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페르소나(1966년 영화)

Persona (1966 film)
페르소나
Film poster, with the lead characters on a strip of film
극장 포스터
연출자잉그마르 베르그만
작성자잉그마르 베르그만
생산자잉그마르 베르그만
주연비비 앤더슨
리브 울만
시네마토그래피스벤 나이키스트
편집자울라 리게
음악 기준라르스 요한 베르
생산
동행이
배포자AB 스벤스크 필모인더스트리
출시일자
  • 1966년 8월 31일 ([1]1966-08-31)
러닝타임
84분[2]
나라스웨덴
언어스웨덴의
박스오피스25만 달러(미국)[3]

페르소나잉그마르 베르그만이 쓰고 연출한 1966년 스웨덴의 심리극 영화로 비비 안데르손리브 울만이 주연을 맡았다.[n 1]이야기는 알마(안데르손)라는 젊은 간호사와 그녀의 환자로 잘 알려진 무대 여배우 엘리사벳 보글러(울만)가 갑자기 말을 끊는 이야기를 다룬다.그들은 알마가 엘리사벳을 돌보고, 그녀에게 비밀을 털어놓으며, 자신의 환자와 자신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시작하는 시골집으로 이사한다.

심리적 공포의 요소로 특징지어지는 페르소나는 많은 비판적 분석, 해석,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이 영화의 이중성, 정신이상, 개인적 정체성을 탐구한 것은 영화제작, 흡혈귀, 동성애, 모성애, 낙태 등 주제와 관련된 이슈를 다루면서 정계페르소나 이론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됐다.프롤로그와 스토리텔링의 실험적 스타일도 주목받았다.수수께끼 같은 이 영화는 영화적 분석의 에베레스트 산이라고 불려왔다; 영화사학자 피터 코비에에 따르면, "페르소나에 대해 말하는 모든 것은 모순될 수 있다; 그 반대도 사실일 것이다."[n 2]

버그먼은 주인공과 그들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아이디어를 위해 울만과 안데르손과 함께 페르소나를 썼고, 1965년 스톡홀름피뢰에서 이 영화를 촬영했다.제작에서는 연기와 거울을 이용해 한 장면을 액자에 넣고, 제작 후 주인공들의 얼굴을 결합해 한 장면을 촬영하는 등 효과 실험을 했다.안데르손은 각본에서 성적으로 노골적인 독백을 옹호하고 그 일부를 다시 썼다.

처음 개봉되었을 때, 페르소나는 논란이 많은 주제 때문에 편집되었다.스웨덴 언론들이 Person(a)kult라는 단어를 열성적인 팬을 묘사하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제4회 걸드바게 시상식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으며, 스웨덴이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후보에 오른 작품이었다.검열된 내용은 2001년에 영어 복원법으로 복권되었다.많은 비평가들이 페르소나역대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꼽고 있으며, 1972년 《시선과 소리의 여론 조사에서 5위, 2012년 17위에 올랐다.그것은 또한 로버트 알트먼데이비드 린치를 포함한 많은 후기 감독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플롯

영사기가 십자가와 거미, 양 떼죽음 등 일련의 영상을 상영하기 시작하고, 한 소년이 병원이나 영안실에서 일어난다.그는 두 여자의 흐릿한 이미지를 가진 큰 화면을 본다.여성 중 한 명은 엘리사벳 보글러를 돌보기 위해 의사가 배정하는 젊은 간호사 알마일 수도 있다.엘리사벳은 갑자기 과 동작을 멈춘 무대 여배우로, 의사들은 신체나 정신 질환보다는 의지력의 결과라고 판단했다.병원에서 엘리사벳은 베트남전 당시 한 남자의 자기희생적인 모습을 텔레비전 영상으로 담아 괴로워하고 있다.알마는 엘리사벳의 남편이 보낸 아들의 사진이 담긴 편지를 그녀에게 읽어주고, 그 여배우는 그 사진을 눈물을 글썽인다.의사는 엘리사벳이 바닷가에 있는 오두막집에서 더 잘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그녀를 알마와 함께 그곳으로 보낸다.

오두막집에서 알마는 엘리사벳에게 전에는 아무도 그녀의 말을 들어 본 적이 없다고 말한다.그녀는 약혼녀인 칼 헨릭과 그녀의 첫 번째 불륜에 대해 이야기한다.알마는 칼-헨리크와 이미 관계를 맺고 있는 사이, 얼마 전에 만난 여자 카타리나와의 누드 차림으로 일광욕을 한 이야기를 들려준다.두 명의 어린 소년이 나타났고, 카타리나는 흥분하기 시작했다.알마는 임신하고 낙태를 했고 죄책감을 계속 느끼고 있다.

Iconic photograph of Jewish women and children being herded out of a building
바르샤바 게토 봉기 후 포착된 폴란드 유대인들의 스트룹 보고서 사진

알마는 그들의 편지를 부치기 위해 마을로 차를 몰고 가고, 엘리사벳의 편지는 봉인되지 않았음을 알려준다.그녀가 그것을 읽는다.편지에는 엘리사벳이 알마를 '공부'하고 있으며 간호사의 흥분과 낙태를 언급하고 있다.화가 난 알마는 엘리사벳이 자신을 어떤 목적으로 이용했다고 비난한다.결과적인 싸움에서 그녀는 끓는 물로 엘리사벳을 갉아먹겠다고 위협하고 엘리사벳이 그러지 말라고 애원하면 그만둔다.알마가 반신불수일 때 엘리사벳이 자신에게 속삭였다고 생각했지만, 알마가 만난 이후 이 여배우가 말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알마는 엘리사벳이 끔찍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한다. 엘리사벳이 도망갈 때 알마는 그녀를 쫓아다니며 용서를 구한다.이후 엘리사벳은 스트롭 리포트에서 바르샤바 게토에서 체포된 유대인들의 유명한 사진을 본다.

어느 날 밤, 알마는 밖에서 엘리사벳을 부르는 한 남자를 듣는다. 그는 엘리사벳의 남편이다.그는 알마를 "엘리자벳"이라고 부르고 간호사가 그에게 잘못 알고 있다고 말하지만 그들은 섹스를 한다.알마는 엘리사벳과 만나 엘리사벳이 아들의 사진을 왜 찢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알마는 엘리사벳의 이야기를 많이 들려준다. 그녀가 갖지 못한 유일한 것을 원했고, 모성애를 했고, 임신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엘리사벳은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며 실패한 자가 낙태를 시도했고 자신이 경멸하는 남자아이를 낳았지만 아들은 그녀의 사랑을 갈망한다.알마는 자신의 정체성을 주장하고 자신이 엘리사벳임을 부인하며 곤혹스럽게 이야기를 끝맺는다.그녀는 나중에 엘리사벳을 구슬려 "아무것도"라고 말하게 하고, 승무원이 그녀를 촬영하면서 오두막을 떠난다.

생산

개발

Old photograph of a hallway with people sitting
페르소나는 소피아칭 병원에서 쓰여졌다.

버그먼에 따르면, 이 이야기는 스톡홀름 거리에서 과거 협력자 비비 앤더슨[n 3] 우연히 마주친 것에 뿌리를 두고 있다.리브 울만과 함께 있던 안데르손은 울만을 그에게 소개했다.[20]울만은 1964년에 회의를 개최했고, 버그만이 그녀를 알아보고 그 자리에서 그녀와 함께 일하고 싶은지 물어봤다고 말했다.[21]그는 두 여성의 이미지가 그의 마음속에서 형성되었다고 말했다; 병원에서 그는 그들이 일광욕을 하는 사진에서 여배우들 사이에 "어처구니없는 유사점"을 발견했다고 말했다.이것은 그의 이야기의 시작에 영감을 주었는데, 두 여자가 "큰 모자를 쓰고 손을 나란히 놓고" 있는 비전이었습니다.[22]안데르손은 "리브와 나는 전에 함께 일했던 적이 있었고 우리는 매우 친했다"고 말했다.버그먼은 안데르손과 로맨틱한 관계를 맺어왔고 페르소나의 구상 중 울만에게 끌렸다. 안데르손은 "그는 우리의 우정을 보았고, 그는...내면의관여했다."[19]

반면 pneumonia,[23]에서 그의 일이 어느 정도 Sophiahemmet 병원에서 이루어졌다 회복하고 베리만 9주에 페르소나를 썼다.[24]이 계획으로 그는 생산을 돌아보았고 대본을 개발할 수 있는 사진술과 포괄적인 완성 영화 각본을 그의 작문 연습을 포기했다.[25]는 영화에서 이 이야기는 의사와 그 Elisabet 말하면, 그녀의 가족과 다시 만나고 연기 재개했다 재개됐다고 발표하면서 끝나게 된다.알맜으며 섬까지 그녀와 그녀의 계획을 포기한다면 유대인 대학살'이 사진을 발견 Elisabet 편지를 쓸 계획이다 남아 있다.[n4]나중에 생산에 이것이blood-drinking 장면으로 대체되었다. Elisabet"아무것도"과 알마는 섬을 홀로 남겨두고 그 말을 할 있다[26]

베리만 filmmaker Kenne Fant,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을 호소했다.치유 환경, Fant 이 영화의 개념에 대해와 베리만 여성들 손을 비교하는 그의 비전을 공유했다 물었다.Fant은 이 영화 비용이 적게 왔지만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추측했다.[28]그의 책 이미지에서, 베리만을 썼다"오늘 나는 Persona—and에 나중에 Cries과 Whispers—I에 내가 갈 수 있다면 간 것 같습니다.그리고 그것은 완전한 자유를 가지에서 일하고 이러한 두 인스턴스에서 제가 영화관은 discover." 수 있는 말이 없는 비밀을 감동시켰다.그는 또한,"어떤 시간이나 다른에 내가 페르소나는 결코 과장이 아니다 나의 life—that을 구했다고 말했습니다 말했다.모두 쓸려 온다면 나는 그 영화를 만들기 위해 발견되지 않았더라면 나는 아마었을 것이다.어느 중요한 점:처음으로 나는 도대체 이 결과 상업 success" 신경 쓰지 않았다.[29]영화 제작자들 Sonattvå kvinnor(소나타 두 여성을 위한)för 제목, Ett kinematografi(한 영화 촬영'의), 오푸스 27stycke, Kinematografi,[1]지만 Fant 그리고 타이틀이 변했다 좀 더 접근할 수 있는 제안을 고려했다.[30][31일]

