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벤 칼린

Ben Carlin
벤 칼린
Carlin seated
1948년 캐나다 퀘벡 주 몬트리올의 칼린
태어난
프레더릭 벤저민 칼린

1912년 7월 27일
죽은1981년 3월 7일(68세)
교육길퍼드 그래머 스쿨
칼굴리 광산학교
직종.엔지니어, 군인
배우자
  • 게르트루드 플라트(Gertrude Plath, 1940년 ~ ?)
  • 엘리노어 아론 ( 1946년 ~ 55년)
  • 신시아 헨더슨 (m. 1963-64)
아이들.데이드레 스캇 칼린(Deidre Scott Carlin, 1964년생)

프레드릭 벤저민 칼린(Frederick Benjamin Carlin, 1912년 7월 27일 ~ 1981년 3월 7일)은 호주의 모험가로 수륙양용차를 타고 세계일주를 한 최초의 사람이다.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노섬에서 태어난 칼린은 퍼스에 있는 길드포드 그래머 스쿨을 다녔고 후에 칼굴리 광산 스쿨에서 광산 공학을 공부했습니다.엔지니어 자격을 취득한 후, 그는 1939년 중국으로 이민을 가서 영국 탄광에서 일하기 전까지 골드필드에서 일했다.제2차 세계 대전 때 칼린은 인도, 이탈리아, 중동 전역에서 복무하는 인도 공병대에 배치되었다.1946년 전역 후 그는 미국인 아내 엘리노어(성 아론)와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군대에 있을 때 가졌던 아이디어에 자극받은 칼린은 포드 GPA(포드 GPW 지프의 수륙양용 버전)를 개조하여 대서양을 건너 신혼여행을 가자고 제안했고, 그들은 그것을 하프 세이프라고 이름 붙였다.캐나다 퀘벡 주 몬트리올에서 여행을 시작한 칼린 부부는 1951년 실패한 시도 끝에 마침내 대서양 횡단을 완료했다.그곳에서 그들은 유럽으로 여행을 떠나 일시적으로 버밍엄에 정착하여 더 많은 돈을 모았다.그들은 캘커타에 도착하기 전 1954년에 육로를 통해 중동을 여행하며 여행을 재개했다.호주로 짧은 모금 여행을 다녀온 후 칼린의 아내는 미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떠났다.그는 새로운 파트너와 여행을 재개하여 동남아시아와 극동을 거쳐 일본 북단을 거쳐 알래스카로 갔다.미국과 캐나다를 통해 긴 여행을 한 후, 그와 하프 세이프는 마침내 몬트리올로 돌아왔고, 10년간의 여정 동안 17,000 킬로미터(11,000 마일)와 62,000 킬로미터(39,000 마일)를 육로로 여행했다.1981년 칼린이 사망한 후, 하프 세이프는 그가 다니던 학교인 길드포드 그래머에 인수되어 현재 전시되어 있다.

조기생활과 군복무

프레데릭 벤자민 칼린은 1912년 7월 27일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노섬에서 태어났다.그의 어머니인 전 샬롯 아멜리아 브램웰은 그가 [1]4살 때 사망했고, 그는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2]관공서에서 고용된 전기 기술자였던 아버지 프레드릭 세실 칼린에 의해 길러졌다.칼린은 열 살 때 퍼스에 [3]있는 길드포드 그래머 스쿨에 기숙사로 보내졌다.1929년에 학교를 떠난 그는 칼굴리에 있는 광산학교에 등록했고 그곳에서 광산공학을 공부했다.엔지니어 자격을 취득한 후, 그는 골드필드 주변 지역에서 일정 기간 일했다.하지만 1939년, 그는 영국의 탄광 [2][4]회사에서 일하기 위해 중국 베이징으로 이사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칼린은 인도 육군에 입대했다.인도로 떠나기 전, 그는 고모, 삼촌과 함께 중국에서 살아온 독일 시민 게르트루드 플라트와 결혼했다.이 커플은 1940년 4월 20일 [5]톈진에서 결혼식을 올렸지만 전쟁이 끝나기 전에 헤어졌다.원래 [4]상하이에 입대했던 칼린은 후에 인도 공병단마드라 사퍼스에 배치되었다.1941년 8월,[6] 그는 분쟁 초기에 이루어진 수많은 "비상대책위원회"의 일환으로 소위로 진급했다.전쟁 중 칼린은 인도, 이라크, 페르시아, 팔레스타인, 시리아,[7] 이탈리아에서 복무했으며, 전쟁이 끝날 무렵에는 [8]소령으로 진급했다.전쟁이 끝날 무렵, 그는 보스턴 출신의 미국인 적십자 간호사 엘리노어 아론을 만났다.1946년 그가 전역하자 부부는 메릴랜드로 이민을 갔고,[1] 1948년 6월 결국 그곳에서 결혼했다.

