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케도니아의 농업
Agriculture in North Macedonia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농업은 인구의 5분의 1을 먹여 살리고, 절반은 농촌에 살고 있다. 그 나라의 산업화는 오랜 오스만 지배와 그 후 공산주의 통치 때문에 매우 지연되었다. 그 나라의 대륙성 기후와 지하성 기후는 생산량의 큰 다양성을 허용하지만, 뚜렷한 지형은 농부들에게 설명하기 어려운 지역을 만든다. 마케도니아 농업은 특히 산간지방에서 축산농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과일과 야채, 시리얼, 담배가 재배되고 있다. 이 나라의 농업은 사회주의 시대부터 남겨진 수많은 소규모 가족 농장이 특징으로 삼고 있다. 1991년 독립한 이후, 그 나라는 시장 경제가 되었다. 오늘날 농업은 북마케도니아 GDP의 10%를 차지한다.[1][2]
역사
현재 북마케도니아에 살고 있는 최초의 주민들은 신석기 시대에 도착하여 농업을 실천했다. 그러나 이 나라에서 농사의 역사는 14세기 오스만 침공 전까지 거의 기록되지 않았다.
오스만족은 신속하게 지방 행정을 개혁하고 술탄, 터키, 알바니아인 출신 장교들이 토지를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티마르 제도를 확립하여 지역 농민들이 일하던 땅을 소유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들 농민들은 군대의 잦은 이동으로 계곡을 벗어나 야산에 정착했다. 당국은 이들을 대체하기 위해 축산농가와 소상인을 중심으로 아나톨리아인과 블락스의 이주를 독려했다. 티마르 계통의 성질은 크기가 20헥타르 미만이었고, 소량의 시리얼과 면화를 생산했다.[3]
1600년부터는 제국주의 터키 당국의 약화로 기독교인들의 생활환경이 악화되었다. 술탄은 재정난에 맞서기 위해 마케도니아 땅을 일부 사유화하여 전병들과 그곳에 사는 농민들에게 일정한 재산(치플릭)을 제공하였다. 많은 기독교 농민들이 다시 한 번 계곡의 농경지를 탈출하여 무역로에서 문제를 퍼뜨리는 무법자 집단인 하지크족에 합류했다.[4]
19세기까지, 이 지역이 동양에 개방되어 있는 동안, 지역 경제는 붕괴되었는데, 특히 면화 및 곡물 시장에서의 미국과 인도의 경쟁 때문에 그러했다. 경작되지 않은 토지에 대한 세금이 없다는 것은 경작 가능한 토지의 5분의 4를 목초지로 남겨두었다는 것을 의미했다.[5]
마케도니아는 1912년 세르비아에 합병되었을 때 인구의 80%가 농업으로 생계를 이어갔고, 70%의 농민들이 토지를 소유하지 않고 오스만 지주들이 소유한 사유지에서 일했다.[6] 터키인들이 떠난 후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 식민화를 장려하기 위해 법을 제정했다. 마케도니아인들은 그들의 지역 밖에서는 재산을 소유할 권리를 갖지 못할 것이고, 경작지에 있는 몇몇 땅들은 세르비아 장교들에게 제공되었다.[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산업 농업이 촉진되었고, 특히 면화, 담배, 아편 양귀비가 재배되었다.[8] 그러나 인구의 75%를 차지하는 마케도니아 농민들의 대다수는 고풍스러운 방법을 사용하여 작은 소포에서 일했다.[9] 1929년 대공황과 인프라 부족 등으로 지역경제가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를테면 아편양귀비 가격이 77%[10]나 떨어진다는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후 공산정권은 마케도니아 경제에서 여전히 지배적인 분야인 농업에 대한 대대적인 재계획을 시작했다. 망명자, 외국인, 수도원, 과거 민간기업, 은행 등의 재산이 국유화되었고, 이 중 절반은 파시즘과의 싸움을 지지해 온 농민들에게 할당되었다. 나머지는 계획된 산업 농업에 맡겨졌고, 여러 협동조합으로 나뉘었다. 모든 사유지는 한 가족이 20-35헥타르의 토지를 갖도록 재편성되었다.[11]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주로 담배와 아편 양귀비를 생산했는데, 이는 제약 산업으로 운명지어졌다.[12]
그러나 산업 발전은 매우 높은 수의 농부들을 낮추었는데, 그들은 여전히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남아 있었다. 1945년 인구의 거의 80%,[13] 1961년 57%, 1981년 22%를 차지했다.[14]
1991년 독립한 후, 그 나라는 시장 경제가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뿐만 아니라 그리스와의 명명 분쟁으로 마케도니아는 주요 수출항인 테살로니키(Thesaloniki)를 잃게 되었다. 그 나라는 무역 활동의 60%를 잃었고 파산 직전이었다.[15] 명명 분쟁은 1995년에 종결되었지만, 1999년에 코소보 전쟁은 더 이상 옛 유고슬라비아 국가들에 상품을 수출할 수 없었고, 불가리아, 루마니아, 그리스와 같은 대체 고객을 찾아야 했기 때문에 마케도니아 경제에 큰 영향을 주었다.[16]
영농구조
북마케도니아는 10,140 km²의 농경지를 소유하고 있는데, 이 농경지는 영토의 거의 39%에 달한다. 이 땅의 절반은 농작물 재배에 바치고 나머지 절반은 축산 농사에 바친다. 이 나라는 48,606.75 헥타르의 숲을 가지고 있다.[17] 마케도니아는 농경재산의 소량으로 구분하는데, 이 중 80%가 2.5~2.8헥타르 사이며, 소택지로 나뉜다. 훨씬 규모가 큰 옛 국유기업들은 대체로 불완전한 사정으로 자금난에 빠져 있다.[2]
농작물 재배는 주로 남서부의 펠라고니아, 북서부의 폴로그, 그리고 북에서 남으로 나라를 가로지르는 강인 바르다르 계곡과 같은 저지대 평야에 위치한다. 남동쪽에 위치한 스트루미카 지역은 8,130헥타르의 경작지가 있는 주요 생산지역이다.
