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레부스

Erebus
에레부스
어둠의 화신
거주지지하세계
개인정보
부모님카오스
형제의닉스
컨소시엄닉스
자손에테르, 헤메라, 케레스, 타나토스, 히프노스, 오네이로이, 모모스, 오이시스, 헤스페리데스, 모이라이, 네메시스, 아파테, 필로테스, 게라스, 에리스, 스틱스, 돌로스, 포노스, 유프로네, 에피피아, 에피피아 대륙
로마식 등가물스코투스

그리스 신화에서 에레부스(/busr,b ins/;[1] 고대 그리스어: [2]ροβο, 로마자: darkness darknessβο)는 어둠의 의인화이자 태초의 신 중 하나이다.헤시오드신조는 그를 혼돈에서 태어난 최초의 다섯 존재 중 하나로 지목한다.

어원학

에레부스의 인식된 의미는 "어둠"이며, 최초의 기록된 예는 "땅과 하데스 사이의 어둠의 장소"였다.ββ ο ο β ο itself origin ο ο ο the the the the proto proto proto ʷ ʷ proto proto proto proto proto ʷ proto proto proto proto proto proto proto proto proto [3][4]proto proto proto산스크리트어 라하스, 고딕어 리키스, 고대 노르드어 rökkr).[2]

신화

그리스 구전 시인 헤시오드의 Theogony에 따르면, 에레부스는 [5]혼돈의 자손이며 닉스의 형제이며, 닉스는 에테르[6]헤메라의 아버지이다.

히기누스파불라에 따르면 에레부스, 녹스(밤), 에테르와 다이즈(낮)는 혼돈과 칼리긴(안개), 에레부스는 운명, 죽음, 파괴, 투쟁, 꿈, 꿈, 생각, 헤이스의 아버지다.파르카에(클로스토, 라체시스, 아트로포스)와 헤스페리데스(에글레, 헤스페리아, 에리테아)[7]이다.

키케로De Natura Deorum에는 에레부스와 녹스(밤)의 자녀로 "전설화"되어 있다.에테르, 다이즈(날), 아모르(사랑), 돌루스(길레), 메투스(공포), 노동(토일), 인비덴티시아(엔비), 파툼(운명), 세넥투스(노년), 모르스(죽음), 테네브라(암흑), 미세리아(미세리아)

알크만의 우주론에서 에레부스는 테티스, 포로, 테크모르에 이어 [9]네 번째 존재로 보인다.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새', '혼돈', '에레부스', '닉스', '타르타루스'는 지구, 공기 또는 [10]천국이 존재하기 전 최초의 존재였다.닉스는 "에레부스의 무한한 깊은 곳의 품에 무균 알을 낳았고" 에로스는 [11]거기서 유래했다.에테르는 에레부스의 [12]아들이라고도 불린다.

에레부스는 테오고니에서 어둠의 의인화되지 않은 의인화처럼 기능하며, 그리스 신화적 전통과 문학에서는 거의 특징이 없다.에레부스는 후기 작품에서 신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지만 죽은 사람이 죽은 직후에 지나가는 그리스 지하세계의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쓰이기도 하고,[13][14][15][16][17] 타르타루스와 바꿔 쓰이기도 한다.

동명인

영국 해군의 5척이 에레부스의 이름을 따 HMS 에레부스로 명명되었다.남극에서 두 번째로 높은 화산인 에레버스 산은 제임스 클라크 로스 경이 1841년 남극 탐험에서 사용한 HMS 에레버스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나중에 불운한 프랭클린 탐험에서 사용되었다.

메모들

  1. ^ Wells, John C. (2008),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3rd ed.), Longman, ISBN 9781405881180
  2. ^ a b 리델, 헨리 조지, 스콧, 로버트, 페르세우스 프로젝트의 그리스 영어 사전.
  3. ^ R. S. P. Beeekes, 페이지 451
  4. ^ Harper, Douglas. "Online Etymology Dictionary: Erebus". Retrieved 1 July 2011.
  5. ^ Hesiod, Theogony 116–124; Gantz, 페이지 4, Hard, 23; Fowler, 페이지 5, Caldwell, 페이지 6.
  6. ^ Hesiod, Theogony 124~126; Gantz, 페이지 4, Hard, 24; Caldwell, 페이지 6; Smith, s.v. E'rebos.
  7. ^ Hyginus, Fabulae Theogony 1 (Smith and Trzaskoma, 페이지 95).
  8. ^ 키케로, 드 나투라 데오룸 3.44
  9. ^ 알크, 5번 캠벨 (392-395쪽)
  10. ^ 아리스토파네스, 조류 690-694.
  11. ^ 아리스토파네스, 조류 695-697.
  12. ^ 아리스토파네스, 조류 1191–1194.
  13. ^ 예를 들어, 후기 테오고니에서, 에레부스라는 단어는 제우스에 의해 메노에티우스가 보내지고 헤카톤케어들이 온 땅 아래 장소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Hesiod, Theogony 510-517, 668–671, 페이지 4) 또한 호머에 의해 저승(Iliad 8.366–369, 9.565573, 16.325329, Odyssey 10.5265–29, 11.37–39z)을 지칭하기 위해 여러 번 사용됩니다."m of sclood." (암울함)(데메테르에 대한 호메찬가 (2), 335–339, 347–349 참조). 오비드변태에서 프로세피나는 "에레부스의 여왕" (5.572–573)으로 불리고, 지하세계의 신들은 "에레부스의 신" (1074), 그리고 "원조"로 불린다.마찬가지로, 12.18-19년 트로이의 몰락 퀸투스 스미르네우스에서는: "새벽(에오스)이 떠오르고 친절한 밤(Nyx) [t]o Erebus...".
  14. ^ Elizabeth, Alice (1896). The Sources of Spenser's Classical Mythology. New York: Silver, Burdett and Company. pp. 52, 55. ISBN 9780598920058.
  15. ^ Morford, Mark P. O. (1999). Classical Mythology: Sixth Edi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US. pp. 36, 84, 253, 263, 271. ISBN 0-19-514338-8., ISBN 9780195143386
  16. ^ Rengel, Marian (2009). Greek and Roman Mythology A to Z. Infobase Publishing. p. 51. ISBN 978-1-60413-412-4., ISBN 9781604134124
  17. ^ Turner, Patricia (2001). Dictionary of Ancient De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p. 170. ISBN 0-19-514504-6., ISBN 9780195145045

레퍼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