일주 항행

하프 세이프 및 조기 준비

The couple next to one another
여행 준비의 초기 단계인 칼린 부부는

전쟁 내내 연합군은 다양한 종류의 수륙양용 차량을 사용했다.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 중 하나는 포드 GPW 지프의 변형된 [9]버전인 포드 GPA였다.전쟁이 끝나갈 무렵 인도에서 칼린은 군용 차량 주차장에서 GPA를 받았다.동료 엔지니어들을 조롱하듯, 그는 아마도 "조금 자극만 있으면 그런 것들을 [10][11]타고 세계일주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이 자동차가 자신을 세계일주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이 생각은 결혼 후에도 칼린에게 남아있었고, 그는 수정된 학점으로 대서양을 건너 신혼여행을 하자고 아내에게 제안했다.상당한 문제 끝에 칼린 부부는 마침내 워싱턴 D.C.의 정부 경매에서 1942년 포드 GPA(일련 번호 1239)를 901달러(2021년 10,934달러 상당)에 사들였다.이 자동차는 원래 미시간 주 리버 루즈에 있는 포드 공장에서 생산되었는데,[8] 이 공장은 전쟁 중에 만들어진 12,778개 공장 중 하나이다.그는 원래 포드가 그의 여행을 후원하도록 설득하려 했으나, 회사는 그 우주선이 [11]여행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믿고 거절했다.이 차량은 보다 보트 같은 , 방향타, 더 큰 선실, 그리고 선미[12]하나와 "배" 아래에 두 개의 연료 탱크를 추가하는 등 항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많은 개조가 필요했다.기내에는 침대가 설치되었고, 대시는 항공기 계기뿐만 아니라 양방향 라디오(19세트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를 포함하도록 수정되었다.총 길이가 18피트(5.5m)로 3피트 연장되었고 연료 용량은 원래 12갤런(45L)[13]에서 200갤런(760L)으로 늘어났다.배 밑의 연료 탱크는 비어 있을 때 버려져 3톤(6,720파운드 또는 3,048kg)[14]의 무게를 더 줄일 수 있었다.이 선박은 탈취제 브랜드인 아리드의 슬로건인 " 안전해서는 된다 - 확실히 아리드를 사용한다"[11]를 따서 하프 세이프라고 명명되었다.

첫 번째 시도 실패

이들 부부는 1947년 선박을 시험하기 시작했고 선박의 밀폐된 구조물이 일산화탄소 [12]중독의 위험을 높이는 등 일산화탄소 제거에 어려움을 겪었다.칼린 부부는 캐나다 퀘벡 주 몬트리올을 그들세계 일주 시도의 공식 출발지로 선택했다.그들은 1947년 말 [11]아조레스강을 통해 대서양을 횡단할 목적으로 처음으로 하프 세이프를 발사하기로 한 뉴욕시를 향해 출발했다.1948년 1월 초 "의심 많은 물가에서 일하는 [15]노동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시험 운행이 이루어졌다.1948년 6월 16일 뉴욕 항구에서 시작된 대서양 횡단을 완료하기 위한 두 사람의 첫 번째 시도는 이루어졌다."놀라운 부두 노동자 100명"의 환호를 받으며, 그들은 처음에는 강한 조류에 의해 상류로 떠내려갔지만, [16]후 5노트의 속도로 대서양을 향해 나아갔다.칼린 부부는 무전 연락을 유지하는 데 실패하여 미국 해안경비대[17]수색에 박차를 가했다.이 배는 결국 출발 5일 만에 뉴욕에서 남쪽으로 64km 떨어진 [18]뉴저지샤크리버 항구 근처에 착륙했다.이 부부는 조타 장치와 방향타에서 문제가 발생했는데, 이로 인해 조타수가 계속 [19]유지되지 않으면 바다에서 조타할 수 없게 되었다.하프 세이프호가 뉴욕으로 돌아오면서 칼린 부부는 [20]7월 3일 두 번째 항해를 시작했지만 며칠 후 다시 해안으로 밀려나 이번에는 배관에 [2]이 가 질식할 뻔했다.

