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조르기치코

Agiorgitiko
아조르기치코
포도(비티스)
AGIORGITIKO.jpg
베리 스킨 컬러누아르
종.비티스비니페라
라고도 불립니다.아귀르기티코, 마브로 네메스, 세인트 조지 및 기타 동의어
기원.네메아
주목 지역그리스
VIVC 번호102

Agiorgitiko (Greek: Αγιωργίτικο; also known as Aghiorghitiko) is a red Greek wine grape variety that, as of 2012, was the most widely planted red grape variety in Greece, ahead of Xynomavro.이 포도는 전통적으로 펠로폰네소스의 네메아 지역에서 재배되었지만 아티키(아티카)와 마케도니아(마세도니아)[1]포함한 나라 전역에서 볼 수 있다.

그리스 토종 품종 중 가장 상업적으로 중요한 것 중 하나로, 재배 [2]와인 제조 과정의 요인에 따라 부드러운 것부터 매우 탄닉한 것까지 다양한 특징을 보일 수 있습니다.이 포도는 전형적으로 품종으로 만들어지지만, 전통적으로 카토이라고 불리는 테이블 와인을 만들기 위해 메초보 주변의 카베르네 소비뇽과 혼합되어 있습니다.네메아 지방에서는 오크 숙성 레드와인의 로제로 만들어지기도 한다.과일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3]산도와 보디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포도로 만든 적포도주는 매콤한 맛이 특징입니다.산도는 낮지만 열매[4]색감이 좋다.

아기오르기티코는 일반적으로 덜 하지만 농축된 포도의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건조한 불모지에 심어져 9월 [2]중순 이후에 익는다.

역사

네메아에서는 그리스 영웅이 네메아 사자를 죽였다는 전설에 따라 이 지역의 아기오르기티코 와인은 '헤라클레스의 피'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암펠로지스트들은 아기오르기티코가 펠로폰네소스의 아골리스코린티아 지역인 그리스에 토종이라고 믿고 있지만, 고대 그리스에서 재배되고 있는 포도에 대한 외설은 존재하지만,[1] 이러한 설화를 뒷받침할 역사적 또는 유전적 증거는 없다.네메아에서는 그리스 영웅이 네메아 사자를 죽인 후 그가 [7]마신 것은 아기오르기티코로 만든 현지 네메아 와인이었다는 전설 때문에 [5][6]'헤라클레스의 피'라는 별명이 붙었다.(이 이야기의 일부 버전에서는 헤라클레스가 사자를 죽이기 전에 와인을 마신다.)[8]또 다른 전설은 트로이 [9]전쟁 동안 그리스 군대를 이끌었던 아가멤논 왕이 이 와인을 가장 좋아했다고 말한다.

아기오르기티코라는 이름은 말 그대로 "성"을 의미합니다.'조지의 포도'는 네메아의 성 조지 예배당이나 일부 동방 정교회에서 수확기 무렵인 11월에 기념되는 성 조지 축일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하지만, 아기오르기티코가 재배되는 많은 그리스 지역에서는, 성 조지 기념일이 4월이나 5월에 기념되고 있는데, 이는 포도의 이름이 축제일과 관련이 있다는 설에 의문을 제기한다.또 다른 이론은 포도가 기독교 [1]성인의 이름을 딴 많은 그리스 마을들 중 하나에서 이름을 따왔다는 것이다.

네메아의 주요 토지 소유주는 교회였고 페네오스의 성 조지 수도원 승려들은 포도밭을 돌보고 성찬식을 위해 수도원에서 포도주를 만들기 위해 포도를 수확했다.이것은 페네오스의 성 조지 수도원에서 따온 성 조지 와인의 명칭에 대한 또 다른 이론이다.

포도 재배

아조르기티코는 작고 두꺼운 껍질이 있는 열매의 작은 송이를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와인 마스터인 얀시스 로빈슨은 그리스에 심어진 모든 아기오르기티코 덩굴은 사실상 바이러스 투성이라고 지적할 정도에 걸리기 쉬운 덩굴이다.바이러스와 포도나무의 연륜에 따라 숙성 수확량 문제가 발생하여 와인의 [1]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포도나무는 칼륨 결핍에 매우 취약합니다(포도잎에 나타난 영향).