마케도니아 농부들은 씨앗과 품질의 수정체 부족, 관개 시스템의 빈약한 상태, 좋은 판매 전략의 부재와 같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18]
생산
축산농가
북마케도니아에서는 2007년 794,053마리의 양들이 양들의 농업을 지배하고 있다. 다음은 소(24만1257마리) 염소(13만2924마리) 말(3만2567마리) 순이다. 양양육은 양털, 고기, 우유 등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것은 주로 치즈의 생산에 사용된다. 마케도니아 농부들은 또한 닭 (242만8828마리)과 토끼를 기른다. 이 나라는 또한 109,769마리의 벌집을 가지고 있다.[17]
농작물.
이 나라는 주로 곡물, 특히 밀, 옥수수, 귀리, 쌀 등을 생산하며, 토마토, 피망, 오이, 콩, 감자, 양파, 배추, 멜론 등의 채소도 생산한다. 담배, 아편 양귀비, 사과, 배, 자두, 체리, 살구, 복숭아, 견과류, 포도 등 과일과 특히 포도주의 생산을 위한 과일도 재배된다.[17]
2018년 생산한 북마케도니아:
- 29만 4천 톤의 포도
- 24만 1천 톤의 밀
- 19만 톤의 옥수수.
- 피망 18만2000t,
- 18만1천 톤의 감자;
- 17만3천 톤의 배추
- 161,000톤의 토마토;
- 14만 톤의 사과
- 132,000톤의 수박;
- 13만 톤의 보리;
- 양파 5만 9천 톤;
- 5만 4천 톤의 오이;
다른 농산물의 소규모 생산 외에도. [19]
참조
- ^ "AGRI-FOOD TRADE STATISTICAL FACTSHEET European Union — North Macedonia" (PDF). Directorate-General for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2020-03-17. Retrieved 25 May 2020.
- ^ Jump up to: a b "Candidates in EU enlargement — Agriculture". European Commission. Retrieved 25 May 2020.
- ^ 램프 2000, 페이지 22
- ^ 로소스 2008, 페이지 49
- ^ 로소스 2008, 페이지 71
- ^ 폴턴 2000, 페이지 100
- ^ 조지바 & 코네치니 1998, 페이지 15
- ^ 로소스 2008, 페이지 139
- ^ 조지바 & 코네치니 1998, 페이지 30
- ^ 로소스 2008, 페이지 140
- ^ 로소스 2008년 페이지 217
- ^ 조지바 & 코네치니 1998, 페이지 23
- ^ 로소스 2008년 페이지 211
- ^ 로소스 2008년 페이지 249
- ^ 램프 2000, 페이지 401-402
- ^ 로소스 2008년 페이지 277
- ^ Jump up to: a b c Census of agriculture 2007, Basic statistical data on individual agricultural holdings and business entities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 by regions (PDF). Skopje: Republic of Macedonia State Statistical Office. 2007. ISBN 978-9989-197-01-7.
- ^ Gordana S. Veljanovska; Danco Dimkov (2010). "The ABCD of agriculture of Macedonia" (PDF). SNV Netherlands Development Organisation.[데드링크]
- ^ FAO에 의한 2018년 북마케도니아 생산
참고 문헌 목록
- Georgieva, Valentina; Konechni, Sasha (1998).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Lanham, MD: Scarecrow Press. ISBN 978-0-8108-3336-4. OCLC 36949809.
- Lampe, John (2000). Yugoslavia as history : twice there was a country.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77401-7. OCLC 42874897.
- Rossos, Andrew (2008). Macedonia and the Macedonians : A History. Stanford, CA: Hoover Institution Press. ISBN 978-0-8179-4882-5. OCLC 535519681.
- Poulton, Hugh (2000). Who are the Macedonians?. London: C. Hurst & Co. ISBN 1-85065-534-0. OCLC 43822146.
외부 링크
- 북마케도니아 식량농업기구 프로필
- 북마케도니아 특별 포커스 노트: 세계은행의 농업
-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농림수자원부(마케도니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