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Alfredo Di Stéfano ![]() 1947년 아르헨티나의 디 스테파노 | |||||||||||||||||
개인정보 | |||||||||||||||||
---|---|---|---|---|---|---|---|---|---|---|---|---|---|---|---|---|---|
풀네임 | 알프레도 스테파노 디 스테파노 라울헤[1] | ||||||||||||||||
출생의 날짜. | 1926년 7월 4일 | ||||||||||||||||
출생지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
생년월일 | 2014년 7월 7일 | (88세)||||||||||||||||
죽음의 장소 | 스페인 마드리드 | ||||||||||||||||
높이 | 1.78 m (5 ft 10 in) | ||||||||||||||||
위치(들) | 전방, 공격형 미드필더 | ||||||||||||||||
청년경력 | |||||||||||||||||
1940–1943 | 우니온 프로그레시스타 | ||||||||||||||||
1944–1945 | 리버 플레이트 | ||||||||||||||||
시니어 커리어* | |||||||||||||||||
몇 해 | 팀. | Apps | (Gls) | ||||||||||||||
1945–1949 | 리버 플레이트 | 66 | (49) | ||||||||||||||
1945–1946 | → 후라칸(대출) | 25 | (10) | ||||||||||||||
1949–1953 | 밀로나리오스 | 101 | (90) | ||||||||||||||
1953–1964 | 레알 마드리드 | 282 | (216) | ||||||||||||||
1964–1966 | 에스파뇰 | 47 | (11) | ||||||||||||||
총 | 521 | (376) | |||||||||||||||
국제경력 | |||||||||||||||||
1947 | 아르헨티나 | 6 | (6) | ||||||||||||||
1957–1961 | 스페인 | 31 | (23) | ||||||||||||||
관리자경력 | |||||||||||||||||
1967–1968 | 엘체 | ||||||||||||||||
1969–1970 | 보카 주니어스 | ||||||||||||||||
1970–1974 | 발렌시아 | ||||||||||||||||
1974 | 스포르팅 CP | ||||||||||||||||
1975–1976 | Rayo Vallecano | ||||||||||||||||
1976–1977 | 카스텔론 | ||||||||||||||||
1979–1980 | 발렌시아 | ||||||||||||||||
1981–1982 | 리버 플레이트 | ||||||||||||||||
1982–1984 | 레알 마드리드 | ||||||||||||||||
1985 | 보카 주니어스 | ||||||||||||||||
1986–1988 | 발렌시아 | ||||||||||||||||
1990–1991 | 레알 마드리드 | ||||||||||||||||
메달기록
| |||||||||||||||||
*클럽 국내리그 출전 및 골 |
알프레도 스테파노 디 스테파노 라울헤(Alfredo Stéfano Di Stéfano Laulhé[2]) 스페인어 발음: [al ˈ ɾ네 ð로 ð제스 ˈ테파노; 1926년 7월 4일 ~ 2014년 7월 7일)는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현역 시절 포지션은 공격수였습니다. "Saeta rubia" ("Blond Arrow")[3][4][5]라는 별명을 가진 그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클럽의 유러피언컵과 라 리가 우승에 기여한 레알 마드리드에서의 업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프란시스코 겐토, 호세 마리아 자라가와 함께, 그는 유러피언컵 5회 우승에 모두 참여한 단 3명의 선수 중 한 명으로, 5번의 결승전에서 각각 골을 기록했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마드리드로 이적한 후 주로 스페인 국가대표로 뛰었지만, 아르헨티나와 콜롬비아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습니다.
디 스테파노(Di Stéfano)는 1943년 17세의 나이로 아르헨티나의 리버 플레이트(River Plate)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1946년에 그는 아틀레티코 후라칸으로 임대되었지만, 1947년에 리버로 복귀했습니다. 1949년 아르헨티나에서 축구 선수들의 파업으로 인해, 디 스테파노는 콜롬비아 리그의 보고타의 밀로나리오스에서 뛰게 되었습니다.[6] 그는 아르헨티나와 콜롬비아에서 선수 생활 첫 12년 동안 6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했습니다.[7][8]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한 후, 그는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 중 한 팀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었습니다. 그는 레알 소속으로 282경기에 출전해 216골을 기록했는데, 이는 라울,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카림 벤제마에 이은 기록이었습니다. 디 스테파노가 58경기에 출전해 기록한 49골은 유러피언컵 역대 최다 득점 기록입니다. 그 이후로 앞서 언급한 레알 마드리드 3인방을 포함한 여러 선수들이 이 기록을 넘어섰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1956년과 1960년 사이에 레알 마드리드 소속으로 5번의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득점을 기록했는데, 그 중에는 해트트릭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1960년 햄던 파크에서 열린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의 결승전에서 7-3으로 승리한 것이 클럽에서의 최고의 경기일지도 모릅니다.[6] 그는 1964년 에스파뇰로 이적하여 40세에 은퇴할 때까지 그곳에서 뛰었습니다.[8]
디 스테파노는 1957년과 1959년에 올해의 유럽 축구 선수로 선정된 발롱도르를 수상했습니다.[7] 그는 현재 스페인 1부 리그 역사상 7번째로 높은 득점자이며, 레알 마드리드의 역대 4번째로 높은 리그 득점자입니다. 그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함께 엘 클라시코 역사상 최고의 골잡이입니다.[9][10] 2003년 11월, UEFA의 주빌리를 기념하기 위해, 그는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으로부터 지난 50년간 가장 뛰어난 선수로 스페인의 골든 플레이어로 선정되었습니다.[11] 그는 프랑스 풋볼 잡지가 주관한 투표에서 펠레, 디에고 마라도나, 요한 크라위프에 이어 4위로 뽑혔습니다.[12] 2004년, 그는 펠레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선수 명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2009년 9월, 그는 디 스테파노가 "역대 최고의 선수"[13]라고 말했습니다). 2008년, 디 스테파노는 마드리드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FIFA가 발행한 특별 회장상을 받아 UEFA와 레알 마드리드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당시 미셸 플라티니 UEFA 회장은 디 스테파노를 "위대한 사람들 사이에서 위대한 사람"이라고 불렀고, 동시대의 에우세비오와 저스트 퐁텐은 그가 "경기 역사상 가장 완전한 축구 선수"라고 주장했습니다.[14]
초기생
디 스테파노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인근의 바라카스에서 태어났으며, 1세대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19세기 그의 아버지 미켈레가 카프리에서 아르헨티나로 이민)와 프랑스계 아일랜드계 아르헨티나인 에우랄리아 라울레 길몽(Eulalia Laulhé Gilmont)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그녀의 친척은 마요 주 스윈포드 출신입니다.[15][16][17][18]
1912년 무릎 부상으로 조기 은퇴한 리버 플레이트의 수비수였던 디 스테파노의 아버지는 어린 알프레도를 축구에 입문시켰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길거리 축구, 웅덩이, 그리고 인근 클럽인 바라카스 "유니도시 벤세레모스", 그리고 플로레스 지역의 이만 등에서 성장했습니다. 사람들은 이미 그의 재능을 알아차렸습니다. 1940년, 그의 가족은 시골로 이주하였고, 디 스테파노는 그의 아버지와 함께 축구를 시작하여 1943년까지 클럽 소셜 데포르티보 우니온 프로그레시스타에서 축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클럽경력
리버 플레이트

1944년, 디 스테파노의 아버지는 리버 플레이트에게 추천서를 썼고, 구단은 그를 청소년 팀의 오디션에 초대하기 위해 답장 전보를 보냈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재판에서 인상을 남겼고, 그의 가족이 응원하는 리버 플레이트의 2군 선수단에 합류했습니다. 이듬해, 그는 페데르네라, 라브루나 무뇨스, 그리고 루스타우와 같은 선수들로 구성된 전례 없는 성공으로 라 마르키나라고 불렸던 첫 번째 팀의 일원이 되었습니다. 팀의 주요 스타 중 한 명인 모레노는 멕시코 레알 클럽 에스파냐로 막 떠났고, 젊은 디 스테파노에게는 1군 자리를 놓고 싸울 수 있는 좋은 기회로 보였습니다.
