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스티니아 왕조 하의 비잔틴 제국
Byzantine Empire under the Justinian dynasty비잔틴 제국 임페리움 로마눔 | |||||||||||||||||||
---|---|---|---|---|---|---|---|---|---|---|---|---|---|---|---|---|---|---|---|
518–602 | |||||||||||||||||||
자본의 | 콘스탄티노플 | ||||||||||||||||||
공통 언어 | 그리스어, 라틴어 | ||||||||||||||||||
정부 | 군주제 | ||||||||||||||||||
황제 | |||||||||||||||||||
• 518–527 | 쥐스탱 1세 | ||||||||||||||||||
• 527–565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
• 565–574 | 쥐스탱 2세 | ||||||||||||||||||
• 574–582 | 티베리우스 2세 | ||||||||||||||||||
• 582–602 | 모리스 | ||||||||||||||||||
역사 | |||||||||||||||||||
518년 7월 10일 | |||||||||||||||||||
• 모리스 퇴적 | 602년 11월 27일 | ||||||||||||||||||
|
유스티니아 왕조 | ||
---|---|---|
연표 | ||
승계 | ||
| ||
의 이력 비잔틴 제국 |
---|
선행 |
초기 (330 ~717) |
중기(717~1204) |
후기(1204~1453) |
타임라인 |
토픽별 |
비잔틴 제국의 문 |
비잔틴 제국은 서기 518년 쥐스탱 1세가 즉위하면서 시작된 유스티니아 왕조 하에서 첫 황금기를 맞았다.유스티니아 왕조, 특히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통치 하에서, 제국은 서방의 상대방이 몰락한 이후 가장 큰 영토 범위에 도달했고, 북아프리카, 남부 일리리아, 남부 스페인, 그리고 이탈리아를 제국에 합병시켰다.유스티니아 왕조는 602년 모리스의 퇴위와 그의 후계자인 포카스의 등장으로 막을 내렸다.
쥐스탱 1세
초기 생애와 왕위 계승
유스티니아 왕조는 동명이인인 유스티니아 1세가 왕위에 오르면서 시작되었다.저스틴 1세는 [1]450년대 베데리아나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많은 시골 청년들처럼,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서 군대에 입대했는데, 그의 신체적 능력으로 인해 궁궐 [2]경비대원이 되었다.그는 이사우리아와 페르시아 전쟁에서 싸웠고, 계급이 높아져서 Excubiters의 지휘관이 되었고, 그것은 매우 영향력 있는 위치였다.이 시기에 그는 상원의원이기도 했다.확실한 후계자가 없었던 아나스타시우스 황제가 죽은 후, 누가 [3]황제가 될 것인가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었다.누가 왕위에 오를지 결정하기 위해 하마에서 대회의가 소집되었다.한편, 비잔틴 원로원은 궁전의 큰 홀에 모였다.원로원은 외부의 개입과 영향력을 피하고 싶었기 때문에, 후보자를 빨리 뽑아야 했지만, 그들은 동의할 수 없었다.몇몇 후보자들이 지명되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낙선했다.많은 논쟁 끝에, 원로원은 저스틴을 지명하기로 결정했고,[2] 그는 7월 10일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인 카파도키아의 요한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
통치.
라틴어 지방 출신인 저스틴은 그리스어를 거의 [1]하지 못했고 거의 [2]문맹이었다.그래서 그는 지적인 조언자들로 둘러싸여 있었는데,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사람은 그의 조카인 유스티니안이었다.유스티니안은 그의 삼촌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프로코피우스와 같은 일부 역사가들에 의해 왕위 [3][4]이면의 실세라고 여겨진다.그가 왕위에 오른 후 저스틴은 다른 후보들을 제거했다; 두 명은 처형되었고 세 명은 사형 또는 추방 처벌을 받았다.단성파였던 그 이전의 대부분의 황제들과는 달리, 저스틴은 독실한 [5]정교회 신자였다.단성파와 정교회는 그리스도의 이중성질을 두고 갈등을 빚었다.역대 황제들은 교황의 정통 가르침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단성파의 입장을 지지했고, 이 갈등은 아카시아 분열을 초래했다.정통파 신자인 저스틴과 새로운 총대주교인 카파도키아의 요한은 즉시 [6]로마와의 관계를 회복하기 시작했다.미묘한 협상 끝에 아카시아 분열은 519년 3월 말에 끝났다.이 초기 교회 개편 이후 저스틴의 나머지 통치 기간은 비교적 조용하고 평화로웠다.525년 저스틴은 아마도 유스티니안의 주장으로 궁정 관리들이 하층민들과 결혼하는 것을 사실상 금지하는 법을 폐지했다.이것은 유스티니안이 사회적 지위가 낮은 테오도라와 결혼하는 것을 허락했다.그의 말년에, 제국 주변에서 분쟁이 증가하였다.이탈리아 반도에서 동고트 왕국과의 분쟁이 증가했다.그들의 왕 테오도릭 대왕은 비잔틴의 음모를 의심했고,[7] 로마 원로원 계급을 자극하여 박해를 끝내려는 철학자 보에티우스를 처형하기까지 했다.하지만, 테오도릭은 526년에 죽었고, 박해는 끝이 났다.마찬가지로, 사산 제국은 비잔티움과의 적대 관계를 재개했고, 동쪽에서 이베리아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 전쟁은 유스티니아누스 통치 때까지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527년 저스틴은 위독한 병에 걸린 후 유스티니아누스를 공동 황제로 임명했다.저스틴은 병에서 회복되었지만, 몇 달 후, 그는 오래된 상처에 궤양으로 죽었고, 유스티니안은 [8]왕위에 올랐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1세 치하에서 왕조의 힘이 나타났다.니카 폭동 이후, 유스티니아누스는 도시를 재건하고 유스티니아누스의 법전으로 법을 개혁했다.