칼린 부부는 1948년 첫 세계 일주 시도 중 하나로 뉴욕항의 자유여신상을 지나쳐 항해했다.

세 번째 시도는 7월 말에 이루어졌지만, 칼린 부부가 [21][22]겪은 기계적인 문제와 심한 배멀미 때문에 다시 성공하지 못했다.칼린호는 8월 초 네 번째로 출발해 뉴욕에서 [23]200마일(320km) 떨어진 곳에서 미국 구축함에 의해 발사된 지 며칠 만에 목격됐다.하지만, 이 커플은 곧 무선 통신을 끊었고, 팬아메리칸 항공은 승무원들에게 그들의 [24]비행선을 찾도록 지시하였다.하프 세이프와 칼린 부부는 마침내 노바스코샤주 [25]핼리팩스로 향하던 유조선 뉴저지에 의해 뉴욕에서 약 430km 떨어진 곳에서 구조되었다.항해 시작 7일 만에 프로펠러 베어링이 윤활유 부족으로 빠르게 용접돼 배를 조종하거나 [11]항행할 수 없는 상태로 열흘 동안 목적 없이 표류했다.칼린이 유조선에서 뉴욕에 있는 친구들에게 무전으로 보낸 메시지에 따르면, 이 부부는 "낙하를 하고 낚시를 했다"며 "애틀랜틱 [26]시티보다 싼 행복한 삶"을 즐겼다.이 커플이 구조될 당시, 그는 모든 항해를 포기할 것을 고려했지만, 유조선의 노르웨이 선장은 칼린을 향해 "빌어먹을, 그 빌어먹을 지프를 그냥 내버려두지 않을 거야?!"라고 말하며 인사를 건넸다."[12]

대서양 횡단

두 달 동안 네 번째 실패한 칼린 부부는 더 많은 돈을 모으기 위해 일정 기간 프로젝트를 포기했다.구조된 지 2주 만에 뉴저지가 핼리팩스에 도착하자 칼린은 현지 해양구조회사에 자리를 잡았고 그의 아내는 보스턴에 있는 가족에게 돌아가 법률사무소에서 [27]일했다.마지막 시도는 1948년 11월에 고려되었지만 다가오는 겨울 날씨 때문에 연기되었고, 하프 세이프는 핼리팩스 [28]차고에 보관되었다.1949년 중반, 그 부부는 건널목에서 더 많은 시도를 하기 위해 하프 세이프를 준비하기 시작했다.8월 말 테스트 결과,[29] 고장난 클러치가 발견되었고, 칼린은 더 많은 양의 연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이러한 추가 용량을 얻기 위해, 두 개의 연료 탱크가 하프 세이프 에 묶여 있었고, 밝은 노란색으로 칠해져 공중에서 쉽게 볼 수 있었다.이 배의 상부 구조에도 추가적인 변경이 가해지고 추가적인 안정 방향타가 [27]추가되었다.Carlins는 1949년 9월 초에 다시 발사했다.선박이 해안에서 35마일(56km) 떨어진 곳에 있을 때 보조 연료 탱크가 모두 손실되어 핼리팩스로 돌아가야 [30]했다.칼린은 여행을 포기하고 하프 세이프를 청산하기로 거의 결정했지만,[12] 그의 아내로부터 계속하라고 설득당했다.

그들이 아조레스강과 마데이라강 사이에 허리케인을 일으켰을 때, 상부 구조물이 무너져 내리는 것처럼 보였을 때, 그는 엘리노어로 하여금 소란 속에서 대피 훈련을 큰 소리로 외치게 했다: "당신은 'OUT'을 외치고 나는 밖으로 나가 기다린다.따라가서 장비를 잡아잘 알겠습니다.연락을 계속하세요!"그들은 바다에서 뗏목을 부풀리거나 탈 수 없었고, 장비가 그들의 손아귀에서 비틀리지 않았다면, 구명조끼를 가지고 다니지 않았어도 그들은 살아갈 수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둘 다 수영을 잘했기 때문이다.그는 그녀에게 주의를 주었다. "얼굴을 아래로 하고 스프레이에서 떨어지세요. 아파요."

