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 신화
Origin myth
기원신화는 자연계 또는 사회계의 일부 특징의 기원을 설명하는 신화이다.기원 신화 중 하나는 창조 혹은 우주 신화인데, 이것은 세계의 창조를 묘사하는 이야기이다.하지만, 많은 문화들은 첫 번째 기원 이후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들을 가지고 있다 - 그러한 이야기들은 자연 현상이나 기존의 우주 안에서 인간 기관의 시작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라에코 로마 학회에서 병인학적 신화와 기원(고대 그리스어 ααααδοδ, cause)이라는 용어는 기원을 설명하는 신화, 특히 물건이나 관습이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는 신화에 사용되기도 한다.
자연 기원 신화
모든 기원 신화는 창조의 이야기다: 기원 신화는 어떤 현실이 어떻게 [1][full citation needed]존재하게 되었는지를 묘사한다.많은 경우에, 기원 신화는 또한 그것이 신성한[1] 힘에 의해 확립되었다는 것을 설명함으로써 확립된 질서를 정당화한다(아래의 "사회적 기능" 섹션 참조).우주신화와 기원신화의 구별은 명확하지 않다.세계 일부의 기원에 대한 신화는 필연적으로 세계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있다.-많은 문화권에서는 우주신화를 전제로 하고 있다.그런 의미에서 기원신화는 그들 문화의 [1]우주신화를 기반으로 하고 확장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사실, 전통 문화에서 기원 신화의 암송은 종종 우주 [2]신화의 암송보다 먼저 이루어진다.
일부 학계에서는 '신화'라는 용어가 기원과 우주신화만을 제대로 지칭한다.예를 들어, 많은 민속학자들이 창조에 대한 이야기를 위해 "신화"라는 라벨을 남겨둡니다.기원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 전통적인 이야기는 민속학자들이 [3]신화와 구별하는 "전설"과 "민속화"의 범주로 분류된다.
역사학자 미르체아 엘리아데에 따르면, 많은 전통 문화에서, 거의 모든 신성한 이야기는 기원 신화의 자격이 있다고 합니다.전통적인 인간들은 그들의 삶을 신화 시대로의 "영원한 회귀"로 보고 신성한 사건 이후에 그들의 행동을 본떠보는 경향이 있다.이러한 개념 때문에, 거의 모든 신성한 이야기는 인간 행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확립한 사건들을 묘사하고 있으며, 따라서 거의 모든 신성한 이야기는 [4]창조물에 관한 이야기이다.
사회적 기능
이 기사는 대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단일 출처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 신화 · · · (2020년 7월) |
기원신화는 종종 현 상황을 정당화하는 기능을 한다.전통 문화에서 기원 신화에 묘사된 실체와 힘은 종종 신성하다고 여겨진다.따라서, 우주의 상태를 이러한 실체와 힘의 작용으로 돌림으로써, 기원 신화는 현재의 질서에 신성한 분위기를 준다: "신화는 세계, 인간, 그리고 생명이 초자연적인 기원과 역사를 가지고 있고, 이 역사가 중요하고, 소중하고,[5] 모범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많은 문화는 사람들이 신화적인 신과 영웅을 롤모델로 삼고 그들의 행동을 모방하고 그들이 확립한 관습을 지지한다는 기대를 심어줍니다.
선교사이자 민족학자 C일 때.스트렐로는 호주 아룬타족에게 왜 특정한 의식을 치르는지 물었고, 대답은 항상 "조상들이 그렇게 명령했기 때문이다."였다.뉴기니의 카이족은 생활 방식이나 일하는 방식을 바꾸기를 거부했고, 그들은 "네무(신화의 조상)가 그렇게 했고, 우리도 그렇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한 나바호 창구 담당자는 의식에서 구체적인 이유를 묻자 "성스러운 사람들이 애초에 그렇게 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우리는 원시적인 티베트 의식에 수반되는 기도에서도 정확히 같은 정당성을 발견한다: "지구의 창조 초기부터 전해져 내려온 것처럼, 우리도 희생해야 한다.…옛날 우리 조상들이 그랬던 것처럼,[6] 이제는 우리도 그렇습니다."
건국 신화는 사람들을 단결시키고 "창업자"를 더 바람직하고 영웅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 그 과정에서 신비로운 사건들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통치하는 군주나 귀족들은 그들의 지배력을 정당화하기 위해 신화적인 창시자/신/영웅들의 후손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예를 들어, 율리우스 시저와 그의 친척들은 아이네이아스를 조상이라고 주장했다.
