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삼 주
Assam Province북동부 프론티어(1874~1905) 아삼 주(1912년~1947년 | |||||||||||||
---|---|---|---|---|---|---|---|---|---|---|---|---|---|
영국령 인도 현 | |||||||||||||
1874-1947 | |||||||||||||
![]() 1936년 아삼 주 | |||||||||||||
자본의 | 신롱 | ||||||||||||
지역 | |||||||||||||
• 1901 | 121,908km[2][3]2(47,069평방마일) | ||||||||||||
• 1914 | 202,170km[1]2(78,100평방마일) | ||||||||||||
역사 | |||||||||||||
역사 | |||||||||||||
1912 | |||||||||||||
• Simla 협약 | 1914 | ||||||||||||
• 인도의 독립 | 1947년 8월 15일 | ||||||||||||
|
의 시리즈의 일부 |
아삼의 역사 |
---|
![]() |
분류 |
아삼 주는 1912년 동벵골 주와 아삼 주가 분할되어 만들어진 영국령 인도의 주였다.수도는 신룽(新龍)
아삼 영토는 1874년 '북동부 프론티어' 비규제 지방으로 벵골에서 처음 분리되었다.1905년 동부 벵골과 아삼의 새로운 주로 편입되었고 1912년에 주로 재설치되었다.
역사
1824년 아삼은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이후 영국군에 점령되었고 1826년 2월 24일 버마에 의해 1826년 [4]옌다부 조약에 의해 영국에 양도되었다.1826년과 1832년 사이에, 아삼은 벵골 대통령 통치하에 벵골의 일부가 되었다.1832년부터 1838년 10월까지, 영국군이 로어 아삼을 통치하는 동안, 아삼 왕국은 어퍼 아삼에서 복원되었다.푸란다르 싱하는 1833년에 상부 아삼의 왕으로 통치하는 것이 허용되었지만, 그 짧은 기간 후에 아삼은 영국에 의해 벵골에 합병되었다.1873년, 영국의 정치적 통제는 서부 나가 사회에 강요되었다.1874년 2월 6일, 실렛을 포함한 아삼은 '북동부 국경'이라고도 알려진 아삼 최고위원을 결성하기 위해 벵골에서 분리되었다.신룽은 1874년 9월 아삼 비규제주의 수도로 선정되었다.루사이 언덕은 1897년에 아삼으로 넘어갔다.새로운 위원회에는 약 54,100평방마일의 아삼 지역(캄럽, 나가온, 다랑, 십사가르, 라킴푸르), 카시-잔티아 힐즈, 가로 힐즈, 나가 힐즈, 골파라, 실렛-카차르의 5개 구역이 포함되었다.아삼의 역사적인 부분인 쿠치 베하르는 [5]제외되었다.
1905년 10월 16일부터 아삼은 동벵골과 아삼 주의 일부가 되었다.1911년 이 주는 지속적인 대규모 시위 운동으로 폐지되었고 1912년 4월 1일 벵골의 두 지역이 재결합되었고 언어에 기초한 새로운 분할이 뒤따랐다.오리야와 아사메 지역은 새로운 행정 단위를 형성하기 위해 분리되었다.서쪽에는 비하르 주와 오리사 주가, 동쪽에는 아삼 주가 만들어졌다.
1919년 인도정부법에 의해 제정된 영국령 인도의 몬타구-첼스포드 개혁은 아삼 입법회를 확대하고 농업, 보건, 교육, 지방정부와 같은 특정한 책임을 선출된 장관에게 이양하는 왕정 원칙을 도입했다.왕정 체제 하에서 인도의 장관들 중 일부는 Syed Muhammad Saadulla 경과 Rai Bahadur Promode Chandra [6]Dutta입니다.
1935년 인도 정부법은 지방 자치권을 제공하고 선출된 지방 입법부를 108명으로 [7]확대했다.1937년, 신룡에 신설된 아삼 입법부 선거가 실시되었다.인도 국민회의가 38명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지만 정부 구성을 거부했다.그래서 무슬림연맹의 지원을 받는 아삼밸리당이 사두라 경을 초빙해 사역을 구성했다.Saadulla의 정부는 의회가 결정을 바꾼 후 1938년 9월 사임했고, 주지사 Robert Neil Reid는 Gopinath Bordoloi를 초대했다.보돌로이 내각에는 인도의 차기 대통령인 파크루딘 알리 아흐메드가 포함되어 있다.1939년, 영국령 인도 지방의 모든 의회 부처가 사임했고, Syed Muhammad Saadulla 경은 다시 부처를 구성하기 위해 초대받았다.
사둘라는 1941년 12월 24일부터 1942년 8월 24일까지 주지사의 통치 기간을 제외하고 1946년까지 아삼의 총리(총리)를 지냈다.1944년 일본의 인도 침공 당시 나가 힐스 지역과 마니푸르 프린세리 주 일부 지역을 포함한 아삼 주 일부 지역은 3월 중순에서 7월 사이에 일본군에 점령당했다.
