전쟁: 헨리 3세의 영국군은 레스터셔에 있는 프랑스가 장악한 마운트소렐 성을 포위한다.루이 왕자는 성에서 남작들을 돕기 위해 증원군을 보낸다.20,000명)을 보낸다.영국군은 포위망을 풀고 노팅엄으로 철수한다.루이스는 프랑스군을 링컨 성으로 옮기는 실수를 저지른다. - 링컨 성에서는 영국 수비대가 이전의 공격에 맞서 버티고 있다.한편 헨리의 군대는 마운트소렐 성으로 돌아간다.이번에는 루이가 제 시간에 도착하지 못해서 성 [53]바닥으로 돌진하는 것을 막는다.
- 5월 20일 - 링컨 전투:제1대 펨브로크 백작 윌리엄 마셜이 이끄는 헨리 3세의 군대는 링컨 성을 포위하고 있는 프랑스 왕자와 반란군 귀족들을 물리친다.전투 중에 토마스와 페르체 콤테는 살해되고 루이스는 영국 남동부에 있는 그의 기지에서 추방된다.그 후에 일어나는 약탈은 "링컨 페어"로 알려져 있다.링컨 시민들은 루이스에게 충성하기 때문에 헨리의 군대는 도시를 약탈한다.남쪽으로 링컨과 런던 사이의 마을 주민들이 매복하여 많은 프랑스 [34]군인들을 죽인다.
- 8월 24일 – 샌드위치 전투: Hubert de Burgh 휘하의 영국 함대가 샌드위치 근처의 영국 해협에서 프랑스 함대 (10척의 큰 배와 70척의 보급선)를 격파합니다.프랑스 함대는 용병이자 해적인 승려 유스타체가 지휘하고 있으며, 그는 프랑스와 영국을 위해 싸울 때 그의 필요에 따라 싸운다.프랑스 함대는 영국 왕좌를 차지하려는 루이 왕자를 돕기 위해 더 많은 병력과 보급품을 데려오고 있다.영국군은 유스타스의 기함을 체포하고 유스타스 자신은 몸값으로 10,000마크를 제시하며 [54]참수당한다.
- 9월 12일 – 킹스턴 조약:제1차 남작 전쟁은 끝났다.프랑스 함대의 패배 이후, 루이 왕자는 영국 왕좌에 오를 가망이 없다.윌리엄 마샬은 런던을 바다와 육지로 봉쇄한다.Lambeth에서 Louis는 평화 조건을 받아들인다.그는 왕좌에 대한 그의 주장을 포기하고 노르망디를 헨리 3세에게 복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그러지 않았다.프랑스와 스코트랜드는 영국을 떠날 예정이고,[55] 반란군에 대한 사면이 이뤄진다.
유럽
- 4월 9일 – 교황 호노리오 3세에 의해 로마에서 쿠르테니의 페드로 2세가 콘스탄티노플 라틴 제국의 황제로 즉위한다.대관식 직후, 피터는 베네치아의 배를 빌려 두라초를 정복하겠다고 약속한다.그는 이 사업에 실패하고 육로로 콘스탄티노플에 가려고 한다.여행 중에 그는 에피루스의 전제군주 테오도르 콤네노스 두카스의 군대에 붙잡혀 감옥에 [56]갇힌다.
- 6월 6일 – 카스티야의 13세 왕 헨리 1세가 그의 섭정 알바로 누녜스 데 라라가 숨기려 하는 사건인 팔렌시아에서 기와가 떨어져 사망한다.그의 뒤를 이어 8월 31일 동생 베렝가리아가 아들 페르디난트 3세를 위해 왕위를 포기한다.젊은 왕은 그의 아버지, 레온의 알폰소 9세 왕, 그리고 카스티야 귀족들과의 전쟁에 의해 그의 통치를 시작한다.
- 6월 – 13세의 하콘 4세가 잉게 2세 (보드손)의 사망에 이어 노르웨이의 왕이 된다 – 이것은 노르웨이 내전 시대를 대부분 종식시킨다.소수민족인 스쿨레 보드손 백작이 하콘의 섭정이 된다.
- 9월 21일 - 리보니아 십자군:검의 리보니아 형제들과 동맹한 리브와 레츠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전투에서 에스토니아 군대를 물리쳤다. 매튜의 날, 그리고 그들의 리더 렘비투를 죽여라.
- 10월 18일 - Reconquista:사도 강변에 위치한 알카세르 두 살은 포르투갈 [57]왕 아폰소 2세의 군대에 의해 무어로부터 정복되었다.
- 11월 – 카스티야 왕국에서는 전 섭정이자 카스티야의 귀족인 알바로 누녜스 데 라라가 붙잡혀 모든 [18]성을 포기해야 한다.
- 스테판 네만니치는 교황 호노리우스 3세에 의해 세르비아 영토의 첫 번째 왕으로 승격되었고 지차에서 스테판의 동생 아르키만드리테 사바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
아시아
- 무칼리(혹은 무칼리)가 이끄는 몽골군은 허베이성뿐만 아니라 산둥성과 산시성(금나라가 장악한)을 공격한다.그는 몽골의 칭기즈칸의 진영으로 돌아와 '제국의 대승사'라는 칭호, 금색 국새, 흰색 바탕에 9개의 꼬리와 가운데 검은 초승달 무늬가 새겨진 왕자의 세습을 받는다.그는 북중 작전 총사령관에 임명되어 있다.
토픽별
문학.
1218
장소별
제5차 십자군
- 5월 24일 – 예루살렘의 요한 1세 국왕이 이끄는 십자군 원정군(약 30,000명)이 아크레(프리지아 선박의 지원)에 출항하여 이집트를 향해 항해한다.그들은 5월 27일 나일강의 오른쪽 둑에 있는 다미에타 항구에 도착한다.술탄 알 아딜은 시리아에서 군대를 모집하고 그의 아들 알 카밀은 카이로에서 북쪽으로 이집트 군대를 행진시켜 다미에타에서 [59]남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알 아딜리야에 야영한다.
- 6월 24일 - 다미에타 포위전:십자군은 요새화된 도시 다미에타를 공격하지만 번번이 실패한다.그 결과, 십자군은 독일 연대기 작가 파더보른의 올리버에 의해 전해진 새로운 형태의 해군 공성 무기를 만든다: 두 개의 배가 함께 묶여 있고, 공성 탑과 사다리가 위에 세워져 있다.8월 24일, 치열한 전투 끝에 십자군은 성벽에 자리를 잡고 [60]요새를 점령한다.
- 9월 – 펠라기우스 추기경은 십자군 진영에 증원군을 이끌고 도착하여 교회가 세속적인 지도자보다 더 큰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요한 1세의 지휘에 도전한다.한편, 십자군은 그들의 배가 다미에타를 포위할 수 있도록 오래된 운하를 청소하는 데 시간을 보낸다.펠라기우스는 또한 프레데릭 2세가 독일 원정군과 [61]함께 곧 따르기로 약속했다는 소식을 전한다.
- 알 카밀은 십자군에게 이집트를 떠나는 대가로 예루살렘을 제안하기로 결심한다.존 1세는 이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을 선호했지만 펠라기우스는 거절했다.요르단 강 동쪽에 있는 케락 성이나 예루살렘의 옛 성들이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한 말이다.알 카밀은 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장소들을 거절하고 펠라기우스는 그 제안을 거절한다.이것은 예루살렘을 그들의 중요한 [62]목표로 여기는 십자군을 화나게 한다.
- 10월 9일 – 알 카밀은 십자군 진영을 기습 공격한다.그들의 움직임을 발견한 요한 1세와 그의 부하들은 반격하여 이집트 선발대를 전멸시킨다.10월 26일, 이집트인들은 강으로 쫓겨난 후, 알 카밀은 나일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이용하여 공격한다.십자군은 포위선을 강화하고 [63]다미에타에서 프랑스와 영국의 지원군을 받는다.
