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퍼펙트 증후군

Apert syndrome
애퍼펙트 증후군
기타 이름아크로체팔로신드릭타입1[1]
Hand in Apert syndrome (1).JPG
신디컬리와 손잡고 애퍼트 증후군
전문의학유전학 Edit this on Wikidata

애퍼펙트 증후군은 두개골, 얼굴, 손, 발의 기형이 특징인 선천성 질환삼두증후군의 일종이다. 지관아치 증후군으로 분류돼 맥실라 하악의 전구인 제1지관아치(또는 인두관아치 증후군으로 분류된다. 태아 발달에 있어서 가지 아치의 발달에 있어서의 장애는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효과를 낳는다.

1906년 프랑스의 의사인 외젠 애퍼트는 비슷한 속성과 특성을 공유하는 9명의 사람들을 묘사했다.[2] 언어학적으로 아크로는 신드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피크" 머리를 가리키며 "피크"를 뜻하는 그리스어로, 세팔로는 "머리"를 의미하는 결합형이며, 신디악틱은 손가락과 발가락의 띠를 가리킨다.

발생학에서 손과 발에는 선택적 세포가 있어 선택적 세포사멸, 즉 세포사멸이라고 불리는 과정에서 사망하여 자릿수 분리를 일으킨다. 삼두사이의 경우 선택적 세포사멸이 일어나지 않고 손가락과 발가락의 퓨즈 사이에 피부, 드물게 뼈가 붙는다.

크룩존 증후군이나 파이퍼 증후군과 유사하게 두개골도 영향을 받는다. 두개골은 태아의 두개골과 얼굴뼈가 자궁에서 너무 빨리 융합되어 정상적인 뼈 성장을 방해할 때 발생한다. 서로 다른 봉합이 융합되면 두개골의 성장 패턴이 달라진다. Examples include: trigonocephaly (fusion of the metopic suture), brachycephaly (fusion of the coronal suture and lambdoid suture bilaterally), dolichocephaly (fusion of the sagittal suture), plagiocephaly (fusion of coronal and lambdoidal sutures unilaterally) and oxycephaly or turricephaly (fusion of coronal and lambdoid sutures).

인구에서 신드롬 발생에 대한 발견은 다양했으며,[3] 제공된[4] 20만 명 중 1명 꼴로 추정되며, 노년 연구에 따르면 평균 16만 명 꼴로 나타났다.[5][6] 그러나 캘리포니아 선천성 결함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의해 1997년에 실시된 한 연구는 거의 250만 명의 신생아 중 80,645명 중 1명의 발병률을 발견했다.[7] 2002년 미국 텍사스주립어린이병원(North Texas Hospital for Children)의 Craniofacial Center가 실시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6만5000명 중 1명꼴로 더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3]

징후 및 증상

두개골신경화증

두개골 기형은 삼두증의 가장 명백한 영향이다. 두개골경화증은 아이의 뇌가 아직 자라고 팽창하고 있지만 두개골 봉합이 너무 빨리 닫히는 경우가 발생한다. 브라키체팔리(Brachycephaly)는 흔히 볼 수 있는 성장 패턴으로 관상봉합이 조기에 닫히면서 두개골이 앞이나 뒤로 확장되는 것을 막고 뇌가 두개골을 옆으로 위쪽으로 확장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것은 두개골의 평평한 뒷면을 가진 높고 두드러진 이마라는 또 다른 공통적인 특징을 낳는다. 관상 봉합이 조기에 닫히므로 두개압의 증가가 심적 결핍으로 이어질 수 있다. 납작한 얼굴이나 오목한 얼굴은 중방뼈의 성장 부족으로 발병하여 가성예후증이라고 알려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삼두근접술의 다른 특징으로는 얕은 뼈의 궤도와 넓은 간격을 가진 눈을 들 수 있다. 세트가 낮은 귀도 가지 아치 신드롬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신디액티

모든 삼두증후군은 사지 이상 징후가 어느 정도 나타나기 때문에 구분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애퍼브 증후군을 가진 환자의 전형적인 손 기형은 다른 신드롬과 구별된다.[8] 애퍼펙트 증후군을 가진 환자의 손에는 항상 네 가지 공통점이 있다.[9]

  1. 방사상 편차가 있는 짧은 엄지손가락
  2. 색인, 긴 손가락, 약지의 복잡한 신디컬리.
  3. 공생뇌파
  4. 제4의 웹스페이스의 단순한 신디컬리.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 사이의 공간의 변형도 가변적일 수 있다. 이 첫 번째 웹스페이스를 기반으로 우리는 세 가지 다른 형태의 수형화를 구별할 수 있다.