The Buckingham Post, 27 January 1956[31]

그 후 6개월 동안 칼린 부부는 다시 선박을 개조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선박 뒤에 견인될 목적으로 제작된 대형 탱크였다.이로 인해 하프 세이프의 총 연료 용량은 735갤런(3,337L)으로 증가했으며, 선박에는 물 30갤런(136L), 기름 8갤런(36L), 그리고 6주치의 [12]식량도 실렸다.부부는 1950년 7월 19일 핼리팩스를 떠나 32일간의 항해를 마치고 [11]아조레스 제도 최서단의 섬 플로레스에 도착했다.그들의 착륙은 호평을 받았고, LIFE는 그 해 말 여러 페이지에 걸친 기사에서 교차로를 다루었으며, 칼린 부부의 [32]사진도 다수 다루었습니다.그러나 항해 중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칼린은 밸브에서 탄소를 제거하고 헤드 개스킷을 교체하기 위해 실린더 헤드를 여러 번 분리해야 했고, 항해 도중 부부가 무선 통신을 끊어서 바다에서 잃어버린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들었다.플로레스에서 부부는 150마일(240km)[33] 떨어진 파이알섬호르타로 나아갔다.[34]후 그들은 여행 도중 지나가는 포르투갈 순양함에서 잉여 연료를 얻어 마데이라로 갔다.원래는 마데이라에서 [35]포르투갈 리스본으로 직접 향할 예정이었지만,[36] 부부는 카나리아 제도를 통해 모로코로 향하기로 선택했고 1951년 2월 23일 스페인령 리오오로의 캡 주비에 상륙했다.

주비 선장에서 칼린 가족은 모로코 해안 지역을 지나 유럽으로 차를 몰았다.보도에 따르면 차량 실내에서 170°F(77°C)에 이르는 고온의 낮 기온은 [8]야간에만 하프 세이프를 주행해야 했습니다.1951년 3월 16일 프랑스령 모로코 카사블랑카, 4월 중순 [37]영국령 지브롤터에 도착했다.거기서부터 칼린 부부는 관광에 종사하는 많은 유럽 국가들을 차로 통과해 마침내 영국 해협을 건너 1952년 [38]1월 1일 버밍엄에 도착한 여행의 첫 부분을 마쳤다.

유럽과 중동

칼린과 하프 세이프는 1951년 덴마크 코펜하겐에 도착하자마자 많은 군중의 환영을 받았다.

지치고, 지치고, 돈이 부족했던 칼린 부부는 휴식을 취하고 회복하기 위해 영국에 남기로 결심했다.노바스코샤에서 아조레스로 가는 여정 내내 칼린과 그의 아내는 모두 심한 환각으로 고통받았는데,[31] 그 중 한 번은 칼린이 60도 방향에서 벗어났다는 것을 알았다.영국에서의 또 다른 중요한 목표는 선박이 마카롱시아 섬 사이에 있는 동안 선박을 강타한 허리케인 찰리로 인해 건널목에서 많은 피해를 입은 하프 세이프를 수리하는 것이었다.이 선박의 수리는 인도에서 칼린과 함께 근무했던 말콤 번팅 RAF 그룹 선장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여행을 계속하기 위한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하프 세이프는 유럽 전역의 백화점에 전시되었다.이 기간 동안 칼린은 또한 32,000부가 팔리고 5개 [11]국어로 번역된 여행의 전반부를 기록한 책인 하프 세이프: 지프를 타고 대서양을 건너는 책을 완성했다. 책은 몬트리올 가제트에서 칼린을 "구식의 모험가 - 탐험가의 본능으로 가득 차 있고, 그의 이야기를 과장된 모험과 진정한 절제된 표현으로 이상하게 혼합한 무미건조한 위트"라고 묘사하면서,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39]