파라과이의 아르세니오 에리코, 인디펜던트의 공격수였던 디 스테파노는 스타들, 특히 페데르네라에게 배웠습니다. 그의 코치이자 첫 번째 멘토인 카를로스 푸셀레는 그에게 낮은 공을 던지는 법을 가르쳤고, 곧 그는 19세의 나이로 1945년 1군 데뷔전을 치렀는데, 그 해 7월 15일, 그는 후라칸과의 1945년 아르헨티나 축구 선수권 대회 12일차 경기에서 2-1로 패한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습니다. 디 스테파노가 그해 출전한 경기는 이 경기가 유일했지만, 시즌 막판 리버 플레이트가 보카 주니어스에 승점 4점 앞서며 첫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후라칸으로 임대

디 스테파노가 지난 시즌에 치른 유일한 경기에서, 후라칸의 회장은 그의 잠재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디 스테파노는 리버 플레이트에 1군으로 진출할 가능성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에 그들과 합류하기로 동의했습니다. 후라칸과 아르헨티나의 전설 에르미니오 마산토니오는 얼마 전에 은퇴를 했고, 구단은 대체 포워드를 필요로 했습니다.
전 아르헨티나 공격수이자 월드컵 득점왕인 기예르모 스타빌레 당시 후라칸이자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 감독은 1946년 시즌 디 스테파노에게 첫 실전 기회를 주었습니다. 그는 3-1로 이긴 에스투디안테스와의 경기에서 그의 경력의 첫 두 골을 득점했습니다.
그는 이후 친정팀 리버 플레이트를 상대로 골을 넣으며 약 10초간의 경기 끝에 아르헨티나 선수권 대회 역사상 가장 빠른 골을 기록했습니다. 그는 후라칸 소속으로 25경기에 출전해 10골을 넣었고, 노베르투 멘데스와 완벽한 팀을 이루어 코파 아메리카 역대 최다 득점자가 되었습니다. 후라칸은 성공적인 8위 시즌이 끝나갈 무렵, 디 스테파노와 영구 계약을 맺으려고 했지만, 90,000페소의 리버 플레이트가 이적을 요청할 형편이 되지 않았습니다.
리버 플레이트로 돌아가기 1947-1949

그가 리버 플레이트로 돌아오자, 디 스테파노는 아틀레티코 아틀레티코 아틀레티코로 이적한 아돌포 페데르네라를 떠나면서, 라 마르키나의 필수 선수가 되었습니다. 카를루스 푸셀레는 처음에 디 스테파노를 측면에 배치했는데, 디 스테파노가 고전하는 위치였다; 피더네라의 아틀란타와의 경기에서, 푸셀레는 그를 중앙 공격수로 기용하기로 결정했고, 리버는 결국 6-1로 승리했습니다. 곧, 디 스테파노는 자신을 센터 포워드로 임명했고 그의 동료들은 그의 경기에 적응했습니다. 그는 기자 로베르토 뇌베르거로부터 새타 루비아라는 별명을 받았습니다. 의무적인 징병으로 인해 한동안 팀을 떠나야 했지만, 디 스테파노는 1947년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27골을 넣으며 리그 득점왕에 오르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리그 우승으로 리버 플레이트는 1913년까지 기원을 추적한 두 국가의 클럽 대항전에서 골키퍼 아니발 파즈와 발터 타이보와 같은 위대한 선수들을 보여준 우루과이 나시오날 몬테비데오의 챔피언들을 상대로 코파 알다오에 아르헨티나 대표로 출전할 수 있게 되었고 많은 이들에게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전신으로 여겨졌습니다. 1947년 11월, 리버는 몬테비데오에서 디 스테파노가 골을 넣으며 나시오날을 4-3으로 이겼고, 나흘 후, 디 스테파노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3-1로 승리하며 첫 국제 클럽 트로피를 들어올렸습니다.
1948년 2월, 리버 플레이트는 산티아고에서 열린 첫 번째 남미 챔피언 대회에 참가하여 6경기에서 4골을 넣은 디 스테파노와 함께 바스코 다 가마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1948년 아르헨티나 선수권 대회 기간 동안, 축구 협회는 아돌포 페데르네라와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가 이끄는 선수들의 항의로 인해 프로의 지위와 권리를 얻기 위한 선수의 파업이라는 결과를 낳으면서 대회를 잠시 중단했습니다. 그 격변에도 불구하고 디 스테파노는 23경기에서 13골을 넣었고 리버 플레이트는 3위를 차지했습니다. 파업은 1949년까지 8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며 결국 최고의 아르헨티나 축구 선수들이 다른 리그, 특히 당시 세계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리그 중 하나였던 콜롬비아로 떠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1949년 7월 31일, 디 스테파노는 아르헨티나에서의 마지막 경기에서 골키퍼 역할을 맡았고, 구단주 아메데오 카리소와 교체되어 몇 분간 주전 자리를 지켰고, 보카 주니어스와의 더비에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19]
1949~1953년 밀로나리오스
수페르가 항공 참사 이후 1949년 5월 리버 플레이트와 그란데 토리노의 친선 경기가 열렸고 디 스테파노는 그라나타와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아르헨티나의 공격수는 아돌포 페데르네라와 접촉하였고, 그는 콜롬비아 보고타를 연고로 하는 밀로나리오스 FC와 이미 계약을 맺었습니다. 1949년 8월 9일, 또 다른 동료들이 합류하자, 네스토르 로시는 리버 플레이트가 이적료를 받지 못한 채 콜롬비아 클럽으로 이적했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콜롬비아 사람들과 계약을 맺었습니다. 어쨌든 이적료를 지불할 여유가 없었던 밀로나리오스는 리버 플레이트에서의 연봉보다 확실히 높은 연봉을 제안했고, 아르헨티나의 공격수는 콜롬비아에서 엘도라도라는 선수 생활의 새로운 장을 시작했습니다. 헝가리 출신의 벨라 사로시, 라슬로 스 ő키, 아르헨티나 출신의 르네 폰토니, 엑토르 리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출신의 영국인 찰리 미튼, 스토크 시티 출신의 닐 프랭클린, 프랑스-헝가리 출신의 프란치스코, 이탈리아 출신의 루이지 디 프랑코, 브라질 출신의 헬레노 데 프레이타스, 페더네라가 처음으로 계약한 후 다른 사람들도 리그에 합류했습니다.