캐스팅

배우 역할
비비 앤더슨 ... Alma, 간호사는
리브 울만 ... Elisabet Vogler, 그 여배우는
Margaretha Krook ... 의사
군나르 비옌스트란트 ... Mr.Vogler
Jörgen Lindström ... 그 소년은, Elisabet의 아들

버그먼은 병이 난 후 버린 큰 프로젝트인 <캔디발스>에 안데르손과 울만을 캐스팅할 계획이었지만, 여전히 한 프로젝트에 안데르손과 울만이 짝을 이루기를 바랐다.[32]울만은 벙어리 캐릭터 엘리사벳으로 시작하는 버그먼의 영화에 캐스팅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 이유는 내 얼굴이 그가 하고 싶은 말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그것은 그가 함께 일하기를 원했던 나를 만들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내 얼굴이었고 나는 그가 무엇을 쓰고 있는지 이해했기 때문이다."[n 5]스티브 빈버그는 안데르손과 울만과 함께 이 프로젝트를 구상하면서 버그먼은 과거 '스마일즈 오브 서머 나이트'와 같은 영화에서 앙상블 캐스팅을 사용했던 것과 결별하고 2개의 리드에 초점을 맞췄다고 썼다.빈버그는 마르가레타 크룩군나르 비외른스트란트의 역할을 "약칭 게스트 출연"[35]이라고 불렀다.

베르그만은 요르겐 린드스트룀을 1963년 영화 '사일런스'에서 사용한 후 엘리사벳의 아들로 캐스팅했다.[36]린드스트룀(Lindström, 1951년 출생)은 아역 배우로, 다른 영화에서 아역을 맡았다.[37]Bergman은 승인되지 않은 서술자였다.[38]

Beach with rock formations
Secluded wooden house
이 영화는 랑함마르스(위)와 함마르스의 버그만 소유지를 포함한 피뢰 섬에서 촬영되었다.

주요 촬영피뢰[n 6] 섬(랭햄마르스, 배경에는 랑그함마르스,[41] 함마르스에는 버그만 소유)과 [42]스톡홀름의 뤼순다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다.[1]사격은 1965년 7월 19일에 시작되어 9월 15일까지 마무리되었다.[1]울만은 스톡홀름 최초 촬영이 어색한 공연과 준비되지 않은 연출로 얼룩졌다고 묘사했다. 제작진은 버그만이 촬영할 집을 찾은 피뢰로 후퇴하는 것을 선택했다.[21]촬영 중 푸뢰의 날씨는 이상적이었다; 촬영팀은 스톡홀름에서 촬영된 대부분의 영상을 다시 촬영했고, 스톡홀름 세트의 여름 집을 재현했으며, 푸뢰 박물관을 병원으로 사용했다.[43]

안데르손은 그녀와 울만이 같은 성격의 다른 면으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기로 합의했으며, 그들은 성격이 버그만의 것이라고 가정했다고 말했다.그 여배우는 그들이 공연에서 서로의 균형을 맞추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32]버그먼은 여배우들에게 각각의 장면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묻지 말라고 말했다; 울만은 영화 작가 스벤 나이키스트도 감독의 의도를 알지 못하고 직감적으로 일을 하기 위해 떠났다고 믿었다.[21]

알마가 자신의 오기를 묘사한 장면은 각본에 있었지만 안데르손은 1977년 버그먼이 영화에서 오기를 제거하라는 권고를 받았다고 밝혔다.그녀는 자신이 느낀 대화를 바꾸는 자원봉사는 너무 분명히 한 남자가 쓴 것이라고 주장하였다.[44]이 장면은 울만과 안데르손의 클로즈업을 단타에 활용해 촬영에 2시간이 걸렸다.[44]이후 안데르손은 와일드딸기와 같은 영화에서의 그녀의 연기 중 일부는 '코니'라고 생각했지만, 페르소나에서의 그녀의 작품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45]울만은 그녀의 반응 샷을 이야기의 에로틱한 본성에 대한 준비되지 않은 자연스러운 반응이라고 묘사했다.[21]

안데르손과 울만이 밤에 침실에서 만나 얼굴이 겹치는 장면에 대해서는 스튜디오에서 다량의 연기를 사용해 더 흐릿하게 촬영했다.버그먼은 거울로 샷을 구성했다.[46]

후기제작

각본은 "엘리사벳과 이상하게 닮은 알마의 클로즈업"[47]을 요구했다.푸뢰에서 버그만은 울만과 안데르손의 얼굴이 하나로 합쳐지는 샷을 구상했다.[48]이는 버그먼이 각 여배우의 얼굴에서 볼 수 있는 무표정한 면을 각기 다른 샷으로 조명하고 조명된 면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여배우들은 모비올라에서 상영될 때까지 그 효과를 알지 못했다.[49]두 여배우 모두 그 결과의 이미지에서 자신을 인식하지 못했는데, 각각 그 사진이 다른 사람의 것이라고 가정했다.[n 7]

울만에 따르면 알마가 엘리사벳의 모성애를 묘사하는 장면은 카메라 2대, 여배우 1대, 촬영 장면 1대, 촬영 장면 각각이 편집에 섞일 생각이었다.그 후 버그만은 각 각도가 중요한 것을 전달하고 그 둘 다 하나씩 통째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50]

버그먼은 알마가 오르간을 묘사하는 장면에서 나는 소리에 불만스러워 안데르손에게 그 장면을 다시 읽어보라고 말했는데, 안데르손은 더 낮은 목소리로 그렇게 했다.녹음을 하고 더빙을 했다.[51]

Lars Johan Werle이 작곡한 이 은 4개의 첼로, 3개의 바이올린과 다른 악기들을 사용한다.베르일은 베르일이 득점할 장면에 대한 설명 없이 베르그만의 요청을 충족시키기 위한 자신의 노력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그리고 나서 그는 영화가 어떻게 보일지 막연한 힌트를 가지고 왔지만, 어쨌든 나는 그를 이해했고 그는 나에게 키워드를 주었다.나는 예술 작품의 일부분이어서 소화할 시간이 별로 없어서 조금 놀랐다.사람들은 어떻게 영화를 한두 번밖에 보지 못하고 작곡을 하는 것이 가능한지 궁금하다.[52]

영화제작자들은 베르엘의 악보 에도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바이올린 협주곡 E장조를 샘플링했다.[53]

주제 및 해석

A seated Susan Sontag in 1979
작가 수잔 손탁 페르소나주제를 분석했다.

페르소나는 다양한 해석을 받아왔다.토마스 엘세이서 교수에 따르면, 이 영화는 "에베레스트 등반이 산악인들에게 어떤 것인지 영화 평론가들과 학자들을 위한 것이었다: 궁극적인 직업적 도전"이라고 한다.시티즌 케인 외에도 캐논에서 가장 많이 쓰여진 영화일 것이다."비평가 피터 코위는 "페르소나에 대해 말하는 모든 것은 모순될 수 있다; 그 반대도 사실일 것이다"라고 썼다.학자인 프랭크 가도는 코위의 평가를 "특허적인 허튼소리"라고 불렀지만, "심각한 혼란"이 있다는 데 동의했고, 로이드 마이클스 편집장은 코위가 다소 과장하긴 했지만, 이 영화를 연구하기 위한 "심각한 자격증"을 환영한다고 말했다.[n 2]

마이클스는 페르소나의 "가장 널리 알려진 견해"라고 부르는 것을 요약했다: 그것은 "모더니즘 공포 영화"의 일종이다.[54][7]의사가 '가망 없는 꿈'이라고 표현한 엘리사벳의 상태는 '인생과 영화 예술의 공유 조건'[55]이다.영화학자 마크 저베이는 몇 가지 가능한 해석을 제시했다.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비유", "한 개성이 다른 개성을 소비하는 것", "두 개성을 하나로 융합하는 것" 또는 "동일한 개성의 서로 다른 측면"[56]이다.가도는 페르소나가 "정신분열증에 대한 조사, 레즈비언의 매력에 관한 이야기, 또는 예술가에 대한 우화"라고 제안했다.[8]

버그먼은 비록 이 이야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짐작은 했지만, 청중들이 스스로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고 느꼈기 때문에 이 이야기를 공유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그 영화가 이해되기는커녕 느껴지길 바랐다.[32]

'신의 침묵'은 버그만이 전작에서 광범위하게 탐구한 주제다.작가 폴 코츠에 따르면, 페르소나는 그 탐험의 "후반"이었다.[57]저바이는 1965년에서 1970년 사이의 페르소나 영화와 다른 버그만 영화들은 "신 중심"이 아니라고 덧붙였다.[58]게르베이는 또한 철학자인 프리드리히 니체를 페르소나 이해의 지침으로 인용했다: "자연의 절대 부도덕에 대한 믿음, 목적의 결여, 무의미함에 있어서, 일단 신에 대한 믿음과 본질적으로 도덕적인 질서가 더 이상 뒷받침될 수 없는 한 심리적으로 필요한 영향"이다.[59]

정체성과 이중성

Double-exposure photograph of late-19th-century actor Richard Mansfield as Dr. Jekyll and Mr. Hyde
어빙 싱어 교수는 버그만의 병합된 캐릭터를 닥터와 비교했다. 지킬과 하이드 씨.

