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통증

Breast pain
가슴통증
기타 이름마스토디니아, 유방염, 가슴의 부드러움
전문산부인과
종류들순환, 비순환[1]
원인들생리주기 관련, 피임약, 호르몬 치료, 정신과 약물, 유방암[1]
진단법검사, 의료 영상[1] 촬영
차등진단담석, 흉부 배출구 증후군, 코스트오콘드염[2]
치료암, 의약품[2][1] 제외 후 안심
약물파라세타몰, NSAIDs[1]
예후>75% 치료[1] 없이 해결
빈도여성의[2] 70%

가슴통증유방이 불편한 증상이다.[2]두 젖가슴이 모두 관여하고 월경 기간 전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통증은 일반적으로 심각하지 않다.[1][3]가슴의 한 부분만을 수반하는 통증은 더 걱정스럽다.[1]특히 단단한 질량이나 젖꼭지 방전도 존재하는지에 관한 것이다.[3]

원인은 생리 주기, 피임약, 호르몬 치료 또는 정신의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유방이 큰 사람들, 폐경 기간, 임신 초기에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1][3]유방통증의 약 2%는 유방암과 관련이 있다.[4]진단은 유방 특정 부위만 아플 경우 의료 영상과 함께 검사를 포함한다.[1]

75% 이상의 사람들에서는 특별한 치료 없이 통증이 해소된다.[1]그렇지 않으면 파라세타몰이나 NSAIDs를 치료할 수 있다.[1] 잘 맞는 브래지어도 도움이 될 수 있다.[3]통증이 심한 사람들은 타목시펜이나 다나졸을 사용할 수 있다.[1]여성의 약 70%가 어느 시점에 가슴 통증을 느낀다.[2]가슴 통증은 유방 종괴, 유두 배출과 함께 가장 흔한 유방 증상 중 하나이다.[1]

원인들

순환유방통증은 종종 섬유낭성 유방 변화나 덕트 엑타시아와 연관되며, 트리로트로핀에 대한 프로락틴 반응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5][6]어느 정도의 주기적인 유방 연기는 생리 주기에 정상이며, 대개 월경증후군(PMS)과 관련이 있다.[7]

비사이클로적인 유방통증은 다양한 원인이 있어 진단이 어렵고 근본 원인이 유방 밖에 있는 경우가 많다.사춘기(소녀와 소년 둘 다), 폐경기임신 중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어느 정도 비사이클로 유방 연성이 나타날 수 있다.[7]임신 후에는 모유 수유로 인해 유방의 통증이 생길 수 있다.[7]비사이클로성 유방통증의 다른 원인으로는 간손상을 동반한 알코올 중독(비정상적인 스테로이드 대사), 마스트염디지탈리스, 메틸도파(항고혈압), 스피로놀락톤, 특정 이뇨제, 옥시메톨론(아나볼릭 스테로이드), 클로로프로마진(일반적인 항정신병) 등이 있다.[7]또한 대상포진은 유방의 피부에 고통스러운 물집 발진을 일으킬 수 있다.[7]

유방암

한쪽이나 양쪽 젖가슴에 통증이 있는 여성도 유방암을 두려워할 수 있다.그러나 유방통증은 암의 흔한 증상이 아니다.유방암 환자의 대다수는 나이든 여성들의 유방 통증이 암과 연관될 가능성이 더 높지만 고통의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다.[2][8][7]

진단

진단은 유방 검사를 포함하며, 유방 특정 부위만 아플 경우 의료 영상을 촬영한다.[1]초음파에 의한 의료 영상은 모든 연령대에 권장되며, 30세 이상에서는 유방조영술과 함께 권장된다.[1]

통증의 다른 가능한 원인을 배제하는 것도 통증의 근원을 구별하는 한 방법이다.가슴 통증은 다음과 같은 원인일 수 있다.

약물은 가슴 통증과 관련될 수 있으며 다음을 포함한다.