  • 제1형: "스페이드 손"이라고도 한다. 변형 유형 중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가장 심하지 않은 변형 유형. 엄지손가락은 방사상 편차와 임상의학적으로 보이지만 집게손가락에서 분리되어 있다. 검지, 긴 손가락, 약지가 원위간 관절에서 서로 융합되어 평평한 손바닥을 형성한다. 배아기 동안 이 융합은 이들 손가락의 세로방향 성장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인 길이를 가진다. 네 번째 웹스페이스에서 우리는 항상 완전하거나 불완전한 단순한 신디플레이스를 본다.
  • 제2형: "스푼" 또는 "미튼" 손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단순하게 완전하거나 불완전한 신디플레이로 엄지가 집게손가락에 융합되기 때문에 더 심각한 변칙이다. 엄지손가락의 원위 팔란만이 집게손가락과의 오수성 결합에 결합되지 않고 별도의 못을 가지고 있다. 자릿수의 융합이 원위간뇌관절의 레벨에 있기 때문에 오목한 손바닥이 형성된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네 번째 웹 공간의 완전한 신디컬리를 본다.
  • 타입 III: "후프" 또는 "로즈버드" 손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애퍼브 증후군에 있어서 가장 흔하지는 않지만 또한 가장 심각한 형태의 손 기형이다. 모든 숫자에 하나의 긴 결합 못을 가진 단단한 삼합체 또는 장막 융합이 있다. 엄지손가락은 안쪽으로 돌려서 손가락 사이를 구분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보통 손의 적절한 영상촬영은 뼈의 겹침으로 매우 어렵지만 신체검사만으로는 변형의 정도를 측정하기에 부족하다.
I형("스페이드") 타입 II("미튼") 타입 III("로즈버드")
첫 번째 웹스페이스 심플 신디컬리 심플 신디컬리 콤플렉스 신디컬리
가운데 세 손가락 편평한 손바닥으로 측면 융접 오목한 손바닥을 형성하는 손가락 끝의 융합 하나의 결합 네일로 모든 자릿수의 촘촘한 퓨전
네 번째 웹스페이스 단순하고 불완전한 신디플레이 단순하고 완벽한 신디플레이 단순하고 완벽한 신디플레이

치과 의의

애퍼브 증후군을 가진 아이의 이빨

삼두근접술의 일반적인 관련 특성은 고농축 미각, 가성비 예후증(만두근예후증), 좁은 미각 및 치아의 혼잡이다.

기타 기호

옴팔로셀은 헤르만 T.E. 외 연구진(미국, 2010)과 에르콜리 G. 외 연구진(아르헨티나, 2014)에 의해 애퍼펙트 증후군을 가진 두 환자에게 설명되어 왔다. 옴팔로셀은 배꼽 부위에 구멍이 생겨 장이나 다른 복부 장기가 유아의 몸 밖에 있는 선천적 결함을 말한다. 다만 옴팔로셀과 애퍼펙 증후군의 연관성은 아직 확인되지 않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10][11]

원인들

삼두교합증은 자가 우성 질환일 수 있다. 남성과 여성은 똑같이 영향을 받지만, 연구는 아직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케이스는 산발적이고, 게놈에 대한 새로운 돌연변이나 환경적 모욕을 나타낸다. 어퍼트 증후군을 가진 부모의 자식은 그 상태를 물려받을 확률이 50%이다. 1995년, A.O.M. Wilkie는 10번 염색체섬유성 성장 인자 수용체 2 유전자의 결함에 의해 삼두근육이 발생한다는 증거를 보여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12]

애퍼펙트 증후군은 자가 우성 질환으로, 약 3분의 2가 FGFR2 유전자의 755 위치에서 C에서 G까지의 돌연변이에 기인하며, 이로 인해 단백질의 Ser to Trp 변화가 일어난다.[13] 이것은 남성 특유의 돌연변이 핫스팟이다: 57건의 연구에서 돌연변이는 항상 patternal에서 파생된 alle에서 발생한다.[14] 관찰된 질병의 출생유병률(7만분의 1)을 근거로 이 현장의 C 대 G 돌연변이의 겉보기 비율은 약 .00005로 CG 디뉴클레오티드의 일반적인 돌연변이의 비율보다 200~800배 높다. 더구나 아버지 나이와 함께 발병률이 급격히 높아진다. 고리리 외 (2003) 다양한 연령의 남성들로부터 정자 샘플의 돌연변이의 알레르기의 분포를 분석하여 데이터에 대한 가장 간단한 설명은 C에서 G까지의 돌연변이가 남성 생식선에서 세포에게 유리함을 준다는 것이라고 결론지었다.[13]