한 얼굴이 보이고 그 뒤에 다른 얼굴 일부가 보이는 겹치는 얼굴 사진에서 입증된 인물의 유사성에 대한 분석이 집중돼 등장인물이 한 얼굴일 가능성과 [17]이중성을 시사했다.[60][61]비평가 존 사이먼은 "이런 이중성은 여기서와 같이 두 사람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한 사람의 모순된 측면과 뚜렷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고 평했다.[62]만약 그들이 한 사람이라면, 알마가 자신이 존경하는 여배우에 대해 환상을 품고 있는 것인지, 엘리사벳이 그녀의 정신을 살피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그 소년이 어머니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존재한다.[63]수잔 손탁페르소나가 "두려움"[64]을 주제로 한 일련의 변주곡이라고 제안했다.손탁에 따르면, 이 영화의 주제는 "정신의 폭력"[64]이다.어빙 싱어 교수는 알마와 엘리사벳의 얼굴이 합쳐진 샷을 살펴보며 그 혐오감을 그의 양성적인 분신인 지킬 박사 대신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캐릭터 미스터 하이드의 모습과 비교했다.싱어는 버그먼이 스티븐슨의 이중성 탐사인 '우리 본성의 선악, 빛과 어둠의 면모'를 확장해 촬영에 '온전성'으로 표현했다고 썼다.[65]

가도는 페르소나를 "모성애가 개입된 이중의 발견 과정"[66]으로 보았다.엘리사벳이 침묵으로 물러난 것은 그녀가 모성에 대한 거부일 수도 있는데, 이 여배우가 그만둘 수 없는 유일한 역할이다.간호사는 엘리사벳이 노력했지만 실패한 일을 했다는 것을 깨닫는다. 즉 낙태로 아이를 삶에서 지우는 것이다.[67]정신과 의사 바바라 영은 영화의 프롤로그에 있는 영안실에 있는 소년을 버그만의 대자로 보았고, 기억나는 영안실에서 어머니에게 손을 내밀며 보았다.영은 버그만과 어머니 카린의 관계를 알마("누군가가 그녀의 말을 듣고 사랑하기를 갈망한다")와 엘리사벳("귀중한 시간을 갈망한다")[68][n 8]에 비유했다.

이중성의 주제에 대해 작가 비르기타 스틴은 알마가 영혼을, 엘리사벳은 '괴물'의 여신이라고 썼다.[70]신학자 한스 니스테트는 엘리사벳을 신의 상징으로, 알마는 인간의 의식을 상징한다고 했다.[71]코이츠 교수는 이중성과 정체성의 주제를 조사하기 위해 융기 이론을 언급하면서 이전에 버그만이 연구했던 신을 계승한 '여성 얼굴'이나 '신성에 가까운 여신'이 '하나의 자아에 근거를 둔' 서로 다른 두 사람, 즉 정체성을 거래하는 것에 주목했다.[47]코이츠는 엘리사벳을 신화적 인물인 타나토스에로스가 융합한 것으로 묘사했으며, 알마를 "불운한 상대"로, 죽음을 암시하는 클로즈업으로 묘사했다.[72]

심리학

An older, bespectacled Carl Jung
칼 융의 페르소나 이론은 영화의 제목과 해석에 영향을 주었다.

페르소나 호칭은 '마스크'라는 라틴어 단어와 칼 융의 '페르소나' 이론이 반영되어 있는데, 이는 영혼과 분리된 외부 정체성('alma')이다.[73]정씨는 사람들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공공 이미지를 투사하고 그들의 인격과 동일시할 수 있다고 믿었다.[74]한 인터뷰 진행자는 영화 제목에 대한 중안적 함축에 대해 베르그만에게 질문했는데, 고대의 드라마에서 배우들이 착용한 페르소나 가면을 참조한다는 대안적 해석을 인정하면서도 융의 '어려울 정도로' 콘셉트가 영화와 일치한다고 말했다.버그만은 융의 이론이 "이 경우에 잘 맞는다"[75]고 말하며 동의했다.Coates는 또한 마스크를 정체성과 이중성의 주제인 "마스크는 야누스 얼굴이다"[47]에 연결했다.

알마의 비밀은 그녀의 신랄한 독백에서 드러나고, 비평가 로빈 우드는 그것을 어쩌면 그 인물의 성적 해방을 나타내는 수치심과 향수의 결합과 연관시켰다.우드에 따르면, 이 사건은 불성실과 청소년 성욕에 영향을 미쳤으며,[76] 스웨덴어로 어린 소년들은 "포즈카"라고 불리며 코칭이 필요하다고 한다.[77]아놀드 웨인스타인은 알마의 이야기가 가장 힘든 등장인물의 가면 속 "크랙스"의 예라고 썼는데, 이것은 알마의 간호사라는 인격에 속하며 "자신의 붕괴"[78]로 이어진다.그녀의 독백은 성적인 도피행위에 대한 묘사는 없지만 포르노물에 대해 진상을 드러낼 정도로 강렬하다.[78]

시네마 역사학자 P. 아담스 시트니는 그 이야기를 정신분석학의 과정으로 요약했다: 소개에 이어 첫 번째 인터뷰, 공개, 환자의 근본 문제 발견.[26]시트니에 따르면, 이야기는 알마의 관점에서 시작되는 것 같다; 엘리사벳이 그들의 손을 비교한 후, 그녀의 관점이 이야기의 근원으로 드러난다.[79]

엘리사벳이 벙어리에 빠졌을 때 그녀가 나오는 연극은 소포클레스유로피데스엘렉트라라는 심리학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언급이다.[80]우드에 따르면 베르그만은 작품에서 그리스 비극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지만 엘렉트라라는 캐릭터가 엘렉트라 콤플렉스의 사상에 영감을 주었다.[81]시트니는 버그만의 놀이 선택이 정신분석학의 핵심 개념인 '성 정체성'과 관련이 있다고 느꼈다.[80]

성별 과과

이 이야기는 "침묵한 여자들"이라는 버그만의 모티브에 들어맞는데, 이 모티브는 "침묵한 여자들"에서, 그리고 나중에 "울림과 속삭임"에서, 그리고 "가을 소나타"에서 볼 수 있다.[82]마릴린 존스 블랙웰 교수에 따르면 엘리사벳이 말하는 것에 대한 저항은 자신의 성 역할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될 수 있다.이러한 긴장을 주로 여성들에 의해 경험되는 것으로 묘사함으로써, 버그만은 "다른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여성의 위치를 문제화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는 여성들에게 "본질적으로 그들의 주체성에 이질적인"[83] 역할을 부여한다.블랙웰은 엘리사벳과 알마 사이의 매력과 남성 성 정체성의 부재가 서로 동일시되면서 '다중, 변화, 자기 모순적 정체성'(남성 이념을 훼손하는 정체성의 개념)을 드러내는 더블링을 만들어 낸다고 썼다.알마가 엘리사벳의 영화들 중 하나를 보았고 그들이 비슷하다는 생각에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을 때, 영화 초반에 표면을 병합하고 두 배로 만드는 주제가 있었다.[84]블랙웰은 또한 이 영화의 원제 중 하나인 시네마토그래피 작품도 표현의 본질을 암시할 수 있다고 쓰고 있다.[85]

분석가들은 레즈비언의 언더톤과[14] 오버톤에 주목했다.[56]Alison Darren은 그녀의 레즈비언 영화 가이드에서 페르소나를 프로파일링하면서 알마와 엘리사벳의 관계를 "사랑과 증오의 중간"이라고 불렀다; 그들은 한 장면에서 성관계를 가질 뻔 했다. "이것은 쉽게 착각일 수 있다."[86]학자 그웬돌린 오드리 포스터는 이 영화를 페미니스트적 용어로 레즈비언주의를 묘사한 것으로 해석하면서 엘리사벳이 알마의 방에 들어가는 장면을 유혹으로 봤다.[87]알렉시스 루코 교수도 등장인물들의 감동과 장면에서의 유사성이 그들의 개성이 합쳐지는 것을 상징할 뿐 아니라 친밀감과 에로티시즘을 나타낸다고 느꼈다.[88]

포스터는 엘리사벳의 시선이 알마에게 칼-헨리크와의 약혼에 대한 의문을 제시한다고 믿었다.[89]포스터에 따르면, 남녀간의 성적인 만남은 낙태와 관련이 있다; 레즈비언 로맨스는 점점 더 공유되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90]그러나 페르소나가 레즈비언 관계를 극화한다면 나르시시시즘과 폭력에 의해 나중에 특징지어지기 때문에 분명히 유리한 것은 아니다.[90]레즈비언주의가 여성 우정의 더 강한 버전, 즉 모성애로 여겨진다면, 알마와 엘리사벳의 관계는 소년이 헛되이 어머니를 위해 손을 뻗었을 때 프롤로그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묘사를 대신한다.[91]예레미 사자냐프스키에 따르면 베르그만이 페르소나에서 호모에로티즘(게이와 레즈비언)을 사용한 스웨덴 교회 목사인 에릭 베르그만(Erik Bergman)의 엄격한 양육에 대한 반항이었다.[92]

Front and side views of a tragic mask
에드워드 도드웰의 고대 그리스 가면 묘사

예술과 연극

페르소나는 '마스크'를 뜻하는 라틴어로 대사의 청각성을 높이기 위해 착용한 마우스피스를 가리킨다.그리스 드라마에서 페르소나는 배우와 별개로 캐릭터를 의미하게 되었다.[93]Bergman은 종종 극장을 그의 영화에서 배경으로 사용했다.[94]

가수에 따르면 엘리사벳은 무대 배우로, "마스크 같은 화장"에서 "연극적인 페르소나"를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싱어는 엘리사벳이 연기를 하지 않을 때도 '틱하고 인조 속눈썹'을 달고 다닌다고 썼다.[95]학자 Egil Törnqvist는 엘리사벳이 엘렉트라로 무대에 섰을 때, 극장 관객들로부터 시선을 떼고 카메라를 보며 네 번째 벽을 깬다고 언급했다.Törnqvist에 따르면, 엘리사벳은 주먹을 만들어 의미 있는 공연이라는 개념에 대한 그녀의 반란을 상징한다.[96]싱어는 엘리사벳이 알마와 매우 개인적인 관계를 맺지만 배우로서의 페르소나를 버릴 수 없고 '존재하는 절망적인 꿈'으로 쓸쓸하게 남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97]

