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파드 왕조

Árpád dynasty
아르파드 왕조
나라헝가리 공국,
헝가리 왕국
어원아르파드
설립c. 855
창시자알바모스
최종자앤드루 3세
제목
사유지헝가리 왕국
해산1301

아르파드 왕조아르파드 왕가(헝가리어: Arrpad-ház)의 구성원들로 이루어졌습니다. 아르파도비치). 그들은 9세기와 10세기 헝가리 공국과 1000년부터 1301년까지 헝가리 왕국의 지배 왕조였습니다. 이 왕조는 895년경 카르파티아 분지 정복 당시 헝가리 부족 연맹의 수장이었던 헝가리 대공 아르파드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이전에는 투룰 왕조 또는 킨들 왕조라고 불렸습니다.

헝가리의 첫 번째 왕자 (알모스)와 헝가리의 첫 번째 왕 (세인트 스테판)은 모두 왕조의 일원이었습니다. 왕조는 헝가리 왕국의 국교로 기독교를 채택했고, 아르파드의 왕들은 사도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했고, 왕조의 후손들은 세계에 가장 많은 수의 성인과 한 가문의 축복을 주었습니다.[1] 아르파드 왕조는 400년 동안 카르파티아 분지를 지배했고, 그 광대한 왕조적 관계를 통해 거의 모든 유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2] 8명의 왕조 구성원들은 가톨릭 교회에 의해 시성되거나 시성되었기 때문에, 13세기 이래로 왕조는 종종 "성왕의 형제"라고 불립니다. 동방 정교회는 두 명의 아르파드를 성인으로 인정했습니다.

그 왕조는 1301년에 헝가리의 왕 안드레 3세가 사망하면서 끝이 났고, 안드레의 인 토스의 축복받은 엘리자베스가 1336년 또는 1338년에 사망했습니다. 이후 헝가리의 모든 왕들은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왕을 제외하고) 아르파드 왕조의 후예였습니다. 크로 ÿ 가문스코틀랜드드러먼드 가문은 각각 중세 헝가리 왕 게자 2세와 앤드루 1세의 아들 게자와 조지의 후손이라고 주장합니다.

기원.

A map depicting Central and Eastern Europe and a possible route of the Magyars' migrations towards the Carpathian Basin
헝가리 우르하임이 가능한 지도와 카르파티아 분지로 이동하는 경로.

최근 Y-STRY-SNP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헝가리의 벨라 3세와 알 수 없는 아르파드 구성원의 해골 유해에 대한 연구가 "세케스페헤르바르 왕립 바실리카의 II/52" / "HU52", 남성 계통은 Y-하플로그룹 R1a 희귀 아클레이드 R-Z2125 > R-Z2123 > R-Y2632 > R-Y2633 > R1a-SUR51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하위 분류군은 볼가우랄 지역의 바슈코르토스탄 공화국의 부르잔스키압젤릴로프스키 지역에서 온 48명의 바슈키르와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지역에서 온 1명의 가장 가까운 동시대 일치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Arrpad 구성원과 세르비아 출신의 한 개인은 새로운 하위 분기군 R1a-SUR51 > R-ARP를 만드는 추가 사설 SNP를 공유하며, 언급된 개인은 추가 사설 SNP를 가지고 있으므로 R-ARP > R-UVD를 형성하는 중세 Arrpads에서 분기됩니다.[5][6]

R-Y2633의 분포, 출현 및 연합 추정 자료에 기초하여, 이 왕조는 약 4500년 전 북부 아프가니스탄 근처의 고대 기원을 추적하고 있으며, R-ARP는 볼가-우랄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바시키르인으로부터 2000년 전으로 분리되었습니다. 세르비아에서 온 개체(R-UVD)는 약 900년 전에 아르파드에서 유래했습니다. 또한 헝가리인들과 바쉬키르인들 사이에 하플로그룹 N-B539의 분리가 2000년 전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헝가리인들의 조상들이 약 2000년 전에 볼가 우랄 지역을 떠나 결국 카르파티아 분지에 정착하는 이주를 시작했음을 암시합니다.[6][7][8]

9세기와 10세기

중세 연대기의 기록에 따르면 아르파드의 조상은 위계크라고 하는데, 위계크의 이름은 고대 헝가리어로 "거룩한"(igy)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9] 게스타 훈노룸과 헝가리인의 행적은 아르파드족이 투룰 종파의 후손이라고 언급했고,[10] 게스타 훈가로룸은 아르파드족의 토템 조상이 투룰(큰 새, 아마도 매)이라고 기록했습니다.[10][11][12]

그리고 대장들 가운데서, 아르파드알바모스의 아들이고, ő드의 아들이며, 투룰 가문 출신의 위계크의 아들입니다. 그들은 부와 전쟁에서 더 강했습니다.

투룰 가문 출신의 게자 공작은 그들이 말하는 대로 헝가리인들 중 가장 먼저 하늘에서 소환을 받아 기독교 신앙과 세례를 받은 사람입니다.

중세 연대기는 아르파드족이 훈족인 아틸라의 후손이라는 전통을 언급하기도 했는데, 예를 들어 게스타 훈족저자는 아르파드족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다뉴브강과 티자강 사이에 펼쳐진 땅은 나의 조상인 강력한 아틸라의 것이었습니다.