- 11월 29일 – 3일간 지속된 폭풍이 십자군 진영에 홍수를 일으켜 십자군의 보급품과 수송 수단을 파괴한다.재발 방지를 위해 펠라지우스는 제방을 건설할 것을 명령한다.캠프가 복구된 후, 심각한 전염병이 십자군 군대를 덮친다.희생자들은 고열로 고통 받고 있고, 적어도 병사들 중 6분의 1은 사망한다.혹독한 겨울 동안, 생존자들은 쇠약하고 [64]우울하게 남겨졌다.
몽골 제국
- 봄 – 칭기즈칸은 카라히타이(또는 서랴오)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제베 휘하의 몽골군(약 2만 기병)을 파견한다.한편, 그는 수부타이를 다른 군대와 함께 메르키트족에 대항하는 동시 작전에 보낸다.제베는 거란 수도 발라사군(Balasagun)에서 쿠츨루그 왕자가 이끄는 3만 명의 군대를 물리친다.쿠크룩은 남쪽으로 도망쳐 현대 아프가니스탄으로 향하지만 사냥꾼들에게 붙잡히고 몽골군에 넘겨집니다.쿠츨루그가 참수되고 그의 새로운 영토의 도시들을 행진하자, 징기스는 몽골 [65]지배하의 거란 제국 전체를 합병한다.
- 징기스칸의 장남 조치는 키르기스인에 대한 성공적인 캠페인을 이끈다.한편 칭기스는 화라즈미아 제국의 통치자 무함마드 2세에게 귀중한 선물을 실은 캐러밴을 보내 무역 관계를 맺기를 희망하고 있다.그러나 오트라르의 화라즈미 주지사인 이날추크는 캐러밴에 스파이가 있다고 주장하며 캐러밴을 공격한다.그리고 나서 징기스는 세 명의 대사들로 구성된 두 번째 그룹을 무함마드에게 보내 상인들의 석방을 요구한다.무함마드는 이를 거부했고, 상인들은 대사 중 한 [66]명과 함께 처형된다.
잉글랜드
- 3월 11일 – 우스터 조약: 헨리 3세는 웨일스의 통치자 Lywelyn 대왕에게 편지를 써서 그들이 우스터에서 만나면 안전한 행동을 약속한다.라웰린의 웨일즈 소유권을 확인하는 평화조약이 체결되었다.그 대가로 라웰린은 헨리에게 경의를 표하고 그가 최근 정복한 [67]성을 돌려주기로 합의한다.
유럽
- 6월 25일 툴루즈 공성전:반격 중에 시몬 드 몽포르는 수비수의 포위 엔진 중 하나의 돌에 맞아 죽는다.알비겐 십자군의 지도력은 시몬의 아들 아마우리 드 몽포르에게 넘어갔고, 그는 한 달 후에 포위를 풀었다.레이몬드 6세는 민중의 반란 [68]후 툴루즈 백작으로 복직되었다.
- 7월 – 레콘키스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교황 호노리오 3세는 인노첸시오 3세의 기존 판결을 뒤집고 페르디난드 3세(성자)가 [18]레온 왕국의 합법적인 상속자라고 선언한다.
- 이반 아센 2세는 불가리아 제국의 통치자가 되고,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알바니아와 마케도니아의 일부뿐만 아니라 에피루스를 그의 [69]왕국에 추가할 것이다.
레반트
아시아
토픽별
교육
- 8월 - 레온의 알폰소 9세는 살라망카 대학에 왕실 인가서를 수여합니다.
시장
- Rheims 시는 중세 유럽에서 최초로 기록된 공공 생활 연금을 방출한다.이런 종류의 악기는 주로 종교 기관에 의해 발행되었다.Rheims에 의한 배출은 랑그도르, 저지대 국가 및 [73]독일에서 보편화될 공공부채의 통합에 대한 첫 번째 증거이다.
종교
- 페드로 놀라스코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축복받은 성모 마리아 수녀회를 설립했습니다.
1219
장소별
제5차 십자군
- 2월 – 펠라기우스는 십자군 군대에 이집트인에 대한 공격을 준비하라고 명령하지만, 날씨와 수비대의 힘 때문에 성공하지 못한다.이집트군을 지휘하는 술탄 알 카밀은 측근들의 음모로 거의 전복될 뻔했다.그는 아들 알 마스유 유수프가 통치하는 예멘의 아이유비드 토후국으로 도망칠 것을 고려하지만 시리아로부터 지원을 받아 동생 알 무아잠이 도착함으로써 음모는 종식된다.알 카밀과 그의 군대가 카이로로 후퇴한다는 소식을 들은 십자군은 알 아딜리야로 진군한다.Damietta 수비대의 공격을 격퇴한 후 그들은 2월 [74]5일 마을을 점령했다.
- 4월 – 십자군은 다미에타를 포위하고, 이탈리아군은 북쪽으로, 템플러 기사단과 호스피탈러 기사단은 동쪽으로, 요한 1세는 프랑스군과 피산 부대와 함께 예루살렘의 왕을 포위한다.프리지안과 독일군은 나일강 건너의 오래된 캠프를 점령했다.키프로스에서 온 십자군 증원군의 새로운 물결이 카이사리아의 월터 3세가 이끌었다.한편, 알-무아잠은 십자군이 예루살렘에서 승리할 경우, 그들의 보호를 거부하기 위해 타보르 산과 다른 방어 진지뿐만 아니라 예루살렘의 다른 방어 진지들을 해체하기로 결심한다.일부 광신도들은 성묘를 파괴하기를 원하지만 알-무아잠은 [75]이를 거부한다.
- 4월 7일 - 하마 왕 알-무자파르 2세는 시리아 증원군을 이끌고 이집트에 도착해 알-아딜리야 십자군 진영에 대한 다수의 공격을 이끌고 있지만 별다른 영향은 없다.한편, 새로운 십자군 병력은 절실히 필요한 보급품을 가져다주게이집트군의 공격은 5월까지 계속되고 있으며, 십자군의 반격은 카로치오로 알려진 롬바르드 장비를 이용해 [76]방어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 7월 8일 – 펠라기우스는 피산과 베네치아의 군대를 이용하여 다미에타를 여러 차례 공격하기 시작한다.그때마다 그들은 그리스군의 사격을 이용해 수비군에게 격퇴당한다.템플러 진영에서 알카밀이 이끄는 반격은 7월 31일 튜턴 기사단의 지원을 받는 그들의 새로운 그랜드 마스터 페이르 드 몬타굿에 의해 격퇴된다. 이 곳에서 십자군은 [77]성문 밖에서 적을 개혁하고 추격한다.
- 8월 29일 – 십자군은 파라스크르의 이집트 캠프를 공격하고 이슬람교도들은 만수라로 위장 후퇴하는 척합니다.존 1세는 나일강과 만잘라 호수 사이의 지역에는 신선한 물이 없기 때문에 하룻밤 야영하라고 조언한다.알 카밀은 퇴각을 중단하기로 결심하고, 그의 군대를 혼란스러운 십자군에 대한 맹공격으로 돌려 약 4,300명의 [78]병사들을 잃는다.
- 9월 – 이탈리아 전도사인 아시시의 프란치스코는 십자군 진영에 도착하여 이집트에 가톨릭을 소개한다.그는 펠라기우스에게 알 카밀을 방문하기 위한 허가를 구한다.처음에 거절한 후, 그는 프랜시스를 휴전 깃발 아래 파라스크르로 보낸다.알 카밀은 그를 정중하게 맞이하고 많은 선물을 제공한다.그는 임종 세례를 받고 십자군 진영으로 [79]호송된다.
- 10월 - 알 카밀은 이전의 휴전 제안을 갱신하기 위해 포로로 잡힌 기사 두 명을 사절로 보낸다.십자군이 이집트를 철수하면 그는 (해틴 전투에서 잃어버린) 성십자를 돌려줄 것이고 예루살렘과 팔레스타인 중부, 갈릴리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요한 1세는 영국, 프랑스, 독일의 귀족들과 함께 그 수용을 권고했다.펠라기우스는 다시 평화 조건을 [80]거부한다.
- 11월 5일 - 다미에타 포위전:십자군은 다미에타에 들어갔다가 버려진 것을 발견한다.십자군 기지가 탑에서 날아오는 것을 본 알 카밀은 서둘러 파라스쿠르의 캠프를 포기하고 만수라로 철수한다.이 도시의 생존자들은 노예로 보내지거나 기독교 죄수들과 교환하기 위해 인질로 잡힌다.11월 23일, 십자군은 티니스 [81]시를 점령한다.