포도는 늦게 이 트고 익는 품종으로 겨울 가지치기녹색 수확으로 억제하지 않으면 수확량이 많아진다.수많은 포도덩굴 바이러스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아조르기티코는 보트리티스 다발 부패, 솜털, 가루 같은 곰팡이균에 매우 민감합니다.포도나무는 또한 관개가 허용되는 지역에서 약간의 관개가 필요할 수 있는 의 응력에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수확량을 제한하기 위해, 아기오르기티코는 종종 가난한 포도밭 토양에 빽빽하게 심어져 있지만, 재배자들은 칼륨 [1]부족에 대한 품종의 민감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와인 전문가스티븐슨은 아기오르기티코 포도나무가 열에 잘 견디는 반면, 포도가 완전히 익을 수 있도록 약간 서늘하지만 충분히 따뜻한 높은 고도의 포도밭에서 더 잘 생산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특히 포도밭의 고도는 와인 [10]맛에 얼마나 매운 이 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신규 클론

21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재배업자들은 그리스 와인 당국과 협력하여 보트리티스 다발 부패를 포함한 대부분의 포도병에 저항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러스 없는 복제품을 생산해 왔고, 가장 일관된 생산량으로 더 높은 설탕 수준으로 숙성될 수 있는 두꺼운 껍질을 가진 작은 베리들을 생산해 왔습니다.2012년, 이 새로운 복제품들 중 몇 개가 서서히 아기오르기티코 포도원을 [1]재배하기 시작한 그리스 와인 재배업자들에게 출시되었습니다.

와인 지역

아기오르기티코는 그리스의 펠로폰네소스 지역에 널리 심어져 있습니다.

2012년, 아기오르기티코는 아티카에 5,202 헥타르(12,850 헥타르), 펠로폰네소스에 3,204 헥타르(7,920 헥타르), 마케도니아와 에피루스에 추가 재배되어 그리스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고 있는 포도 품종이었다.이 포도는 펠로폰네소스 북동부에 있는 네메아의 건조하고 달콤한 적포도와 가장 많이 연관되어 있습니다.여기서 포도 품종은 OPAP(프랑스명 AOC([11]Origination d'origin controlée) 시스템과 유사한 지정 와인 지역)에서만 허용된다.네메아에서는 적포도 생산에만 사용되며, 로제 스타일의 와인 제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에피루스의 메초보 마을 주변에서, 포도는 종종 카베르네 소비뇽[1]섞인다.

와인의 달인 얀시스 로빈슨에 따르면, 아기오르기티코의 "가장 심각한 예" 중 일부는 네메아 주변 아스프로캄포스 고원의 높은 고원(최대 900미터(3,000피트))과 코우티아 [1]코우티아 주변의 언덕(500미터(1,600피트)에서 600미터(2,000피트) 사이)에서 유래한다.

스타일

아기오리치코 100% 네메아 와인

아지오르기티코는 프랑스 보졸레 와인과 비슷한 탄산을 머금어 만든 연한 로제부터 부드럽고 과즙이 많은 레드, 매운 붉은 과일향과 숙성 가능성이 있는 타닉 와인까지 다양한 스타일로 만들 수 있는 다재다능한 포도 품종입니다.가장 극단적으로, Agiorgitiko 와인은 산도가 매우 낮고 알코올이 높으며 페놀 함량이 높을 수 있으며, 두 문제 모두 와인 제조사가 균형 잡힌 [1]와인을 만들기 위해 이러한 성분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포도의 작은 열매와 두꺼운 껍질은 포도와 관련된 깊고 어두운 색을 추출하기 위해 매우 짧은 시간 동안 포도주를 이끄는 높은 페놀 농도의 아기오르기티코에 기여합니다.그것은 또한 타닌 수치와 [1]통 속의 오크 에이징의 영향을 다루는 포도의 능력에 기여합니다.