Gesta Hungarorum[15]

거의 동시대 문헌에 의해 언급된 왕조의 첫 번째 구성원은 알바모스였습니다. 비잔티움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7세 황제는 그의 "De Administrando Imperio"에서 알모스가 7개의 마자르 부족(Megas Turkias arkhon) 연맹의 첫 번째 대공이라고 기록했습니다.[16] 알모스는 아마도 그의 통치 초기에 카자르 왕조의 카간의 패권을 받아들였지만, 862년에 마자르 부족 연맹은 카자르 [17]왕조로부터 분리되었습니다. 알모스는 부족 연맹의 정신적 지도자이거나 [18]사령관이었습니다.

헝가리인들은 862년에서 895년 사이에 오랜 기간 동안 카르파티아 분지를 미리 계획된 방식으로 점령했습니다.[19][20] 헝가리 대공국의 신성한 지도자인 알바모스 왕자는 판노니아에 도착하기도 전에 사망했고, 그는 트란실바니아에서 희생되었습니다.[21][22]

899년에서 970년 사이에 마자르족은 오늘날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스페인의 영토와 비잔티움 제국의 영토를 자주 급습했습니다.[23] 이러한 활동은 독일 오토가 그들의 군대를 파괴한 레흐펠트 전투 (955년)까지 서쪽으로 계속되었습니다; 비잔티움 제국에 대한 그들의 습격은 970년에 끝났습니다.[24]

917년부터 마자르족은 동시에 여러 영토를 급습했고, 이로 인해 부족 연맹이 해체되었을 수 있습니다.[25] 자료는 부족 연맹 내에 적어도 3개에서 아마도 5개의 부족 그룹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으며, 그 중 단 한 개만이 아르파드족에 의해 직접적으로 주도되었습니다.[26]

10세기 전반 마자르족의 대공 목록은 불완전하며, 이는 부족 연맹 내에 중앙 정부가 부족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도 있습니다.[27] 중세 연대기에는 아르파드 대공이 그의 아들 졸탄(Zoltán)이 뒤따랐다고 언급되어 있지만, 현대의 문헌들은 파즈(Fajsz) 대공만을 언급하고 있습니다.[28] 레흐펠트 전투에서 패배한 후, 탁소니 대공(955년 또는 그 이후 - 972년 이전)은 서방 국가들로부터 고립된 정책을 채택했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그의 아들 게자 대공(972년-997년 이전)은 973년 신성 로마 황제 오토 1세에게 사절을 보냈을지도 모릅니다.[29]

게자는 972년에 세례를 받았고, 비록 그가 확신하는 기독교인이 된 적은 없었지만,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헝가리 사람들 사이에 새로운 신앙이 퍼지기 시작했습니다.[30] 그는 다뉴브 강 서쪽과 가람 강(오늘날 슬로바키아 흐론)의 영토에 대한 통치를 확장했지만 카르파티아 분지의 상당 부분은 여전히 지역 부족 지도자들의 통치하에 있었습니다.[31]

게자는 그의 아들 스테판(원래는 바이크라고 불림)이 뒤따랐습니다. 그는 기독교의 확신에 찬 추종자였습니다.[32] 스테판은 그의 친척인 코파니의 반란에 직면해야 했는데, 코파니는 불가지론자인 마자르 전통을 바탕으로 게자의 상속권을 주장했습니다.[33] 는 그의 아내 바이에른의 지젤의 도움을 받아 코파니를 물리칠 수 있었습니다.[34]

11세기

스테판 대공은 1000년 12월 25일 또는 1001년 1월 1일에 즉위하여 헝가리의 첫 번째 왕(1000–1038)이 되었고 헝가리의 건국자가 되었습니다.[35][36] 그는 1030년까지 그의 통치하에 있는 카르파티아 분지를 통일하여 흑마자르족의 영토와 독립적인 지방 족장(를 들어, 아토니결라 프로쿠즈)에 의해 지배되었던 영토를 정복했습니다.[37][38] 그는 카운티(comitatus)를 기반으로 왕국의 행정 체계를 도입하고 두 명의 대주교와 여러 명의 주교로 구성된 교회 조직을 설립했습니다.[39] 1031년 9월 2일 의 아들 에메릭이 죽자, 스테판 1세는 그의 여동생의 아들 베네치아인 페테르 오르셀로를 후계자로 임명했고, 그의 사촌 바줄이 그를 이끌 음모를 꾸몄습니다. 바줄은 스테판 왕의 명령에 눈이 멀어 그의 세 아들(레벤테, 앤드류, 벨라)을 추방했습니다.[40][41]

1038년 8월 15일 스테판 1세가 사망했을 때, 피터 오르셀로가 왕위에 올랐지만, 그는 스테판 왕의 매형인 사무엘 아바 (1041–1044)와 싸워야 했습니다.[42] 피터 왕의 통치는 1046년 이교도 헝가리인들의 광범위한 반란이 일어났고 그들에게 붙잡혔을 때 끝이 났습니다.[43]