See caption
카스텐 옌센이 말한 티흐 콰엉 đcc의 자기희생 사진 말콤 브라운 기자는 페르소나 주제와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싱어에 따르면, 버그만은 "그의 예술 형식의 특성"[98]으로 시청자들과 대치한다.문학평론가 마리아 버검-라르손은 페르소나가 영화제작에 대한 베르그만의 접근법을 반영했다고 썼다.알마는 처음에는 예술가들이 "연민으로, 도움이 필요해서" 만들어졌다고 믿었지만, 엘리사벳은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공연하는 것을 비웃는 것을 보고 자신이 이 여배우의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그녀는 "내가 얼마나 멍청한지"[99]라는 그녀의 이전의 믿음을 거절했다.엘리사벳이 알마를 연구하듯이, 버그만은 둘 다 연구한다.[100]

마이클스는 버그만과 엘리사벳이 딜레마를 공유하고 있다고 썼다. 그들은 홀로코스트베트남 전쟁과 같은 "큰 재앙"에 진실로 대응할 수 없다.[7]정치 칼럼니스트 카스텐 젠센은 엘리사벳이 1963년 티흐 꽝 cc의 자화상으로 본 베트남의 영상을 확인했다.젠센에 따르면 꽝꽝의 죽음을 찍은 사진들이 널리 유포되어 페르소나에서 사용되었다고 한다.[101]학문적인 벤튼 메도우스는 엘리사벳이 꽝 쳉의 죽음에서 자신을 보게 되는데, 그것이 그녀의 무언의 반란의 결과가 될 것을 두려워한다고 썼다.[102]투른크비스트는 엘리사벳이 수도사가 진정한 반란군이라는 진실에 의해 타격을 받는 반면, 그녀의 반란은 돌연변이의 인물 뒤에 비겁한 퇴각이라고 썼다.[96]

흡혈주의

Painting of a woman kissing a man on the neck
에드바르 뭉크뱀파이어.페르소나 주제는 뱀피리즘을 암시한다.

페르소나흡혈주의에 대한 상징성도 포함하고 있다.[17]1973년 다겐스 니헤터 평론가 라르스-올라프 프란젠은 알마를 관객들을 위한 스탠드 인으로, 엘리사벳을 "무책임한 아티스트와 흡혈귀"[71]로 해석했다.영국 영화 연구소에 따르면, 엘리사벳은 "범병론적으로" 알마의 성격을 탐닉하고 있다.[103] 이 여배우는 알마에서 피를 마시는 모습도 보인다.[7]저베이는 페르소나가 "인상주의적인 흡혈귀 영화"[56]라고 썼다.Törnqvist는 흡혈귀 묘사를 "스트린드베르크어"라고 부르며 프롤로그에서 본 거미와 각본에서 언급된 "뚱뚱한 거미"에 연결했다([n 9]그러나 최종 컷에서 제외).

심리학자 대니얼 쇼는 엘리사벳을 흡혈귀, 알마(Alma)로 해석했지만,[105] 알마가 완전히 소비되었느냐는 질문에 버그만은 이렇게 대답했다.

아니, 방금 피와 고기, 그리고 스테이크를 제공했어.그러면 그녀는 계속할 수 있다.엘리자베스는 똑똑하고, 분별 있고, 감정도 있고, 부도덕하고, 재능 있는 여자지만, 그녀에게는 공허함이 있기 때문에 괴물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12]

스타일

페르소나실험 영화라고 불려왔다.[n 1]싱어는 비록 이것이 영화 해설의 부차적인 중요성이 있다고 말했지만, 자신의 스타일이 "현실적 내레이션"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거절이라는 마크 거베이의 이론을 인정했다.[106]인디펜던트 저널리스트 크리스토퍼 후튼은 에세이스트 스티븐 베네딕트의 말을 인용해 대칭이 사용됐고 네 번째 벽이 가끔 깨졌다고 전했다.[4]알마와 엘리사벳이 카메라를 들여다보고 엘리사벳이 카메라 방향으로 사진을 찍으면 네 번째 벽이 깨지는 것 같다.[107]

A smiling Liv Ullmann in 1966
버그먼은 얼굴의 중요성을 믿었고,[108] 리브 울만은 그녀 때문에 캐스팅되었다고 말했다.[n 5]

BFI는 페르소나가 클로즈업(close-up)을 사용하는 것에 주목하며 페르소나를 "스타일리스트적으로 급진적"이라고 불렀다.[103]센스 오브 시네마 기자 해미쉬 포드도 '진정한 아방가르드 프롤로그'를 인용하며 '급진적 미학'에 주목했다.[109]비평가 제프 페베르는 프롤로그를 "영화 역사상 가장 대담한 리셋 클릭 중 하나"라고 말했다.그는 프로젝터가 가동되기 전 빈칸을 요약해 고전 애니메이션, 코미디 무성영화, 십자가상, 페니스의 클립을 만들어 영화관을 요약했다는 결론을 내렸다.[110]이 몽타주의 이미지는 "급속한 불꽃"[111]이며 버그먼은 페니스가 화면에 6분의 1초 동안 나타나며 "수축적"이라고 말했다.[112]이 양은 루이스 부뉴엘1929년 운치엔 안달루에서 나온 것으로,[74][107] 죽음의 의인화는 1949년 베르그만의 영화 감옥에서 사용되었다.[n 10]Michaels는 프롤로그에 있는 거미와 Bergman의 1961년 "Glass A Darkly"의 "거미 신"을 연결했다.[n 11]Törnqvist는 거미가 현미경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는데, 이는 거미가 연구에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n 9]소년이 엄마에게 손을 내밀면 울만과 안데르손의 사진을 옮기는 것이다.[116]프롤로그 외에도 중간 지점 셀룰로이드 파편에 의해 이야기가 중단된다.[109]

'이상한' 또는 '에어리' 효과를 내는 장면들에는 몽유병인지 알마가 꿈을 꾸는지 알마의 방에 들어가는 엘리사벳, 알마와 성관계를 갖는 보글러 씨 등이 등장하는데, 이를 엘리사벳으로 오인했는지는 불확실하다.[107]다른 장면들은 "꿈과 같은—때로는 악몽과도 같은" 장면들이다.[53]이야기의 작은 스케일은 오프닝 시퀀스와 병원 장면에 포함된 자기희생적 모습, 그리고 클로즈업 증가의 주제인 홀로코스트 사진 등과 같은 외부적 공포에 대한 언급으로 보충된다.[117]

전기 작가 제리 베르밀예는 1964년 '올 위드 우먼'에서 색채 실험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페르소나는 버그만과 나이크비스트가 "이전의 실내 조각들의 스타크 흑백 긴축"으로 복귀한 것을 대표한다고 썼다.이 영화들에는 "Through a Glass Darkly," "Winter Light" 그리고 "The Silence"가 포함되어 있는데, 베르밀예는 페르소나를 "삼유학"[53]의 속편이라고 부른다.버그만은 상징적으로 사용했던 그 배경을 위해 글래스 다크리 프뢰로 돌아왔다.[n 6]존 오르 교수에 따르면, 한 섬 배경은 드라마에 다른 역동성을 가져다주는 "볼드함과 유동성"을 제공했다고 한다.[118]오르는 "섬의 낭만주의"가 버그만의 초기 영화에서 "꿈과 추상화"[82]로 전환된 것이라고 썼다.비주얼과 사회적 고립과 애도의 묘사를 조사하면서 비평가 크리스토퍼 히스코트와 자이 마샬은 에드바르드 뭉크의 그림과 유사한 점을 발견했다.[119]

빈버그에 따르면 울만과 안데르손의 연기 스타일은 안데르손이 거의 모든 이야기를 한다는 사실에 의해 좌우된다.그녀는 독백을 하고, 울만은 "자연주의적 마임"[120]이다.주목할 만한 예외는 엘리사벳이 구슬려 "아무것도"라는 단어를 말하게 되었을 때인데, 빈버그는 이를 아이러니라고 불렀다.[121]엘리사벳은 14단어밖에 말하지 않는다. 버그먼은 "인간의 얼굴은 영화의 가장 큰 주제다.모든 것이 거기에 있다."[108]빈버그는 이 공연들은 여배우들이 서로를 직접 바라보는 거울 운동을 사용하며, 한 사람은 다른 사람이 흉내내려고 하는 얼굴 움직임을 만든다고 썼다.[122]포드는 울만의 연기는 "입술, 양면적인 가즈, 흡혈귀적인 욕망"[109]으로 정의된다고 썼다.

음악과 다른 소리들도 버그만의 스타일을 정의한다.여기에는 프롤로그가 포함되며, "불규칙한" 점수는 뚝뚝 떨어지는 소리와 함께 전화벨이 울린다.[74]엘리사벳이 침실에서 알마를 만나는 장면에서는 포혼이 베르레의 음악에 동행한다.[88]음악학자 알렉시스 루코는 이 악보를 공포 영화의 흔한 스타일인 뮤직a("음악 속의 악마")에서 디아볼루스와 함께 "대서양적 의미"를 전달했다고 설명했다.[123]포혼의 추가는 알마와 엘리사벳이 관객들을 바라보는 4차 벽이 깨지는 것을 보완하는 '유태와 비유태'의 만남을 의미한다.[124]엘리사벳이 병원에서 듣는 음악 E장조 바흐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좋고 달래는 것'이라는 뜻으로, 엘리사벳을 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나게 한다.[81]그것은 위로가 되지 않는다; 우드는 그것을 바흐의 "가장 침울하고 비극적인 발언" 중 하나라고 부르고, 그 장면의 조명은 그에 따라 어두워진다.[n 12]루코에 따르면 엘리사벳의 소리(음질) 부족은 그녀를 "힘차고 사이비 전위적인 벙어리의 영화적 프로파일"[127]에 적합하게 만든다.

