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락룸 발라드
Barrack-Room Ballads
바라크룸 발라드(Barack-Room Ballads)는 루드야드 키플링(Rudyard Kipling)의 일련의 노래와 시로, 빅토리아 시대 말기 영국군을 다루며 대부분 자국어 방언으로 쓰여졌다. 이 시리즈에는 '궁가딘', '토미', '만달레이', '대니 디버' 등 키플링의 대표적인 작품들이 수록돼 있어 초기 시인으로서의 명성을 공고히 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최초의 시는 1890년 상반기에 스코틀랜드 관찰자(Scots Observer)에서 출판되었고, 1892년 바락방 발라드(Barack-Room Ballads)와 기타 구절(Other Passes)에서 수집되었다. 키플링은 나중에 같은 제목으로 <세븐 해>에서 수집된 시집단을 통해 이 주제로 돌아왔다. "서비스 노래"라는 제목과 5개국 (1903)에 발표된 보어전쟁의 세 번째 자국어 군시집단은 발라드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다른 많은 미수곡 작품들도 그렇다.
캐논 정의
키플링의 두 권의 시는 "바락방 발라드"라고 분명히 표기되어 있지만, 어떤 시가 이런 식으로 분류되어야 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복잡할 수 있다.
발라드의 주요 컬렉션은 1890년대에 《Barack-Room Ballads》와 《Other Barack-Room Ballads》(1892년, Methuen 최초의 주요 출판 성공)와 《The Seven Seas》(1896년)의 두 권으로 출판되었으며, 때로는 《The Seven Seas》와 《Fore Barrack-Room Ballad》로 출판되기도 하였다. 두 책 모두 다른 시와는 별도로 정해진 특정 섹션으로 수집되어 쉽게 확인할 수 있다.(바락-룸 발라드와 다른 시들은 키플링 자신의 목소리로 소개시("T.A.")를 가지고 있는데, 이 시는 엄격히 세트의 일부가 아니지만 함께 수집되는 경우가 많다.)
1903년 《오대국가》에서 출판된 세 번째 시집단은 군대 고유의 발라드라는 주제를 이어갔는데, '서비스 노래'라는 제목이 붙었지만, 이전 발라드들의 주제와 잘 맞아떨어져 뚜렷하게 연결돼 있다.
찰스 캐링턴은 1973년 이 세 권의 컬렉션에서 주로 뽑아낸 최초의 포괄적인 발라드를 제작했지만, 이전에 제목에 따라 수집되지 않은 다섯 권의 추가 작품을 포함했다. Three of these date from the same period: an untitled vernacular poem ("My girl she gave me the go onst") taken from a short story, The Courting of Dinah Shadd, in Life's Handicap (1891); Bobs (1893), a poem praising Lord Roberts; and The Absent-Minded Beggar (1899), a poem written to raise funds for the families of soldiers called up for the Boer 전쟁
나머지 두 날짜는 제1차 세계대전에서 나온 것인데, 캐링턴은 1인칭 문체로 쓰여진 전쟁의 비문을, 그리고 군인의 목소리로도 겟세마네를 그의 정의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려했다. 둘 다 <The Years Between>(1919)에 실렸다. 키플링은 전쟁 중 군사적인 주제에 대해 많은 글을 썼지만, 종종 이전에 그가 채택했던 1인칭 자국어보다 더 분리된 관점에서 썼다.
마지막으로, 혼란스러울 정도로 자막화된 작품들이 있다. 키플링의 많은 단편소설들은 짧은 시의 파편과 함께 소개되었는데, 때로는 현존하는 시에서, 때로는 부수적인 신작에서 소개되기도 했다. 이러한 시들은 종종 "Barack-Room Ballad"로 확인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모든 시가 이런 식으로 수집되거나 분류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것은 나중에 '책에서 나온 노래'로 수집되었지만 발라드로 확인되지 않은 '코끼리 경'(My Lord the Elephant, 1899년)에 대한 소개 시와 같은 작품들을 포함한다. 이것들이 캐링턴에 의해 의도적으로 누락되었는지 아니면 그가 명시적으로 그것들을 포함하지 않기로 선택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그 시들은
- Barack-Room 발라드 및 기타 구절에서
- From the Seven Seas
- "백 투 어게인"
- "먹이의 새" 행진곡
- "Soldier an' Saleer Too"
- "세이퍼스"
- "그날"
- "민덴에서 싸운 남자들
- "콜레라 캠프"
- "The Ladies"
- 빌 '어킨스'
- "마더 로지"
- "팔로우 미 '옴'"
- "하사님의 웨딘"
- "자켓"
- "더 이튼"
- 셧아이 보초
- "마리, 동정녀들!"
- "감탄을 위해"
- 선택되지 않음
- 봅슬레이
- "내 여자애야, 그녀가 먼저 날 해고했어.."
리셉션
T.S. 엘리엇은 1941년 키플링의 시구문집을 위해 키플링에 관한 에세이에서 많은 작가들이 시를 쓰지 않고 시를 썼지만, 키플링이 그럴 생각 없이 시를 썼다는 점에서 특이했다고 쓰고 있다.[1][2] 엘리엇의 견해에 따르면, 이것은 키플링을 '발라드 작가'로 만들고, 그것은 이미 1941년에 키플링의 시대보다 더 어렵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이 더 이상 그들에게 영감을 줄 음악관을 갖지 않았기 때문이다.[3] 엘리엇은 키플링의 발라드도 특이하다고 생각했고, 키플링이 각 발라드의 메시지를 한 번의 청력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신경을 썼다는 점에서도 그러했다. 그러나 Eliot은 키플링은 그것보다 더 많은 것을 제공할 수 있다고 썼다: 그는 "단어, 구절, 리듬의 완벽한 선물"을 가지고 있었고, 결코 자신을 반복하지 않았으며, 짧고 단순한 스탠자와 운율 체계를 사용했다. 더구나
키플링이 그의 발라드를 위해 고안해 낸 다양한 형태는 주목할 만하다: 각각은 뚜렷하고, 시가 전달해야 하는 내용과 분위기에 완벽하게 들어맞는다. 또한 버라이어티화가 너무 규칙적인 것도 아니다.
— T.S. Eliot[4]
참고 항목
- 루드야드 키플링의 작품 목록
- 1892년 시학
- 1896년 시화.
- 휘펜푸핑 송 (신사-랭커즈에서 발췌)
참조
참고 문헌 목록
- Eliot, T. S. (1941). A Choice of Kipling's Verse, made by T. S. Eliot with an essay on Rudyard Kipling. Faber and Faber.
- ---- (1963) 페이퍼백 에디션, 파버 앤 파버
외부 링크
![]() | Wikisource는 이 기사와 관련된 원본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
- Barrack-Room 발라드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무료 전자책 #2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