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벼랑 끝
Brink of Life생명의 끝(미국), 그렇게 생명과 가까운(영국) | |
---|---|
![]() 스웨덴 포스터 | |
연출자 | 잉그마르 베르그만 |
작성자 | 울라 이삭손 |
주연 | 에바 달벡 잉그리드 툴린 비비 앤더슨 바르브로 히오르트 아프 오르네스 |
출시일자 |
|
러닝타임 | 84분 |
나라 | 스웨덴 |
언어 | 스웨덴의 |
인생의 벼랑 끝, (스웨디쉬: 네라 라이브트, 영국에서는 So Close to Life)[1]는 잉그마르 베르그만이 감독한 1958년 스웨덴의 드라마 영화다.베르그만은 감독상을, 안데르손, 달벡, 오르네스와 툴린은 1958년 칸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2]
플롯
세실리아 엘리우스는 임신 3개월 동안 심한 출혈을 시작한 후 병원에 입원한다.그녀는 남편 안데르스를 동반하고 있다.치료를 받기 전에, 세실리아는 안데르스에게 그가 진정으로 아이를 원하는지 물어본다; 안데르스는 토론을 하기에는 너무 늦었다고 대답한다.세실리아는 치료를 받는다. 깨어나면 자신이 유산을 했다는 것을 깨닫는다.그녀는 눈물을 글썽이며 병원 직원에게 아이를 갖고 싶었지만 앤더스는 원하지 않았고, 그 아이가 오직 한 명의 사랑하는 부모만을 가지고 태어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말한다.안데르스는 병원으로 돌아왔고, 세실리아는 안데르스가 병원에 도착했을 때 안데르스가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하며 결별을 선언했다.
또 다른 환자인 Hjördis는 임신 중 출혈을 시작한 후 입원했다.그녀는 결혼도 하지 않았고 약혼도 하지 않았고, 아이를 갖기를 원하지도 않았고, 엄마에게도 그 사실을 말하지도 않았다.병원 직원들은 스웨덴의 미혼모들이 더 이상 그들이 한때 했던 사회적 오명에 직면하지 않고 있으며, Hjördis는 집과 탁아소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호헤르디스의 아들은 건강하게 태어났다.그녀는 집에 오라고 하는 어머니에게 전화를 한다.
세 번째 환자인 스티나 안데르손은 임신 기한이 지났고 아이를 갖게 되어 매우 흥분하고 있다.그녀는 아들을 낳게 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그녀를 방문하는 그녀의 사랑하는 남편 해리의 이름을 따서 그에게 이름을 지어주려고 한다.그녀는 배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캐스터 오일과 맥주 한 잔을 받는다.노동 중 그녀의 수축은 점점 더 격렬해지고 고통스러워진다.그녀는 진정제를 맞고 사산했다.노르드랜더 박사는 그녀와 태아가 건강했다고 말하지만 그럴 의도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캐스트
리셉션
인생의 벼랑 끝은 대체로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3]
검열
1960년 이탈리아에서 생명의 벼랑끝이 처음 공개되었을 때 이탈리아 문화유산부 연극심사위원회는 이를 16세 미만 아동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VM16으로 평가했다.이 영화가 공개 상영될 수 있도록 위원회는 스티나가 노동으로 고통 받고 있는 장면의 철거를 부과했다.공문서에 인용된 장면의 연령 제한과 철거 이유는 이 영화가 이탈리아 사회의 미성년자의 성도덕에 맞지 않아 그 장면이 충격적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4]공식 문서번호는 : 31260으로 1960년 4월 20일 도메니코 마그루 장관이 서명한 것이다.[5]
참조
- ^ "10 great films set in one location". BFI. Retrieved 18 September 2019.
- ^ "Festival de Cannes: Brink of Life". festival-cannes.com. Retrieved 13 February 2009.
- ^ "'Brink of Life' (1958) on RT". Rotten Tomatoes.
- ^ 이태리 타글리아 데이터베이스는 1944년부터 2000년까지 이탈리아 문화유산부 연극심사위원회가 제작한 문서다.
- ^ 이태리 타글리아 데이터베이스는 1944년부터 2000년까지 이탈리아 문화유산부 연극심사위원회가 제작한 문서다.
외부 링크
- IMDB에서 생명의 벼랑 끝(미국), So Close to Life(영국)
- 스웨덴 영화 연구소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삶의 벼랑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