건국 신화
"기초 신화" 또는 병인 신화(그리스어 음이온)는 다음 중 하나를 설명한다.
- 의식 또는 도시 설립의 기원
- 건국의 아버지를 가진 족보로[7] 제시되는 집단과 그에 따른 국가의 인종 형성(나티오, 출생)
- 신념, 철학, 규율 또는 사상의 정신적 기원 - 이야기로서 제시됨
원시 역사 시대에 시작된 많은 문명과 왕국들은 청동기 시대의 히타이트와 주 왕조, 고대 스키타이, 우손, 로마와 고구려를 포함한 영웅적인 국가 기원 신화의 일부 버전을 채택했다.중세에는 터키와 몽골인, 르네상스 [8]말기에는 중가르 칸국.
중국 주나라 건국 신화에서 원부인은 임신을 위해 제사를 지내다가 천왕의 발자국을 밟고 임신을 한다.그녀는 아들 Hou Ji를 낳는다. Hou Ji는 양, 소, 새, 나무꾼들의 보호를 받는 위험한 장소에 홀로 남겨둔다.그가 초자연적인 존재라고 확신한 그녀는 그를 다시 데려가 키운다.어른이 되면 요황의 궁정에서 말장이 되어 곡식, 박, 콩 재배에 성공한다.전설에 따르면, 그는 [9]상나라의 사악한 통치자를 타도한 후 주나라의 시조가 된다.
다른 문명들과 마찬가지로 스키타이인들 역시 하늘의 신의 아들로부터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어느 날, 드니퍼 강의 신의 딸이 소떼를 몰던 중 한 청년의 말을 훔쳤고, 소떼를 돌려주기 전에 그 청년이 그녀와 동침하도록 강요했다.이 결혼에서 그녀는 세 아들을 임신했고, 그들이 성년이 되면 그들의 아버지의 큰 활을 그들에게 주었다.활을 당길 줄 아는 아들이 왕이 될 것이다.다 노력했지만 막내만 성공했어요.그의 시도에서 세 개의 황금 물체가 하늘에서 떨어졌다: 쟁기와 멍에, 검과 컵.큰 두 사람이 그들을 주우려 하자 불이 그들을 막았다.그 후, 막내아들 스키테스가 왕이 되고 그의 사람들은 스키타이인으로 [10]알려지게 되었다.
구약성경(또는 성서학자들이 가끔 부르는)은 성경의 첫 다섯 권인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숫자, 신격의 총칭이다.그것은 이스라엘의 헌장 신화, 사람들의 기원 이야기, 그리고 그들의 문화와 제도의 기초를 형성하고, 신과 그가 선택한 사람들의 관계가 토라를 통해 시나이 산에서 출발했다는 유대교의 기본 원리이다.
창건 신화는 그의 불순물을 정화(카타르시스)할 필요가 있는 그의 범죄로 더럽혀진 살인자의 그리스 신화이기 때문에 주요한 본보기가 될 수 있다.
건국 신화는 그리스 신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발터 버커트는 "고대 그리스의 의식은 유명한 지역 집단과 특정한 지역들에 속박되어 있었다"며 "즉, 항상 세워져 있던 성당과 제단들"을 [11]관찰했다.따라서 그리스와 히브리 건국신화는 신과 지역민 사이에 특별한 관계를 형성했고, 그들은 영웅으로부터 그들의 기원을 추적하고 건국신화를 통해 그들의 조상들의 권리를 증명했다.그리스 건국 신화는 종종 역사적 사건이고 자연적인 사회적인 세계에서는,"집단적 중요성"[12]의 상징적인 이야기는 전통적인 chronologi을 설명하기 위해서 은유로 장식된를 만들고 현재 사회 관행 물가를 안정시키다에 고정되어 reformulating 고대 기존의 오래 된 질서의 전복되는 것에 대한 정당성을 상징하고 있다.에스,문화적 투자를 [13]한 사람들 사이에서 그럴듯하다고 여겨지는 병인학을 구축하는 것.