바줄 공작의 아들 안드루가 키에반루스'에서 망명 생활을 하다가 그곳에서 세례를 받은 뒤 권력을 잡고 왕위에 올라, 왕조의 한 부교도가 왕권을 장악했습니다.[44][45] 앤드류 1세 (1046–1060)는 이교도의 반란군들을 진정시키고 왕국 내 기독교의 위치를 회복시켰습니다.[46] 1048년, 앤드루 왕은 동생 벨라를 왕국으로 초대했고, 왕국의 3분의 1(Tercia pars regni)을 그에게 양보했습니다.[47] 크로니콘 픽툼 (Prima regnihuius division of the Chronicon Pictum)에서 첫 번째로 언급된 왕국의 왕조 분할은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왕국의 일부가 아르파드 왕조의 구성원들에 의해 지배되는 동안 몇 개의 유사한 분할이 뒤따랐습니다.[48] 11세기에는 지배 왕조의 구성원들에게 위임된 군들이 왕국 내에 별도의 도를 형성하지 않고 2, 3개의 센터를 중심으로 조직되었습니다.[47] 테르키아 파르스 레그니를 다스리는 공작들은 헝가리 왕들의 우월성을 인정했지만, 그들 중 일부(벨라, 게자, 알바모스)는 왕권을 획득하기 위해 왕에게 반란을 일으켰고, 이웃 나라들의 통치자들과 동맹을 맺었습니다.[49]

라디슬라오 1세

앤드류 1세는 아들의 왕위 계승을 보장하기 위해 그의 아들 솔로몬을 그의 생애 동안 왕위에 올린 첫 번째 왕이었습니다.[50] 그러나 불가지론적 원시주의연공서열의 전통을 극복하지 못했고, 그의 형인 벨라 1세(1060–1063)는 어린 솔로몬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왕위를 얻었습니다.[51] 1063년부터 1080년까지 솔로몬 왕(1057–1080)과 그의 사촌인 게자, 라디슬라우스, 그리고 테르키아 파르스 레그니를 통치했던 람퍼트 사이에 빈번한 분쟁이 있었습니다.[52] 게자 공작은 1074년 사촌에게 반란을 일으켰고, 연공서열의 원칙에 따라 그의 빨치산들에 의해 왕으로 선포되었습니다.[53] 1077년 4월 25일 게자 1세가 죽자 그의 어린 아들들을 무시한 채 그의 빨치산들은 그의 형인 라디슬라우스를 왕으로 선포했습니다.[54][47] Ladislaus I (1077–1095) 왕은 몇몇 서쪽의 나라들에서 통치하고 있던 솔로몬 왕을 왕위에서 물러나게 설득하는데 성공했습니다.[55]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헝가리 왕국은 강화되었고, 라디슬라우스 1세는 이웃 크로아티아 왕국에 대한 그의 통치를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56] 그는 새로 점령된 영토의 정부를 그의 어린 조카인 알모스에게 맡겼습니다.[57]

1083년 8월 20일, 스테판 1세와 그의 아들 에메릭 공작이 라디슬라우스 1세의 제안으로 세케스페헤르바르에서 시성되었습니다.[58][59] 비잔티움 황제 요한 2세 콤네노스의 아내인 그의 딸 아이레네동방 정교회에 의해 숭배됩니다.[60]

라디슬라우스 1세가 죽자, 그의 나이 많은 조카 콜로만이 왕으로 선포되었지만, 그는 그의 형 알바모스에게 테르키아 파르스 레그니를 양보해야 했습니다.[61] 콜로만 왕은 1097년 그보즈드 산 전투에서 페타르 스나치치가 이끄는 크로아티아 군대를 물리치고 1102년 바이오그라드에서 크로아티아와 달마티아의 왕으로 즉위했습니다.

12세기

콜로만 왕은 1107년에 그의 형인 알바모스를 그의 공국(Tercia pars regni)을 빼앗았습니다.[62] 그는 두 번째 부인인 키예프의 에우페미아를 간통으로 잡았고, 그녀는 이혼하고 1114년경 키예프로 돌아갔습니다.[63] 유페미아는 키예프에서 보리스라는 아들을 낳았지만, 콜로만 왕은 그를 아들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64] 1115년경, 그 왕은 자신의 아들인 스테판 2세의 계승을 보장하기 위해 알바모스 공작과 그의 아들 벨라 왕을 눈이 멀도록 했습니다.[47]

스테판 2세는 아들을 낳지 않았고, 그의 여동생의 아들 사울은 장님인 벨라 공작 대신 그의 왕위 계승자로 선언되었습니다.[65] 스테판 2세가 1131년 3월 1일에 사망했을 때, 그의 맹인 사촌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위를 얻었습니다.[66] 벨라 2세 (1131–1141)는 외국의 군사적 도움으로 그의 왕위를 빼앗으려 했던 콜로만 왕의 아들로 알려진 보리스를 물리침으로써 그의 통치를 강화했습니다.[67] 벨라 2세는 보스니아의 일부 영토를 점령했고, 그는 그의 작은 아들인 라디슬라우스에게 새 영토를 양보했습니다.[68] 따라서 아르파드 왕조의 구성원들은 테르키아 파르스 레그니 대신 왕국의 남부 또는 동부 지방(즉 슬라보니아트란실바니아)을 통치했습니다.[47]