페르소나는 1966년 8월 31일에 개봉되었고, 1966년 10월 18일에 스톡홀름의 슈페겔른 극장에서 홍보 시사회가 열렸다.[1]이 영화의 각본은 그 해에 스웨덴에서 책으로 출판되었다.[1]이 영화의 흥행 손실은 스웨덴 영화 연구소의 보조금을 받을 자격이 있었다.이 연구소의 이전 생산 보조금과 합쳐, 이 프로젝트는 SFI로부터 102만 kr를 받았다.[128]

1967년 3월 6일 미국에서 개장하여 총 25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1][3]유나이티드 아티스트가 배급하는 이 영화는 주인공들의 비슷한 외모를 부각시키는 UA 마케팅으로 뉴욕 영화제에서 첫 선을 보였다.그 마케팅은 비평가들의 말을 인용했는데, 특히 알마의 에로틱한 독백에 관한 것이었다.[n 13]페르소나는 한 달 만에 뉴욕행을 마쳤는데 실망스럽다는 평가를 받았다.[130]브라질에서는 콴도 두아스 뮬레스 페캄(When Two Women Sin)으로 발매되어 성감을 강조하였다.[131]페르소나는 많은 외국어 영화들이 여전히 더빙될 때 자막을 사용하여 1967년 영국에서 개봉되었다.[132]

미국과 영국 버전에서 검열된 두 장면은 발기된 페니스의[133] 시작과 알마의 밤샘 독백을 번역한 짧은 장면이었다.[134][135]MGM의 기록 보관자인 존 커크는 4개의 번역본을 바탕으로 검열된 자료를 복원했고 검열된 장면에서 알마의 대화를 30~40% 더 번역했다.커크의 버전은 2001년 뉴욕시의 필름 포럼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에서 상영되었다.[136]검열된 자료의 대부분은 2004년에 발매된 MGM DVD지역 1과 The Criteria Collection의 2014 Blu-ray 2K 복구에 포함되었다.[137][138]

1999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는 "대화:영화와 대화하기"는 고전 영화와 캐나다 영화 제작자 패트리샤 로제마의 강연으로 이루어졌다.[139]2002년 2월 제52회 베를린국제영화제 회고전에서 상영되었다.[140]

리셉션

리셉션

A smiling Bibi Andersson
비평가들은 비비 안데르손의 연기를 칭찬했고, 그녀는 굴드바게 여우주연상받았다.

이 영화는 스웨덴과 미국 언론에서 호평을 받으며 개봉되었다.[141]

스웨덴에서, Dagens Nyheter 평론가 Olaf Lagercrantz는 스웨덴 비평가들의 추종자들이 1966년 10월에 발전하여 그들을 위해 Person (a)kult라는 이름을 만들었다고 말했다.[1]스벤스카 다그블라데트에서 스티그 위키더는 이것을 "신성한 무(無)에 대한 불가지론적 탐구"[71]라고 불렀다.1966년 신학자 한스 니스테트는 이 영화를 할마르 순덴의 글에 비유했다.[71]이 영화는 1967년 시네마 감독올해의 영화 10위 안에 1위를 차지했다.[142]

스웨덴 영화 연구소 잡지인 채플린은 1967년까지 Person(a)kult가 스웨덴을 넘어 퍼졌다고 보도했다.[141]로저 에버트는 초기 리뷰 중 한 편에서 이 영화에 네 명의 스타를 출연시켰는데, 그는 이 영화를 "어렵고 좌절스러운 영화"라고 불렀고, 이 영화 (그리고 엘리사벳)는 "우리가 기대하는 대로 관습적이고 반응하는 것을 선천적으로 거부한다"[144]고 말했다.[143]뉴욕 타임즈에 기고한 보슬리 크로우더페르소나를 "모든 강렬한 감정주의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힘든 지적 요구를 하는 사랑스럽고 기분 나쁜 영화"라고 평했다.크로우더는 "해설이 어렵다"고 썼고, "울만 양과 앤더슨 양이 이 영화를 거의 들고 다니려 하고 있다"고 썼다.[145]버라이어티 스태프들에 따르면, "감동적인 주제와 방향, 연기, 편집, 렌즈 제작에 있어서 완벽함을 부인할 수 없다"; 그들은 안데르손의 공연을 "투르 드 포스"라고 부르며, "베르크만은 아마도 기술적으로나 구상적으로 가장 뛰어난 영화들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가장 어려운 영화들 중 하나일 것"이라고 결론지었다.[146]타임지의 평론에는 이 영화가 "버그만의 익숙한 집착 중 두 가지를 퓨즈: 개인적인 외로움과 현대 여성의 특정한 고뇌"[147]라고 적혀 있다.1972년 영국 영화 협회 시력 & 사운드 투표에서 페르소나는 스웨덴 영화 중 가장 높은 순위인 역대 5위에 올랐다.[148]페르소나는 2002년 Sight & Sound 감독들의 가장 위대한 영화 순위에서 41위를 차지했다.[149]

수필가들과 비평가들은 페르소나를 20세기의 주요 예술 작품 중 하나이며, 베르그만의 걸작이라고 불렀다.[64][12][150][14]인디펜던트 비평가 제프리 맥나브는 많은 다른 비평가들이 이 영화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영화들 중 하나로 여겼다고 언급했다.[74]엠파이어 데이비드 파킨슨 감독은 2000년 이 영화에 5명의 스타를 출연시켜 다양한 해석을 지적하고 이를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왜곡한 베르그만의 탓으로 돌리며 "인간과 지적 발기부전에 대한 극악무도한 논문"[151]이라고 평했다.에버트는 2001년에 이 영화를 "이미지의 아름다움을 위해 그리고 우리는 이 영화의 미스터리를 이해하기를 희망하기 때문에" 이 영화를 그의 위대한 영화 목록에 추가했다.[143]피터 브래드쇼는 2003년 가디언 리뷰에서 별 다섯 개 중 네 개를 "놀라울 정도로, 심지어 사로잡는 에세이"[152]라고 불렀다.'시카고 트리뷴'에 마이클 윌밍턴은 2006년 이 영화에 4명의 스타를 수여하며 "영화계의 최고 작품 중 하나이며 아마도 잉그마르 베르그만의 가장 훌륭한 영화"라고 극찬했다.[153]2007년 아프톤블라데트는 프롤로그를 버그먼의 필모그래피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 중 하나로 꼽았다.[154]뉴요커 폴린 카엘은 최종 결과는 '연애'라고 했지만 알마가 자신의 오열을 설명하는 장면은 "영화 역사상 보기 드문 진실로 에로틱한 시퀀스 중 하나"라고 말했다.[155]

Bergman in 1966
몇몇 비평가들은 페르소나 잉그마르 베르그만의 마그넘 오푸스라고 불렀고, 그는 이 영화로 전국영화평론가협회 최우수 감독상을 받았다.

페르소나 홈비디오를 살펴본 리처드 브로디는 버그먼이 특수효과로 리얼리즘을 발산한 작품을 인정하며 "감각적인 시각적 친밀감"을 전했고, 영화의 섬 설정을 칭찬했다.[156]레오나드 말틴이 필름을 주었다. 그의 2013년 영화 가이드나오는 3+1/2의 스타들은 그것을 "지각적인 시청자들에게 잊혀지지 않는, 시적인"이라고 불렀다.[157]타임 아웃 리뷰에 따르면, 엘리사벳은 (사기에도 불구하고) "쉬운 영화가 아니라 무한히 보람 있는 영화"라고 이해될 수 있다.[158]시카고 리더 비평가 데이브 케어는 그것이 버그만의 최고일지도 모른다고 썼지만 (실험영화를 위한) 독창적이지 않은 아이디어와 지루함에 반대했다.[159]에마누엘 레비는 2016년 페르소나를 새로운 결과를 제시하는 실험과 함께 복잡하고 신비롭고 예술적인 심리극이라고 평했다.[5]

1996년 페르소나모빌린 매거진의 "가장 위대한 외국 영화 100편"[160]에 포함되었다.The Village Voice는 비평가들의 여론 조사를 바탕으로 1999년에 이 영화를 "세기의 가장 훌륭한 영화" 250개 목록에서 102위로 선정했다.[161]페르소나타임지 역대 최고 영화 100편[162] 목록과 뉴욕 타임즈 가이드에 포함되었다.[163]2010년에는 엠파이어 매거진 '세계영화 100대'에서 71위에 올랐다.[164]2012년 《시청률&사운드》 여론조사에서는 평론가 여론조사에서 역대 17위(구로사와 아키라 7인의 사무라이와 비교)[165]로, 감독 여론조사에서는 13위에 올랐다.[166]2012년 영화 전문지 FLM이 50명의 영화 평론가들과 학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이 영화는 역대 최고의 스웨덴 영화 25편에서 6위를 차지했다.[167]데일리 텔레그래프는 2017년 페르소나를 '역대 가장 가식적인 영화'이자 '무서운 주관적' 운동으로 꼽았다.[168]이 영화는 53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로튼 토마토에서 91%의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169]메타크리트어(Metacritic)에서 이 영화는 18개 리뷰를 기준으로 100분의 86의 평점을 받아 '범용적인 찬사'[170]를 나타내고 있다.2018년, 이 영화는 43개국에서 209명의 영화 평론가들이 투표한, BBC가 선정한 100대 외국어 영화 목록에서 6위를 차지했다.[171]2021년 이 영화는 타임아웃 매거진이 선정한 역대 최고 영화 100위 목록에서 23위에 올랐다.[172]

어콜라데스

페르소나제4회 걸드바게 시상식에서 최우수 영화상을 수상했다.[173] 작품은 버그만의 첫 작품으로서 전국영화평론가협회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한 바 있다. 그의 1973년 영화 <결혼에서 온 장면>은 그의 유일한 다른 작품이었다.[174]제39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스웨덴의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출품작이었지만, 이 영화는 아카데미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n 14]