콜롬비아 리그는 1948년 프로로 전향하여 1949년 4월 25일 엘도라도 시대를 시작했습니다. 여름에 밀로나리오스에 입단한 디 스테파노, 페르데네라, 네스토르 로시는 발레 아줄이라는 유명한 팀의 일원으로 1949년 결승전에서 데포르티보 칼리를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디 스테파노는 14경기에서 16골을 기록했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1950년 시즌에 29경기에서 23골을 넣었지만, 밀로나리오스는 최종 우승팀인 데포르테스 칼다스에 승점 2점 차로 뒤졌습니다. 컨디션을 유지한 디 스테파노는 경기 중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1951년 밀로나리오스를 두 번째 우승으로 이끌었고, 준우승자인 보카 주니어스 데 칼리는 결승전에서 11점을 뒤졌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34경기에서 32골을 넣었는데, 이는 리그의 어떤 선수보다도 많은 골입니다. 밀로나리오스는 1951년 코파 콜롬비아에서 보카 주니어스 데 칼리에게 패하게 됩니다.
1952년 리그의 성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밀리오나리오스는 보카 주니어스 데 칼리를 제치고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디 스테파노는 19골로 다시 한 번 득점왕에 올랐습니다. 1952년 10월, 디 스테파노는 쿠쿠타 데포르티보를 2-1로 이기고 밀로나리오스를 코파 콜롬비아 결승전으로 이끌었습니다. 결승전은 1953년 5월에 열렸는데, 디 스테파노가 이미 아르헨티나로 간 후였습니다.
1951년 10월, 델 푸트볼 프로스페셜 콜롬비아노 디비시온 시장은 1954년 10월 이후 외국인 선수들이 자국으로 복귀하는 것을 조건으로 FIFA와 리마 조약에 합의했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밀리오나리오스 소속으로 292경기에 출전해 총 267골을 넣으며 콜롬비아 리그 역사상 최고의 축구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힙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스페인으로의 이적.
1952년 3월, 레알 마드리드는 새로 건설된 홈구장에서 친선대회를 열었고, 리버 플레이트는 레알 마드리드의 50주년 기념 대회에 초청되었습니다. 대회 이름은 보다스 데 오로(Bodas de Oro)였지만, 레알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Santiago Bernabeu)가 남미의 새로운 강자에 대해 듣자마자, 레알 마드리드는 리버 플레이트(River Plate) 초대를 취소하고 콜롬비아인들을 남미 대표로 초대했습니다. 콜롬비아는 대회에 참가하여 스웨덴 챔피언 IFK 노르쾨핑과 2-2로 비기고, 우루과이의 전설 헥토르 스카로네가 감독하던 로스 블랑코스를 4-2로 이기고,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경기장에 도착하여 아돌포 페데르네라를 지켜봤습니다. 밀로나리오스는 세계 투어를 시작하고 디 스테파노가 이끄는 헝가리와 세계 챔피언 우루과이를 꺾을 것입니다.
밀로나리오스가 콜롬비아로 돌아온 직후, 바르셀로나 감독들은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방문하여 1954년 디 스테파노의 권리를 보유한 마지막 FIFA 소속 팀인 리버 플레이트와 1억 5천만 이탈리아 리라 (다른 자료에 따르면 20만 달러)에 이적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것은 그의 권리를 위한 두 스페인 라이벌간의 싸움을 시작시켰습니다. 1952년 크리스마스에, 여전히 밀로나리오스와 계약한 디 스테파노는 부에노스아이레스로 잠시 돌아왔고, 아르헨티나 리그가 아직 프로 수준이 아니었기 때문에 축구를 포기하고 사업을 시작할 계획까지 세웠습니다.
FIFA, 중재자로 아르만도 무뇨스 칼레로 전 스페인축구연맹 회장 선임 칼레로는 1953-54 시즌과 1955-56 시즌을 마드리드에서, 그리고 1954-55 시즌과 1955-56 시즌을 바르셀로나에서 뛰게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협정은 축구 협회와 각 구단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카탈루냐인들은 동의했지만, 이 결정으로 블루그라나 회원들 사이에 다양한 불만이 생겼고, 1953년 9월 대통령은 사임해야 했습니다.
바르셀로나는 마드리드의 반 지분을 매각했고, 디 스테파노는 4년 계약을 맺고 블랑코스로 이적했습니다. 레알은 이적료로 550만 스페인 페세타를 지불했고, 130만 파운드의 보너스와 밀로나리오스 구단에 지불해야 하는 연봉, 그리고 디 스테파노에 대한 연봉 16,000달러를 동료들의 두 배에 달하는 보너스로 지불했는데, 이 금액은 마드리드 구단의 연간 수입의 40%에 달했습니다. 이 사실은 바르셀로나와의 경쟁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레알 마드리드: 유럽 최초의 승리.

1953년 9월 22일, 27세의 디 스테파노는 7개월 동안 활동을 하지 않은 채 레알 마드리드에 입성했고, 5일 후에 화이트 유니폼을 입고 데뷔전을 치렀고, 4-2로 이긴 라싱 산탄데르와의 안방 경기에서 레알 마드리드 소속으로 첫 골을 기록했습니다. 1953년 10월 25일, 디 스테파노는 카탈루냐 연고 구단이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지분을 매각한 지 몇 시간 만에 바르셀로나를 상대로 첫 클래식 경기를 치렀고, 디 스테파노는 2골을 넣어 5-0 승리에 일조했습니다. 마드리드에서의 첫 몇 달 동안, 아르헨티나 챔피언은 유럽 축구에 적응하지 않고, 자신만의 스타일을 강요했고, 스피드로 경기장을 돌아다니며 공을 낮게 유지했습니다. 그의 첫 시즌의 하이라이트는 도시 라이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1953년 11월 원정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두 경기를 승리로 장식했고, 1954년 2월 5-0으로 이긴 안방 경기에서 두 골을 기록했습니다. 블랑코스는 20년 만에 우승을 거두었는데, 디 스테파노는 발렌시아와의 시즌 마지막 두 홈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2번이나 기록하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디 스테파노는 후반에 득점포를 가동하여, 27골을 기록하여, 바르셀로나의 라슬로 쿠발라를 3골 차로 제치고 1953-54 시즌 라 리가 득점왕에 올랐습니다.
이듬해, 레알 마드리드는 나시오날 몬테비데오에서 아르헨티나의 엑토르 리알을 영입했는데, 이는 메렝게스 공격을 위해 디 스테파노가 추천한 계약이었습니다. 엔리케 페르난데스 감독이 시즌 중반에 전격 경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구단은 1955년에 호세 비야롱가와 함께 또 한번 리그 우승을 거두었고, 바르셀로나는 다시 2위로 밀려났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25골을 넣으며 스페인 리그 득점왕 중 후안 아르자(28)에 이어 득점왕에 올랐습니다. 1955년 6월 26일, 로스 블랑코스는 파리 결승전에서 레이먼드 코파와 저스트 퐁텐의 스타드 드 랭스를 2-0으로 꺾고 사상 첫 라틴컵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레알 마드리드는 1955-56 시즌에 첫 유러피언컵 우승을 거두었고,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스페인 국가대표로는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2-0으로 이긴 세르베테와의 원정 경기에서 유러피언컵 데뷔전을 치렀습니다. 리그에서는 24골로 득점왕에 올랐지만, 아틀레틱 빌바오가 바르사와 레알을 앞서며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유러피언컵에서는 유고슬라비아와의 경기에서 3-0으로 패하면서 스위스와 나중에 파르티잔 베오그라드를 격파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1956년 12월, 디 스테파노의 지도 아래, 그들은 마드리드와의 1차전에서 4-0 완승을 거두었습니다. 레알 마드리드는 베오그라드로 날아갔고, 이전에 그 도시를 강타했던 눈보라에도 불구하고, 베르나베우 대통령은 경기가 연기되지 않기로 동의했습니다. 스페인 선수들과 달리 파르티잔 선수들은 지형에서 고생을 하지 않고 선두에 서서 경기를 지배했습니다. 레알 마드리드에 페널티킥이 주어졌지만 엑토르 리알이 발로 차면서 미끄러져 실축했습니다. 세르비아가 3-0으로 앞선 마지막 몇 분 동안, 디 스테파노는 수비를 도왔고, 레알은 완패에도 불구하고 승점을 획득했습니다. 블랑코스는 준결승전에서 밀란을 합계 6-4로 완파하고, 파리에서 레이몽 코파와 저스트 퐁텐의 스타드 드 랭스를 상대로 결승전에 진출했습니다. 레알 마드리드는 전반전에 고전했지만, 디 스테파노는 팀 동료들을 데리고 4-3으로 우승컵을 들어올렸습니다. 1956년 12월 18일, 첫 발롱도르가 수여되었고, 디 스테파노는 잉글랜드 블랙풀의 스탠리 매슈스에게 단 3표 차이로 우승을 놓쳤습니다.