그리스 관점에 따르면, 신화적 과거는 역사적 시간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으며, 카를로 브릴란테가 [14]지적했듯이, 그 전설은 사실로 취급되고 있으며, 영웅적 주인공들은 "기원의 시대"와 그것을 계승한 인간적이고 일상적인 세계 사이의 연결고리로 보인다.아폴로니우스의 아르고나우티카의 현대 번역가는 헬레니즘 서사시에 포함된 많은 아이티아의 탈선들에 대해 "사회적 안정에 중요한 것은 기원의 관점에서 현재에 대한 설명, 승인 또는 권한을 제공하는 신화의 기능이어야 했다: 이것은 단지 기초나 전세 신화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비유적인 나무(가족 또는 영토 주장을 뒷받침하는 나무)뿐만 아니라 개인의 도덕적 [15]선택에도 영향을 미칩니다."알렉산더 대왕이 헬레니즘 세계를 확장한 후, 칼리마코스는 단순히 아이티아라는 제목의 작품 전체를 썼는데, 이것은 건국 신화로 가득 차 있다.사이먼 골드힐은 아폴로니우스가 층을 쌓은 것을 묘사할 때 침전 은유를 사용한다. "각 사물, 컬트, 의식, 이름이 열릴 수 있는 곳..."기원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각각의 이야기, 사건들이 컬트, 의식, 이름,[16] 기념물로 이어질 수 있는 곳"이라고 말했다.
주목할 만한 예는 로마의 건국 신화인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이야기인데, 버질은 아이네이드의 모험과 라비니움의 광경을 통해 아이네이드에서 넓어지고, 그의 아들 이울루스가 나중에 유명한 쌍둥이의 출생지 알바 롱가의 이전과 통치를 그의 왕족에 완벽하게 맞도록 한 것이다.사건의 규범을 확립했다.마찬가지로, 구약성서의 출애굽기 이야기는 신이 어떻게 이스라엘 사람들을 노예로부터 구했고,[17] 따라서 그들이 시나이 산의 언약을 통해 어떻게 그에게 속했는지를 말해주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건국 신화 역할을 한다.
중세 시대 동안, 북부 이탈리아의 중세 공동체에 대한 신화는 도시 인구의 증가하는 자신감과 아무리 미약하고 전설적이긴 하지만 로마 기원을 찾으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13세기에, 각 코뮤니티가 로마의 창시자를 찾았을 때, 그리고 만약 구할 수 없다면, 창시자를 발명했을 때, 트로이안테노르에 [18]그 기원이 있다고 하는 전설이 이 도시에 있었다.
거물급 영웅들은 많은 새로운 국가와 사회의 기원 신화를 계속 강화하고 있다.현대 식민지의 맥락에서, 개인과 집단의 물결은 집단의 이상을 형성하고 예시하는 것으로 대중 역사에서 표면화된다: 탐험가, 그 다음 정복자, 그리고 개발자/착취자.예를 들어, 이베리아 제국의 정복자, 브라질의 반데이라테스, 캐나다의 쿠레르 데 보이,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의 코사크족과 프로미슐레니키족, 미국 중부와 서부의 개척자 무리, 그리고 남아프리카의 부르트렉커족에 주목하라.
창립 이야기
기초 이야기는 도시와 국가의 발전에 대한 이야기다.기초 이야기는 도시의 창조가 인간의 업적이라는 견해를 나타낸다.인간의 통제와 야생적이고 통제되지 않은 자연의 제거가 강조되어 있다.기초 이야기에는 문명 이야기와 타락 [19]이야기라는 두 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문명 이야기는 자연을 위험하고 야생적인 것으로 본다.그 도시의 발전은 인간이 자연과 거리를 두는 데 성공한 것으로 여겨진다.자연은 폐쇄되어 있고, 인간은 그렇게 성공적으로 해낸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1984년 지리학자 이푸단(李富 and)은 도시의 자연 리듬과 주기에 따른 거리에 따라 도시 순위를 매길 것을 제안했다.
분해 이야기(공해 이야기라고도 함)는 다른 입장을 취합니다.그 도시는 도시가 형성되기 전에 존재했던 생태 관계의 경관을 망치는 것으로 보여진다.자연의 온전한 체계를 훼손한 것에 대한 죄책감이 있다.타락한 이야기에서 진정한 자연은 도시 밖에서만 존재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엘리아드, 페이지 21
- ^ Eliade, 페이지 21-24
- ^ 시갈, 5페이지
- ^ 예를 들어 Eliade, 페이지 17-19를 참조하십시오.
- ^ 엘리아드, 19페이지
- ^ 엘리아드, 페이지 6-7
- ^ Herwig Wolfram, The History of the Goths, Thomas J. Dunlap, tr., 특히 "역사적 민족지리학으로서의 고딕 역사", 1988:1-18.
- ^ Beckwith, Christopher I. (2009). Empires of the Silk Road: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 ISBN 9780691135892.
- ^ Beckwith, Christopher I. (2009). Empires of the Silk Road: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3. ISBN 9780691135892.
- ^ Beckwith, Christopher I. (2009). Empires of the Silk Road: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3. ISBN 9780691135892.
- ^ Burkert, Homo Necans(1972) 1983:83.