칼린 부부는 1955년 초에 다시 출발하여 1955년 [13]4월 22일 프랑스에 도착했다.이 차량은 스위스, 이탈리아 북부, 유고슬라비아거쳐 1955년 5월 [40]베오그라드를 통과하는 동안 하프 세이프 타이어가 처음으로 펑크 난 것으로 보고되었다.칼린 부부는 그리스와 터키를 거쳐 보스포루스 강을 건너 소아시아로 항해한 뒤 시리아, 요르단, 이라크, 이란, 파키스탄을 거쳐 인도 [12]캘커타로 나아갔다.칼린은 나중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노바스코샤에서 아조레스 강까지 대서양을 건너는 2,000마일은 페르시아의 살인적인 도로에서 벌어지는 비슷한 거리보다 많은 면에서 훨씬 덜 걱정스러웠다."[41]캘커타에서 칼린 부부는 하프세이프를 기선으로 호주수송하기로 결정했다.항해를 시작할 때 칼린은 호주나 뉴질랜드에는 [15]휘발유가 너무 비싸서 여행하지 않겠다고 말했다.하지만 자금 부족은 부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했다.그 여행으로 칼린은 퍼스에 살고 있는 가족과 만날 수 있었다.그의 형 톰 칼린은 호주 해군의 선장이 되었고 1952년 허리케인 [42]작전의 일환으로 몬테벨로 군도에서 핵무기 실험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극동 및 북미로의 귀환

하프 세이프의 호주 투어는 1955년 10월 말 칼린이 자란 퍼스에서 시작되었으며, 그의 옛 학교인 길드포드 그래머 투어를 포함했다.칼린 부부는 애들레이드로 갔고, 이어서 멜버른, 시드니,[41] 브리즈번으로 갔다.1956년 1월, 하프 세이프는 기선을 타고 캘커타로 돌아갔지만, 칼린의 아내 엘리노어는 긴 여행과 [12]끊임없는 배멀미에 지쳐 호주로 여행을 떠났다.칼린은 혼자 여행을 계속했고, 첫 번째 다리는 캘커타에서 벵골만을 가로질러 버마악야브까지 항해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악야브에서 그는 또 다른 호주인 베리 헨리와 함께 했다.두 사람은 1956년 2월 하순 버마 해안에서 만나 아라칸 요마 산맥을 넘어 이라와디 강까지 갔고 그곳에서 이틀간 차량이 진흙탕에 빠졌다.수렁에서 하프 세이프를 구출한 후, 두 사람은 3월 [43]11일에 랑군으로 이동했다.버마에서, 하프 세이프는 육로로 태국방콕으로, 그리고 그곳에서 [44]인도차이나 해안의 사이공으로 운전되었다.그곳에서 칼린과 헨리는 인도차이나에서 남중국해의 여러 항구와 섬을 지나 일본으로 항해하기 시작했다.1956년 5월 초 홍콩에 도착한 칼린은 엔진 고장과 남중국해 [45]역풍으로 항해가 지연되면서 "사인 받으려는 소녀들에 의해 이동"되었다.그는 6월 초 대만 가오슝에 도착해 그곳에서 대만 북단의 기룽과 미국령 류큐 [46]제도오키나와를 여행했다.칼린과 헨리는 1956년 7월 일본 남단의 가고시마현 해안에서 육로로 [47]도쿄까지 운전했다.이 단계에서 헨리는 호주로 돌아왔고 칼린은 일본에서 휴식을 취하며 다시 한번 절실한 수리를 했다.Japan Times의 미국인 기자 Boyé Lafayette de Mente(원래 애리조나주 피닉스)는 1957년 초 도쿄에서 홋카이도 왓카나이까지의 첫 번째 여행을 위해 일본에서 알래스카까지 칼린을 동행시키겠다고 제안했다.1957년 5월 1일 마이니치요미우리 신문사 건물에서 환호성을 지르며 도쿄를 떠났다.이 선박은 혼슈 남쪽 섬과 홋카이도를 분리한 쓰가루 해협을 건너던 중 물이 새어 나와 [48]무로란항 부근에서 물에 잠긴 바위와 충돌했다.드 멘트가 나중에 [49]칼린의 공격성과 여행 중 "분노하기 쉬운 성격"이라고 표현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마침내 1957년 6월 12일 왓카나이에 도착했다.

칼랭과 그의 새로운 여행 파트너인 보예 드 멘트는 1957년 5월 일본 도쿄에서 출발했다.