유스티니아누스는 그의 삼촌이자 이전 황제였던 유스티니아누스 1세로부터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물려받았다.유스티니아누스는 유프라테스 강 하류까지 군대를 보내는 데 성공하면서 전쟁을 계속했지만, 급습은 중단되었고, 그는 참패로 새로운 요새의 시작을 잃었다.이러한 교착상태로 인해 유스티니아누스는 "영원한 평화"를 협상하게 되었고, 그는 적대행위를 중단하고 몇 개의 [9]산길을 방어하는 대가로 11,000 파운드의 금을 지불하기로 동의하였다.
그리고 그는 로마 제국을 재건하려는 꿈을 이루기 시작했다.그의 명령에 따라, 그의 총애를 받는 장군 벨리사리우스는 반달족을 시작으로 옛 로마 영토를 재탈환하기 시작했다.
반달족은 서로마제국이 멸망한 이후 북아프리카의 지배력을 유지한 후 만족하고 느긋해졌다. 그들의 군대는 벨리사리우스가 지휘하는 15,000명의 두 배에 달했지만, 제국군의 위협에 대처할 수 있는 훈련과 장비가 부족했다.반달의 왕 젤리머는 아드 데시멈 전투에서 비잔티움을 포위하려고 시도했다; 그는 벨리사리우스를 물리쳤지만 죽은 동생의 시신을 발견한 후 히스테리를 일으켰다.벨리사리우스는 남은 병사들을 모아 현재 제대로 지휘되지 않은 반달들의 무질서한 무리를 깨뜨렸다.벨리사리우스는 카르타고를 점령했고, 비잔틴은 [10]승리했다.
그리고 유스티니안은 승리한 벨리사리우스를 떠올렸다.이탈리아에서는 지배자인 동고트족 사이의 왕조 다툼이 유스티니아누스에게 침략의 기회를 주었고, 그는 벨리사리우스를 7500명의 병력과 함께 시칠리아로 보냈다.벨리사리우스가 도착해서 형식적인 [11]저항만 받았다.그 후 그는 이탈리아 본토로 이동했다.벨리사리우스는 최근 정복된 북아프리카에서 반란을 진압한 후 이탈리아 본토에 상륙하여 같은 상징적인 저항을 받았다.그러나 나폴리의 고딕 수비대는 저항했고, 몇 달 동안 [12]포위된 후에 벨리사리우스는 도시를 약탈했다.두 왕의 죽음으로 이어지는 더 많은 왕조 다툼 후에, 벨리사리우스는 라벤나에 있는 동안 교황에 의해 로마로 초대되었다.이 소식을 들은 고딕 왕 위티기스는 로마를 [13]포위하기 위해 15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병력을 파견했다.벨리사리우스는 로마를 요새화하고 있었고, 공성전이 뒤따랐다.1년 9일 후, 힘든 포위전 끝에, 위티기스는 왕으로서 완전한 능력을 발휘했고, 벨리사리우스는 지휘관으로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고트군은 식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리미니움을 포위하기 위해 이동했다.또 다른 비잔틴 장군인 나르세스는 도움을 요청받았고 그는 벨리사리우스가 포위망을 뚫는 것을 돕기 위해 그의 영향력을 이용했다.밀라노 대학살 이후 나르세스의 지휘 계통이 깨진 사실이 드러났다. 벨리사리우스의 편지 이후 나르세스는 유스티니아누스에 의해 소환됐다.그 후, 이 캠페인은 공성전이 되었고,[14] 벨리사리우스가 서로마 황제가 되겠다는 제안을 받아들이는 척하면서 끝이 났다.그는 반대하지 않고 도시로 진군하여 그곳을 점령하고 나서 위티기스 왕을 처치했다.
벨리사리우스는 이탈리아에서 소환되었고, 곧 페르시아 전선으로 보내졌고, 페르시아 전선은 다시 전쟁으로 번졌다.이 기간 동안 동고트족은 이탈리아의 대부분을 탈환했다.페르시아 전선이 잦아든 후, 페르시아인들은 그가 죽을 때까지 다시는 비잔틴과 싸우지 않겠다고 맹세했고, 벨리사리우스는 이탈리아를 탈환하여 18년 [15]동안 지속된 전쟁에서 스페인 남부를 점령했다.