카테고리 받는 사람 결과 Ref(s)
AFTA 어워드 1968 최우수 외국 여배우 비비 앤더슨 지명했다 [177]
굴드바게상 1967년 10월 9일 베스트 필름 페르소나 [173]
여우주연상 비비 앤더슨
국가심사위원회 1967년 12월 31일 외국 영화 톱 페르소나 [178]
1월1968년 1월 베스트 필름 [179]
베스트 디렉터 잉그마르 베르그만
최우수 시나리오 2위 위
여우주연상 비비 앤더슨
베스트 시네마토그래피 스벤 나이키스트 3위

레거시

수치심(1968년)이나 <안나의 열정>(1969년) 등 버그만의 후기 영화 중에는 '탈주자로서의 예술가'라는 주제와 죄책감, 자기혐오 등이 유사하다.[180]로버트 알트먼의 1972년작 심리 공포 영화 Images페르소나의 영향을 받았다.[181]앨트먼의 1977년 영화 3 Women은 버그먼으로부터 셸리 듀발시시 스페이스크의 등장인물들(밀리와 핑키)의 역할과 정체성으로 신호를 받았다.[n 15]페르소나를 패러디한 장면이 1970년대 후반 캐나다 TV 프로그램인 SCTV에 등장했다.[1]우디 앨런의 영화 '사랑과 죽음'(1975)과 스타더스트 메모리(1980)는 이 영화에 대한 간략한 언급을 담고 있다.[73]뤼크 고다르는 1967년 영화 '위켄드(Weekend)'에서 안데르손의 신랄한 독백을 패러디한 내용을 담았는데, 미릴 다크는 연인과 여자친구와의 세리섬을 묘사하는 장면에서 계란과 우유 한 그릇을 포함한다.[184][185]

데이비드 린치의 2001년 영화 멀홀랜드 드라이브는 정체성의 비슷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정체성이 합쳐지는 것처럼 보이는 두 명의 여성 캐릭터를 가지고 있다.[6]주제적 유사성을 지닌 이 영화의 "미스터리 몽환적 질"은 버그만(특히 페르소나)영향력을 보여주는 증거다.[12]데이비드 핀처파이트 클럽페르소나 승화된 발기 페니스를 가리킨다.[73][186]대런 아로노프스키블랙 스완(2010)에서 경쟁 발레리나들과 라르스 폰 트리에르의 멜랑콜리아(2011)에서 자매들이 "강렬한 관계에 있는 두 (대개 고립된) 여성"과 유사하게 볼 수 있다.[6]인디펜던트》는 2016년 비디오 에세이를 통해 '지금 보지 마'(1973년), '아포칼립스 나우'(1979년), '양들의 침묵'(1991)에서의 샷을 비교한 페르소나 영향에 대해 보도했다. 일부 샷은 페르소나보다 앞서며 알프레드 히치콕의 '버리고'(1958년)와 '사이코'(1960년)에 등장한다.[4]

2007년 버그만이 사망한 후, 그의 거주지와 푸뢰의 함마르스에서의 페르소나 촬영지는 3,500만 kr로 평가되어 판매되었다.[42]무대 각색인 휴고 한센페르소나는 2011년 스톡홀름에서 연주했으며 소피아 레다프와 프리다 웨스터다가 주연을 맡았다.[187]또 다른 각색작인 마티아스 안데르손과 그의 여동생 일바 안데르손은 다발성 경화증을 다루고 2016년 왕립극극장에서 초연되었다.[188][189]울만과 감독 스티그 비외크만은 페르소나 제작 당시 베르그만의 녹음을 담은 2009년 다큐멘터리 '스튜이저 frnn et konstnerskap'에서 공동 작업했다.[190]

참고 항목

메모들

  1. ^ a b 이 영화는 심리 드라마,[4][5][6] 공포,[7][8] 심리 공포,[9] 멜로드라마,[10] 실험 영화로 묘사되어 왔으며,[11][12][13] 예술 영화의 후원자들에게 어필할 요소들이 있다.[14][15]또한 로버트 보이어스 교수가 "페르소나는 영화지만, 그것은 확실히 우리의 가장 순수한 현대 예술 사례"라고 쓰는 등 비극으로 분류되었다.[16]
  2. ^ a b 토마스 엘세이서 교수는 '기준 컬렉션' 에세이에서 이 작품을 에베레스트 산과 시민 케인에 비유했다.[17]코위는 학자인 프랭크 가도와 로이드 마이클스의 말을 인용, 코위의 주장에서 다소 과장된 점을 발견했지만 해석의 도전에 대한 감정에는 동의했다.[14][18]
  3. ^ 비비 안데르손은 1957년(The Seven Seal and Wild Drives)과 1960년 The Devil's Eye에 처음 주연을 맡았는데, 그녀는 그녀를 종종 순진한 배역에 캐스팅했다고 말했다.이후 1969년 '안나열정'과 1973년 '결혼장면'에 출연했다.[19]
  4. ^ 작가들은 이 독창적인 결말을 묘사했다.[8][26]각본에서 알마는 편지를 쓰는 대신 자신의 격언인 "나는 사람을 몹시 좋아한다.대부분 그들이 아프고 내가 그들을 도울 수 있을 때.나는 결혼해서 아이를 가질 것이다.나는 그것이 이 세상에서의 삶이 나에게 예비되어 있는 것이라고 믿는다.[8]엘리사벳이 등장하는 마지막 장면은 "테러로 일그러진 울부짖는 활짝 열린 얼굴, 야성적으로 활짝 뜬 눈과 화장 사이로 흐르는 땀의 고랑...[그녀] 얼굴이 움직이기 시작하고, 이상한 윤곽을 가정한다.말이 무의미해지고, 달리고, 뛰고, 마침내 완전히 사라진다."[27]
  5. ^ a b 울만은 2016년 자신이 이 영화에 캐스팅된 이유에 대해 이야기했다.울만은 2007년 감독이 사망하기 전 11편의 작품에 출연하며 뮤즈로 알려지게 됐다.[33]로저 에버트는 버그만과 울만의 "인간이 페르소나 이후 서로 얽혀 있었고, 그것이 ...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이었다"고 말했다.[울만의] 예술적 삶" 그리고 그들은 또한 딸 린 울만을 낳았다.[34]
  6. ^ a b 베르그만은 1961년 영화제작자 스벤 나이크비스트의 추천으로 '글라스 다크리통해'에서 처음으로 피뢰를 촬영지로 이용했다.[39][40]페르소나에 이어 푸르뢰에서 '늑대의 시간'(1968년), '수치'(1968년), '안나의 열정'(1969년), '페르뢰 문서'(1969년), '터치'(1971년) 등에서 촬영에 복귀했다.Fåro Document는 다큐멘터리로, 다른 것들은 상징성을 위해 섬을 사용하며 "섬 영화"[40]로 불렸다.
  7. ^ 버그먼은 여배우들이 그 효과를 알지 못한 채 모비올라 상영을 묘사했다. "우리는 기계를 작동시켰고 리브는 '오, 봐, 비비의 끔찍한 그림이구나!'그러자 비비는 '아니, 내가 아니라 너야!'라고그러자 사진이 멈췄다.모든 사람의 얼굴에는 더 좋은 면과 나쁜 면이 있고, 사진은 비비의 면과 리브의 덜 매력적인 면이 합쳐진 것이다.처음에 그들은 너무 무서워서 얼굴도 알아보지 못했다.그들이 했어야 할 말은 '도대체 내 얼굴을 어떻게 한 거야?'라는 것이었다.하지만 그들은 그러지 않았어!그들은 자신의 얼굴을 알아보지 못했다.나는 그것이 다소 이상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알았다.[49]작가 폴 코이츠는 "베르크만 자신의 반응 자체가 이상하다"고 답했는데, 사람은 최소한의 아첨으로 '식별'하지 않을 것이고, 각 여배우는 두 얼굴을 가진 샷에서 상대방을 정확하게 인식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47]
  8. ^ 페르소나, 글라스를 통해 어둡게, 침묵, 안나열정, 가을 소나타, 마리오네트에서 등 버그먼의 작품에는 가족의 "부정하고 버림받은"이라는 주제들이 실려 있다.[69]
  9. ^ a b 각본에서, 비록 완성된 영화는 아니지만, 엘리스베트는 의사에게 "뚱뚱한 거미의 유혹"[104]을 받는다고 말하면서 편지를 쓴다.에길 투른크비스트는 프롤로그에 있는 거미가 현미경 아래 보이는 것으로 보아 과학적인 목적을 위해 냉정하게 검사되고 있음을 나타냈는데, 이는 엘리사벳의 알마 연구와 비교된다.[100]
  10. ^ 죽음의 동일한 의인화가 페르소나와 감옥에서 나타나는 반면,[107] 감옥에서의 이 가벼운 버전은 베르그만이 나중에 <제7의 옥새>에서 의인화한 <죽음>을 묘사한 것과 대비된다. 그는 벵트 에케롯이 연기한다.[113]베르그만의 영화에서 '사망'의 인격이 보편화되면서, 페르소나의 원래 엔딩은 도끼를 든 나이든 캐릭터가 섬의 알마에게 합류할 것을 요구했다.[8]
  11. ^ 마이클스가 페르소나 프롤로그와 연결한 '유리 다크리' 속 거미신은 해리엇 안데르손의 조현병 캐릭터 카린이 신을 만나기를 기대하며 대신 괴물 거미라는 비전을 가질 때 언급된다.버그만의 차기작인 윈터 라이트(1963년)에서 거미신은 다시 언급되는데, 여기서 군나르 비욘스트란드가 연기한 토마스는 자신의 거미신 개념을 고통과 연관시키는 것으로, 편안함을 주는 사랑의 신에 대한 이전의 생각과는 대조적이다.[115]
  12. ^ 우드,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Persona,[125]의 음악의 이 분석에서 바흐의 베리만의 필모그래피에 걸쳐 침묵의 골트베르크 변주곡 연극 등 사형 집행, 외침과 속삭임 두 자매 다정하게 cello 음악을 만지고, 가을 소나타가 통합의 순간에 사용하는 경우, Bergma 단정하는 것은 분열과 비교했다.ngen"가능한 초월적 우아함"을 나타내기 위해 바흐를 은밀히 사용했다.Persona와 함께, Through a Glass Darkly는 이 용도에 또 다른 예외를 제공한다.[126]
  13. ^ 이 마케팅은 여배우들을 조각그림 퍼즐의 조각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비평가들의 인용구에는 '놀라운 단순함과 위엄을 갖춘 해변에서 두 소년과 기이한 성적 만남이 있다'(NY. Post), '[Bergman]은 스웨덴의 자유를 따라 섹스의 탐구에 들어갔다'(N.Y. Post) '베르그먼은 옷을 완전히 차려입은 여성이 말하는 것을 증명한다.g는 최근 동포들이 스크린에서 쏟아내고 있는 모든 나체와 왜곡을 '어린이집 관능주의'(월드저널 트리뷴)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129]
  14. ^ 저널리스트 마이클 윌밍턴은 스웨덴이 이 영화를 제출했지만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가 이 영화를 지명하지 않은 사실을 관찰하면서 1966년부터 시작해 1992년까지 아카데미 측이 기존의 영화를 선호하고 있다고 비판했다.[175]페르소나는 아카데미 상을 수상하지 못했지만, 다른 세 편의 버그만 영화는 다음과 같이 상을 받았다.[33]버진 스프링 (1960), 글라스 다크리 (Brough a Glass Darkly), 그리고 패니와 알렉산더 (1982)이다.[176]
  15. ^ 에버트는 다음과 같이 썼다: "알트먼은 잉그마르 버그만의 페르소나가 그의 영향 중 하나였다고 말하는데, 우리는 핑키가 밀리를 해치려고 비밀스러운 일을 하고, 그녀의 비밀을 캐고, 결국 그녀의 신분을 흡수하고 훔치려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페르소나는 영화가 깨지는 듯하고 이야기가 다시 시작되어야 하는 중심적인 폭력 순간을 가지고 있는데, 핑키의 수영장 내 잠수는 같은 방식으로 작용한다."[182]작가 프랭크 카소는 알트만의 '공원의 그 추운 날'(1969년)과 '이미지3명의 여성'을 3부작으로 선언하며, 집착, 정신분열증, 성격장애3가지 여성 주제 연결했다.[183]