애퍼브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왜 두개골 신경증과 신드롬 둘 다를 가지고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환자의 98%에서 신드롬을 일으키는 포인트 돌연변이를 가진 유전자인 FGFR2의 세 가지 이소성형 표현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는 한 연구가 있었다.[15] KGFR은 각질세포 성장인자 수용체로서, 형광석과 뇌간 관절에 활성하는 등소형이다. FGFR1은 착색에 활성인 등소형이다. FGFR2-Bek는 형광 투석뿐만 아니라 디지털 메센치미에서도 활발하다. 점 돌연변이는 FGFR2의 리간드 의존적 활성화와 그에 따른 이소형태를 증가시킨다. 이는 FGFR2가 특이성을 상실하여 일반적으로 수용체에 결합되지 않는 FGF의 결합을 유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6] FGF는 사멸을 억제하기 때문에, 디지털 간 메센치메를 유지한다. FGF는 또한 골수체의 복제와 분화를 증가시켜 두개골의 몇 개의 봉합이 조기에 융합되도록 한다. 이것이 왜 두 가지 증상이 항상 애퍼펙트 증후군에서 발견되는지를 설명해 줄지도 모른다.[citation needed]

진단

진단은 일반적으로 외견상의 신체적 특성에 의해 이루어지며 두개골 X선 또는 머리 CT 검사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분자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단을 확인할 수 있다.[17]

치료

두개골신경화증

관상 봉합이 닫히면 뇌 발달에 지장이 없도록 수술이 필요하다. 특히 두개골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각각 중간면이나 상단면 전체를 분리하는 LeFort III 또는 Monobloc 중간면 집중력 산만 골생식을 수술하여 정확한 평면에서 위치를 재조정한다. 이러한 수술은 성형외과의와 구강외과의사, 그리고 최대인체외과의사들에 의해 종종 협력적으로 행해진다.[citation needed]

신디액티

서로 다른 환자의 임상적 발현상의 차이와 심각성으로 인한 애퍼스의 손 기형에 대한 표준 치료법은 없다. 따라서 모든 환자는 손의 기능과 미학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목표로 개별적으로 접근하여 치료해야 한다. 다만 기형의 심각도에 따라 일부 지침을 내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첫 번째와 네 번째 디지털 간 공간을 해제하여 경계선을 방출하는 것이 처음에는 권장된다.[18] 이렇게 하면 아이가 손으로 물건을 잡을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은 아이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나중에 두 번째와 세 번째 디지털 간 공간이 공개되어야 한다. 애퍼브에는 세 가지 핸드타입이 있으며 모두 자신의 기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두 치료와 관련하여 다른 접근법을 필요로 한다.[19]

  • I형 손에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간 웹 공간 릴리즈만 필요하다. 첫 번째 웹 릴리스는 거의 필요하지 않지만 종종 그것의 깊이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엄지손가락의 교정이 필요할 것이다.
  • II형 손에서는 첫 번째 광선과 다섯 번째 광선을 초기에 방출하는 것이 좋으며, 그 다음 두 번째 광선과 세 번째 디지털 간 웹 공간이 자유로워져야 한다. 엄지손가락의 음경도 고쳐야 한다. 엄지손가락 팔랑스의 연장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첫 번째 웹 공간을 늘려야 한다. Ⅰ유형과 Ⅱ유형 모두 지수 메타카팔 기저부의 의사투석 때문에 제2유형의 반복 신디플레이스가 발생한다. 이것은 나중의 개정에 의해 수정되어야 한다.
  • 제3형 손은 복잡하기 때문에 치료하기가 가장 어렵다. 우선 첫 번째와 네 번째 웹스페이스를 공개하여 I hand로 변환하는 것이 좋다. 망상이나 손톱 감염 치료도 초기에 해야 한다. 첫 번째 웹 공간을 늘리기 위해 엄지손가락의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심할 경우 검지손가락을 절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손의 미학 때문에 나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아이의 심리적 문제와 비교하여 달성될 수 있는 잠재적 개선의 무게를 재는 것이 중요하다. 나중에 두 번째 및/또는 세 번째 디지털 간 웹 공간이 공개되어야 한다.

아이와 손이 각각 자라면서, 계약서를 치료하고 미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2차적인 수정이 필요하다.

