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레부스
Erebus에레부스 | |
---|---|
어둠의 화신 | |
거주지 | 지하세계 |
개인정보 | |
부모님 | 카오스 |
형제의 | 닉스 |
컨소시엄 | 닉스 |
자손 | 에테르, 헤메라, 케레스, 타나토스, 히프노스, 오네이로이, 모모스, 오이시스, 헤스페리데스, 모이라이, 네메시스, 아파테, 필로테스, 게라스, 에리스, 스틱스, 돌로스, 포노스, 유프로네, 에피피아, 에피피아 대륙 |
로마식 등가물 | 스코투스 |
그리스 신들 시리즈 |
---|
원시신 |
러시아 신들 |
그리스 신화에서 에레부스(/busr,b ins/;[1] 고대 그리스어: [2]ροβο, 로마자: darkness darknessβο)는 어둠의 의인화이자 태초의 신 중 하나이다.헤시오드의 신조는 그를 혼돈에서 태어난 최초의 다섯 존재 중 하나로 지목한다.
어원학
에레부스의 인식된 의미는 "어둠"이며, 최초의 기록된 예는 "땅과 하데스 사이의 어둠의 장소"였다.ββ ο ο β ο itself origin ο ο ο the the the the proto proto proto ʷ ʷ proto proto proto proto proto ʷ proto proto proto proto proto proto proto proto proto [3][4]proto proto proto산스크리트어 라하스, 고딕어 리키스, 고대 노르드어 rökkr).[2]
신화
그리스 구전 시인 헤시오드의 Theogony에 따르면, 에레부스는 [5]혼돈의 자손이며 닉스의 형제이며, 닉스는 에테르와 [6]헤메라의 아버지이다.
히기누스의 파불라에 따르면 에레부스, 녹스(밤), 에테르와 다이즈(낮)는 혼돈과 칼리긴(안개), 에레부스는 운명, 죽음, 파괴, 투쟁, 꿈, 꿈, 생각, 헤이스의 아버지다.파르카에(클로스토, 라체시스, 아트로포스)와 헤스페리데스(에글레, 헤스페리아, 에리테아)[7]이다.
키케로의 De Natura Deorum에는 에레부스와 녹스(밤)의 자녀로 "전설화"되어 있다.에테르, 다이즈(날), 아모르(사랑), 돌루스(길레), 메투스(공포), 노동(토일), 인비덴티시아(엔비), 파툼(운명), 세넥투스(노년), 모르스(죽음), 테네브라(암흑), 미세리아(미세리아)
알크만의 우주론에서 에레부스는 테티스, 포로, 테크모르에 이어 [9]네 번째 존재로 보인다.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새', '혼돈', '에레부스', '닉스', '타르타루스'는 지구, 공기 또는 [10]천국이 존재하기 전 최초의 존재였다.닉스는 "에레부스의 무한한 깊은 곳의 품에 무균 알을 낳았고" 에로스는 [11]거기서 유래했다.에테르는 에레부스의 [12]아들이라고도 불린다.
에레부스는 테오고니에서 어둠의 의인화되지 않은 의인화처럼 기능하며, 그리스 신화적 전통과 문학에서는 거의 특징이 없다.에레부스는 후기 작품에서 신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지만 죽은 사람이 죽은 직후에 지나가는 그리스 지하세계의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쓰이기도 하고,[13][14][15][16][17] 타르타루스와 바꿔 쓰이기도 한다.
동명인
영국 해군의 5척이 에레부스의 이름을 따 HMS 에레부스로 명명되었다.남극에서 두 번째로 높은 화산인 에레버스 산은 제임스 클라크 로스 경이 1841년 남극 탐험에서 사용한 HMS 에레버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나중에 불운한 프랭클린 탐험에서 사용되었다.
메모들
- ^ Wells, John C. (2008),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3rd ed.), Longman, ISBN 9781405881180
- ^ a b 리델, 헨리 조지, 스콧, 로버트, 페르세우스 프로젝트의 그리스 영어 사전.
- ^ R. S. P. Beeekes, 페이지 451
- ^ Harper, Douglas. "Online Etymology Dictionary: Erebus". Retrieved 1 July 2011.
- ^ Hesiod, Theogony 116–124; Gantz, 페이지 4, Hard, 23; Fowler, 페이지 5, Caldwell, 페이지 6.
- ^ Hesiod, Theogony 124~126; Gantz, 페이지 4, Hard, 24; Caldwell, 페이지 6; Smith, s.v. E'rebos.
- ^ Hyginus, Fabulae Theogony 1 (Smith and Trzaskoma, 페이지 95).
- ^ 키케로, 드 나투라 데오룸 3.44
- ^ 알크만, 5번 캠벨 (392-395쪽)
- ^ 아리스토파네스, 조류 690-694.
- ^ 아리스토파네스, 조류 695-697.
- ^ 아리스토파네스, 조류 1191–1194.