귀화와 제국의 건설
1956년 여름, 레알 마드리드는 스타드 드 랭스에서 레이먼드 코파를 영입했습니다. 프랑스의 공격수는 라 리가의 외국인 제한으로 인해 경기에 출전할 수 없었고, 1956년 10월에 스페인 시민이 된 디 스테파노의 스페인 귀화를 기다려야 했습니다.
이번 시즌은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에서 열린 소규모 월드컵에 유럽 챔피언 자격으로 레알 마드리드가 출전하면서 일찌감치 시작됐습니다. 스페인 사람들은 월드컵 우승자인 알시데스 기기아와 바바와 같은 선수들과 경기를 하는 바스코 다 가마, AS 로마 그리고 FC 포르투를 상대했습니다. 레알은 3승을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고, 디 스테파노는 4골(바바와 같은 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습니다.
지난 시즌 레알 마드리드가 우승을 차지하지 못하자 대회 부총재를 겸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회장은 유러피언컵 우승팀이 국내 리그 우승에 실패했더라도 타이틀 방어를 위해 다음 대회에 등록할 권리가 있다는 생각을 내놓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레알은 1956-57 시즌에 참가하여 라피드 빈, 니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준결승전에서 탈락시키고 결승전에서 피오렌티나를 2-0으로 꺾었습니다. 시즌 중, 레알은 라틴컵 마지막 경기에서도 디 스테파노의 결정적인 골로 벤피카를 1-0으로 이기고 우승을 확정지었다. 올해 말, 그는 1957년 발롱도르를 수상했습니다. 1956-57 시즌 라 리가 23일차부터, 레알 마드리드는 홈 경기 연속 승리를 거두었고, 1966년에 리그 25라운드에서 121경기 만에 종료되었습니다. 블랑코스 공격은 역사상 최고 중 하나였으며 디 스테파노, 엑토르 리알, 프란시스코 겐토, 코파를 자랑했습니다. 레알은 1957년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디 스테파노는 31골로 다시 득점왕을 차지했습니다.
다음 시즌, 레알 마드리드는 우루과이 출신 호세 산타마리아가 수비를 맡으면서 전력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19골을 넣으며 득점왕을 차지했고, 1957-58 시즌 리그 우승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부담했습니다. 유러피언컵 8강전에서 레알 마드리드는 세비야 FC를 상대로 8-0 승리를 거두며 1차전 상대에게 굴욕을 안겼고, 디 스테파노는 4골을 기록했습니다. 세비야의 복귀전에서, 디 스테파노는 상대팀 팬들의 모욕적인 코러스를 맞았고, 레알은 2-2 무승부를 거두었습니다. 준결승전에서, 디 스테파노는 헝가리 바사스를 상대로 성공에 기여했고, 팀은 후안 알베르토 시아피노의 밀란을 상대로 결승전에 올랐습니다. 레알 마드리드는 결승전에서 3-2로 역전승을 거두었고, 아르헨티나는 10골로 득점왕을 차지하며 대회를 마쳤습니다.
1958년 게네랄리시모컵 결승전에서 아틀레틱 빌바오에 0-2로 패하면서 시즌은 끝났다. 결과적으로, 페렌츠 푸슈카시는 1958년 여름에 레알 마드리드와 선수단을 강화하기로 계약을 맺었고, 레알 마드리드는 축구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공격 조합 중 하나로 축복받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알은 1958-59 시즌에 바르사에 이어 2위를 기록했는데, 디 스테파노는 5번째이자 마지막으로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고, 4회 연속 23골을 기록했습니다.

준결승전에서 라이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3경기 만에 제압한 레알 마드리드는 스타드 드 랭스 (3년 전)를 2-0으로 완파하며 4회 연속 유러피언컵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결승전에서 푸슈카시를 대신해 교체 투입된 엔리케 마테오스는 디 스테파노 대신 페널티킥을 얻어 실축했습니다. 후반 시작과 동시에 디 스테파노가 두 번째 골을 넣으며 승부에 쐐기를 박았습니다.
1959년 7월 16일, 레알 마드리드는 펠레와 그의 브라질 클럽인 산투스 FC와의 유럽 투어 경기를 주최했습니다. 펠레가 구축하기 시작한 명성을 감안할 때, 이 경기는 투어에서 가장 기대되는 경기 중 하나였습니다. 디 스테파노의 팀은 브라질을 5-3으로 이겼습니다. 12월, 프랑스 축구는 디 스테파노에게 1959년 발롱도르를 수여했는데, 디 스테파노는 팀 동료 레이먼드 코파(1959년 여름 스타드 드 랭스로 복귀)와 유벤투스의 웨일스 스타 존 찰스(John Charles)를 앞서 수상했습니다. 푸스카시와 겐토는 모두 상위 10위 안에 들었습니다.
1959-60 시즌, 마드리뇨스는 1958년 FIFA 월드컵 우승자이자 대회 최우수 선수이자 가린차와 펠레의 전 동료였던 브라질의 미드필더 디디와 계약을 맺었습니다. 디 스테파노와 비슷한 브라질인의 경기 방식을 고려할 때, 디디는 아르헨티나인과 자주 충돌했고, 1960년 여름에 구단 경영진으로부터 그의 석방을 요청했다는 소문이 있었습니다.[citation needed] 그러나 디디가 팀에 합류하면서 블랑코스는 5회 연속 유러피언컵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준결승전에서 바르셀로나를 탈락시킨 레알 마드리드는 글래스고의 햄든 파크에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를 상대로 13만 5천 명의 관중 앞에서 결승전을 치렀습니다. 디 스테파노와 푸슈카시는 각각 3골과 4골을 넣으며 축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로 꼽혔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대회에서 8골을 넣었고, 푸스카시가 획득한 득점자 차트에서 2위를 차지했습니다. 1959-60 시즌, 레알은 바르셀로나와 승점에서 동률을 이뤘지만, 카탈루냐 연고 구단은 평균 득점 타이브레이크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푸슈카시가 25골로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기 때문에 피치치상을 수상하지 못했습니다. 1960년 6월 26일, 레알 마드리드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제네랄리시모컵 결승전에서 3-1로 패하였다.