칼린의 목표는 왓카나이에서 알래스카 본토의 남서쪽을 가로지르는 알류샨 열도의 일부인 세미치 열도의 근섬 그룹에 있는 작은 섬인 셰미아 섬까지 직접 여행하는 것이었다.이 선박은 약 21일 동안 연료를 충분히 싣고 있었으나 이 시간 내에 연락이 닿지 않아 미 해안경비대 수색구조대[50]통보됐다.하프 세이프는 마침내 7월 8일 셰미아에 착륙했고, 두 사람은 러시아 [51]SFSR의 일부였던 캄차카 반도의 페트로파블롭스크 마을을 방문하기 위해 예상치 못한 우회로를 택했다.칼린과 데 멘트는 셰미아에서 아닥섬으로 항해했고, 콜드베이까지 350마일(560km) 떨어진 후 콜드베이까지 580마일(930km) 떨어진 뒤 알류샨 섬 체인을 따라 호머 본토의 마을로 [52][53]8월 말에 도착했다.칼린과 드 멘트는 하프 세이프를 육로로 몰고 앵커리지로 갔고, 드 멘트는 그곳에서 피닉스로 날아갔다.그는 100권이 넘는 [49]책을 출판하며 칼린과 동아시아관한 주제에 관한 다작가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칼린과 하프 세이프와의 경험을 상세히 기술한 "Once a Fool: From Tokyo to Alaska by America"를 썼다.칼린은 1957년 [54]11월 초에 워싱턴주 시애틀로 단독 운전을 했다.브리티시컬럼비아의 알래스카 고속도로를 여행하던 중, 그는 무너진 피스 리버 현수교를 마주쳤다.다른 운전자들이 근처 페리를 타기 위해 줄을 서 있는 동안 칼린은 하프 세이프를 몰고 강으로 들어가 [55]반대편으로 갔다.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가서 2년 만에 아내를 만난 칼린은 미국을 거쳐 캐나다로 향했다.그는 [56]1958년 5월 10일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도착했고, 3일 후 몬트리올에 도착하여 마침내 10년간의 [57]여정을 마쳤다.와 Half-Safe는 10년 동안 해상으로 17,780 킬로미터, 육로로 62,744 킬로미터(38,987 마일)를 여행했고, 38개국과 2개 대양을 통과했으며, 전체 여행 비용은 약 [3][58]35,000 달러였다.

후생과 유산

2020년 8월 길퍼드 그래머 스쿨에 전시된 하프 세이프.

여행이 끝난 후, 하프 세이프는 미국에 남았고, 칼린의 친구 조지 캘리머가 그 차를 공동 소유했다.칼린은 잠시 시골에 머물며 강연회에 출연했다가 퍼스로 돌아와 코틀로에 거주했다.1955년 12월까지 두 번째 아내 엘리노어와 이혼한 칼린은 1963년 6월 1일 미국에서 세 번째 결혼하여 신시아 헨더슨과 결혼했다.비록 부부의 결혼 생활은 짧았지만, 이 부부는 1964년 [1]3월에 태어난 딸 데어드레 스콧 칼린을 낳았다.칼린은 1981년 3월 퍼스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으며 카라카타 [1]묘지에서 화장됐다.그와 함께 여행의 전반을 마친 그의 두 번째 아내 엘리노어는 1996년 [8]뉴욕에서 사망했다.Carlin은 Half-Safe의 지분을 그의 옛 학교인 Gildford Grammar에 남겼을 뿐만 아니라 장학금 지원을 위한 상당한 기부금을 남겼다.그는 이전에 이 배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해양 박물관에 제공했지만 [59]전시 공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제안을 거절했다.이후 Gildford Grammar School Foundation은 차량의 다른 지분을 구입하여 호주 서부 길드포드에 있는 학교 캠퍼스로 이관했습니다.이 학교는 또한 칼린의 [60]여정 중 두 번째 부분을 상세히 기록한 "The Other Half-Safe"를 사후에 출판했다.1999년, 이 배는 트럭으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코로와로 운송되었고, 그곳에서 머레이 에서 열리는 연례 기념행사에 2차 세계대전의 [8]다른 16대의 수륙양용 차량과 함께 모습을 드러냈다.Half-Safe는 현재 길퍼드 그래머의 메인 캠퍼스에 [13]있는 특수 제작된 유리 인클로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칼린의 재산에서 나온 돈은 샬롯 칼린 장학금(어머니의 이름을 딴 것)을 설립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상투적인 표현을 피하고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다"[60]는 이유로 수여되었다.기네스북은 칼린이 "수륙양용차에 의한 최초이자 유일한 세계 일주 항해"[61]를 완료한 것으로 인정했습니다.