몽골 제국
- 겨울 – 칭기즈칸은 장남 조치와 제베가 이끄는 몽골군(약 20,000명)을 보내 화렘 제국의 동부에 있는 비옥한 페르가나 계곡을 파괴하기 위해 톈산 산맥("하늘의 산")을 넘습니다.몽골군은 많은 손실을 입었지만, 방어선을 뚫고 나가 징기스의 주력이라고 생각하는 적을 혼란스럽게 합니다.무함마드 2세는 비옥한 지역을 무력으로 보호하기 위해 그의 정예 기병 예비군을 파견한다.한편, 그의 둘째와 셋째 아들 차가타이와 우게데이가 이끄는 또 다른 몽골 군대는 중가리안 문을 통과하고, 즉시 국경 도시 [82]오트라르를 포위하기 시작한다.
- 차가타이와 우게데이가 이끄는 몽골군은 5개월간의 포위 끝에 오트라르를 점령했다.그 도시는 지상으로 올라가기 전에 전체 인구를 살해하거나 노예로 만든 많은 정착지들 중 첫 번째가 된다.오트라르의 크와레즈미안 주지사 이날추크는 녹은 은을 눈과 귀에 부어 생포되고 처형되는데, 이는 있을 것 같지 않고 불필요하게 비싼 [83]종말이다.
- 편지로, 칭기즈칸은 그를 찾아가 불멸의 약(현자의 돌)에 대해 조언해 주기 위해 그를 방문한다.
유럽
- 6월 15일 - 리보니아 십자군:발데마르 2세가 이끄는 덴마크 십자군은 린다니스 전투에서 탈린을 정복한다.덴마크의 국기가 되는 것(다네브로그)은 그 전투 중에 하늘에서 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탈린에 있는 그들의 요새는 덴마크 에스토니아 전체를 정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24명의 리투아니아 공작과 귀족들이 할리치-볼리니아와 평화협정을 맺으며 기독교 [84]십자군 침략에 반대하는 공동의 이유를 밝혔다.
아시아
- 5월 2일 – 아르메니아 킬리시아의 레오 2세(또는 레본) 왕이 두 딸만 남기고 사망한다.장자인 스테파니는 요한 1세의 아내이며, 작은 이자벨라는 키프로스와 예루살렘의 시빌라 공주의 딸로 세 살이다.레오는 조카인 안티오키아의 레이몬드 루펜에게 왕위를 물려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임종 때 이자벨라를 [85]후계자로 지명했다.
토픽별
테크놀로지
중요한 사람
![]() | 이 섹션은 비어 있습니다.추가해서 도와주시면 됩니다. (2016년 3월) |
출생.
1210
- 5월 5일 - 포르투갈의 왕 아폰소 3세(불론나) (d. 1279년)
- 6월 24일 - 플로리스 4세, 네덜란드의 귀족이자 기사 (d. 1234년)
- 7월 22일 – 스코틀랜드의 여왕 조앤 (d. 1238년)[86]
- 몬페라토의 앨리스, 키프로스의 왕비(d. 1233년)
- 독일 백작 부인 안데흐-메라니아의 베아트릭스 (d. 1271년)
- 스웨덴의 정치가 Birger Jarl(Magnusson), (d. 1266년)
- 갤러웨이의 더보르기야, 스코틀랜드 귀족(d. 1290년)
- 도멘티잔, 세르비아의 수도사이자 철학자 (d. 1264년)
- 가톨릭교회의 교황 호노리오 4세(d. 1287년)
- 스페인의 유대인 철학자 아이작 이븐 라티프(1280년 사망)
- 프로시다의 요한, 이탈리아의 의사이자 외교관 (d. 1298년)
- 고노에 가네쓰네(ug江,) (1259년 사망)
- 쿠조노리자네, 일본의 귀족이자 섭정(1235년 사망)
- 로데링고 델리 안달레, 이탈리아 귀족 (1293년 사망)
- 마거릿(절름뱅이), 독일 앵커리스(d. 1250)
- 독일 귀족 브란덴부르크의 마틸다(1261년 사망)
- 올라프르 토르다르손, 아이슬란드 학자이자 스칼드(d. 1259년)
- 필리프 드 레미, 프랑스 시인이자 기사 (d. 1265)
- 사피아 살바니, 이탈리아 귀족 여성 (대략 날짜)
- 이탈리아 추기경 비세도미노 데 비세도미니스(d. 1276년)
- 바르티슬라프 3세, 폴란드 귀족이자 기사 (d. 1264)
- 살리세토의 윌리엄, 이탈리아 성직자이자 외과의사 (d. 1277년)
- 서도경(西都慶)
1211
- 1월 20일 - 보헤미안 수도원장 프라하의 아그네스 (d. 1282년)
- 4월 25일 – 오스트리아와 슈타이어 공작 프레데릭 2세 (d. 1246년)
- 9월 22일 – 바르마키드 역사학자 이븐 칼리칸 (d. 1282년)
- 12월 3일 - 프란체스코 리피, 이탈리아 귀족 (d. 1291년)
- 아잘 샴스 알딘 오마르, 흐와레즈미안 주지사 (d. 1279년)
- 쿠야비아의 카지미르 1세, 폴란드 귀족이자 기사(d. 1267년)
- 포르투갈의 엘리노어, 덴마크의 왕비(d. 1231년)
- 헨리 7세, 독일 왕(렉스 로마노룸) (d. 1242년)
- 휴 비고드, 영국 귀족이자 저스티시아르(1266년 사망)
- 요한 1세 (신학자), 독일 귀족 (d. 1264)
- 무함마드 3세, 니자리 이스마일리 주의 지배자(1255년 사망)
- 프리예즈다 1세, 보스니아 귀족(반)과 기사(d. 1287년)
- 신요(新,) 여승(女 and) (재위: 1282년)
- 빌하르두앵의 윌리엄, 아카이아의 왕자(d. 1278년)
1212
- 3월 22일 - 고호리카와 천황(재위: 1234년)
- 5월 6일 - 마이센의 콘스탄스 (d. 1243년)
- 7월 9일 - Muiz ud-Din Bahram, 인도 통치자 (d. 1242년)
- 아부 알 하산 알 슈슈타리, 안달루시아 시인 (1269년 사망)
- 파리나타 델리 우베르티, 이탈리아 군사 지도자 (d. 1264)
- 세비야의 이븐 살, 알모하드의 시인 겸 작가(d. 1251)
- 이사벨라 2세, 예루살렘의 여왕이자 섭정(1228년 사망)
- 말라테스타 다 베루키오, 이탈리아 귀족 (1312년 사망)
- 체르니고프의 마리아, 키반 루스의 공주 (d. 1271년)
- 드뢰의 욜랑드, 프랑스 귀족 여성 (d. 1248년)
- 치타(또는 시타), 이탈리아의 하녀이자 성자(d. 1272년)
1213
- 3월 9일 - 위그 4세, 부르고뉴 공작, 프랑스 십자군 (d. 1271년)[87]
- 6월 10일 – 파크르 알딘 이라크인, 페르시아 철학자, 수피 신비주의자[88][89]
- 이븐 알 나피스, polymath (d. 1288년)[90]
- 아르메니아 왕 헤툼 1세,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통치자(1270년 사망)
1214
- 4월 25일 - 프랑스의 왕 루이 9세(성인)[91] (1270년
- 7월 29일 - 아이슬란드 추장 스툴라 토르다르손 (d. 1284년)
- 베르가모의 알베르트, 이탈리아 도미니카 수도사 (d. 1279년)
- 알 쿠르투비, 무어인 학자, 법학자, 작가(d. 1273년)
- 잉글랜드의 이사벨라, 신성로마황후 (d. 1241년)
- 오타비아노 델리 우발디니, 이탈리아 추기경(d. 1273년)
1215
- 9월 23일 - 몽골 황제 쿠빌라이 칸 (d. 1294년)