성 스테판 왕 – "이중 십자가"가 그려진 국기 (Chronicon Pictum, c. 1370)

게자 2세 (1141–1162)의 통치 기간 동안, 프라이징의 오토 주교는 모든 헝가리인들이 "너무나 군주에게 순종적이어서, 공개적인 반대로 그를 짜증나게 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숨어있는 속삭임으로 그를 불쾌하게 하는 것은 그들에 의해 중죄로 여겨질 것입니다"[69]라고 기록했습니다. 그의 아들 스테판 3세(1162–1172)는 비잔티움 제국의 도움으로 자신에게 반기를 든 삼촌인 라디슬라우스 2세(1162–1163)와 스테판 4세(1163–1165)에 맞서 왕위를 위해 고군분투해야 했습니다.[70] 의 통치 기간 동안, 마누엘 1세 콤네노스 황제는 왕의 형제인 벨라(데포테스 알렉시우스)가 그의 궁정에 살고 있다는 핑계로 왕국의 남부 지방을 점령했습니다.[71] 황제의 외동딸인 데포테스 알렉시우스의 약혼자로서, 데포테스 알렉시우스는 짧은 기간(1165–1169) 동안 황제의 추정 상속자였습니다.[72]

할리치의 문장(속성 문장)[year needed][citation needed]

스테판 3세가 사망한 후, 벨라 3세(1173–1196)가 왕위에 올랐지만, 그는 그의 통치를 보장하기 위해 그의 형 게자를 투옥했습니다.[73] 비잔티움 제국에서 교육을 받은 벨라 3세는 헝가리 왕국의 상징으로 "이중 십자가"를 사용한 첫 번째 왕이었습니다.[74] 1188년 벨라는 자신의 보야르들에 의해 왕자가 퇴위당한 할리흐를 점령하고 의 둘째 아들 앤드루에게 공국을 수여했지만, 그의 통치는 인기가 없게 되었고 헝가리 군대는 1189년 할리흐에서 추방되었습니다.[75]

1192년 6월 27일, 라디슬라우스 1세바라드(오늘날 루마니아의 오라데아)에서 시성되었습니다.[76]

벨라 3세는 그의 큰 아들인 에메릭 왕(1196–1204)에게 그의 왕국을 그대로 물려주었지만, 새로운 왕은 크로아티아와 달마티아그에게 반기를 든 그의 형 앤드류에게 굴복해야만 했습니다.[77]

13세기

아르파드 왕조의 국기 (9세기[citation needed] - 1301년)
빨간색과 흰색 줄무늬는 13세기 아르파드의 상징으로, 1202년 에메릭문장 중 하나에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이 인장은 이중 십자가를 포함하지 않고 줄무늬만 포함했으며 흰색 줄무늬에는 9마리의 사자가 있었습니다. 앤드류 2세황금 황소에는 7마리의 사자만이 서로 마주보고 있었고, 중심에는 린덴 잎이 있었습니다.

에메릭 왕은 바르셀로나 가문 출신의 아라곤의 콘스탄스와 결혼했고, 그는 아르파드의 친숙한 배지(8굴레아르젠트에스크컷천 배리)가 될 의 문장을 선택했을 때 바르셀로나(카탈란)의 패턴을 따랐을지도 모릅니다.[78]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라디슬라우스 3세 (1204–1205)는 어린 시절에 죽었고 그의 삼촌인 안드레 2세 (1205–1235)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79]

그의 치세는 영구적인 내부 갈등으로 특징지어졌습니다: 음모자 무리들이 그의 여왕인 메라니아의 거트루드살해했습니다 (1213년); 불만을 품은 귀족들은 그들의 권리(왕의 불복종 권리 포함)를 확립하기 위해 그에게 1222년 황금 황소를 발행하라고 강요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그의 장남과 다투었고, 그의 아버지가 그의 추종자들에게 부여했던 왕권을 되찾기 위해 노력했던 벨라.[80] Halich의 왕자 (1188–1189)였던 Andrew II 왕은 공국의 내부 투쟁에 정기적으로 개입했고 이웃 나라에서 그의 어린 아들들 (콜로만 또는 Andrew)의 통치를 보장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했습니다.[81] 그의 딸 중 한 명인 엘리자베스는 그의 생전(1235년 7월 1일)에 시성되었으며 따라서 아르파드의 네 번째 성인이 되었습니다.[82] 앤드류 왕의 큰 아들들은 페라라에서 교육을 받게 될 그의 사후 아들 스테판을 거부했습니다.[83]

가문의 구성원들은 종종 할리흐 공국(1188–1189, 1208–1209, 1214–1219, 1227–1229, 1231–1234)과 스티리아 공국(1254–1260)에서 통치했습니다.