레퍼런스

  1. ^ a b c d 아카이브에서 : Ben Carlin – Gildford Grammar School Weekly Bulletin, 2011년 Term 3의 첫 번째 주.2011년 7월 27일 발행.2012년 10월 1일 취득.
  2. ^ a b c "NEWSREEL 퍼스낼리티 지프에서의 허니문"– Western Mail.1948년 8월 19일 발행.
  3. ^ a b 역사: 칼린과 하프 세이프 스토리 2012년 12월 13일 Wayback Machine – Gildford Grammar에서 아카이브.2012년 10월 1일 취득.
  4. ^ a b "Jeep Tourciter Has The World" – 옹호자1948년 1월 15일 발행.
  5. ^ "패밀리 알림: 결혼"– Western Mail.1940년 6월 20일 발행.
  6. ^ "No. 35256". The London Gazette. 22 August 1941. pp. 4883–4884.
  7. ^ "지프차를 타고 세계일주"– 옹호자1948년 1월 12일 발행.2012년 10월 2일 취득.
  8. ^ a b c d e 스탠튼, 케리(1999년).은 안전,은 보트, 반은 자동차, 반은 센츄리 – Collector C@fe.원래 Army Motors 매거진 89호에 게재되었습니다.2012년 10월 2일 취득.
  9. ^ 수륙양용 지프– 4wdonline.2012년 10월 2일 취득.
  10. ^ ""Half-Safe"는 반쪽의 "Round World""– Sarasota Journal.2012년 8월 23일 발행.
  11. ^ a b c d e f g Strohl, Daniel(2011).야심찬 수륙양용: 벤 칼린의 포드 GPA 세계일주 여행 - Hemmings Daily.2011년 3월 2일 발행.2012년 10월 2일 취득.
  12. ^ a b c d e f g Half Safe(1947 1958년) 2016년 5월 16일 웨이백 기계 - 수륙양용 차량 보관.2012년 10월 2일 취득.
  13. ^ a b c 2012년 7월 23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수륙양용 지프 '하프 세이프'4wdonline.2012년 10월 2일 취득.
  14. ^ 수영선수: 오리, 종달새기타 "새" – Digger History.호주 국립도서관이 보관하고 있습니다.2012년 10월 2일 취득.
  15. ^ a b "수륙양용기로 세계일주를 할 수륙양용기로IUS JIP"– Canberra Times.1948년 1월 23일 발행.
  16. ^ "허니문 인 지프: 독특한 기업시작됩니다 – 서호주.1948년 6월 18일 발행.
  17. ^ "바다에서 지프보다 경보" – 모닝 게시판.1948년 6월 21일 발행.
  18. ^ 'WA맨의 여정'– 선데이 타임즈1948년 7월 4일 발행.
  19. ^ 'DUCK'세계일주 - 모닝보1948년 7월 6일 발행.
  20. ^ 지프 여행자들이 또 잃었습니다데일리 뉴스.1948년 7월 9일 발행.
  21. ^ "Jeep Pair Are Safe" – 데일리 뉴스1948년 7월 29일 발행.
  22. ^ "대서양 벤처: 지프를 탄 호주인 – 세 번째 시도 실패" – 제럴튼 가디언.1948년 8월 5일 발행.
  23. ^ "JEEP" 어드벤처어들의 도움을 거절합니다." – The Argus.1948년 8월 13일 발행.
  24. ^ "Carlins의 비행기의 비상사태"– 데일리 뉴스1948년 8월 25일 발행.
  25. ^ "칼린 세이프 어게인"– 데일리 뉴스1948년 8월 26일 발행.
  26. ^ "To START AGAIN: Carlins's Atlantic Experience" – 서호주.1948년 8월 28일 발행.
  27. ^ a b "수륙양용 지프를 타고 위험한 대서양 여행시작하세요 – 오타와 시티즌.1949년 9월 1일 발행.
  28. ^ 칼린스, 6번째 시도 연기데일리 뉴스1948년 11월 19일 발행.
  29. ^ 지프의 대서양 입찰 연기 – 아거스.1949년 8월 30일 발행.
  30. ^ "Misadventure, 부부의 Sea-Going Jeep" – Edmonton Journal.1949년 9월 2일 발행.