- ^ 예를 들어, 후기 테오고니에서, 에레부스라는 단어는 제우스에 의해 메노에티우스가 보내지고 헤카톤케어들이 온 땅 아래 장소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Hesiod, Theogony 510-517, 668–671, 페이지 4) 또한 호머에 의해 저승(Iliad 8.366–369, 9.565–573, 16.325–329, Odyssey 10.5265–29, 11.37–39z)을 지칭하기 위해 여러 번 사용됩니다."m of sclood." (암울함)(데메테르에 대한 호메로 찬가 (2), 335–339, 347–349 참조). 오비드의 변태에서 프로세피나는 "에레부스의 여왕" (5.572–573)으로 불리고, 지하세계의 신들은 "에레부스의 신" (1074), 그리고 "원조"로 불린다.마찬가지로, 12.18-19년 트로이의 몰락 퀸투스 스미르네우스에서는: "새벽(에오스)이 떠오르고 친절한 밤(Nyx) [t]o Erebus...".
- ^ Elizabeth, Alice (1896). The Sources of Spenser's Classical Mythology. New York: Silver, Burdett and Company. pp. 52, 55. ISBN 9780598920058.
- ^ Morford, Mark P. O. (1999). Classical Mythology: Sixth Edi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US. pp. 36, 84, 253, 263, 271. ISBN 0-19-514338-8., ISBN 9780195143386
- ^ Rengel, Marian (2009). Greek and Roman Mythology A to Z. Infobase Publishing. p. 51. ISBN 978-1-60413-412-4., ISBN 9781604134124
- ^ Turner, Patricia (2001). Dictionary of Ancient De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p. 170. ISBN 0-19-514504-6., ISBN 9780195145045
레퍼런스

- 아리스토파네스, 완전한 그리스 드라마에 나오는 새들, 제2권유진 오닐 주니어뉴욕.1938년 랜덤 하우스페르세우스 디지털 라이브러리의 온라인 버전.
- Beekes, Robert S. P., 그리스어 어원사전, 2권.레이든: 브릴, 2009년.
- Caldwell, Richard, Hesiods Theogony, Focus Publishing/R.Pullins Company(1987년 6월 1일).ISBN 978-0-941051-00-2.
- 캠벨, 데이비드 A., 그리스 서정, 제2권: 아나크레온, 아나크레온테아, 올림푸스에서 알크만까지의 합창 서정, 데이비드 A.에 의해 편집 및 번역되었습니다.캠벨, 롭 고전 도서관 143호,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 하버드 대학 출판부, 1988.하버드 대학 출판부의 온라인 버전.
- 키케로,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의 드 나투라 데오룸: 신의 본성에 대해서요 H. Rackham, Loeb Classical Library No.268,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에 의해 번역된 학술지는 1933년 처음 출판되었고 1951년 개정되었다.ISBN 978-0-674-99296-2.하버드 대학 출판부의 온라인 버전.인터넷 아카이브
- 파울러, R. L. (2013), 초기 그리스 신화: 제2권: 해설,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13.ISBN 978-0198147411.
- 간츠, 티모시, 초기 그리스 신화: 문학 예술 소스 가이드, 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부, 1996년 2권:ISBN 978-0-8018-5360-9(1권), ISBN 978-0-8018-5362-3(2권)
- 하드, 로빈 그리스 신화의 루트리지 핸드북: Psychology Press, 2004년 H.J. Rose의 "그리스 신화 핸드북"을 바탕으로 ISBN 9780415186360.구글 북스
- Hesiods, Theogony, The Homeric Chamns and Homerica with Hugh G. Evelyn-White, 케임브리지, M.A.,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William Heinemann Lt. 1914.페르세우스 디지털 라이브러리의 온라인 버전.그리스어 텍스트는 같은 웹사이트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 호머, A.T.의 영어 번역 일리아드. 머레이, 박사학위 두 권으로 나눠져 있어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하버드 대학 출판부, 런던, 윌리엄 하이네만, 1924년페르세우스 디지털 라이브러리의 온라인 버전.
- 호머, A.T.의 영어 번역본 오디세이 머레이, 박사학위 두 권으로 나눠져 있어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하버드 대학 출판부, 런던, 윌리엄 하이네만, 1919년페르세우스 디지털 라이브러리의 온라인 버전.
- 히기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폴로도로스의 도서관에 있는 파불래와 히기누스의 파불래: 그리스 신화에 관한 두 권의 핸드북, 번역, R의 소개. 스캇 스미스와 스티븐 M. Trzaskoma, 해킷 출판사, 2007.ISBN 978-0-87220-821-6.
- Morford, Mark P. O., Robert J. Lenardon, Classical Mythology, 제8판,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7.ISBN 978-0-19-530805-1.
- Ovid, Metaboroses, Brookes More, 보스턴, 콘힐 출판사 1922.페르세우스 디지털 라이브러리의 온라인 버전.
- Quintus Smyrnaeus, Quintus Smyrnaeus: 트로이의 함락, A.S. 번역웨이,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 하버드 대학 출판부, 1913년인터넷 아카이브
- 스미스의 슈미츠, 레온하르트, "에레보스", 윌리엄 (ed.) 그리스 로마 전기와 신화 사전, 런던, 존 머레이, 1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