스티리아의 문장

벨라 4세 (1235–1270)는 왕권을 회복했지만, 그의 왕국은 몽골의 침략 (1241–1242) 동안 황폐해졌습니다.[84] 몽골군이 철수한 후, 그의 명령에 따라 여러 개의 요새가 건설되거나 강화되었습니다.[85] 그는 또한 그의 왕국에 있는 몇몇 거주지들, 예를 들어 부다, 나기좀바트(오늘날 슬로바키아의 트르나바), 셀메크바냐(오늘날 슬로바키아의 반스카 슈티아브니차), 페스트(Pest)에게 그들의 특권을 부여했습니다.[86] 벨라 4세는 짧은 기간 동안 스티리아 공국을 점령했지만, 보헤미아오타카르 2세에게 유리하게 이 공국을 포기해야 했습니다.[87] 그의 말년 동안, 그는 생전에 왕위에 오른 그의 아들 스테판과 싸우고 있었고 그의 아버지에게 왕국의 동쪽 부분을 그에게 양보하라고 강요했습니다.[83] 마거릿킹가는 각각 1943년과 1999년에 시성되었고, 욜란다의 셋째 딸은 시성되었습니다.[88][89] 그의 넷째 딸 콘스탄스리비우에서 숭배되었습니다.[90]

스테판 5세 (1270–1272)가 왕위에 올랐을 때, 그의 아버지의 추종자들은 보헤미아로 떠났습니다.[91] 그들은 그의 아들인 쿠만왕 라디슬라우스 4세 (1272–1290)의 통치 기간 동안에 돌아왔고, 그의 통치 기간은 다른 귀족 집단의 구성원들 사이의 내부 갈등으로 특징지어졌습니다.[92] 어머니가 쿠만 출신인 라디슬라우스 4세유목민이자 반교도인 쿠만족의 동반자를 선호했고, 그래서 그는 여러 차례 파문당했지만 쿠만 암살자들에게 살해당했습니다.[93] 왕국의 붕괴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몇몇 귀족들이 왕권에 대한 소유권을 얻기 위해 노력했을 때 시작되었습니다.[94]

라디슬라우스 4세가 사망했을 때, 그의 동시대 사람들 대부분은 아르파드 왕조의 왕조가 끝났다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가문의 유일한 부계 후손인 앤드류는 의 형제들에 의해 거부당한 앤드류 2세의 사후 아들인 스테판 공작의 아들이었기 때문입니다.[95]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네치아인" 공작헝가리의 신성한 왕관으로 즉위했고 대부분의 남작들은 그의 통치를 받아들였습니다.[96]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앤드류 3세 (1290–1301)는 강력한 남작들 (를 들어, 크사크 가문과 크 ő셰기 가문의 구성원들)과 싸워야 했습니다. 1301년 1월 14일 아르파드의 남성 혈통은 그가 사망하면서 끝이 났고, 그의 동시대 사람들 중 한 명은 그를 "마지막 황금 잔가지"라고 언급했습니다.[98] 의 딸 엘리자베스는 1338년 5월 6일에 사망했습니다. 그녀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의해 숭배됩니다.[99]

앤드루 3세가 사망한 후, 몇몇 청구인들이 왕위를 위해 고군분투하기 시작했고, 마침내, 찰스 1세(스테판 5세의 딸의 손자)는 1310년경 그의 위치를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100] 따라서 헝가리의 모든 왕들은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왕을 제외하고) 아르파드의 모계 혹은 동족 후손들이었습니다. 비록 불가지론자인 아르파드들은 죽었지만, 그들의 동족 후손들은 유럽의 귀족 가문 어디에나 살고 있습니다.

헝가리의 국장

다이너스티 트리

알바모스
아르파드House of Árpád
졸탄아바 왕가
탁소니오르설로 왕가
마이클.게자
바줄스테판 1세
1001–1038
헬렌?사롤타?사무엘
1041–1044
앤드루 1세
1046–1060
벨라 1세
1060–1063
피터야.
1038–1041
1044–1046
솔로몬
1063–1074
게자 1세
1074–1077
라디슬라우스 1세
1077–1095
콜로만
1095–1116
알바모스
스테판 2세
1116–1131
벨라 2세
1131–1141
게자 2세
1141–1162
라디슬라우스 2세
1162–1163
스테파노 4세
1163–1164
스테판 3세
1162–1172
벨라 3세
1172–1196
에메릭
1196–1204
앤드루 2세
1205–1235
라디슬라우스 3세
1204–1205
벨라 4세
1235–1270
스티븐
스테판 5세
1270–1272
앤드루 3세
1290–1301
라디슬라오 4세
1272–1290

세인츠

왕조의 몇몇 구성원들은 가톨릭 교회동방 정교회의해 시성되거나 시성되었기 때문에 중세 시대부터 이 왕조는 종종 "성왕의 계보"로 언급되어 왔습니다. 비록 아르파드 왕조의 남성 분파는 1301년에 소멸되었지만, 여성 분파는 훨씬 더 오래 살았고, 헝가리의 앙주 군주들(카를로스 1세, 루이 1세)과 룩셈부르크의 지기스문트는 그들의 시대에 스스로 "성왕들의 클랜"의 일원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자랑스러워 했습니다.[101][better source needed] 아르파드 왕조는 세상에 가장 많은 성인들을 주었고 한 가정에서 축복을 받았습니다.[1]

우리 주님의 화신 819년, 위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마고그 왕의 가족이 된 위계크는 훨씬 에메제라 불리는 은에두벨리안 공작의 딸을 데리고 덴투모거에 있는 아내에게 갔고, 그에게서 아들을 낳아 알모스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신성한 사건에서 알바모스라고 불렸습니다. 왜냐하면, 그녀가 임신했을 때, 꿈속에서 신의 환영이 그의 어머니에게 나타나서, 매의 모습으로, 마치 어머니에게 온 것처럼, 어머니의 자궁에서 물밀듯이 흘러나와 그녀의 등심에서 찬란한 왕들이 생겨날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땅에서 늘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꿈을 헝가리어로 '알롬'이라고 하고 꿈에서 그의 탄생이 예견되어 '알모스'라고 불렀기 때문입니다. 또는 그는 신성한 왕들과 공작들이 그의 혈통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그를 신성한 알모스라고 부릅니다.