유럽의 쇠퇴와 최초의 국내 더블
새 시즌은 7월 4일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페냐롤과의 결승 1차전에서 0-0으로 비긴 것과 함께 첫 인터콘티넨털컵을 시작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복귀전에서 레알은 1960년 9월 4일, 디 스테파노가 한 골을 넣으면서 우루과이를 5-1로 이겼습니다. 1960년 12월 13일, 디 스테파노는 발롱도르 투표에서 4위를 차지했고, 역사상 처음으로 레알 마드리드는 바르셀로나와의 2차전에서 합계 3-4로 패하며 유러피언컵에서 탈락했습니다. 그러나, 마드리드는 2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큰 차이로 손쉽게 라 리가 우승을 거두었지만, 제네랄리시모컵 결승전에서 로지블랑코스에 2-3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21골로 시즌을 마쳤고, 28골을 넣은 푸슈카시 다음으로 리그 득점 2위를 기록했습니다.

1961-62 시즌, 디 스테파노는 레알 마드리드가 마지막으로 우승한 이후 15년 만에 세비야를 2-1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세비야를 2-1로 꺾고, 초반의 홍백의 우세를 뒤집었습니다. 디 스테파노(Di Stéfano)는 12월 발롱도르 투표에서 6위를 차지했습니다. 1961-62 유러피언컵에서 레알은 유벤투스와 스탠다드 리에주를 꺾고 7시즌 만에 6번째로 결승에 올랐습니다. 이 쇼피스에서, 마드리드는 디펜딩 챔피언 벤피카와 경기를 했고, 스페인이 두 번 리드를 잡았지만, 경기 후반전에 루시타니아가 에우세비오의 도움을 받아 5-3 짜릿한 승리로 타이틀을 유지하기 위해 순항했습니다. 레알 마드리드는 첫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패했고, 디 스테파노는 처음으로 득점에 실패했습니다(세 골은 푸스카스가 기록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 스테파노는 7골로 그의 경력에서 두 번째로 이 대회의 최고 득점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1962년 가을, 블랑코스는 1962-63 시즌 유러피언컵 예선에서 안데를레흐트에 밀려 탈락했습니다. 그러나, 디 스테파노가 37세가 되던 해, 레알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상대로 1962-63 시즌 리그 우승을 거두었고, 푸스카스는 득점왕을 차지했다.
1963-64 시즌은 디 스테파노의 레알 마드리드에서의 마지막 시즌이었습니다. 시즌 초반 상파울루, FC포르투와의 스몰클럽 월드컵에 참가하면서 베네수엘라에서 시범투어를 펼쳤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8월 20일 첫 경기에 출전했지만, 8월 24일 카라카스 포토맥 호텔에서 베네수엘라 국민해방군에 납치되어 사흘 만에 풀려났습니다.[20] 이 사건으로 로스 블랑코는 디 스테파노 없이는 상파울루를 이기지 못해 우승컵을 빼앗겼습니다.[6][20] 그러나, 시즌은 성공적이었고, 블랑코스는 리그 4연패를 달성했고, 8강에서 AC 밀란을 합계 4-3으로 꺾으며 유러피언컵 결승전에 복귀했습니다. 결승전에서, 마드리드는 Helenio Errera의 Inter Milan과 맞붙었습니다. 결승전 몇 시간 전, 디 스테파노는 미겔 무뇨스 레알 마드리드 감독이 이탈리아 수비수 자친토 파체티를 상대로 고안한 전술을 노골적으로 비판했습니다. 베르나베우 대통령의 지지를 받은 무뇨스와 아르헨티나 선수의 관계는 이미 깨졌습니다. 인테르가 결승전에서 3-1로 이겼습니다.
레알 마드리드 선수 경력 수
디 스테파노는 11년 동안 레알 마드리드에서 뛰었고, 8번의 스페인 선수권 대회, 1번의 스페인 컵, 2번의 라틴 컵, 5번의 챔피언스 컵 (그가 우승한 모든 결승전에서 득점), 1번의 인터콘티넨털 컵, 5번의 리그 득점을 포함한 여러 번의 개인 타이틀을 획득했습니다. 그는 510경기에서 418골을 넣었고, 그 중 396경기에서 308골(챔피언스컵 59경기 49골)을 넣으며 클럽 역사상 최고의 득점자가 되었고, 그 기록은 수십 년 후 라울에 의해 처음으로, 그리고 크리스티아누 호날두(현 기록 골잡이)와 카림 벤제마에 의해 달성되었습니다.
에스파뇰
1964년 UEFA 챔피언스컵 결승전에서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에 패한 후,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회장은 디 스테파노에게 재계약 대신 레알 마드리드 코칭스태프 자리를 제안했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베르나베우의 제안을 거절하고 레알 에스파뇰로 이적했습니다.
그 아르헨티나의 노장은 에스파뇰에서의 첫 시즌에 모든 대회에서 9골을 넣으며 15시즌 연속 두 자릿수 득점(총 18골)을 기록하며 상승세에 마침표를 찍었습니다. 에스파뇰에서 60경기에 출전해 14골을 기록한 그는 1966년 40세의 나이로 은퇴해 두 시즌 모두 팀이 강등을 면하는 데 일조했습니다. 베르나베우는 디 스테파노의 마드리드에서의 셀틱과의 고별전을 치르기로 결정했습니다.[citation needed]
국제경력
디 스테파노는 3개의 다른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였고,[5]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에서는 6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하였고, 스페인 국가대표팀에서는 31경기에 출전하여 23골을 기록하였습니다. 하지만, 그는 월드컵에 출전한 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5] 디 스테파노는 콜롬비아 축구의 디마요르 시절에 콜롬비아 국가대표로 4번 출전하기도 했습니다. 당시의 팀은 FIFA로부터 인정받지 못했는데, 이는 리그가 아직 계약 중인 선수들과 계약하는 데 있어 이적 규정을 어겼기 때문입니다.[21][22][23]
아르헨티나

디 스테파노는 1947년 12월 4일 에콰도르의 에스타디오 조지 캡웰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경기에서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습니다. 그는 같은 경기에서 국가대표팀 첫 골을 넣었고, 아르헨티나의 7-0 승리를 도왔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콜롬비아를 상대로 첫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등 대회 기간 동안 5골을 더 넣었는데, 아르헨티나는 안방에서 전년도에 우승한 타이틀을 방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24]
디 스테파노는 이 대회에서 6경기를 뛰었는데,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 경기에 출전한 것은 디 스테파노의 유일한 기록입니다. 선수 파업과 브라질 축구 연맹과의 분쟁으로 인해 아르헨티나는 1950년 브라질 월드컵과 1949년과 1953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에서 탈락했습니다.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이 시작될 무렵, FIFA는 디 스테파노가 2년 전 콜롬비아 11세 국가대표팀 경기에 출전한 것을 이유로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 경기에 더 이상 출전하지 못하도록 했지만, 아르헨티나는 다시 한번 예선에서 탈락했습니다.
