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알실렘 2세

Baalshillem II
바알실렘 2세
통치.c. 기원전 401년 ~ 기원전 366년
전임자바아나
후계자압다슈타르트 1세
페니키아어𐤁𐤏𐤋𐤔𐤋𐤌
다이너스티바알실렘 1세 왕조
종교가나안 다신교
Beige marble statue of a stout young child aged about two years old lying on his left side. The child's head is shaven, his eyes gaze over the viewer's shoulder and his lower body is covered in a draping cloth that hangs limply between his flexed feet. The child supports his torso with his left hand in which he holds an unidentifiable object, he also holds a small bird in his right hand. The sculpture rests on a heavy socle inscribed with barely visible letters spanning the upper part of the socle vertically.
바알실렘 템플 보이: 기원전 400년대 에슈문 성소에서 페니키아에 새겨진 왕실의 아이를 기리는 대리석상

바알실렘 2세는 페니키아 시돈 c.왕 (기원전 401366년)으로 바알실렘 1세의 증손자이자 아케메네스 제국의 신하였다.그는 바아나의 뒤를 이어 시돈의 왕좌를 차지했고 그의 아들 압다슈타르트 1세(그리스어로는 스트라톤)[1][2]가 뒤를 이었다.

어원학

바알실렘(Baalshillem)은 페니키아어 𐤏𐤔𐤋bbbb(bšlshlm)의 라틴어로 "바알의 보상"을 뜻한다.그 왕은 현대 그리스 비문에서는 선주[2][5]해석될 수 있는 사크톤으로[clarification needed] 알려져 있다.왕의 이름의 대체 철자로는 바알킬렘이 [6]있다.

연표

에스무나자르 1세 이후의 시돈 왕들에 대한 절대 연대는 문헌에서 많이 논의되어 왔다.전통적으로 5세기 경에 위치하여, 이 왕조의 비문은 화폐학적, 역사적, 고고학적 증거에 기초하여 이전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이들 시도니아 왕들의 통치 연대를 다룬 가장 완전한 작품은 성서 연대표의 사용에서 벗어난 프랑스 역사학자 조세트 엘레이의 작품이다.Elayi고 새겨져 티리안 물개나 우표가 레바논의 고고학자 모리스 대통령.에 의해 1972년 Jal el-Bahr, Tyre,[7][8][9][10][11]페니키아 사람들의 비문은 프랑스 고고학자 모리스 Dunand 시돈에서 1965,[12]에서 발견되고 체제의 북쪽에 있는 지역에서 발굴되어 있는 시간의 모든 가용 문서화 사용했다.시돈의 마틱 연구시도니아 왕의 [13][14]통치 기간을 나타내는 주조 날짜가 새겨진 최초의 동전인 이안 동전

바알실렘 2세는 기원전 372년에 해당하는 그의 통치 연도와 일치하는 동전을 발행한 최초의 시도니아 군주였다.엘레이는 바알실렘 2세의 즉위 연도가 기원전 401년이고 그가 기원전 366년까지 통치했다는 것을 확립했다.바알실렘 2세 동전의 연대는 학자들에게 상당히 중요한데, 그 이후의 통치는 기원전 333년 알렉산더가 레반트를 정복까지 매년 있기 때문이다.이것이 학자들이 [15][16][17][18]돌이켜보면 시도니아 왕들의 연대를 확립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력 컨텍스트

바알실렘 2세 동전 앞면에는 페니키아 갤리와 문자 B가 그려져 있고 뒷면에는 의식 행렬이 그려져 있다.

기원전 539년 페니키아는 아케메네스 통치 하에 놓였고, 시돈, 티레, 비블로스[19][20]아르와드라는 네 개의 속국으로 나뉘었다.아스타르테의 사제이자 그의 동명 왕조의 창시자인 에스무나자르 1세는 아케메니드가 [21]레반트를 정복할 무렵 시돈의 왕위에 올랐다.아케메네스 통치 1단계 동안 시돈은 번영했고 페니키아의 주요 [21][22][23]도시로서의 이전 지위를 되찾았다.기원전 5세기 중반, 에스무나자르의 왕조는 바알실렘 1세의 왕조가 계승되었다. 이러한 왕조의 교체는 시돈이 통치하는 [16]왕들의 모습을 담은 독자적인 동전을 주조하기 시작한 시기와 일치한다.

경구 및 숫자 출처

엘레이에 따르면, 시돈 왕실의 네크로폴리스에서 발굴된 리키아 석관은 바알실렘 2세를 위해 만들어졌을 수도 있다.