아르파드 왕조의 다음 구성원들은 시성되거나 시성되었습니다.

초상화 이름. 태어난 죽은 시노화/시노화 아르파드 왕조와의 관계
성 스테판
헝가리 왕
c. 975 1038년 8월 15일 1083
가톨릭 교회에 의해 시성된

2000
동방정교회는 최초로 로마 가톨릭교회의[103] 성자를 시성했습니다.
헝가리 대공 게자의 아들
헝가리의 성 에메릭
헝가리 왕자
1007 1031년 9월 2일 1083 스테판 1세의 아들
성 라디슬라우스
헝가리 왕
c. 1040 1095년 7월 29일 1192년 6월 27일 벨라 1세의 아들
성 아이린
헝가리 공주
비잔티움 제국의 황후
1088 1134년 8월 13일 동방 정교회 시성 헝가리 왕 라디슬라우스 1세의 딸
성 엘리자베스
헝가리 공주
튀링겐의 랜드그라빈
1207년 7월 7일 1231년 11월 17일 1235년 5월 27일 헝가리 왕 앤드루 2세의 딸
헝가리의 성 킹가
헝가리 공주
폴란드 공주
1224년 3월 5일 1292년 7월 24일 1690년 6월 11일
시복된

1999년 6월 16일
캐노니컬라이즈드
헝가리벨라 4세의 딸
헝가리의 축복받은 욜란다
헝가리 공주
폴란드 공주
1235 1298 1827 헝가리벨라 4세의 딸
성 마르가리타
헝가리 공주
1242년 1월 27일 1270년 1월 18일 1789년 7월 28일
시복된

1943년 11월 19일
캐노니컬라이즈드
헝가리벨라 4세의 딸
축복받은 헝가리의 엘리자베스
헝가리 공주
세르비아 여왕
1255 1322 헝가리 왕 스테판 5세의 딸
축복받은 헝가리의 엘리자베스
헝가리 공주
1292 1336년 10월 31일