1949년 콜롬비아 11세
1949년 보고타로 이적한 후 1951년 콜롬비아 리그 휴식기 동안 콜롬비아 리그의 연합 XI라는 이름으로 친선 경기가 조직되었습니다. 콜롬비아 여권을 소지한 적이 없는 디 스테파노는 FIFA 공식 기록에는 나오지 않은 콜롬비아 11세 팀을 위해 4경기에 출전했습니다.[25]
스페인

디 스테파노는 스페인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고, 아르헨티나 국가대표로 뛰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디 스테파노가 스페인 국가대표로 뛰는 것은 타당했습니다. FIFA는 당초 이에 대한 제재를 거부했으나 1956년 디 스테파노가 스페인 국적을 취득한 뒤 스페인 FA의 압박 속에 결국 판정이 번복됐습니다.[26] 1957년 1월 30일, 디 스테파노는 마드리드에서 열린 네덜란드와의 친선경기에서 스페인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고, 해트트릭을 기록해 5-1 승리를[27] 견인했고, 스페인 이외의 지역에서 태어난 많은 국가대표팀 선수들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

스페인은 바르셀로나와 레알 마드리드의 스타 라즐로 쿠발라, 루이스 수아레스, 프란시스코 겐토와 함께 1958년 FIFA 월드컵에 진출하기 위해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혔으며, 스코틀랜드와 함께 예선 조에 편성되었다. 그러나, 스페인은 스위스와의 경기에서 2-2로 비긴 후, 햄던 파크에서 열린 스코틀랜드와의 경기에서 4-2로 패했습니다. 스페인은 역전승을 모두 4-1로 이겼지만, 스코틀랜드는 스위스와의 최종전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스페인의 비용으로 본선에 진출했습니다. 4경기에 모두 출전해 2골을 넣었던 디 스테파노는 이번에도 결장했습니다.
1961년, 35세의 나이로, 디 스테파노는 마침내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했고, 스페인이 칠레에서 열리는 1962년 대회에 출전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대회 직전 근육 부상으로 결승전에 출전할 수 없었지만, 선수단과 함께 이동하면서 등번호 6번을 선택했고, 그가 선호하는 등번호 9번은 겐토가 가져갔습니다.[28] 스페인은 호세 산타마리아와 페렌츠 푸스카시와 같이 귀화한 시민들을 자랑했는데, 공교롭게도 1954년 대회에 자국 대표로 참가했지만, 디 스테파노가 탈락하면서, 그들은 조별리그를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마지막 경기에서 디디의 브라질에게 패하여 조 최하위로 마감했습니다. 디 스테파노는 대회가 끝난 후 국제 축구계에서 은퇴했습니다.
관리자경력
은퇴 후, 디 스테파노는 감독직으로 옮겼습니다. 그는 아르헨티나의 보카 주니어스가 1969년[7] 나시오날 우승과 1969년 코파 아르헨티나 우승 등 두 번의 우승을 이끌도록 지도했습니다.[29][30]
아르헨티나에서의 성공적인 활약 이후, 디 스테파노는 발렌시아 소속으로 라 리가 우승과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 우승을 차지하며 스페인 무대에 복귀했습니다.[31] 그는 1974-75 시즌에도 스포르팅의 감독을 맡았습니다.
1981년, 디 스테파노는 그가 선수로 데뷔했던 리버 플레이트의 코치로 고용되었습니다. 마리오 켐페스가 팀의 스타 선수로 활약하면서, 디 스테파노는 리버 플레이트를 1981년 나시오날 선수권 대회 우승으로 이끌었습니다.[32]
디 스테파노는 1982년부터 1984년까지 레알 마드리드의 감독을 맡았습니다. 1982-83 시즌에는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코파 데 라 리가, 코파 델 레이의 결승전에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7] 마드리드는 그 시즌에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 결승전에도 올랐지만, 알렉스 퍼거슨 감독이 이끄는 애버딘에게도 패했습니다. 다음 시즌 라 리가에서도 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7] 그는 또한 1986년 발렌시아로 복귀하여 그가 도착하기 전 시즌 강등 후 세군다 디비전에서 우승함으로써 그들을 다시 라 리가로 이끌었습니다.
퇴직후

디 스테파노는 2014년 사망할 때까지 스페인에 거주했습니다. 2000년 11월 5일, 그는 레알 마드리드의 명예 회장으로 임명되었습니다.[7]
2005년 12월 24일, 79세의 디 스테파노는 심장마비를 앓았습니다.[33]
2006년 5월 9일,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경기장은 레알 마드리드가 주로 훈련하는 레알 마드리드 시에 개장했습니다. 창단 첫 경기는 레알 마드리드와 스타드 드 랭스의 친선 경기로, 1956년 레알 마드리드가 우승한 유러피언컵 결승전의 재경기였습니다. 레알 마드리드는 세르히오 라모스, 안토니오 카사노, 호베르투 솔다도, 호세 마누엘 주라도의 골로 6-1 승리를 거뒀습니다.[34]
플레이 스타일
![]() |
매우 강력한 선수로 간주되는 디 스테파노는 강력하고, 빠르고, 능숙하며, 뛰어난 체력, 전술적 다재다능함, 창의성, 그리고 시야를 가진, 경기장의 거의 모든 곳에서 경기를 할 수 있는 강력하고, 빠르고, 능숙하며, 다재다능한 골잡이였습니다. 그는 거의 틀림없이 투구에 발을 디딘 가장 위대한 드리블 선수 중 한 명입니다.[35][36][37][38] 수비수를 제치고 찬스를 만드는 페인팅, 발리는 물론 역동적인 골을 넣기 위한 자전거 킥 등을 구사하는 데 능숙했습니다.
죽음.
2014년 7월 5일, 88세의 디 스테파노는 마드리드의 그레고리오 마라욘 병원에서 중환자실로 옮겨졌고,[39] 2014년 7월 7일 사망했습니다.[40][41][42]
7월 8일, 디 스테파노의 관이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공개 전시되었습니다. 플로렌티노 페레스 레알 마드리드 회장과 주장 이케르 카시야스가 참석했습니다.[43] 그의 죽음 이후, 디 스테파노는 알렉스 퍼거슨, 펠레,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디에고 마라도나, 그리고 바비 찰튼을 포함한 많은 유명한 축구 스타들로부터 헌사를 받았습니다.[44]

7월 9일, 아르헨티나와 네덜란드의 2014년 FIFA 월드컵 준결승전에서, 디 스테파노는 1분간 침묵의 영광을 누렸고, 아르헨티나 팀은 존경의 의미로 검은 리본을 달았습니다.[45]
리버 플레이트와 밀로나리오스는 그들의 전 선수에 경의를 표하며 친선 경기를 조직했습니다. 이 경기는 2014년 7월 16일 밀로나리오스의 에스타디오 엘 캄핀에서 열렸다.[46]
2017년 9월, 레알 마드리드의 훈련 단지 인근 거리는 데뷔 64주년을 맞아 디 스테파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습니다.[47]
개인생활
디 스테파노는 1950년 사라 프레이츠와 결혼하여 6명의 자녀를 두었습니다. 사라는 2005년에 죽었습니다.[48] 2013년, 디 스테파노의 자녀들은 그의 50세 연하의 코스타리카 비서 지나 곤살레스와의 결혼을 막기 위해 그와 그의 재산에 대한 양육권을 얻었습니다.[49]
1965년, 디 스테파노는 당시 레알 마드리드 동료였던 이시드로 산체스의 아들인 키케 산체스 플로레스의 대부가 되었습니다.[50][51]
경력통계
클럽
클럽 | 계절 | 리그 | 컵 | 콘티넨탈 | 총 | |||||
---|---|---|---|---|---|---|---|---|---|---|
앱 | 목표들 | 앱 | 목표들 | 앱 | 목표들 | 앱 | 목표들 | |||
리버 플레이트 | 1945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1 | 0 | 0 | 0 | 0 | 0 | 1 | 0 |
후라칸(대출) | 1946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25 | 10 | 2 | 0 | 0 | 0 | 27 | 10 |
리버 플레이트 | 1947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30 | 27 | 0 | 0 | 2 | 1 | 32 | 28 |
1948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23 | 13 | 1 | 1 | 6 | 4 | 30 | 18 | |
1949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12 | 9 | 0 | 0 | 0 | 0 | 12 | 9 | |
총 | 66 | 49 | 1 | 1 | 8 | 5 | 75 | 55 | ||
밀로나리오스 | 1949 | 캄페오나토 프로 | 15 | 15 | 0 | 0 | 0 | 0 | 14 | 14 |
1950 | 캄페오나토 프로 | 29 | 23 | 2 | 1 | 0 | 0 | 31 | 24 | |
1951 | 캄페오나토 프로 | 34 | 31 | 0 | 0 | 0 | 0 | 34 | 31 | |
1952 | 캄페오나토 프로 | 24 | 19 | 8 | 5 | 0 | 0 | 32 | 24 | |
총 | 102 | 88 | 10 | 6 | 0 | 0 | 111 | 93 | ||