- 메르니아의 아그네스, 독일 귀족 여성 (d. 1263년)
- 베아트리체 데스테, 헝가리 여왕(d. 1245년)
- 스웨덴 여왕 캐서린 순스도터(1252년 사망)
- 가톨릭 교회 교황 첼레스티노 5세(d. 1296년)
- 데이비드 7세(또는 데이비드 울루), 조지아 왕(d. 1270년)
- 영국의 엘리너, 레스터 백작 부인(1275년 사망)
- 앙할트 아셰르슬벤의 왕자 헨리 2세(d. 1266년)
- 헨리 3세(일러스트리어스), 독일 귀족(d. 1288년)
- 아랍계 유대인 철학자 이븐 카무나(1284년 사망)
- 장 1세, 프랑스의 귀족이자 기사 (d. 1249년)
- 요한 21세, 가톨릭 교회 교황(d. 1277년)
- 이벨린의 요한, 야파와 아스칼론 백작(1266년 사망)
- 안티오키아 아르메니아의 마리아, 토론의 여인(1257년 사망)
- 포르투갈의 여왕 메시아 로페스 데 하로(d. 1270년)
- 오토 3세(신앙자), 독일 귀족 (d. 1267년)
- 로버트 킬워드비 캔터베리 대주교(1279년 사망)
- 로저 드 레이본, 영국 지주 (d. 1271년)
1216
- 9월 25일 - 로베르 1세, 프랑스 귀족 (1250년)
- 알-마흐디 아마드 빈 알-후사인 아랍 통치자 (d. 1258년)
- 베르나르 아이글레리우스(또는 아이글레르), 프랑스 추기경(d. 1282년)
- 이탈리아의 귀족이자 기사인 에스테의 콘타르도(1249년 사망)
- 에리크 4세(플로페니), 덴마크 왕(d. 1250년)
- 에리크 11세(리스프와 라임), 스웨덴 왕(d. 1250)
- 앙리 5세(대왕), 룩셈부르크 백작(d. 1281년)
- 류빙중(류칸), 중국 고문(d. 1274년)
- 니조 요시자네(日ō義,) (1270년 ~ 1270년)
- 사피 알딘 알 우르마위, 페르시아 음악가 (d. 1294년)
- Stephen Longespée, 영어 seneschal (d. 1260)
- 아랍 수피 지도자이자 작가 Zahed Gilani (1301년 사망)
1217
- 5월 3일 – 키프로스 왕 헨리 1세 (1253년 사망)
- 8월 19일 - 일본 승려 닌쇼 (d. 1303)
- 보두앵 2세(라틴 황제) (1273년 사망)
- 볼드윈 드 레드버스, 영국 귀족 (d. 1245년)
- 사보이의 보니파체, 영국 대주교 (d. 1270년)
- 페르디난드, 포르투갈 왕자(영아) (d. 1246년)
- 게오르게 아크로폴리트, 비잔틴 정치가 (d. 1282년)
- 기욤 3세, 프랑스 귀족이자 기사 (d. 1288년)
- 궈간(國,) 중국 장군 겸 지사(재위 1277년)
- 안티오크의 헨리, 예루살렘의 공동 통치자 (1276년 사망)
- 겐트의 헨리, 플랑드르 철학자 (d. 1293년)
- 이븐 사빈, 안달루시아의 수피 철학자 (d. 1271년)
- 이즈 알딘 이븐 샤다드, 아랍 역사학자 (d. 1285년)
- 존 1세(빨간색), 영국 귀족(d. 1286년)
- 강안기인(강안기인) (1300년)
1218
- 2월 12일 - 일본 쇼군 쿠조 요리쓰네(d yor,, 1256년 사망)
- 5월 1일
- 10월 30일 - 주쿄 천황(中京天皇, 1234년)
- 덴마크의 왕 아벨(발데마르센)(1252년 사망)
- 베른하르트 1세, 안할트 베른부르크 왕자(1287년 사망)
- 후지와라노초시(藤原長,, 1275년 사망)
- 이레네 콤네, 비잔틴 귀족 여성 (d. 1284년)
- 야로마르 2세, 독일 왕자 겸 공동 통치자(d. 1260년)
- 여치호앙( lêd)
- 마리 드 쿠시, 스코틀랜드의 왕비(d. 1285년)
- 모리스 드 버클리, 영국 귀족(1281년 사망)
- 프랑스 귀족 쿠르테니의 피터(1249년 사망)
- 토마스 드 칸틸루페, 영국 주교(d. 1282년)
- 브르타뉴의 욜랑드, 프랑스 귀족 여성 (d. 1272년)
1219
- 2월 18일 - 기카이 데쓰( g井,) 일본 선장 (d. 1309)
- 4월 5일 - 고려 원종(재위: 1274년)
- 아부 알 압바스 알 무르시, 무어 수피 지도자 (d. 1287년)
- 아리크 뵈케(또는 부카), 몽골의 지배자(카간)(d. 1266년)
- 프랑스 귀족 아베네의 볼드윈(1295년 사망)
- 크리스토퍼 1세(또는 크리스토퍼), 덴마크 왕(d. 1259년)
- 우밀리아나 데 세르키, 이탈리아 귀족 여성 (d. 1246년)
- 윌리엄 데브룩, 영국 귀족 (1265년 사망)
사망.
1210
- 3월 29일 - 파크르 알딘 알 라지, 페르시아의 polymath (b. 1150년)
- 5월 6일 - 콘라트 2세, 독일 귀족이자 기사 (b. 1159년)
- 5월 13일 - 일본 황후 노리코(또는 한시) (1177년경)
- 7월 17일 - 스웨덴 왕 스베르케르 2세(젊은이)
- 10월 16일 - 브라반트 공작부인 불로뉴의 마틸다
- 11월 14일 - 인도 통치자 쿠트브 알딘 아이박 (b. 1150년)
- 11월 30일 – 홀랜드의 플로렌스, 스코틀랜드 주교
- 12월 14일 - 이탈리아 추기경 겸 총대주교 소프레도
- 앙후스 막 솜헤를레, 노르드-게일 족장
- 고트프리트 폰 스트라스부르크, 독일 시인 겸 작가
- 아이슬란드 수녀이자 수도원장 할도라 에욜프스도티르
- 장 보델, 프랑스 시인이자 작가 (1165년)
- 지눌(또는 치눌), 조선선사(1158년)
- 마즈드 알딘 이븐 아티르, 잔기드 역사학자 (b. 1149년)
- 모드 드 브라오스, 영국 귀족 여성 (1155년)
- 무함마드 2세, 알라무트 국가의 통치자(1148년)
- 이탈리아의 철학자이자 신학자인 프라포시티누스
- 노르만족 전사이자 귀족인 리스테아드 드 티우이트
- 영국 지주 브레이브룩의 로버트(1168년)
- 윌리엄 피츠앨런, 노르만 귀족이자 기사
1211
- 2월 2일 - 보헤미아 공작 부인 아델레이드 드 마이센
- 3월 14일 - 피에트로 갈로시아(또는 갈루치) 이탈리아 추기경
- 3월 26일 - 포르투갈의 왕 산초 1세 (1154년)
- 5월 16일 – 폴란드 공작 미에슈코 4세 (탱글푸트) (b. 1130년)
- 6월 9일 – Andrew 2세, 프랑스 귀족이자 기사 (b. 1150년)
- 6월 17일 - 카이로 1세, 럼 술탄국 지배자
- 8월 9일 - 노르만 귀족 윌리엄 드 브라우스
- 8월 18일 - 버마의 통치자 나라파티스 (b. 1150년)
- 10월 14일 - 스페인 왕자 카스티야의 페르디난도(1189년)
- 11월 29일 - 아이슬란드 주교 팔 얀손 (b. 1155년)
- 12월 8일 - 폴란드 공주 아델레이드
- 12월 14일 - 일본 황후 쇼시 (1195년경)
- 아부 무사 알자줄리, 알모하드 필로거 (b. 1146년)
- 알렉시오스 3세(안젤로스), 비잔틴 황제(1153년)
- 비잔틴 황후 유프로시네(또는 카마테라)
- 위그 1세, 사르디니아 통치자(아르보레아 판사) (1178년)
- 프랑스의 성직자이자 외교관인 블루아의 피터(1130년 b.