참고 항목

참조

  1. ^ "Apert syndrome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GARD) – an NCATS Program". rarediseases.info.nih.gov. Retrieved 18 May 2019.
  2. ^ 신드/194 누가 이름을 누가 지었는가?
  3. ^ a b Fearon, Jeffrey A. (July 2003). "Treatment of the Hands and Feet in Apert Syndrome: An Evolution in Management".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Dallas, Texas. 112 (1): 1–12. doi:10.1097/01.PRS.0000065908.60382.17. ISSN 0032-1052. PMID 12832871. S2CID 8592940.
  4. ^ Foreman, Phil (2009). Education of Students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and Practice (PB). IAP. p. 30. ISBN 978-1-60752-214-0.
  5. ^ Carter, Charles H. (1965). Medical aspects of mental retardation. Thomas. p. 358. OCLC 174056103.
  6. ^ Abe Bert Baker; Lowell H. Baker (1979). "Apert's Syndrome". Clinical Neurology. Medical Dept., Harper & Row. 3: 47. OCLC 11620265.
  7. ^ Aitken, J. Kenneth (2010). An A-Z of Genetic Factors in Autism: A Handbook for Professionals. Jessica Kingsley. p. 133. ISBN 978-1-84310-976-1.
  8. ^ Kaplan, L C (April 1991). "Clinical assessment and multispecialty management of Apert syndrome". Clinics in Plastic Surgery. 18 (2): 217–25. doi:10.1016/S0094-1298(20)30817-8. ISSN 0094-1298. PMID 2065483.
  9. ^ Upton, J (April 1991). "Apert Syndrome. Classification and pathologic anatomy of limb anomalies". Clinics in Plastic Surgery. 18 (2): 321–55. doi:10.1016/S0094-1298(20)30826-9. ISSN 0094-1298. PMID 2065493.
  10. ^ Herman, TE; Siegel, MJ (October 2010). "Apert syndrome with omphalocele". J. Perinatol. 30 (10): 695–697. doi:10.1038/jp.2010.72. PMID 20877364.
  11. ^ Ercoli, G; Bidondo, MP; Senra, BC; Groisman, B (September 2014). "Apert syndrome with omphalocele: a case report". Birth Defects Research Part A: Clinical and Molecular Teratology. 100 (9): 726–729. doi:10.1002/bdra.23270. PMID 25045033.
  12. ^ Wilkie, A O; S F Slaney; M Oldridge; M D Poole; G J Ashworth; A D Hockley; R D Hayward; D J David; L J Pulleyn; P Rutland (February 1995). "Apert syndrome results from localized mutations of FGFR2 and is allelic with Crouzon syndrome". Nature Genetics. 9 (2): 165–72. doi:10.1038/ng0295-165. PMID 7719344. S2CID 12423131.
  13. ^ a b Goriely, A.; McVean, GA; Röjmyr, M; Ingemarsson, B; Wilkie, AO (2003). "Evidence for Selective Advantage of Pathogenic FGFR2 Mutations in the Male Germ Line". Science. 301 (5633): 643–6. Bibcode:2003Sci...301..643G. doi:10.1126/science.1085710. PMID 12893942. S2CID 33543066.
  14. ^ Moloney, DM; Slaney, SF; Oldridge, M; Wall, SA; Sahlin, P; Stenman, G; Wilkie, AO (1996). "Exclusive paternal origin of new mutations in Apert syndrome". Nature Genetics. 13 (1): 48–53. doi:10.1038/ng0596-48. PMID 8673103. S2CID 26465362.
  15. ^ Britto, J A; J C T Chan; R D Evans; R D Hayward; B M Jones (May 2001). "Differential expression of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s in human digital development suggests common pathogenesis in complex acrosyndactyly and craniosynostosis".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107 (6): 1331–1338. doi:10.1097/00006534-200105000-00001. PMID 11335797. S2CID 32124914.
  16. ^ Hajihosseini MK, Duarte R, Pegrum J, Donjacour A, Lana-Elola E, Rice DP, Sharpe J, Dickson C (February 2009). "Evidence that Fgf10 contributes to the skeletal and visceral defects of an Apert syndrome mouse model". Dev. Dyn. 238 (2): 376–85. doi:10.1002/dvdy.21648. PMID 18773495. S2CID 39997577.
  17. ^ "Apert syndrome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GARD) – an NCATS Program". rarediseases.info.nih.gov. Retrieved 17 March 2018.
  18. ^ Zucker, R M (April 1991). "Syndactyly correction of the hand in Apert syndrome". Clinics in Plastic Surgery. 18 (2): 357–64. doi:10.1016/S0094-1298(20)30827-0. ISSN 0094-1298. PMID 1648464.
  19. ^ Braun, Tara L.; Trost, Jeffrey G.; Pederson, William C. (November 2016). "Syndactyly Release". Seminars in Plastic Surgery. 30 (4): 162–170. doi:10.1055/s-0036-1593478. ISSN 1535-2188. PMC 5115922. PMID 2789553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