레알 마드리드 | 1953–54 | 라리가 | 28 | 27 | 0 | 0 | 0 | 0 | 28 | 27 |
1954–55 | 라리가 | 30 | 25 | 0 | 0 | 2 | 0 | 32 | 25 | |
1955–56 | 라리가 | 30 | 24 | 0 | 0 | 7 | 5 | 37 | 29 | |
1956–57 | 라리가 | 30 | 31 | 3 | 3 | 10 | 9 | 43 | 43 | |
1957–58 | 라리가 | 30 | 19 | 7 | 7 | 7 | 10 | 44 | 36 | |
1958–59 | 라리가 | 28 | 23 | 8 | 5 | 7 | 6 | 43 | 34 | |
1959–60 | 라리가 | 23 | 12 | 5 | 3 | 6 | 8 | 34 | 23 | |
1960–61 | 라리가 | 23 | 21 | 9 | 8 | 4 | 1 | 36 | 30 | |
1961–62 | 라리가 | 23 | 11 | 8 | 4 | 10 | 7 | 41 | 22 | |
1962–63 | 라리가 | 13 | 12 | 9 | 9 | 2 | 1 | 24 | 22 | |
1963–64 | 라리가 | 24 | 11 | 1 | 1 | 9 | 5 | 34 | 17 | |
총 | 282 | 216 | 50 | 40 | 64 | 52 | 396 | 308 | ||
에스파뇰 | 1964–65 | 라리가 | 24 | 7 | 3 | 2 | 0 | 0 | 27 | 9 |
1965–66 | 라리가 | 23 | 4 | 4 | 1 | 6 | 0 | 33 | 5 | |
총 | 47 | 11 | 7 | 3 | 6 | 0 | 60 | 14 | ||
경력 총계 | 521 | 373 | 70 | 50 | 78 | 57 | 669 | 480 |
국제
국가대표 | 연도 | 앱 | 목표들 |
---|---|---|---|
아르헨티나 | 1947 | 6 | 6 |
총 | 6 | 6 | |
스페인 | 1957 | 7 | 7 |
1958 | 4 | 1 | |
1959 | 5 | 6 | |
1960 | 8 | 6 | |
1961 | 7 | 3 | |
총 | 31 | 23 | |
경력합계 | 37 | 29 |
아너즈
플레이어![]() ![]() 리버 플레이트 밀로나리오스 레알 마드리드
아르헨티나 개인의
|
부장님
보카 주니어스
리버 플레이트
발렌시아
레알 마드리드
기록.
- 최다 유러피언컵 결승전 득점: 5회[62]
- 유러피언컵 본선 최다 연속 득점: 5회
- 유러피언컵 결승전 최다골 : 7골 (페렌츠 푸스카시와 공동)
- 슈퍼발롱상을[63] 수상한 유일한 선수
참고 항목
참고문헌
- 일반
- (오토바이오그래피) Di Stéfano, Alfredo (2000). Gracias, Vieja: Las Memorias del Mayor Mito del Futbol. Madrid: Aguilar. ISBN 84-03-09200-8.
- 특정한
- ^ "di Stéfano Profile" (in Spanish). Yahoo! Deportes Españ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October 2013. Retrieved 10 March 2011.
- ^ "Di Stéfano Profile" (in Spanish). Realmadri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ly 2011.
- ^ "The birth of the Saeta Rubia" (in Spanish). Clarin. 16 July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December 2008. Retrieved 1 December 2008.
- ^ "Saeta Rubia (Movi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September 2020. Retrieved 1 December 2008.
- ^ a b c "Alfredo di Stéfano was one of football's greatest trailblazers". The Guardian. 7 Jul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20. Retrieved 8 July 2014.
- ^ a b c "Alfredo Di Stéfano, Soccer Great, Dies at 88". NY Times. 7 Jul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20. Retrieved 8 July 2014.
- ^ a b c d e f "Alfredo Di Stefano: Real Madrid legend dies at the age of 88". BBC. 7 Jul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ly 2014. Retrieved 8 July 2014.
- ^ a b "Alfredo Di Stefano, celebrated soccer player, dies at 88". The Washington Post. 7 Jul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February 2021. Retrieved 8 July 2014.
- ^ Burton, Chris (20 November 2016). "Ronaldo matches Di Stefano record with Clasico goal at Camp Nou". Go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February 2021. Retrieved 27 May 2018.
- ^ "Ronaldo equals Di Stefano's Real Madrid Clasico goalscoring record". Sportskeeda. 6 May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ne 2018. Retrieved 27 May 2018.
Alfredo Di Stefano's record of 18 Real Madrid goals in Clasico matches against Barcelona has been matched by Cristiano Ronaldo.
- ^ "Golden Players take centre sta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March 2007. Retrieved 4 February 2010.UEFA.com (2003년 11월 29일).
- ^ "rsssf.org – Various Lists of 'Players of the Century/All-Ti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December 2015.
- ^ Brown, Lucas. "Di Stefano Was The Best, Maradona Could Not Score With His Head - Pele". Go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February 2021. Retrieved 27 August 2020.
- ^ "Football world honors Real Madrid legend Di Stefano". China Daily. 19 February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February 2021. Retrieved 27 June 2010.
- ^ 브라이언 글랜빌, 사커. 게임의 역사: 게임의 플레이어와 그 전략, 크라운 출판사 1968, 154쪽
- ^ "Legends: Alfredo Di Stefano". realmadrid-football.blogspot.it. 31 March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ne 2017. Retrieved 6 January 2013.
- ^ "Madrid legend could have been an Irish 'Don'". Herald.ie. 25 February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November 2014. Retrieved 22 November 2014.
- ^ "Alfredo Di Stefano, la 'Saeta Rubia' leggenda del River Plate e del Grande Real Goal.com Italia". www.goal.com (in Italian). 4 July 2023. Retrieved 18 November 2023.
- ^ "Quando il River vinse il super derby contro il Boca con un portiere…d'eccezione: Alfredo Di Stefan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anuary 2021. Retrieved 7 July 2022.
- ^ a b "The kidnap of Di Stefano". ESPN.co.uk. 25 August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14. Retrieved 8 July 2014.
- ^ Revista World Soccer (ed.). "Alfredo Di Stefano remembere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ly 2014. Retrieved 24 September 2014.