- 영국 귀족이자 기사인 손햄의 로버트
- 로저 드 레이시(르 컨스터블), 영국 귀족(b. 1170년)
- 토팅턴의 삼손, 영국의 수도사이자 수도원장(1135년)
- 일본 궁중무용수 고젠 시즈카 (1165년)
- 스비아토슬라프 3세 이고레비치, 키예프 왕자(1176년)
- 콘스탄티노플의 라틴 총대주교 토마스 모로시니
- 티베트 불교 지도자 창파 갸레(b. 1161년)
- 포르투갈의 우라카, 레온의 왕비(1148년)
- 서하(西夏)의 중국 황제 샹종(b宗)(1170년 경)
1212
- 2월 2일 - 독일 귀족 베른하르트 3세 (b. 1140년)
- 2월 29일 - 일본 불교 개혁가 호넨(b,. 1133년)
- 4월 6일 - 독일 주교 메츠의 베르트람(또는 베르톨트)
- 4월 15일 – 키예프 대공 브세볼로드 3세 (b. 1154년)
- 5월 24일 - 덴마크 여왕 보헤미아의 다그마르
- 7월 15일 - 요한 1세(또는 요한), 독일 대주교
- 7월 16일 – 애넌데일의 스코틀랜드 영주 윌리엄 드 브루스
- 8월 11일 - 베아트리체, 신성로마황후 (1198년)
- 8월 26일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미카일 4세
- 9월 19일 – 헨리 피츠 에이윈 런던 시장
- 10월 9일 - 펠리페 1세(노블), 플랑드르 귀족
- 10월 25일 – John Comyn, 영국 대주교 (b. 1150년)
- 11월 4일 - 프랑스 은둔자 발루아의 펠릭스 (b. 1127년)
- 12월 5일 - 위트레흐트의 주교이자 영주 더크 반 아레
- 12월 12일 - 요크 대주교 제프리 (b. 1152년)
- 12월 14일 - 플랑드르 수도원장 마틸다 드 바예울
- 모로코 시인이자 작가 아부 알 아바스 알 자라위
- 안나 콤네 안젤리나, 니케네의 황후 (1176년경)
- 에스테의 아조 6세(또는 아졸리노), 이탈리아 귀족(1170년)
- 프랑스 귀족이자 기사인 베튠의 볼드윈
- 다비드 콤네노스, 트레비존드의 황제(1184년 경)
- 구리드 제국의 지배자 기야트 알딘 마흐무드
- 기렘 데 카베스타니, 스페인 어처구니없는 사람 (b. 1162년)
- 헨리 드 롱샹, 영국 고등 보안관 (b. 1150년)
- 몬페라토의 마리아, 예루살렘의 여왕(1192년)
- 노르만 귀족이자 기사인 피터 드 프레오
- 프랑스의 연대기 작가이자 작가인 Auxerre의 Robert
- 슈루즈베리의 로버트, 영국 성직자이자 주교
- 예루살렘 순경 몽벨리아르의 월터
1213
- 1월 18일 - 조지아 여왕 타마르 (b. c. 1160)[92][93]
- 4월 13일 - 브르타뉴 섭정[94][95][96] 투아르의 기
- 4월 21일 - 몽펠리에의 마리아, 아라곤의 여왕 (b. 1182년)[97][98]
- 9월 12일 - 아라곤의 피터 2세(전투 중 사망) (b. 1174년)[99][100]
- 9월 28일 - 헝가리의 왕비 섭정인 메르니아의 게르트루드 (살해) (b.[101][102][103] 1185년)
- 10월 10일 - 프레데릭 2세[104]
- 10월 14일 – 제1대 에식스 백작[105][106] 제프리 피츠 피터
- 페르시아 수학자 샤라페딘 투시(1135년)[107][108][109]
1214
- 1월 25일 - 황후 다이라노 도쿠코 (1155년)
- 2월 13일 - 테오발드 1세(또는 티볼드), 프랑스 귀족
- 4월 21일 – Ford의 John, 영어 Cistercian prior and abot
- 6월 24일 - 길버트 글랜빌(또는 글랜빌), 로체스터 주교
- 7월 27일 - 스티븐 롱챔프, 노르만 귀족이자 기사
- 8월 18일 - 페드로 페르난데스 데 카스트로, 스페인 귀족
- 8월 30일 - 이탈리아 추기경 겸 교황 특사 카푸아의 베드로
- 9월 14일 –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 베르셀리의 알베르
- 9월 16일 - 디에고 로페스 2세, 스페인 귀족 (1152년)
- 10월 5일 - 카스티야의 왕 알폰소 8세(노블) (1155년)
- 10월 18일 - 노리치의 주교 존 드 그레이(또는 드 그레이)
- 10월 31일 - 카스티야의 여왕 엘레노어 (1161년)
- 12월 4일 – 스코틀랜드 왕 윌리엄 사자왕 (b. 1142년)
- 12월 8일 - 일본 사무라이 사사키 다카쓰나 (b. 1160년)
- 알라 알딘 앗시즈, 구리드 술탄국의 지배자(1159년)
- 오브리 드 베레, 영국의 귀족이자 기사 (b. 1163년)
- 필로칼로 네비게르조소, 렘노스의 라틴어 지배자(메가듀스)
- 헨리 6세(젊은이), 독일 귀족(1196년 경)
- 키프로스의 네오피토스, 키프로스의 성직자이자 은둔자(1134년)
- 로버트 피츠로거, 노퍽 서퍽의 영국 보안관
- 칼리아리의 윌리엄 1세, 사르디니아의 지배자(판사) (1160년 경)
1215
- 2월 3일(또는 2월 4일)– Eustace, Ely의 주교
- 2월 6일 - 일본 귀족 호조 도키마사 (1138년)
- 6월 9일 – 독일 수도원장 겸 주교, 베르크의 마네골드
- 8월 1일 - 일본 승려 에이사이(b,) (1141년)
- 9월 1일 – 위트레흐트 주교 오토 1세 (b. 1194년)
- 11월 5일 - 노르만 귀족 필립 드 발로그네스
- 11월 17일 - 헤레포드의 주교 자일즈 드 브라오세
- 12월 21일 – 아랍 신학자[110] 알리 이븐 무함마드 이븐 알 왈리드
- 알리 이븐 아비 바크르 알 하라위, 페르시아 여행가이자 탐험가
- 베르트랑 드 보른, 프랑스 귀족, 시인, 트러바두르
- 프랑스 귀족과 카타르의 에스클라몽드
- 지로 드 보르네일(또는 드 보르네일), 프랑스 트루바두르
- 이탈리아 상인 겸 정치가 자코피노 델라 스칼라
- 만프레드 2세(델 바스토), 살루초 후작(b. 1140년)
- 크레모나의 시카르, 이탈리아 주교이자 작가(1155년)
- 테오도르 압세브디스, 비잔틴 화가 (1150년경)
1216
- 1월 18일 - 프랑스 귀족 담피에르의 가이 2세
- 1월 31일 -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테오도르 2세
- 2월 23일 - 영국의 귀족 제프리 드 만데빌
- 4월 10일 - 스웨덴 왕 에릭 10세 (1180년)
- 4월 27일 - 일본의 공주 스케코
- 6월 11일 - 플랜더스의 헨리, 라틴 황제 (b. 1178년)
- 7월 16일 - 가톨릭 교회 교황 인노첸시오 3세
- 9월 2일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베드로 2세(이브레아)
- 10월 8일 - 알레포의 아이유브 왕조의 통치자 아즈자히르 가지
- 10월 19일 - 영국의 왕 존(락랜드) (1166년)
- 유스타스 드 베시, 영국의 귀족이자 기사(1169년)
- 후지와라노 아리에, 일본의 귀족이자 시인(1155년)
- 불로뉴의 아이다, 프랑스 귀족 여성이자 통치자 (b. 1160년)
- 제순 드라그파 길트센,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b. 1147년)
- 가모노쵸메이, 일본의 시인, 수필가(1155년)
1217
- 2월 9일 - 이탈리아의 수도사이자 주교인 노세라의 레이날드 (b. 1150년)
- 2월 22일 – 유다 벤 사무엘, 독일 유대인 랍비 (b. 1150년)