바알실렘 2세의 이름은 왕이 페니키아 치료의 신 에스문에게 바친 "템플 보이"의 봉헌상으로부터 알려져 있다.Baalshillem 사원 소년상의 밑부분에는 [24][25]KAI 281로 알려진 페니키아 비문이 새겨져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돈 왕 바나의 아들 바알실렘, 시돈 왕 압다문의 아들 바알실렘, 시돈 왕 바알실렘의 아들 바알실렘이 '윌' 봄에 그의 주인 에스문에게 준 조각상이다.그에게 [24]축복이 있기를.

이 조각상은 바알실렘 1세 [24][26]왕조의 시돈 왕 네 명의 이름을 새겼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이 조각상은 또한 동상 [27]헌납 당시 생후 5, 6개월이었을 것으로 보이는 미래의 젊은 왕 압다슈타르트 1세를 상징한다.

Baalshillem 2세는 또한 그의 통치하에서 주조된 동전들로도 알려져 있다.바알실렘 1세 시대의 동전들은 시도니아 [27]왕족의 관습인 각 왕의 약칭들을 보여준다.바알실렘 1세의 이름은 B로, 압다몬의 이름은 B로, B는 Baana를 나타냅니다.Baalshillem 2세는 그의 전임자와 같은 약자를 사용했지만,[27][2] 그는 동전의 아이콘그래피를 수정했다.바알실렘 2세 동전의 앞면은 시돈의 삼단화를, 바알실렘 1세 동전의 앞면은 시돈의 성벽 요새 앞에 있는 갈리를 보여준다.바알실렘 2세 동전의 뒷면은 의식행렬을 [27]보여준다.또 다른 차별화되는 특징은 바알실렘 2세가 그의 통치 [2]연도와 일치하는 그의 동전에 새겨진 조폐 날짜이다.이후 일련의 바알실렘 2세 동전에서 왕은 [2]뒷면에는 아들 이름의 첫 글자를 새기고 앞면에는 아들 이름의 약자를 새겨 후계자로서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기원전 398년 크니두스 전투의 사건에 관한 옥시린쿠스 필사본의 한 구절에서 시도니아 함대의 지도자는 파피루스 사크톤에 이름을 올렸다.사크톤은 398년에 재위 [2][5]4년차였던 바알실렘 2세와 동일시 되었다.그리스어 이름 Sakton은 "선주"[2][5]로 해석됩니다.

석관

엘레이에 따르면, 시돈 왕실의 네크로폴리스에서 발굴된 기원전 390-380년리키아 석관은 바알실렘 [5]2세를 위해 만들어졌을 수도 있다.

계보학

Baalshillem 2세는 Baalshillem 1세 왕조의 후손이었다; 의 후계자는 그의 아들 Abdashtart [28][29]1세였다.

바알실렘 1세 왕조
바알실렘 1세
압다몬
바아나
바알실렘 2세
압다슈타르트 1세

[30][29]

「 」를 참조해 주세요.

  • 시돈의 왕 – 시돈의 고대 통치자 목록

메모들

레퍼런스

  1. ^ 마르코에 2000, 58페이지
  2. ^ a b c d e f g Elayi 2006, 9페이지
  3. ^ Ingram 1997, 541페이지
  4. ^ 보닛 2017, 59페이지
  5. ^ a b c d 엘레이 2018a, 페이지 255
  6. ^ 바넬 1967, 페이지 73
  7. ^ Kaoukabani 2005, 페이지 4
  8. ^ Elayi 2006, 페이지 2
  9. ^ 체합 1983, 페이지 171
  10. ^ Xella & Lopez 2005b.
  11. ^ 그린필드 1985, 페이지 129-134.
  12. ^ Dunand 1965, 105~109페이지
  13. ^ Elayi 2006.
  14. ^ Elayi & Elayi 2004.
  15. ^ 엘레이 2006, 페이지 9, 22, 31
  16. ^ a b Elayi 2006, 8페이지
  17. ^ 엘레이 2007, 페이지 100
  18. ^ 엘레이 2010, 페이지 164
  19. ^ Elayi 2006, 페이지 1
  20. ^ 이사회 등 2000년, 페이지 156
  21. ^ a b 사모라 2016, 페이지 253
  22. ^ Elayi 2006, 7페이지
  23. ^ Pritchard & Fleming 2011, 311–312페이지.
  24. ^ a b c 엘레이 2018a, 페이지 249
  25. ^ Xella & Lopez 2005a, 페이지 122 각주
  26. ^ 밴스 1994, 페이지 12
  27. ^ a b c d 엘레이 2018a, 페이지 250
  28. ^ Elayi 2006, 9-11페이지
  29. ^ a b 깁슨 1982, 페이지 115
  30. ^ Elayi 2006, 9-10페이지.

참고 문헌

선행 시돈의 왕
c. 401~c. 366 BC
에 의해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