진단 테스트는 유용할 수 있다.대표적인 검사로는 유방조영술, 고형덩어리에 대한 절개 조직검사, 미세 니들 흡인 및 조직검사, 임신검사, 초음파검사, 자기공명영상(MRI) 등이 있다.[8]

치료

75% 이상의 사람들에서는 특별한 치료 없이 통증이 해소된다.[1]그렇지 않으면 파라세타몰이나 NSAIDs를 치료할 수 있다.[1] 잘 맞는 브래지어도 도움이 될 수 있다.[3]통증이 심한 사람들은 타목시펜이나 다나졸을 사용할 수 있다.[1]

브로모크립틴도 사용할 수 있다.[14]

스피로놀락톤, 저용량 경구 피임약, 저용량 에스트로겐이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국소적인 항염증 치료제는 국소적인 통증에 사용될 수 있다.비타민 E는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지 않으며 저녁 프라임로즈 오일도 효과적이지 않다.비타민 B6 비타민 A가 지속적으로 이로운 것으로 밝혀진 것은 아니다.아마씨드는 순환성 유방염 치료에서 어느 정도 활동성을 보였다.[8]

통증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사용 또는 보다 심한 국소적 통증의 경우 국소마취를 통해 완화될 수 있다.[2][7]고통은 심각한 근본적인 문제를 신호하지 않는다는 확신에 의해 완화될 수 있고, 적극적인 생활 방식 또한 개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2]

어떻게 통증이 진짜인지는 몰라도 반드시 질병에 의한 것은 아닌지에 대한 정보는 그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상담은 또한 월간 주기 동안 변화하는 변화를 설명하는 것이 될 수 있다.호르몬 대체요법을 받고 있는 여성들은 복용량 조절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통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또 다른 비약물학적 조치는 좋은 브래지어 지지대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청소년기와 폐경기에 젖가슴이 변하고 다시 붙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열이나 얼음을 바르면 안도감을 줄 수 있다.식습관의 변화도 고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메틸산틴은 감도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식단에서 제거할 수 있다.일부 임상의는 이러한 관행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없지만 소금 감소를 권고한다.[8]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Salzman, B; Fleegle, S; Tully, AS (15 August 2012). "Common breast problems". American Family Physician. 86 (4): 343–9. PMID 22963023.
  2. ^ a b c d e f g h Iddon, J; Dixon, JM (13 December 2013). "Mastalgia". BMJ (Clinical Research Ed.). 347: f3288. doi:10.1136/bmj.f3288. PMID 24336097. S2CID 220173019.
  3. ^ a b c d e "Breast pain". NHS. 2017-10-17. Retrieved 30 October 2018.
  4. ^ Mazza, Danielle (2011). Women's Health in General Practice. Elsevier Health Sciences. p. 189. ISBN 978-0729578714.
  5. ^ Dogliotti, L; Faggiuolo, R; Ferusso, A; Orlandi, F; Sandrucci, S; Tibo, A; Angeli, A (1985). "Prolactin and thyrotropin response to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in premenopausal women with fibrocystic disease of the breast". Hormone Research. 21 (3): 137–44. doi:10.1159/000180038. PMID 3922866.
  6. ^ Dogliotti, L; Orlandi, F; Angeli, A (1989). "The endocrine basis of benign breast disorders". World Journal of Surgery. 13 (6): 674–9. doi:10.1007/BF01658413. PMID 2696218. S2CID 7420761.
  7.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Breast pain: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medlineplus.gov. Retrieved 14 August 2017.Public Domain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8. ^ a b c d e f Cash, Jill (2014). Family practice guideline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ISBN 9780826197825., [전자책] 제1장 지침서, 제13장:산부인과 지침-가슴 통증
  9. ^ a b c d e f g Brown, Ken. "Breast Pain Causes and Diagnosis: Johns Hopkins Breast Center". Retrieved 14 August 2017.
  10. ^ "Thrush in newborns: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medlineplus.gov. Retrieved 3 August 2017.Public Domain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11. ^ Walker, Marsha (2011). Breastfeeding management for the clinician : using the evidence. Sudbury, Mass: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p. 533. ISBN 9780763766511.
  12. ^ Santos, Kamila Juliana da Silva; Santana, Géssica Silva; Vieira, Tatiana de Oliveira; Santos, Carlos Antônio de Souza Teles; Giugliani, Elsa Regina Justo; Vieira, Graciete Oliveira (2016).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cracked nipples in the first month postpartum".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16 (1): 209. doi:10.1186/s12884-016-0999-4. ISSN 1471-2393. PMC 4975913. PMID 27496088.
  13. ^ "Sore or cracked nipples when breastfeeding, Pregnancy and baby guide". www.nhs.uk. National Health Services (UK). Retrieved 4 August 2017.
  14. ^ Kerri Durnell Schuiling; Frances E. Likis (2011). Women's Gynecologic Health. Jones & Bartlett Publishers. pp. 381–. ISBN 978-0-7637-5637-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