  31. ^ a b "지프를 타고 대서양을 횡단했다" – 버킹엄 포스트.1956년 1월 27일 발행.
  32. ^ Time Inc (20 November 1950). LIFE. Time Inc. p. 149.
  33. ^ "떠다니는 지프" "잃어버린 지프, 아조레스 도착" – 시드니 모닝 헤럴드.1950년 8월 20일 발행.
  34. ^ "SEA-GOING JIP SAFE" – Cairns Post.1950년 12월 15일 발행.
  35. ^ "칼린스 호타 리스본 랩을 위한 지프 준비 중" – 몬트리올 가제트.1950년 8월 26일 발행.
  36. ^ 지프의 대서양 횡단머큐리.1951년 3월 16일 발행.
  37. ^ 지브롤터에 모습을 드러낸 바다행 지프시드니 모닝 헤럴드.1951년 4월 23일 발행.
  38. ^ 절반 안전 – goodsdirect.net2012년 10월 2일 취득.
  39. ^ Timmins, Terry(1955)수륙양용재운트"– 몬트리올 가제트.1955년 11월 10일 발행.
  40. ^ 최초의 펑크 타이어를 장착한 Round World 지프 – 보스턴 글로브.1955년 5월 7일 발행.
  41. ^ a b "떠다니는 지프를 타고 세계 일주" – 시대.1955년 11월 2일 발행.
  42. ^ "R.A.N. Sips For Atomic Tests Call at Onslow" – 서호주.1952년 4월 28일 발행.
  43. ^ 모험적인 여행 후 랑군에서의 "하프 세이프"The Age.1956년 3월 12일 발행.
  44. ^ "세계 자운트의 하프 마크에서 무서운 지프" – 밀워키 저널.1956년 6월 8일 발행.
  45. ^ "칼린, 지프 홍콩 도착" – Saskatoon Star-Phoenix.1956년 5월 7일 발행.
  46. ^ "하프 세이프" 지프, 대만에 도착한 온월드 자운트" – 캘거리 헤럴드1956년 6월 8일 발행.
  47. ^ 화이트, 시드(1956)호주 여행자가 도쿄에서 휴식을 취하다 - 디세레트 뉴스1956년 10월 10일 발행.
  48. ^ 수륙양용 지프 "Half-Safe" 공동 모험업체는 4WDOnline.com – 4wdonline과 연결됩니다.2012년 10월 3일 취득.
  49. ^ a b "Pair Try to Drive Pacific" – 선데이 선데이 선데이1957년 6월 11일 발행.
  50. ^ "일본의 두 남자와 접촉할 수 없다"– 엘렌스버그 데일리 레코드.1957년 7월 4일 발행.
  51. ^ "Pair Cross Rough Sea In 수륙양용 지프" – 스포케인 데일리 크로니클.1957년 7월 8일 발행.
  52. ^ "계속되는 수륙양용 지프 여행" – Tri-City Herald.1957년 7월 17일 발행.
  53. ^ "Pheenix Man, Australian Head for Homer, 알래스카" – Prescott Evening Courier.1957년 8월 19일 발행.
  54. ^ "Short Takes In The News" – 스포케인 데일리 크로니클1957년 11월 8일 발행.
  55. ^ "Jeep Used In World Circling Trip" – 캘거리 헤럴드.1957년 12월 26일 발행.
  56. ^ "암페어리스 지프, 10년 투어 오브 글로브" – 캘거리 헤럴드1958년 5월 10일 발행.
  57. ^ "10년고향으로 돌아온 앰피비아 여행자" – 몬트리올 가제트.1958년 5월 13일 발행.
  58. ^ "여정의 거의 끝" – 캘거리 헤럴드.1958년 5월 14일 발행.
  59. ^ de Mente 2005, 페이지 17
  60. ^ a b 헌트, 브루스 (2011).수륙양용 지프는 내비게이션의 인 ' 커뮤니티'입니다.2011년 6월 23일 발행.2012년 10월 21일 취득.
  61. ^ 2013년 6월 14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수륙양용차에 의한 첫 번째 세계 일주 – 기네스 세계 기록.2013년 2월 28일 취득.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