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

Armenian diaspora
세계의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 지도(아르메니아 혈통 또는 시민권을 가진 사람 포함) 자세한 통계는 국가별 아르메니아 인구를 참조하십시오.
아르메니아
+ 1,000,000
+ 100,000
+ 10,000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Arminian diaspora)는 아르메니아 외곽의 아르메니아인들과 아르메니아인들이 원주민으로 여겨지는 다른 지역들의 공동체를 말한다. 고대부터 아르메니아인들은 전 세계 많은 지역에 공동체를 설립했다. 그러나 현대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자행된 아르메니아인 학살로 인해 고국에 살고 있는 아르메니아인들이 도망치거나 살해당할 위험을 무릅쓰면서 1차 세계대전의 결과로 크게 형성되었다.[1]

용어.

아르메니아어에서는 디아스포라를 스파우르크(Spyurk, [spʰւrkʰ]로 발음)라고 하며, 고전적인 맞춤법에서는 սիւքռքք spe, 개량된 맞춤법에서는 փյոքքքքքքքքքք로 표기한다.[2][3] 과거에는 가굿(գghղո pronounced)이라는 단어가 주로 아르메니아 고국 의 아르메니아 공동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히브리 갈루트(גלות)와[4] 같은 아람어(Classical Syriac)에서 차용한 것이다.[5][6]

역사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는 1,700년 이상 존재해왔다.[7] 현대 아르메니아인 디아스포라는 주로 제1차 세계 대전 후에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의 결과로 형성되었다. 랜달 한센에 따르면 "과거와 오늘날, 전 세계의 아르메니아 공동체는 다양한 호스트 문화와 국가에서 발견되는 제약과 기회 안에서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1]고 한다.

4세기에 아르메니아 공동체는 이미 그레이터 아르메니아 외곽에 존재했다. 사사니드 제국과 페르시아 제국에 디아스포리크 아르메니아 공동체가 등장했고, 또한 비잔틴 제국의 동쪽과 북쪽 국경을 방어하기 위해서였다.[8] 비잔티움의 인구가 적은 지역을 채우기 위해 아르메니아인들은 그 지역으로 이주했다. 아르메니아어를 모국어로 유지한 채 그리스 정교회로 개종한 아르메니아인도 있었고, 공식 당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 남아 있는 사람도 있었다. 셀주크 투르크 침공의 결과로 11세기와 12세기 동안 점점 더 많은 아르메니아인들이 킬리시아로 이주했다. 1375년 마멜루크 왕국이 마멜루크 왕국으로 몰락하고 아르메니아 국가 지위를 상실한 후, 15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키프로스, 발칸, 이탈리아로 갔다.[8] 고대중세에는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가 존재했지만 오스만 제국, 이란, 러시아, 코카서스로부터 이민을 받아 규모가 커졌다.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는 오스만 아르메니아(또는 서부 아르메니아) 출신과 구소련 출신, 독립 아르메니아와 이란(또는 동부 아르메니아) 출신 등 두 개의 공동체로 나뉜다.

현대 터키 공화국의 아르메니아인들은 역사적 고국에서 계속 거주하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스스로를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의 일부로 여기지 않는다.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는 오스만 제국의 해체로 제1차 세계 대전 중과 후에 상당히 성장하였다.[9] 아르메니아인 대량학살 때 많은 아르메니아인이 사망했지만, 가까스로 탈출한 아르메니아인 중 일부는 세계 각지에 자리를 잡았다.

아르메니아인 대량학살이 시작된 지 약 40년이 지난 1966년까지 200만 명의 아르메니아인이 여전히 아르메니아에 거주했고, 러시아에는 33만 명이 거주했으며, 미국과 캐나다에는 45만 명이 거주했다.[10]

분배

전 세계 아르메니아 인구의 3분의 1도 안 되는 사람들이 아르메니아에 살고 있다. 이들의 1차 세계대전 전 인구 면적은 터키 동부지역, 이란 북부지역, 조지아 남부지역 등 현재의 아르메니아보다 6배 더 많았다.[11]

2000년까지 해외에 거주하는 아르메니아인은 모두 758만 명이었다.[10]

오늘날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는 아르메니아인의 공동체를 가리킨다. 전 세계에 살고 있는 아르메니아 인구의 총수는 1,100만 명으로 추산된다. 그 중 현재 약 300만 명이 아르메니아에 살고 있으며, 사실상독립국가인 아르샤크 공화국에 13만 명, 이웃 그루지야자바케티[12] 지역에 12만 명이 살고 있다. 이로써 디아스포라 전역에 걸쳐 약 700만 명이 남는다(러시아, 미국, 프랑스, 아르헨티나, 레바논, 시리아, 이란, 터키, 캐나다, 우크라이나, 그리스, 키프로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13] 해외에 가장 크고 가장 확립된 아르메니아 공동체 중 하나가 미국에 존재한다: 2000년에 미국캐나다에는 945,615명의 아르메니아인이 살고 있었다.[10]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Hansen, Randall. Immigration and asylum: from 1900 to the present. p. 13.
  2. ^ Dufoix, Stéphane (2008). Diasporas.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84. ISBN 978-0-520-25359-9.
  3. ^ Harutyunyan, Arus (2009). Contesting National Identities in an Ethnically Homogeneous State: The Case of Armenian Democratization. Western Michigan University. p. 56. ISBN 978-1-109-12012-7.
  4. ^ Ačaṙean, Hračʿeay (1971–1979). Hayerēn Armatakan Baṙaran [Dictionary of Armenian Root Words]. 1. Yerevan: Yerevan University Press. p. 505.
  5. ^ Melvin Ember; Carol R. Ember; Ian A. Skoggard (2004). Encyclopedia of diasporas: immigrant and refugee cultures around the world.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p. 37. ISBN 978-0-306-48321-9.
  6. ^ Diaspora: Volume 1, Issue 1.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ISBN 978-0-19-507081-1.
  7. ^ Herzig, Edmund (2004-12-10). The Armenians: Past And Present In The Making Of National Identity. p. 126. ISBN 9780203004937.
  8. ^ Jump up to: a b Ember, Melvin; Ember, Carol R.; Skoggard, Ian (2004). Encyclopedia of Diasporas: Immigrant and Refugee Cultures around the World. Springer. pp. 36–43. ISBN 0-306-48321-1.
  9. ^ Harutyunyan, Arus. Contesting National Identities in an Ethnically Homogeneous State: The Case of Armenian Democratization. Western Michigan University. p. 192. ISBN 9781109120127.
  10. ^ Jump up to: a b c Cohen, Robin (2010). Global Diasporas: An Introduction. Routledge. pp. 48–63.
  11. ^ Melvin Ember; Carol R. Ember; Ian A. Skoggard (2004). Encyclopedia of diasporas: immigrant and refugee cultures around the world.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p. 36. ISBN 978-0-306-48321-9. Currently, only one-sixth of that land [ancestral territory] is inhabited by Armenians, due first to variously coerced emigrations and finally to the genocide of the Armenian inhabitants of the Ottoman Turkish Empire in 1915.
  12. ^ Alanishvil (1893). Iveria. p. 227.
  13. ^ "Armenia seeks to boost population". BBC News. 2007-02-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September 2008. Retrieved 2008-09-05.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