- ^ Portal digital MyFootballFacts (ed.). "Legendary Football Players: Alfredo Di Stefan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ly 2014. Retrieved 24 September 2014.
- ^ Diario The Guardian, ed. (7 July 2014). "Alfredo Di Stéfano obituary". TheGuardia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November 2020. Retrieved 24 September 2014.
- ^ "Southamerican Championship 1947". RSSS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October 2011. Retrieved 8 July 2014.
- ^ "Alfredo Di Stefano remembered". worldsoccer.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ly 2014. Retrieved 6 January 2021.
- ^ "Alfredo Di Stefano: Real Madrid legend dies at the age of 88". BBC News. BBC. 7 Jul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21. Retrieved 13 January 2020.
- ^ a b "Di Stéfano". European Footb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21. Retrieved 7 July 2014.
- ^ "1962 World Cup report by CBC/Radio Canada web site". Cbc.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ne 2006. Retrieved 23 June 2012.
- ^ 2023년 3월 12일 클라린의 웨이백 기계에 보관된 50개의 아뇨스 데 라 부엘타 올림피카 데 보카엔 엘 모뉴멘탈.
- ^ 코파 아르헨티나: 2023년 3월 12일 2021년 12월 7일 TN의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엘라뇨 엘케 살리오 캄페온 엘 보카 데 디 스테파노
- ^ 2014년 7월 12일 Mundodeportivo.com 에서 알폰소 길의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디 스테파노 비비오 수 에타파 데 마스 é시토스 컴파운드 레나도르 엔 발렌시아.
- ^ A 35 ANOS Del Títuloque Consiguió Alfredo distéfano Como Técnico Deriver 2023년 3월 12일, 엘 그라피코의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됨, 2016년 12월 20일
- ^ 심각한 상태의 디 스테파노(Di Stefano)는 2006년 2월 23일 웨이백 머신(Wayback Machine), BBC 뉴스, 2005년 12월 25일에 보관되었습니다.
- ^ "Alfredo di Stefano Stadium". Realmadri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14. Retrieved 8 July 2014.
- ^ "Alfredo Di Stefano" (in Italian). Storie di Calci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May 2015. Retrieved 23 September 2015.
- ^ "Alfred Di Stefano". International Football Hall of Fa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April 2021. Retrieved 23 September 2015.
- ^ Paolo Corlo (7 July 2014). "Addio a Di Stefano, leggenda del Real e del calcio mondiale" [Farewell to Di Stefano, a legend of Real Madrid and World Football] (in Italian). Panora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uly 2019. Retrieved 23 September 2015.
- ^ "Maradona? Di testa segnava solo di mano..." [Maradona? With his head he only scored with his hand...] (in Italian). La Repubblica. 17 September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uly 2020. Retrieved 23 September 2015.
- ^ "Alfredo Di Stéfano in critical condition after heart attack in Madrid". The Guardian. 5 Jul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20. Retrieved 7 July 2014.
- ^ "Alfredo Di Stéfano dies at the age of 88". The Guardian. 7 Jul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November 2020. Retrieved 7 July 2014.
- ^ Rice, Simon (7 July 2014). "Alfredo Di Stefano dead: Legendary Argentinian player and honorary Real Madrid President passes away aged 88". The Independ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ly 2014. Retrieved 7 July 2014.
- ^ "Real Madrid legend Di Stefano dies aged 88". ABP L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une 2017. Retrieved 7 June 2014.
- ^ "Alfredo Di Stefano mourners gather to pay tribute at Bernabeu". BBC Sport. 8 Jul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ly 2014. Retrieved 8 July 2014.
- ^ "Tributes pour in for the late Alfredo di Stefano". Irish Independent. 7 Jul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ne 2021. Retrieved 25 August 2020.
- ^ "A minute's silence was held before the Holland-Argentina game for the passing of Di Stéfano". Real Madrid. 9 Jul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anuary 2021. Retrieved 11 July 2014.
- ^ "River enfrentará a Millonarios de Colombia, en un partido homenaje a Di Stéfano" [River will play against Millonarios from Colombia, in an homage match for Di Stéfano] (in Spanish). Telam. 16 Jul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rch 2021. Retrieved 15 July 2014.
- ^ "Alfredo Di Stéfano Street is unveiled in Valdefuentes". Diario AS. EFE. 23 September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November 2022. Retrieved 14 March 2022.
- ^ Couzens, Gerard (5 May 2013). "Soccer great, 86, to wed secretary, aged 36". The Irish Independ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rch 2022. Retrieved 14 March 2022.
- ^ Galaz, Mábel (1 October 2013). "Di Stéfano's children win custody over their soccer legend father". El Paí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anuary 2022. Retrieved 14 March 2022.
- ^ Israel, Elías (8 August 2005). "Quique Sánchez Flores: El alumno aventajado de la ´Saeta rubia´" [Quique Sánchez Flores: Brilliant pupil of the 'Blonde Saeta']. La Voz de Asturias (i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February 2013. Retrieved 31 July 2012.
- ^ Lawrence, Amy (13 August 2015). "Watford's Quique Flores flourishing with a little inspiration from Di Stéfano".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ugust 2015. Retrieved 29 August 2015.
- ^ "레알 마드리드: 21 아뇨스 델 우니코 수페르 발론 데 오로 데 라 히스토리아" 2021년 5월 14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되었습니다. Goal.com . (스페인어로) 2014년 7월 12일 회수
- ^ "FIFA Order of Merit"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 October 2013. Retrieved 21 January 2015.
- ^ "ERIC BATTY'S WORLD XI – THE Sixties" 2018년 1월 16일 2015년 11월 26일 검색된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됨
- ^ "Golden Foot – Alfredo Di Stéfano". Goldenfoo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February 2015. Retrieved 2 March 2015.
- ^ "UEFA President's Award". UEFA.com. 2 Januar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November 2018. Retrieved 1 June 2017.
- ^ "IFFHS announce the 48 football legend players". IFFHS. 25 Januar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9. Retrieved 14 September 2016.
- ^ "The other two Ballon d'Or Dream Team XIs: Zidane, Cruyff, Iniesta, Di Stefano... but no Casillas". MARCA. 15 December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December 2020. Retrieved 15 December 2020.
- ^ "11 Leyenda el mejor once de la historia". JornalAS. 25 February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pril 2021. Retrieved 19 April 2021.
- ^ "IFFHS ALL TIME WORLD MEN'S DREAM TEAM". IFFHS. 22 May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ne 2021. Retrieved 2 October 2021.
- ^ "IFFHS all time South America men's dream te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pril 2022. Retrieved 18 December 2021.
- ^ "European Champions' Cu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February 2011. Retrieved 11 August 2010.
- ^ "Tal día como hoy, Di Stéfano ganó el Súper Balón de Oro – Real Madrid C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y 2021. Retrieved 13 July 2016.
더보기
- Wilson, Jonathan (2016). Angels With Dirty Faces: The Footballing History of Argentina. Orion Publishing Group. ISBN 978-1-409-14443-4.
외부 링크
- 레알 마드리드의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영어와 스페인어)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FIFA 대회 기록 (보관)
- 디 스테파노 하이파이브 UEFA.com
- 디 스테파노의 황금빛 추억 UEFA.com
- 마드리드 경례 디 스테파노 UEFA.com
- 스페인 국가대표팀 통계 Sportec.es
- RSSSF에 의한 국제 경기 출전 세부 정보
- 유러피언 챔피언스컵/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
- 유러피언 챔피언스컵/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