- 3월 30일 - 후지와라 가네후사(재위 1153년)
- 3월 31일 – 알렉산더 네캄, 영국 수도원장 (b. 1157년)
- 4월 21일 - 예멘 이맘 알 만수르 압달라 (b. 1166년)
- 4월 23일 - 노르웨이 왕 잉게 2세 (Bördsson) (1185년)
- 4월 25일 - 헤르만 1세 (또는 3세), 독일 귀족 (1155년)
- 5월 20일 - 프랑스 귀족 페르쉐의 토마스 (1195년)
- 6월 6일 – 카스티야와 톨레도의 헨리 1세 (b. 1204년)
- 7월 22일 - 독일 귀족 쿤링의 하드마르 2세
- 8월 24일 - 프랑스 용병 수도승 유스타세
- 9월 8일 – 로베르 1세, 프랑스의 귀족이자 기사
- 9월 10일 – 윌리엄 드 레드버스, 영국 귀족
- 9월 21일
- 9월 29일 - 장 드 몽미레일, 프랑스 수도승 (b. 1165년)
- 10월 14일 - 이자벨라, 영국 귀족 여성 (b. 1174년)
- 11월 4일 - 프랑스 주교 필립 드뢰(B. 1158년)
- 11월 29일 - 이븐 주바이르, 안달루시아 여행자 (b. 1145년)
- 12월 29일 - 일본의 승려 겸 시인 교이(京井) (1177년)
- 압드 알 하크 1세, 마리니드 술탄국의 지배자 (b. 1147년
- Drikung Kagyu 설립자 Jigten Sumgön (b. 1143년)
- 이탈리아 공증인이자 추기경인 페렌티노의 요한(1150년)
- 마리아 콤네, 예루살렘의 왕비(b. 1154년)
- 니조인의 사누키 (1141년경)
- 니케타스 코니아테스, 비잔틴 역사가 (1155년)
- 필립 시몬슨, 노르웨이 귀족(1185년 경)
- 프랑스 주교 바(또는 드 무송)의 레지날드
- 리처드 드 클레어, 노르만 귀족이자 기사
- 영국 판사인 패티샬의 사이먼(또는 패티슐)
- 토치토리오 4세 데 세라, 사르디니아 판사 (1190년)
- 중국 도교 철학자 왕추이(1142년)
- 윌리엄 1세, 프랑스의 귀족이자 기사(1176년 경)
- 윌리엄 드 랑발레이, 영국의 지주이자 기사
1218
- 1월 10일 – 키프로스 왕 휴 1세 (또는 휴고) (1195년)
- 1월 23일 - 독일 주교 볼프거 폰 엘라 (b. 1140년)
- 2월 2일 - 키예프 대공 로스토프의 콘스탄틴
- 2월 12일 - 프랑스 귀족 여성 쿠르테니의 앨리스
- 2월 18일 - 베르톨트 5세, 독일 귀족 (b. 1160년)
- 5월 6일 - 포르투갈의 테레사, 플랑드르 백작 부인
- 5월 19일 – 신성 로마 황제 오토 4세 (b. 1175년)
- 6월 25일 - 프랑스 귀족 시몬 드 몽포르
- 7월 6일 - 부르고뉴 공작 오도 3세(또는 에우데스) (1166년)
- 8월 7일 - 아돌프 6세(또는 3세), 독일 귀족(b. 1175년)
- 8월 26일 - 프랑스 그랜드 마스터 샤르트르의 윌리엄(템플라)
- 8월 31일 - 알 아딜 1세, 아이유비드 장군, 술탄 (b. 1145년)
- 9월 24일 - 영국 은둔자 나레스버러 로버트
- 11월 12일 – 헨리 드 애버게니, 영국 주교
- 12월 28일 - 로베르 2세, 프랑스 귀족 (1154년)
- 네덜란드 백작부인 겔더스의 아델레이드(1182년)
- 알바라 누녜스 데 라라, 카스티야 귀족 (1170년경)
- 토레스의 코미타 3세, 사르디니아 통치자(판사) (1160년)
- 페데리코 왕가(또는 방가), 트렌트 주교
- 프란카 피아첸자, 이탈리아 수녀이자 수도원장 (b. 1170년)
- 영국의 지주이자 기사인 제프리 드 루트렐 드 루트렐
- Giola Ernain O O Martain, 아일랜드 시인 겸 추장 Olam
- 헨리 드 애버게니, 영국 수도원장 겸 주교
- 자야바르만 7세, 크메르 제국의 지배자(1122년)
- 페테르 2세, 헝가리 수도원장 겸 주교
- 테오발드 6세, 프랑스의 귀족이자 기사
- 우마데비, 인도의 여왕이자 장군(b. 1150년)
- 프랑스 귀족 보크의 윌리엄 1세(1155년)
1219
- 2월 6일 - 영국 추기경 Robert of Courson (b. 1160년)
- 2월 13일 -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1192년)
- 3월 17일 - 루돌프 1세, 튀빙겐 백작 팔라틴 (1160년경)
- 3월 22일 - 그니에즈노 대주교 헨리크 키틀리츠 (1150년경)
- 4월 30일 - 포섬브로네 주교 알데브란두스 (b. 1119년)
- 5월 1일 - 프랑스 귀족이자 기사인 뤼지냥의 라울 1세
- 5월 2일 - 아르메니아 킬리시아의 왕 레오 2세(또는 레본) (1150년)
- 5월 14일 – 윌리엄 마셜, 제1대 펨브로크 백작 (b. 1146년)
- 6월 15일 – 테오데리히 폰 트레이덴, 독일 선교사
- 6월 17일 - 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스코틀랜드 귀족 (b1152년)
- 10월 29일 - 최충헌(崔忠,, 1149년)
- 11월 3일 – 영국 귀족 세어 드 퀸시 (b. 1170년)
- 11월 5일 - 위그 9세(갈색), 프랑스 귀족
- 12월 17일 - 프랑스 기사 코농 드 베튠 (b. 1150년)
- 카지미르 2세(또는 카지미르), 포메라니아-뎀민 공작(1180년경)
- 제라드 드 푸르니발, 노르만 귀족이자 기사(1175년)
- 헨리 드 그레이, 영국의 귀족이자 신하 (1155년)
- 이날추크(또는 이날추크), 흐와레즈미안 오트라르 주지사
- 베툰의 존, 프랑스 귀족이자 주교(1160년 b.
- 존 드 쿠시, 영국의 귀족이자 기사(1150년 경)
- 콘스탄티노플의 라틴 황제 쿠르트네의 페드로 2세
- 리할무스, 독일 시토회 수도원장이자 전기 작가
- 프랑스 귀족 여성 샴페인 스콜라스티크(1172년)
- 발터 3세, 샤티옹
- 스코토 노르만 영주 체임벌린 윌리엄 드 발로그네스
- 플랜더스의 욜란다, 라틴계 황후이자 섭정(1175년)
레퍼런스
- ^ 밀러, 윌리엄(1908)레반트의 라틴인들: 프랑크 그리스의 역사 (1204–1566), 페이지 75.런던: 존 머레이. OCLC563022439.
- ^ 던햄, S. A. (1835년)게르만 제국의 역사 제1권 196쪽
- ^ 윌리엄스, 휴엘(2005년).카셀의 세계사 연대기, 133페이지ISBN 0-304-35730-8.
- ^ Subrena, Jean-Jacques(2004).에스토니아: 정체성과 독립성, 페이지 301. ISBN 90-420-0890-3.
- ^ Ferris, Eleanor (1902). "The Financial Relations of the Knights Templars to the English Crown". American Historical Review. 8 (1): 1–17. doi:10.2307/1832571. JSTOR 1832571.
- ^ 카펜터, 데이비드(2004).숙달에 대한 투쟁: 영국의 펭귄 역사 (1066–1284), 페이지 272.런던:펭귄.ISBN 978-0-14-014824-4.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13ISBN 978-0-241-29877-0.
- ^ 존(2004년).징기스칸: 삶과 죽음과 부활, 페이지 162.뉴욕시: 세인트루이스마틴 프레스ISBN 978-0-553-81498-9.