- ^ "집단적으로 중요한 이야기"로서의 신화는 종종 그리스와 다른 신화 정의의 일부입니다; 그리스 신화와 의식의 구조와 역사, 1982:23; 얀 N. 브레머, 그리스 신화의 해석, 1987:1; 마크 P O 모포드 참조.
- ^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의 그리스 건국 신화 구조 및 키레네 설립의 구체적인 예는 조르주 뒤메질, 클로드 칼라메, 고대 그리스의 신화 및 역사: My histoire dans' lantiqué greg. tr.의 상징적인 창조, 2003년 greg.에 의해 분석됩니다..
- ^ 브릴란테, "신화와 역사: 신화의 역사적 해석", L. Edmunds, 그리스 신화에 대한 접근 (1991-140페이지)
- ^ 피터 그린, 아르고나우티카 입문, 2007년판, 페이지 15.
- ^ Goldhill, "서사시의 패러다임: 아폴로니우스 로디우스와 과거의 예"는 시인의 목소리: 시학과 그리스 문학에 관한 에세이(1991)에서 2007년 피터 그린에 언급된 5, 페이지 284–333에서 아르고나우티카 I.1070–77, 페이지 226에 대해 언급했다.
- ^ Kenton L. Sparkes, 장르비평, 토마스 도즈먼 (편집), "출구 방법", CUP, 2010, 페이지 73.
- ^ 로베르토 바이스, 고전 고대의 르네상스 발견(옥스포드: 블랙웰) 1973:18.
- ^ 앨런, 존, 도린 B. Massey, Michael Pryke, Unsetting Citys Routledge 1999 ISBN 978-0-415-20072-1 페이지 141
추가 정보
- 벨레이쉬, 니콜"로마 팔레스타인의 건국 신화입니다.전통과 재작업", 톤 더크, 니코 로이만(편집), 고대 민족 건축: 권력과 전통의 역할(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 대학 출판부, 2009) (암스테르담 고고학 연구, 13), 167-188.
- 캠벨, 조셉신의 가면: 원시 신화뉴욕: Penguin Books, 1976년.
- 캠벨, 조셉시간을 통한 신화의 변화.뉴욕: 하퍼 앤드 로우, 1990년.
- Darshan, Guy. "히브리어 성경과 고대 동부 지중해의 기초 이야기 장르의 기원", JBL, 133,4 (2014), 689-709.
- 엘리아드, 미르체아종교사상의 역사: 제1권: 석기시대에서 엘레우시안 신비로. 1976년.트랜스 윌러드 R.트래스크 시카고:U of Chicago P, 1981년.
- 엘리아드, 미르체아신화와 현실.이감 윌러드 트래스크입니다뉴욕: Harper & Row, 1963년.
- 고대 신화와 문화 백과사전.런던: Quantum, 2004.
- 링컨, 브루스담론과 사회구성: 신화, 의식, 분류의 비교 연구.1989년 의원뉴욕: 옥스포드 UP, 1992년.
- 길어요, 찰스 H.알파: 창조의 신화.뉴욕: 조지 브레이질러, 1963년.
- 파든, 윌리엄 E성스러운 것의 해석: 종교관 1992년보스턴:비콘 P, 2003.
- 리코어, 폴"소개:신화의 상징적 기능"신화의 이론: 고대 이스라엘과 그리스에서 프로이트, 융, 캠벨, 레비 스트라우스에 이르기까지.에드. 로버트 A시갈. 뉴욕&런던: 갈랜드, 1996. 327~340.
- 실브랙, 케빈Ed. 신화를 통한 사고: 철학적 관점.런던과 뉴욕: Routledge, 2002.
- 시걸, 로버트 A.조셉 캠벨: 개요1987년 의원님뉴욕: 1997년 펭귄.
- 시걸, 로버트 A.신화: 매우 짧은 소개.옥스퍼드: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4.
- 시걸, 로버트 A.신화 이론: 고대 이스라엘과 그리스에서 프로이트, 융, 캠벨, 레비-스트라우스까지: 철학, 종교학, 신화.제3권뉴욕과 런던: 갈랜드, 1996.
- 시걸, 로버트 A.신화에 대한 이론화.Amherst: 1999년 매사추세츠 P의 U.
- 스펜스, 루이스신화 개요: 사상가 도서관 - 1944년 제99호화이트피쉬, MT: 케신저, 2007년.
- 폰 프란츠, 마리 루이스창조 신화: 개정판.보스턴:Shambhala,
- 라이트, M.R. "모델, 신화, 은유"고대 우주론 1995년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기원 신화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