1338년 5월 6일
공식적으로 시성된 적은 없지만 지역적으로 존경받습니다. 헝가리의 왕 앤드루 3세의 딸

참고 항목

인용

  1. ^ a b Horváth-Lugossy, Gábor; Makoldi, Miklós (2022). Kings and Saints - The Age of the Árpáds (PDF). Budapest, Székesfehérvár: Institute of Hungarian Research. pp. 15, 21, 35, 41. ISBN 978-615-6117-65-6.
  2. ^ Makoldi, Miklós (2022). Kings and Saints - The Age of the Árpáds (PDF). Budapest, Székesfehérvár: Institute of Hungarian Research. p. 22. ISBN 978-615-6117-65-6.
  3. ^ Transatlantic, Marconi (1913-04-20). "Croy-Leishman match a romance" (PDF).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08-04-22.
  4. ^ 모라브스크 ý 역사학 ý 스보니크: 로첸카 모라브스크 호나로디니호 콩그레스, 모라브스크 ý 나로디니 콩그레스, 2002, p. 523
  5. ^ Olasz, Judit; Seidenberg, Verena; Hummel, Susanne; Szentirmay, Zoltán; Szabados, György; Melegh, Béla; Kásler, Miklós (2019), "DNA profiling of Hungarian King Béla III and other skeletal remains originating from the Royal Basilica of Székesfehérvár",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ciences, 11 (4): 1345–1357, doi:10.1007/s12520-018-0609-7
  6. ^ a b Nagy, P.L.; Olasz, J.; Neparáczki, E.; et al. (2020), "Determination of the phylogenetic origins of the Árpád Dynasty based on Y chromosome sequencing of Béla the Third", European Journal of Human Genetics, 29 (1): 164–172, doi:10.1038/s41431-020-0683-z, PMC 7809292, PMID 32636469
  7. ^ Neparáczki, Endre; et al. (2019). "Y-chromosome haplogroups from Hun, Avar and conquering Hungarian period nomadic people of the Carpathian Basin". Scientific Reports. Nature Research. 9 (16569): 16569. Bibcode:2019NatSR...916569N. doi:10.1038/s41598-019-53105-5. PMC 6851379. PMID 31719606.
  8. ^ Fóthi, E.; Gonzalez, A.; Fehér, T.; et al. (2020), "Genetic analysis of male Hungarian Conquerors: European and Asian paternal lineages of the conquering Hungarian tribes",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ciences, 12 (1), doi:10.1007/s12520-019-00996-0
  9. ^ Kristó 1996 Az Arrpad p. 9.
  10. ^ a b Kristó 1994 Korai p. 693.
  11. ^ Dr. Horváth-Lugossy, Gábor (2022). "Feltárulnak a Turul-dinasztia titkai (The secrets of the Turul dynasty are revealed)". Mandiner (in Hungarian).
  12. ^ Dr. Horváth-Lugossy, Gábor (2022). "Küldetésünk: a magyar történelem helyreigazítása". Institute of Hungarian Research.
  13. ^ 케자의 시몬: 게스타 훈노루메트 훈가로룸 https://mek.oszk.hu/02200/02249/02249.htm
  14. ^ 케자의 시몬: 게스타 훈노루메트 훈가로룸 https://mek.oszk.hu/02200/02249/02249.htm
  15. ^ Kristó 1996 헝가리 페이지 71.
  16. ^ Kristó 1996 Az Arrpad p. 13.
  17. ^ Kristó 1996 Az Arrpad p. 14.
  18. ^ Kristó 1994 Korai p. 40.
  19. ^ Szabados, György (2016). "Vázlat a magyar honfoglalás Kárpát-medencei hátteréről" [Outline of the background of the Hungarian conquest of the Carpathian Basin] (PDF). Népek és kultúrák a Kárpát-medencében [Peoples and cultures in the Carpathian Basin] (in Hungarian). ISBN 978-615-5209-56-7.
  20. ^ Szabados, György (May 2022). "Álmostól Szent Istvánig" [From Álmos to Saint Stephen]. Rubicon (Hungarian Historical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Hungarian).
  21. ^ Bóna, István (2001). "Conquest, Settlement, and Raids". History of Transylvania Volume I. From the Beginnings to 1606 - II. From Dacia to Erdőelve: Transylvania in the Period of the Great Migrations (271-896) - 7. Transylvania in the Period of the Hungarian Conquest and Foundation of a Stat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The Hungarian original by Institute of History Of The Hungarian Academy of Sciences). ISBN 0-88033-479-7.
  22. ^ Kalti, Mark. Chronicon Pictum (in Hungarian).
  23. ^ Bóna 2000 A magyarok pp. 29–65.
  24. ^ Bóna 2000 A magyarok pp. 62–65.
  25. ^ Kristó 1995 Magyar allam p. 304.
  26. ^ Kristó 1995 A magyar állam pp. 308–309.
  27. ^ Kristó 1996 Az Arrpad p. 22.
  28. ^ Kristó 1996 Az Arrpad p. 23.
  29. ^ Kristó 1996 Az Arrpad pp. 25, 28.
  30. ^ Kristó 1996 Az Arrpad p. 28.
  31. ^ Kristó 1996 Az Arrpad p. 30.
  32. ^ Kristó 1996 Az Arrpad p. 32.
  33. ^ Kristó 1996 Az Arrpad p. 35.
  34. ^ Kristó 1996 아즈 아르파드 pp. 35–36.
  35. ^ Kristó 1996 Az Arrpad p. 39.
  36. ^ Kristó 1994 Korai p. 290.
  37. ^ Kristó 1996 아즈 아르파드 pp. 40–41, 47.
  38. ^ Kristó 1994 Korai pap. 216, 245
  39. ^ Kristó 1996 아즈 아르파드 pp. 40–41.
  40. ^ Kristó 1996 아즈 아르파드 pp. 49–50.
  41. ^ Kristó 1994 Korai p. 721.
  42. ^ Benda 1981 Magyarorszag pp. 83–84.
  43. ^ Benda 1981 Magyarország p. 85.
  44. ^ Kristó 1996 아즈 아르파드 pp. 70–71.
  45. ^ Kristó 1994 Korai p. 42.
  46. ^ Kristó 1996 Az Arrpad p. 72.
  47. ^ a b c d e Kristó 1994 Korai.
  48. ^ Kristó 1979 A fongbalis p. 44.
  49. ^ Benda 1981 Magyarorszag pp. 85–100.
  50. ^ Benda 1981 Magyarorszag pp. 87.
  51. ^ Kristó 1996 아즈 아르파드 pp. 79–81.
  52. ^ Benda 1981 Magyarorszag pp. 88–92.
  53. ^ Benda 1981 Magyarország p. 90.
  54. ^ Kristó 1996 Az Arrpad p. 126.
  55. ^ Kristó 1996 Az Arrpad p. 95.
  56. ^ Kristó 1996 Az Arpad pp. 112–124.
  57. ^ Benda 1981 Magyarország p. 94.
  58. ^ Kristó 1996 Az Arrpad p. 119.
  59. ^ Benda 1981 Magyarország p. 93.
  60. ^ 클라니치케이 2000 아주랄코독 pp. 159–160.
  61. ^ Benda 1981 Magyarország p. 96.
  62. ^ Kristó 1994 Korai p. 261.
  63. ^ Benda 1981 Magyarorszag p. 102.
  64. ^ Kristó 1996 Az Arrpad p. 146.
  65. ^ Kristó 1996 Az Arrpad p. 158.
  66. ^ Benda 1981 Magyarorszag p. 105.
  67. ^ Kristó 1996 아즈 아르파드 pp. 166–169.
  68. ^ Benda 1981 Magyarorszag p. 106.
  69. ^ Kristó 1996 Az Arrpad p. 181.
  70. ^ Kristó 1996 Az Arpad pp. 190–196.
  71. ^ Kristó 1996 아즈 아르파드 pp. 206–208.
  72. ^ Kristó 1996 아즈 아르파드 pp. 207–208.
  73. ^ Benda 1981 Magyarorszag pp. 117–121.
  74. ^ 베르테니 1983 Kis magyar p. 67.
  75. ^ Benda 1981 Magyarorszag p. 121.
  76. ^ Benda 1981 Magyarorszag p. 122.
  77. ^ Benda 1981 Magyarorszag p. 124.
  78. ^ 베르테니 1983 Kis magyar p. 70.
  79. ^ Benda 1981 Magyarorszag p. 127.
  80. ^ Kristó 1996 Az Árpád pp. 229–245.
  81. ^ Benda 1981 Magyarorszag pp. 127–144.
  82. ^ Benda 1981 Magyarorszag p. 144.
  83. ^ a b Kristó 1994 Korai p. 294.
  84. ^ Kristó 1996 아즈 아르파드 pp. 254–260.
  85. ^ Kristó 1994 Korai p. 711.
  86. ^ Kristó 1994 Korai p. 130, 479, 543, 598, 716–717
  87. ^ 벤다 1981 Magyarorszag pp. 154, 157
  88. ^ 클라니치케이 2000 아주랄코독 pp. 178–179.
  89. ^ 가톨릭 백과사전: 헝가리의 축복받은 마거릿
  90. ^ 클라니치케이 2000 아주랄코독 178–192쪽.
  91. ^ Kristó 1996 Az Arrpad p. 272.
  92. ^ Kristó 1996 Az Arrpad p. 277.
  93. ^ Kristó 1996 Az Árpád pp. 278–282.
  94. ^ Kristó 1994 Korai p. 663.
  95. ^ Kristó 1996 Az Árpád pp. 282–283.
  96. ^ Kristó 1996 Az Árpád pp. 283–284.
  97. ^ Kristó 1996 Az Árpád pp. 285–288.
  98. ^ Kristó 1996 Az Arrpad p. 288
  99. ^ 클라니치케이 2000 아주랄코독 179쪽.
  100. ^ Benda 1981 Magyarorszag pp. 188–192.
  101. ^ Kásler, Miklós (2022). Kings and Saints - The Age of the Árpáds (PDF). Budapest, Székesfehérvár: Institute of Hungarian Research. p. 9. ISBN 978-615-6117-65-6.
  102. ^ 벨라 왕 공증인 어나니머스: 헝가리인의 행적 (chapter 3) https://discovery.ucl.ac.uk/id/eprint/18975/1/18975.pdf
  103. ^ "Hungary Salutes Best-Loved Saint". AP News. 20 August 2000.