1946년 지방 의회 선거가 새로 소집되었을 때 의회는 아삼에서 과반수를 차지했고 보르돌로이는 다시 총리로 취임했다.1946년 4월 1일 아삼 주는 인도의 독립에 앞서 자치권을 부여받았고 1947년 8월 15일 인도 [8]자치령의 일부가 되었다.보르돌로이는 1947년 인도가 독립한 이후에도 계속 총리직을 수행했다.
최고위원
- 1889년 - 1891년 제임스 월리스 퀸턴(B. 1834년 - 1891년)
- 1912~1918년 아크데일 얼(Archdale Earle, 1861년 ~ 1934년)
- 1918년 – 1921년 1월 3일 니콜라스 도드 베트슨 벨 경 (b. 1867년 – d. 1936년)
지사
- 1921년 1월 3일 ~ 1921년 4월 2일 니콜라스 도드 베트슨 벨 경(s.a.)
- 1921년 4월 3일 1922년 10월 10일 윌리엄 싱클레어 마리스 경(b. 1873년 ~ 1945년)
- 1922년 10월 10일 1927년 6월 28일 존 헨리 커 경(1871년 ~ 1934년)
- 1927년 6월 28일 ~ 1932년 5월 11일 에그버트 로리 루카스 해먼드 경 (b. 1873년 ~ 1939년)
- 1932년 5월 11일 ~ 1937년 3월 4일 마이클 킨 경 (b. 1874년 ~ 1937년)
- 1937년 3월 4일 ~ 1942년 5월 4일 로버트 닐 리드 (b. 1883년 ~ 1964년)
- 1942년 5월 4일 ~ 1947년 5월 4일 앤드류 굴레이 클로 경 (b. 1890년 ~ 1957년)
- 1944년 3월 15일 - 1944년 7월 무타구치 레냐(Mutaguchi Renya, 1888년 ~ 1966년) 밀(일본군 사령관)
- 1944년 3월 16일 - 1944년 7월Chatterjee IIL (자유인도 임시정부용)
- 1947년 5월 4일 ~ 1947년 8월 15일 살레 히다리 경 (b. 1894년 ~ 1948년)
주요 장관들
- 1937년 4월 1일 ~ 1938년 9월 19일 마울라비 사이이드 경 무함마드 사둘라 (b. 1885년 ~ 1955년) ML (1회)
- 1938년 9월 19일 ~ 1939년 11월 17일 고피나트 보르돌로이 (1회) (b. 1890년 ~ 1950년) INC
- 1939년 11월 17일 ~ 1941년 12월 24일 무함마드 사둘라 경 (두 번째)
- 1941년 12월 24일 - 1942년 8월 24일 주지사 규칙
- 1942년 8월 25일 1946년 2월 11일 무함마드 사둘라 경 (세 번째)
- 1946년 2월 11일 - 1947년 8월 15일 고피나트 보르돌로이 (2회) (s.a.)주식회사
나가힐스 지구 부위원장
- 1912~1913년 J.K.웹스터
- 1913~1917년 H.C.버너스
- 1917년~1935년 존 헨리 허튼(B. 1885년~1968년)
- 제임스 필립 밀스(James Philip Mills, 1890년 ~ 1960년)
- 찰스 리들리 포시(Charles Ridley Pawsey, 1894년 ~ 1972년)
인구 통계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Simla Convention 이후의 성 지역과 종속국을 제외한 남티베트 가입.
- ^ 도도부현 지역종속 주(Manipur - 8456 sqmi 및 Khasi Hills - 6157 sqmi)를 포함한 총 면적은 61,682 sqmi(159755 м 2)이다.
- ^ 인도 제국 관보(1908) 권IV. 페이지 14
- ^ Aitchison, C. U., ed. (1931), The Treaty of Yandaboo, (A Collection of Treaties, Engagements and Sanads: Relating to India and Neighbouring Countries. Vol. XII.), Calcutta: Projectsouthasia.sdstate.edu, pp. 230–23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December 2008
- ^ "The Assam Legislative Assembly". Times of Assam. 11 May 2012. Retrieved 26 December 2019.
- ^ Sharma, Suresh (2006). Documents on North-East India: Assam (1664–1935). Mittal Publication. ISBN 81-8324-089-5.
- ^ "Assam Legislative Assembly – MLA 1937–46". assamassembly.gov.in. Retrieved 26 December 2019.
- ^ "Provinces of British India". www.worldstatesmen.org. Retrieved 26 December 2019.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레퍼런스
- 1901년 온라인판 인도 전역을 매우 상세하게 기술한 인도 제국관보(26권, 1908–3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