와인 전문가인 카렌 맥닐에 따르면, 아기오르기티코의 몇몇 예들은 푸짐하고 맵고 매운 [9]맛으로 "거의 포트 같다"고 한다.오즈 클라크는 "아기오르기티코로 만든 네메아 와인의 품질은 와인 제조업자의 개인 기술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며 "산화에 의해 거칠고 거친 힘이 약해지지 않고 게으른 와인 제조가 제대로 [7]숙성될 수 있는 예"라고 말했다.톰 스티븐슨은 일부 예들은 너무 늦게, 너무 적은 산도와 함께 과도하게 익은 [10]수준에서 수확되는 "건조되거나 죽은 과일로 인해 상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와인 & 스피릿 교육 트러스트(WSET)에 의하면, 아지오르기티코의 가장 좋은 예는, 중간에서 낮은 산도를 가지는 경향이 있어, 진한 루비색, 붉은 과일 향, 달콤한 매운맛을 가지고 있습니다.이러한 예는 Nemea 주변 언덕 경사면의 중간 범위에 심어진 포도밭에서 나타나며 900m(3,000ft) 언덕 꼭대기 근처에서 수확된 포도는 지나치게 산성인 반면 매우 따뜻한 계곡 바닥에서 수확된 포도는 종종 너무 '잼'인 경우가 많다.네메아 주변의 포도밭마다 아기오르기티코의 품질이 다르기 때문에 일부 그리스 와인 생산자들은 크루즈 분류 시스템 [11]개발을 검토하게 되었다.

WSET의 와인 전문가들은 다른 OPAP 지역 NaousaXinomavro 기반의 와인과 달리, Nemea의 Agiorgitiko 기반의 와인은 국제 시장에서 [11]그리스 와인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보다 국제적인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

동의어

수년간, Agiorgitiko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동의어로 알려져 왔다.아귀오르기티코, 아이게오르기티코, 마브로(검은색 또는 어두운색), 마브로네메아스(네메아), 마브로네마, 마브로네마키, 마브로디 네메스, 네메스 마브로, 네메스 마브로, 네메스 마브로디.[12]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J. Robinson, J. Harding 및 J. Buillamoz 와인 포도 - 원산지와 향미 ppgs를 포함한 1,368종의 포도 품종에 대한 완전한 가이드 10-11 Allen Lane 2012 ISBN978-1-846-14446-2
  2. ^ a b Konstantinos Lazarakis (2005). The Wines of Greec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pp. 69–70. ISBN 1-84000-897-0.
  3. ^ J. Robinson, ed. (2006).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p. 7. ISBN 0-19-860990-6.
  4. ^ Oz Clarke (2001).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p. 34. ISBN 0-15-100714-4.
  5. ^ David Rosengarten "WINE AT TABLE 새로운 그리스어 피치: No Resin" 1991년 10월 16일 뉴스데이
  6. ^ Derek Gatopoulos "올해 인기 그리스 와인 출시" LA Times, 2002년 11월 24일
  7. ^ a b O. Clarke Oz Clarke's Encyclopedia of Wine 261 Time Warner Books, London 2003 ISBN 0-316-72654-0
  8. ^ Nestor가 "Wayback Machine에서 보관그리스 포도 품종 2014-06-04"에 액세스:2013년 6월 15일
  9. ^ a b K. 맥닐 와인 성경 페이지 611 워크맨 출판 2001 ISBN 1-56305-434-5
  10. ^ a b T. 스티븐슨, ED소더비 와인 백과사전 (5판) pgs 46-47, 502 돌링 킨더슬리 (2011) ISBN 97807566840
  11. ^ a b c 와인 & 스피릿 교육 트러스트 "와인과 스피릿: 와인 품질의 이해" 135페이지, 제2판(2012), 런던, ISBN 9781905819157
  12. ^ Agiorgitiko, 2010년 6월 21일 Vitis International Variety Catalog, Wayback Machine에서 2011-07-19 아카이브 완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