참고문헌

  • Benda, Kálmán, ed. (1981). Magyarország történeti kronológiája ("The Historical Chronology of Hungary"). Budapest: Akadémiai Kiadó. ISBN 963-05-2661-1.
  • Bertényi, Iván (1983). Kis magyar címertan ("Short Hungarian Heraldry"). Budapest: Gondolat. ISBN 978-963-281-195-6.
  • Bóna, István (2000). A magyarok és Európa a 9–10. században ("The Magyars and Europe during the 9–10th centuries"). Budapest: História – MTA Történettudományi Intézete. ISBN 963-8312-67-X.
  • Dümmerth, Dezső (1996). Az Árpádok nyomában [Following the Árpáds] (in Hungarian) (5th ed.). Junior. ISBN 963-388-154-4.
  • Engel, Pál (2001). The Realm of St. Stephen: A History of Medieval Hungary, 895-1526. London & New York: I.B.Tauris. ISBN 9781850439776.
  • Kings and Saints - The Age of the Árpáds (PDF). Budapest, Székesfehérvár: Institute of Hungarian Research. 2022. ISBN 978-615-6117-65-6.
  • Klaniczay, Gábor (2000). Az uralkodók szentsége a középkorban ("Monarchs' Sainthood in the Middle Ages"). Budapest: Balassi Kiadó. ISBN 963-506-298-2.
  • Kristó, Gyula; Makk, Ferenc (1996). Az Árpád-ház uralkodói ("Rulers of the Árpád dynasty"). I.P.C. KÖNYVEK Kft. ISBN 963-7930-97-3.
  • Kristó, Gyula (1996). Hungarian History in the Ninth Century. Szeged: Szegedi Középkorász Műhely. ISBN 963-482-113-8.
  • Kristó, Gyula (1995). A magyar állam megszületése ("The origin of the Hungarian state"). Szeged: Szegedi Középkorász Műhely. ISBN 963-482-098-0.
  • Kristó, Gyula, ed. (1994). Korai Magyar Történeti Lexikon (9–14. század) (Encyclopedia of the Early Hungarian History: 9–14th centuries). Budapest: Akadémiai Kiadó. ISBN 963-05-6722-9.
  • Kristó, Gyula (1979). A feudális széttagolódás Magyarországon ("Feudal divisions in Hungary"). Akadémiai Kiadó. ISBN 963-05-1595-4.
  • Tóth, Sándor László (1998). Levediától a Kárpát-medencéig ("From Levedia to the Carpathian Basin"). Szeged: Szegedi Középkorász Műhely. ISBN 963-482-175-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