참고문헌

  1. ^ a b c d e f g h i Steene 2005, 페이지 270.
  2. ^ Li, Charmaine (May 2014). "Revisited: Ingmar Bergman's 'Persona'". Berlin Film Jour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October 2017. Retrieved 6 October 2017.
  3. ^ a b 발리오 1987, 페이지 231.
  4. ^ a b c Hooton, Christopher (29 April 2016). "See how Ingmar Bergman's Persona influenced the cinema that came after it". The Independ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17. Retrieved 5 October 2017.
  5. ^ a b Levy, Emanuel (28 May 2016). "Persona: Ingmar Bergman's 1966 Masterpiece is among the Films that Made Me Want to Become Critic". Emanuellev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17. Retrieved 11 October 2017.
  6. ^ a b c Collin, Robbie (27 June 2016). "When two women become one: is the 'persona swap' cinema's tiniest, kinkiest movie genre?". The Daily Telegrap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November 2016. Retrieved 19 November 2016.
  7. ^ a b c d 마이클스 2000, 17페이지
  8. ^ a b c d e 가도 1986, 페이지 339.
  9. ^ Rosenstock, Benjamin (25 January 2016). "What Does It Mean to Like a Movie?". University of Michig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une 2017. Retrieved 7 October 2017.
  10. ^ Orr 2000, 페이지 86–87.
  11. ^ Wilmington, Michael (17 March 2006). "Ingmar Bergman's 1966 'Persona' a successful personal experiment". The Chicago Tribu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17. Retrieved 5 October 2017.
  12. ^ a b c d 2015년 영, 페이지 127.
  13. ^ Dawson, Tom (24 January 2003). "Persona (2003)". BB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November 2017. Retrieved 5 October 2017.
  14. ^ a b c d 마이클스 2000, 5페이지 5
  15. ^ 바텐베르크 2008.
  16. ^ Boyers, Robert (1968). "Bergman's Persona: An Essay on Tragedy". Salmagundi. 2 (4 (8)): 3–31. JSTOR 40546476.
  17. ^ a b c Elsaesser, Thomas (27 March 2014). "The Persistence of Persona". The Criterion Collec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November 2016. Retrieved 20 November 2016.
  18. ^ 가도 1986, 페이지 340.
  19. ^ a b Callahan, Dan (21 November 2007). "A Woman's Face: Bibi Andersson & Persona at BAM". Slant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7. Retrieved 18 October 2017.
  20. ^ 버그만 2014, 페이지 26.
  21. ^ a b c d Ullmann, Liv (2014). Elisabet Speaks: Liv Ullmann on Persona. Persona (Blu-ray). The Criterion Collection.
  22. ^ 가도 1986, 321페이지.
  23. ^ "New Ingmar Bergman Film Set for Fall of '66 Premiere". The New York Times. 17 July 1965. p. 14.
  24. ^ 맥나브 2009, 페이지 142.
  25. ^ Steene 2005, 페이지 54–55.
  26. ^ a b c 시트니 1990, 페이지 131.
  27. ^ 2015년 영, 페이지 126–127.
  28. ^ 버그만 2014, 페이지 27.
  29. ^ Vermilye 2002 페이지 123.
  30. ^ Fleisher, Frederic (11 November 1966). "A bit of cinematography".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8.
  31. ^ 버그만 2014, 페이지 30.
  32. ^ a b c Bergman, Ingmar (2014). Bibi Andersson, Ingmar Bergman, and Liv Ullmann, 1966. Persona (Blu-ray). The Criterion Collection.
  33. ^ a b Shanahan, Mark (20 May 2016). "Liv Ullmann talks about Ingmar Bergman". The Boston Glo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October 2017. Retrieved 11 October 2017.
  34. ^ Ebert, Roger (16 February 2001). "Liv Ullmann and Memories of Bergman". Rogereber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October 2017. Retrieved 11 October 2017.
  35. ^ 빈버그 2000, 페이지 117.
  36. ^ 우드 2006, 페이지 195.
  37. ^ 톰슨 2015, 225페이지.
  38. ^ 하빈버그 2005, 232페이지.
  39. ^ 가도 1986, 페이지 278.
  40. ^ a b Steene 2005, 페이지 40.
  41. ^ Smallwood, Christine (16 May 2006). "Where the Swedes Go to Be (Really) Alone".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17. Retrieved 6 October 2017.
  42. ^ a b Åhlund, Jannike (24 March 2009). "Bergmans hem säljs – för 35 miljoner kr". Aftonbladet (in Swed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October 2017. Retrieved 7 October 2017.
  43. ^ 버그만 2014, 페이지 33.
  44. ^ a b 안데르손 2014, 페이지 49.
  45. ^ 안데르손 2014, 페이지 47.
  46. ^ 안데르손 2014, 페이지 50.
  47. ^ a b c d 2012년 158-172페이지와 동일하다.
  48. ^ 버그만 2014, 페이지 31.
  49. ^ a b 버그먼 2014, 31-32페이지.
  50. ^ 긴 2006년, 페이지 5
  51. ^ 안데르손 2014, 페이지 49-50.
  52. ^ 루코 2015, 페이지 140–141.
  53. ^ a b c Vermilye 2002 페이지 122.
  54. ^ 마이클스 2000, 16~19페이지
  55. ^ 마이클스 2000, 18페이지
  56. ^ a b c 게르바이 1999, 페이지 96.
  57. ^ 코츠 2012 페이지 166.
  58. ^ 게르바이 1999, 페이지 103.
  59. ^ Gervais 1999, 페이지 103–104.
  60. ^ Vermilye 2002 페이지 124.
  61. ^ 케치암 1986 페이지 242.
  62. ^ 사이먼 1974, 페이지 224.
  63. ^ Steene 2000, 페이지 40.
  64. ^ a b c 손태그 2002 페이지 1
  65. ^ 가수 2009 페이지 164.
  66. ^ 가도 1986, 페이지 342.
  67. ^ 가도 1986 페이지 343.
  68. ^ 2015년 영, 페이지 128.
  69. ^ 2014년, 페이지 24.
  70. ^ Steene 2000, 페이지 42.
  71. ^ a b c d Steene 2005, 페이지 271.
  72. ^ 코츠 2012, 페이지 28.
  73. ^ a b c Parkinson, David (18 October 2016). "Persona 50th anniversary: five films inspired by Ingmar Bergman's masterpiece". British Film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November 2016. Retrieved 20 November 2016.
  74. ^ a b c d 맥나브 2009, 페이지 145.
  75. ^ 덴진 1992년 페이지 28.
  76. ^ 우드 2012, 페이지 265.
  77. ^ 목재 2012, 페이지 265–266.
  78. ^ a b 와인스타인 2008 페이지 302.
  79. ^ 시트니 1990, 페이지 129.
  80. ^ a b 시트니 1990, 페이지 143.
  81. ^ a b 우드 1998, 페이지 251.
  82. ^ a b 2014년, 67페이지.
  83. ^ 블랙웰 1997, 페이지 135.
  84. ^ 블랙웰 1997, 페이지 151.
  85. ^ 블랙웰 1997, 페이지 134.
  86. ^ 대런 2000, 페이지 164.
  87. ^ 포스터 2000, 페이지 138.
  88. ^ a b 루코 2015, 페이지 140.
  89. ^ 포스터 2000, 페이지 135.
  90. ^ a b 포스터 2000, 페이지 137.
  91. ^ 포스터 2000, 페이지 134.
  92. ^ 2013년, 151페이지.
  93. ^ 허브너 2007, 페이지 14.
  94. ^ 허브너 2007, 페이지 15.
  95. ^ 가수 2009, 페이지 171-172.
  96. ^ a b Törnqvist 2003, 페이지 207.
  97. ^ 가수 2009, 페이지 172.
  98. ^ 가수 2009, 페이지 171.
  99. ^ 버검-라슨 1978, 페이지 72.
  100. ^ a b Törnqvist 1995, 페이지 142.
  101. ^ 젠슨 2000, 페이지 273.
  102. ^ Meadows, Benton (2014). "The Hopeless Dream of Being: An Exploration of the Female Gaze in Bergman's Persona". The Corinthian. 15: 115–116.
  103. ^ a b "Persona (1966)". British Film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ugust 2017. Retrieved 5 October 2017.
  104. ^ Törnqvist 1995, 페이지 141–142.
  105. ^ 2015년 영, 페이지 126.
  106. ^ 가수 2009, 페이지 170–171.
  107. ^ a b c d 제르바이 1999 페이지 95.
  108. ^ a b 티핀 2015.
  109. ^ a b c Ford, Hamish (December 2002). "Ingmar Bergman". Senses of Cine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ne 2017. Retrieved 5 October 2017.
  110. ^ Pevere, Geoff (3 April 2014). "Why Ingmar Bergman's Persona remains a radically visionary work". The Globe and Ma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7. Retrieved 5 October 2017.
  111. ^ 룬드 2016, 페이지 18.
  112. ^ 샤르겔 2007, 페이지 199.
  113. ^ O’Donoghue, Darragh (March 2009). "The Seventh Seal". Senses of Cinema. No. 5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ugust 2017. Retrieved 6 December 2017.
  114. ^ 마이클스 1998, 페이지 37.
  115. ^ 파멜로 2009, 페이지 123.
  116. ^ 마이클스 1998, 페이지 36.
  117. ^ 맥나브 2009, 페이지 146.
  118. ^ 2014년, 페이지 63.
  119. ^ Heathcote, Christopher; Marshall, Jai (April 2013). "Cries and Whispers: The Complete Bergman". Quadrant. Vol. 57, no. 4. pp. 84–91.
  120. ^ 빈버그 2000, 페이지 117–118.
  121. ^ 빈버그 2000, 페이지 118.
  122. ^ 빈버그 2000, 페이지 122.
  123. ^ 루코 2015, 페이지 141.
  124. ^ 루코 2015, 페이지 142.
  125. ^ 목재 2012, 페이지 258–259.
  126. ^ 우드 2012, 페이지 258.
  127. ^ 루코 2015, 페이지 145.
  128. ^ 2005년, 페이지 211.
  129. ^ 발리오 2010, 페이지 284.
  130. ^ 2010년 발리오, 페이지 283–284.
  131. ^ 스티그도터 & 버그펠더 2007, 페이지 220.
  132. ^ 스티그도터 & 버그펠더 2007, 페이지 221–222.