- ^ Macrides, Ruth (2007)조지 아크로폴리테스: 역사 – 개요, 번역 및 해설, 페이지 131–132.옥스퍼드:옥스퍼드 대학 출판부ISBN 978-0-19-921067-1.
- ^ Macrides, Ruth (2007)조지 아크로폴리테스: 역사 – 개요, 번역 및 해설, 페이지 148–153.옥스퍼드:옥스퍼드 대학 출판부ISBN 978-0-19-921067-1.
- ^ 존(2011).징기스칸: 삶과 죽음과 부활, 164페이지.ISBN 978-0-553-81498-9.
- ^ 월터 J. 파브리키, P. M. 가레, 폴 E.토르거슨(1972년).산업 운영 연구, 313페이지 프렌티스 홀ISBN 978-0-13-464263-5.
- ^ Les Vaux de Cernay의 피터(1998).알비겐 십자군의 역사: 레스 보 드 세르네의 역사 알비겐시스의 피터, 페이지 215.ISBN 0-85115-807-2.
- ^ Williams Hywel (2005).카셀의 세계사 연대기, 133페이지ISBN 0-304-35730-8.
- ^ The Insurance Cyclopeadia의 "Fires, Great": Cornelius Walford, ed. (C.와 E.)보험의 기원과 진보와 관련된 사건 및 상황의 역사적 보고가 되는 것Layton, 1876) 페이지 26
- ^ 워렌, W. L. (1961년)존 왕.버클리: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 페이지 169~172.
- ^ 좋아요, 존 반 앤트워프(1994년).중세 후기 발칸: 12세기 후반부터 오스만 정복까지의 비판적 조사, 페이지 90.앤아버(미시간):미시간 대학 출판부ISBN 0-472-08260-4.
- ^ a b c d Linehan, Peter (1999). "Chapter 21: Castile, Portugal and Navarre". In David Abulafia (ed.).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1198-c.130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668–671. ISBN 0-521-36289-X.
- ^ Bridge, Antony (1980). The Crusades. London: Granada Publishing. ISBN 0-531-09872-9.
- ^ Toch, Michael(1999년)."벨프, 호엔슈타우펜, 합스부르크"아뷸라피아에서는 데이비드, 맥키터릭, 로자몬드.뉴 캠브리지 중세사: c. 1198~c. 1300.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페이지 381
- ^ 존(2011).징기스칸: 삶과 죽음과 부활, 166페이지. ISBN 978-0-553-81498-9.
- ^ Schulman, Jana K. (2002). The Rise of the Medieval World, 500-1300: A Biographical Dictionary. The Great Cultural Eras of the Western World. Westport, CT and Lond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pp. xxix. ISBN 9780313308178.
- ^ Moore, John Clare (2003). Pope Innocent 3rd 1160/61-1216: To Root Up and to Plant. The Medieval Mediterranean. Leiden, Boston: BRILL. pp. 212–214. ISBN 9789004129252.
- ^ Tucker, Spencer C. (2009).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Vol. I: ca. 3000 BCE - 1499 CE. Santa Barbara, CA, Denver, CO and Oxford: ABC-CLIO. p. 269. ISBN 9781851096725.
- ^ Poole, Austin Lane (1993). From Domesday Book to Magna Carta, 1087-1216.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459–461. ISBN 9780192852878.
- ^ de Puylaurens, Guillaume (2003). The Chronicle of William of Puylaurens: The Albigensian Crusade and Its Aftermath. Woodbridge, UK: Boydell Press. pp. 45–47. ISBN 9780851159256.
- ^ Brooks, Constantina E. (June–November 1872). "The Battle of Muret, A.D. 1213". Harper's New Monthly Magazine. XLV: 449.
- ^ Bennett, Matthew (1998). The Hutchinson Dictionary of Ancient & Medieval Warfare. Chicago, London: Taylor & Francis. p. 73. ISBN 9781579581169.
- ^ McNab, Chris (2017). Famous Battles of the Medieval Period. New York: Cavendish Square Publishing, LLC. p. 47. ISBN 9781502632470.
- ^ Mylod, E. J.; Perry, Guy; Smith, Thomas W.; Vandeburie, Jan (2016). The Fifth Crusade in Context: The Crusading Movement in the Early Thirteenth Century. New York: Routledge. ISBN 9781317160175.
- ^ Tyerman, Christopher (2006). God's War: A New History of the Crusad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p. 612–613. ISBN 9780674023871.
1213 Fifth Crusade.
- ^ Bird, Jessalynn; Peters, Edward; Powell, James M. (2013). Crusade and Christendom: Annotated Documents in Translation from Innocent III to the Fall of Acre, 1187-1291. Philadelphia, P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p. 106–112. ISBN 9780812207651.
- ^ 트레드골드, 워렌(1997).비잔틴 국가와 사회의 역사, 페이지 718.스탠포드(캘리포니아):스탠포드 대학 출판부ISBN 0-804-72630-2.
- ^ a b c d e f g h Palmer, Alan; Veronica (1992).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London: Century Ltd. pp. 77–79. ISBN 0-7126-5616-2.
- ^ 오만, 찰스(2012).전쟁술의 역사: 4세기부터 14세기까지의 중세, 페이지 539.ISBN 978-1-62358-003-2.
- ^ 존(2011).징기스칸: 삶과 죽음과 부활, 169-170페이지.ISBN 978-0-553-81498-9.
- ^ 존(2011).징기스칸: 삶과 죽음과 부활, 페이지 171. ISBN 978-0-553-81498-9.
- ^ 워렌, W. 루이스(1991)존 왕, 페이지 233런던:메튜엔.ISBN 0-413-45520-3.
- ^ Tout, T. F. (1889)피트즈발터, 로버트Stephen에서는 Leslie (ed.) 국가 전기 사전.런던: 스미스, 엘더 & Co. 페이지 225-229.
- ^ a b c Williams, Hywel (2005).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London: Weidenfeld & Nicolson. pp. 133–135. ISBN 0-304-35730-8.
- ^ Les Vaux de Cernay의 피터(1998).알비겐 십자군의 역사, 554-559페이지.서퍽(영국): Boydell & Brewer.ISBN 0-85115-807-2.
- ^ 존(2011).징기스칸: 삶과 죽음과 부활, 페이지 171. ISBN 978-0-553-81498-9.
- ^ Hywel, Williams (2005년).캐셀의 세계사 연대기, 134쪽. 런던:바이덴펠트 & 니콜슨입니다.ISBN 0-304-35730-8.
- ^ 터너, 랄프 V. (2009년).존 왕: 영국의 사악한 왕? 194페이지.Stroud, UK: History Press.ISBN 978-0-7524-4850-3.
- ^ 녹색, 닐(2021년)Berkhamsted Castle 공성 - 재평가, p.4. Academy Letters, 제1834조
- ^ Powicke, Maurice (1962). The Thirteenth Century 1216–1307. Oxford History of England, vol. 4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p. 5.
- ^ Dell'Umbria, Aléssi (2006)마르세유 국립역사. De l'an mil l l'an deux mille, 페이지 27마르세유:아고네 ISBN 2-7489-0061-8
- ^ 케네스 M; 울프, 로버트 리; 해저드, 해리.십자군 원정의 역사, 제2권: 후기 십자군, 1189–1311, 페이지 522–554.위스콘신 대학 출판부.ISBN 0-299-04844-6.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23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24~125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125페이지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125페이지ISBN 978-0-241-29877-0.
- ^ 페브스너, 니콜라우스(1960).영국의 건물: 레스터셔와 러트랜드, 195페이지펭귄 북스
- ^ 포이케, 프레드릭 모리스(1947).헨리 3세와 에드워드 경, 15-16페이지.옥스포드: 클라렌던.OCLC 1044503.
- ^ 파머, 앨런; 베로니카(1992)영국 역사 연대기, 77-79페이지런던:Century Ltd.ISBN 0-7126-5616-2.
- ^ 오스트로고스키, 조지(1995).비잔틴 국가의 역사, 433페이지번역자: 허시, 조앤럿거스 대학 출판부
- ^ Picard, Christophe (2000). Le Portugal musulman (VIIIe-XIIIe siècle. L'Occident d'al-Andalus sous domination islamique. Paris: Maisonneuve & Larose. p. 110. ISBN 2-7068-1398-9.
- ^ 윌리엄스, 휴엘(2005년).카셀의 세계사 연대기, 135페이지ISBN 0-304-35730-8.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27-128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28~129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131페이지. ISBN 978-0-241-29877-0.
- ^ 파더보른의 올리버, 다미에타의 포획, 존 J. 가비건 옮김.필라델피아:펜실베니아 대학 출판부, 1948년.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31-132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32ISBN 978-0-241-29877-0.
- ^ John Man (2011).칭기즈칸: 삶과 죽음과 부활, 179-180페이지.ISBN 978-0-553-81498-9.
- ^ John Man (2011).징기스칸: 삶과 죽음과 부활, 페이지 184. ISBN 978-0-553-81498-9.
- ^ "BBC Wales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5, 2007. Retrieved 2007-12-10.
- ^ Hywel Williams (2011).카셀의 세계사 연대기, 135페이지ISBN 0-304-35730-8.
- ^ Hywel Williams (2011).카셀의 세계사 연대기, 135페이지ISBN 0-304-35730-8.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29ISBN 978-0-241-29877-0.
- ^ 누스바움, Louis-Frédéric(2005).일본 백과사전 「미나모토의 사네토모」(p.633).ISBN 0-674-00770-0.
- ^ Hywel Williams (2011).카셀의 세계사 연대기, 135페이지ISBN 0-304-35730-8.
- ^ Zuijderduijn, Jaco (2009). Medieval Capital Markets. Markets for rent, state formation and private investment in Holland (1300-1550). Leiden; Boston: Brill. ISBN 978-9-00417565-5.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32~133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33ISBN 978-0-241-29877-0.
- ^ Moses, Paul (2009).성자와 술탄: 십자군, 이슬람, 아시시의 평화 사절단 프란치스코, 16-17페이지.ISBN 978-0-385-52370-7.
- ^ 반 클리브, 토마스 C.(1969년).제5차 십자군: 공성전의 서막, 412-413페이지.매디슨:위스콘신 대학 출판부
- ^ 반 클리브, 토마스 C.(1969년).제5차 십자군: 공성전의 서막, 페이지 414.매디슨:위스콘신 대학 출판부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34-135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136페이지. 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36-137ISBN 978-0-241-29877-0.
- ^ 존(2011).칭기즈칸: 삶과 죽음과 부활, 190-191페이지.ISBN 978-0-553-81498-9.
- ^ 존(2011).칭기즈칸: 삶과 죽음과 부활, 193페이지.ISBN 978-0-553-81498-9.
- ^ Butkevičienė, Birutė; Gricius, Vytautas (July 2003). "Mindaugas — Lietuvos karalius". Mokslas Ir Gyvenimas (in Lithuanian). 7 (54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5-23. Retrieved 2007-05-3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138. ISBN 978-0-241-29877-0.
- ^ Elizabeth Ewan, ed. (2006).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Scottish women : from the earliest times to 2004 (Reprinted ed.). Edinburgh: Edinburgh Univ. Press. p. 400. ISBN 0-7486-1713-2.
- ^ Commire, Anne (1999). Women in World History. Vol. I. Waterford, CT: Gale. p. 77. ISBN 9780787640613.
- ^ Clark, Matthew (2017). "Religious Sects, Syncretism, and Claims of Antiquity: The Dashanami–Sannyasis and South Asian Sufis'. In Literary, Religious and Political Cultures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India". In Aquil, Raziuddin; Curley, David L. (eds.). Literary and Religious Practices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India. London and New York: Taylor & Francis. p. 87. ISBN 9781351987325.
- ^ Dabashi, Hamid (2012). The World of Persian Literary Humanism. Harvard University Press. pp. Cambridge, MA and London. ISBN 9780674067592.
- ^ أبو غدة, عبد الفتاح (1984). قيمة الزمن عند العلماء. مكتب المطبوعات الإسلامية – الطبعة العاشرة, حلب. p. 73.
- ^ Consoli, Joseph P. (2013). The Novellino or One Hundred Ancient Tales: An Edition and Translation based on the 1525 Gualteruzzi editio princeps. Routledge. p. 158. ISBN 978-1-136-51105-9.
- ^ Cook, Bernard A. (2006). Women and War: A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Santa Barbara, CA, Denver, CO and Oxford: ABC-CLIO. p. 579. ISBN 9781851097708.
- ^ Schmermund, Elizabeth (2017). Women Warriors. New York: Enslow Publishing, LLC. pp. 39–43. ISBN 9780766081529.
- ^ Baldwin, John W. (1991) [1986]. The Government of Philip Augustus: Foundations of French Royal Power in the Middle Ages. Berkeley, Los Angeles, Oxfor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199. ISBN 9780520911116.
- ^ Everard, Judith; Jones, Michael C. E. (1999). The Charters of Duchess Constance of Brittany and Her Family, 1171-1221. Woodbridge, UK: Boydell & Brewer. p. 141. ISBN 9780851157511.
- ^ Woodward, Bernard Bolingbroke; Cates, William Leist Readwin (1872). Encyclopaedia of Chronology: Historical and Biographical. London: Lee and Shepard. p. 227.
- ^ Martin, Therese (2012). Reassessing the Roles of Women as 'Makers' of Medieval Art and Architecture (2 Vol. Set). Visualizing the Middle Ages. Leiden, Boston: BRILL. p. 352. ISBN 9789004185555.
- ^ de Puylaurens, Guillaume (2003). The Chronicle of William of Puylaurens: The Albigensian Crusade and Its Aftermath. Woodbridge, UK: Boydell Press. p. 30. ISBN 9780851159256.
- ^ Jenkins, Ernest E. (2012). The Mediterranean World of Alfonso II and Peter II of Aragon (1162–1213). The New Middle Ages. New York: Springer. p. 2. ISBN 9781137078261.
- ^ Sarfaty, David E. (2010). Buy Columbus Re-discovered: Why the King of Aragon Suppressed the Discoverer's Identity and How He Did. Pittsburgh, PA: Dorrance Publishing. p. 160. ISBN 9781434997500.
- ^ Berend, Nora (2017). The Expansion of Central Europe in the Middle Ages. The Expansion of Latin Europe, 1000 - 1500.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ISBN 9781351890083.
- ^ Bork, Robert; Clark, William W.; McGehee, Abby (2016). New Approaches to Medieval Architecture.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ISBN 9781351915137.
- ^ Loud, Graham A.; Schenk, Jochen (2017). The Origins of the German Principalities, 1100-1350: Essays by German Historians. New York and London: Taylor & Francis. pp. xxiii. ISBN 9781317022008.
- ^ Jeep, John M. (2001). Medieval Germany: An Encyclopedia. New York and London: Psychology Press. p. 467. ISBN 9780824076443.
- ^ Weis, Frederick Lewis (1992). Ancestral Roots of Certain American Colonists who Came to America Before 1700: The Lineage of Alfred the Great, Charlemagne, Malcolm of Scotland, Robert the Strong, and Some of Their Descendants. Baltimore, MD: Genealogical Publishing Company. p. 213. ISBN 9780806313672.
- ^ West, Francis (2005). Justiceship England 1066-1232.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37. ISBN 9780521619646.
- ^ Dahan-Dalmédico, Amy; Peiffer, Jeanne (2010) [1986]. History of Mathematics: Highways and Byways.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p. 97. ISBN 9780883855621.
- ^ Gharipour, Mohammad (2015). The Historiography of Persian Architectur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 66. ISBN 9781317427223.
- ^ Cooke, Roger L. (2011) [2005]. The History of Mathematics.: A Brief Course (Second ed.). Hoboken, NJ: John Wiley & Sons. p. 426. ISBN 9781118030240.
- ^ Poonawala, Ismail K. (2009). "ʿAlī b. al-Walīd". In Fleet, Kate; Krämer, Gudrun; Matringe, Denis; Nawas, John; Rowson, Everett (eds.).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Online. doi:10.1163/1573-3912_ei3_COM_22932. ISSN 1873-9830.

Wikimedia Commons에는 1210s 관련 미디어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