  133. ^ 스티그도터 & 버그펠더 2007, 222페이지.
  134. ^ Törnqvist 2003, 페이지 230.
  135. ^ 스티그도터 & 버그펠더 2007, 224페이지.
  136. ^ Koehler, Robert (16–22 April 2001). "A new 'Persona' stirs old passions". Variety. p. 6.
  137. ^ "Persona – Ingmar Bergman". Dvdbeaver.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ne 2012. Retrieved 19 November 2012.
  138. ^ Monk, Katherine (24 March 2014). "Home Movies 25 March: Wolf of Wall Street howls while The Past haunts". Postmedia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November 2016. Retrieved 20 November 2016.
  139. ^ Berardinelli, James (9 September 1999). "1999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Daily Update #1: 'And They're Off...'". Reelviews.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September 2017. Retrieved 12 October 2017.
  140. ^ "Programme 2002: Retrospective".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13. Retrieved 12 October 2017.
  141. ^ a b Steene 2005, 페이지 270–271.
  142. ^ Johnson, Eric C. "Cahiers du Cinema: Top Ten Lists 1951-2009". alumnus.caltech.e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rch 2012. Retrieved 17 December 2017.
  143. ^ a b Ebert, Roger (7 January 2001). "Persona". Rogereber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November 2016. Retrieved 19 November 2016.
  144. ^ Ebert, Roger (7 November 1967). "Persona". Rogereber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November 2016. Retrieved 19 November 2016.
  145. ^ Crowther, Bosley (7 March 1967). "Persona".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November 2016. Retrieved 19 November 2016.
  146. ^ Staff (31 December 1965). "Review: 'Persona'". Var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November 2016. Retrieved 19 November 2016.
  147. ^ "Cinema: Accidie Becomes Electro". Time. 17 March 196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November 2016. Retrieved 19 November 2016.
  148. ^ "The Sight & Sound Top Ten Poll: 1972". British Film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16. Retrieved 20 November 2016.
  149. ^ "Sight & Sound Top Ten Poll 2002 The Rest of Director's List". old.bfi.org.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17. Retrieved 11 May 2021.
  150. ^ 코헨 1993, 페이지 215.
  151. ^ Parkinson, David (1 January 2000). "Persona Review". Empi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17. Retrieved 11 October 2017.
  152. ^ Bradshaw, Peter (31 January 2003). "Persona".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17. Retrieved 11 October 2017.
  153. ^ Wilmington, Michael (17 March 2006). "Ingmar Bergman's 1966 'Persona' a successful personal experiment". The Chicago Tribu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17. Retrieved 11 October 2017.
  154. ^ Bergdahl, Gunnar (30 July 2007). "Bergman väljer sina svenska favoritfilmer". Aftonbladet (in Swed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October 2017. Retrieved 7 October 2017.
  155. ^ Kael, Pauline (13 October 2008). "Movies". The New York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November 2016. Retrieved 19 November 2016.
  156. ^ Brody, Richard (4 August 2010). "DVD of the Week: Persona". The New York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17. Retrieved 11 October 2017.
  157. ^ 말틴 2012.
  158. ^ TM. "Persona". Time Ou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17. Retrieved 11 October 2017.
  159. ^ Kehr, Dave. "Persona". Chicago Read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17. Retrieved 11 October 2017.
  160. ^ "100 Greatest Foreign Films by Movieline Magazine". Filmsite.org. Retrieved 19 April 2009.
  161. ^ "Take One: The First Annual Village Voice Film Critics' Poll". The Village Voice. 19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ugust 2007. Retrieved 27 July 2006.
  162. ^ "Persona". Entertainment.times.
  163. ^ 니콜스 & 스콧 2004, 페이지 751.
  164. ^ "The 100 Best Films of World Cinema – 71. Persona". Empire. 11 June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5. Retrieved 20 November 2016.
  165. ^ Christie, Ian, ed. (1 August 2012). "The Top 50 Greatest Films of All Time". Sight & Sound. British Film Institute (September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rch 2017. Retrieved 6 June 2013.
  166. ^ "Directors' Top 100". Sight & Sound. British Film Institute.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February 2016.
  167. ^ "De 25 bästa svenska filmerna genom tiderna". Flm (in Swedish). 30 August 2012. Retrieved 30 August 2012.
  168. ^ Cumming, Ed (24 May 2017). "A wholly subjective list of the most pretentious movies of all time: Persona (1966)". The Daily Telegrap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17. Retrieved 11 October 2017.
  169. ^ "Persona (1966)". Rotten Tomato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November 2016. Retrieved 13 June 2021.
  170. ^ "Persona". Metacritic.
  171. ^ "The 100 Greatest Foreign Language Films".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9 October 2018. Retrieved 10 January 2021.
  172. ^ "The 100 best movies of all time". 8 April 2021.
  173. ^ a b "Persona". Swedish Film Institute. 1 March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March 2014.
  174. ^ "Ingmar Bergman never won best picture at the Oscars". Los Angeles Times. 30 July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17. Retrieved 5 October 2017.
  175. ^ Wilmington, Michael (18 February 1992). "'Europa' at Center of Oscar Storm : Commentary: Debate over why the film won't be a foreign-language nominee reveals inequities of process". Los Angeles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December 2015. Retrieved 7 October 2017.
  176. ^ "Ingmar Bergman dies at 89". Variety. Associated Press. 3 August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December 2017. Retrieved 21 October 2017.
  177. ^ "Foreign Actress in 1968".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April 2016. Retrieved 19 November 2016.
  178. ^ "1967 Award Winners". National Board of R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16. Retrieved 19 November 2016.
  179. ^ "Past Awards". National Society of Film Critic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17. Retrieved 12 November 2016.
  180. ^ 코헨-샬레프 2002, 138페이지.
  181. ^ 포드 2015, 페이지 124.
  182. ^ Ebert, Roger (26 September 2004). "3 Women". Rogereber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November 2016. Retrieved 19 November 2016.
  183. ^ 카소 2015.
  184. ^ Indiana, Gary. "The Last Weekend". The Criterion Collec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October 2017. Retrieved 1 October 2017.
  185. ^ 2014년, 62~63페이지.
  186. ^ 렘스 2015.
  187. ^ Aschenbrenner, Jenny (10 December 2011). "Teater: Bergmansk magi". Aftonbladet (in Swed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October 2017. Retrieved 7 October 2017.
  188. ^ "Deformerad Persona: Skoningslös parafras på Bergmans maktkamp". Svenska Dagbladet (in Swedish). 27 June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October 2017. Retrieved 7 October 2017.
  189. ^ "Deformerad Persona" (in Swedish). Royal Dramatic Theat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October 2017. Retrieved 7 October 2017.
  190. ^ Jonassen, Trine Høklie (22 April 2009). "Ullmann i ny film om Bergman". Dagbladet (in Norweg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October 2017. Retrieved 7 October 2017.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