유스티니아누스의 재정복 전쟁은 제국을 이탈리아, 바이티카,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 등 옛 로마 속주로 확장시켰다.이러한 추가 사항들은 비잔틴 제국을 역사상 가장 큰 지점으로 확장시켰다.
쥐스탱 2세
유스티니안의 재정복과 광범위한 재건 프로그램 이후, 제국의 재고는 텅 [16]빈 채로 남겨졌다.재정 혼란은 제국을 약화시켰고, 그의 후계자인 저스틴 2세는 아바스에 대한 지불을 중단해야만 했다.비잔틴이 페르시아인들에게 정신이 팔려 있는 동안, 알보인 왕이 이끄는 롬바르드족 무리들이 이탈리아를 침공했고, 곧 반도의 대부분을 정복했다.이후 페르시아와의 전쟁은 시리아에서 잘 진행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저스틴 2세를 무덤으로 몰아넣은 정신질환을 초래했다.
티베리우스 2세
티베리우스 2세가 저스틴 2세의 뒤를 이었다.그의 4년간의 치세는 제국의 지나친 확장으로 인한 제국의 약점으로 특징지어졌다.그는 라벤나를 강화했고, 그의 장군들은 아르메니아에서의 전투와 북아프리카에서의 베르베르와의 전투에서 성공을 거두었다.동시에 슬라브인들은 그리스로 이주하기 시작했다.너무 연약한 황제는 돈이 다 떨어졌고, 페르시아와 싸우고 있던 동방의 군대에 돈을 지불할 수 없었고, 그들은 반란을 일으키겠다고 위협했다.그의 군대가 다른 곳에 배치되자, 아바르족은 그를 이용해 티베리우스가 핵심 도시 시르뮴을 포기하도록 강요했다.이 좌절 후에, 티베리우스는 고의로 독을 먹었을지도 모르는 나쁜 음식을 먹었고, 병에 걸려 죽었다.
모리스
보도에 따르면 유스티니아 왕조의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황제인 모리스는 아르메니아에서 왔고, 콘스탄티노플에서 노타리우스로 그의 경력을 시작했다.그는 결국 친위대 서기로 승진했고, 서기 577년 육군 총사령관에 임명됐다.그는 572-591년 비잔틴-사산 전쟁에서 동양에서 고된 유세를 한 후, 귀족 계급으로 승진했다.582년, 천황의 딸과 결혼해,[17] 43세의 나이로 왕위를 계승.
모리스의 치세는 끊임없는 금전 문제로 특징지어졌다.모리스는 왕위에 올라 완전히 파산한 제국을 받았고, 이 재정 상태는 그의 통치 말기까지 계속되었다.그는 또한 군사적 문제를 물려받았다: 슬라브인들은 종종 폭력적으로 제국에 계속 이주하고 있었고, 이탈리아에 대한 제국의 지배력은 완전히 무너지고 있었다; 그는 또한 여전히 그의 군 경력 전체를 위해 싸웠던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계속해야 했다.이 페르시아 전쟁은 또한 재정적인 어려움과 싸웠고, 588년에 큰 폭동을 일으켰다; 하지만, 돈 분쟁은 이듬해 봄에 해결되었다.반란 기간 동안, 페르시아의 경쟁 파벌들 사이에 내전이 시작되었고, 모리스는 기회를 보았다.그는 페르시아에서 Khosrau[18] 2세를 지지했고, 그는 왕좌에 오르는 데 성공했다.이로써 572-591년의 비잔틴-사산 전쟁은 끝이 났다.
그리고 나서 모리스는 10년 동안 군대의 무관심 끝에 슬라브족에 의해 완전히 황폐화된 발칸반도로 관심을 돌렸다.군대의 전폭적인 관심과 함께, 비잔틴은 슬라브족을 제국에서 몰아내고, 다뉴브 강 너머의 그들의 땅을 황폐화시켰다.이 결정적인 승리 후에, 비잔틴은 이제 다뉴브 강에서 로마 제국 이후와 같이 쉽게 국경을 장악할 수 있었고, 남부 다키아에 있는 일부 소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광범위한 군사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모리스는 항상 빈 재고를 가지고 있었고 종종 그의 병사들에게 지급되는 급여를 줄여야 했기 때문에 제국의 국경 내에서 매우 인기가 없었다.이러한 비인기 때문에, 그는 602년 녹색당에 의해 퇴위되고 그들의 선택인 포카스로 대체되었다.
계보학
레오 1세 황제 457-474 레오니드 | |||||||||||||||||||||||||||||||||||||||||||||||||||||||||||||||||||||||||||||||||||||||||||
아리아드네 | 아나스타시오 1세 황제 491-518 | (표준) | 유페미아 | 쥐스탱 1세 518–527 | 비질리아 | 페트루스 사바티우스 | (표준) | ||||||||||||||||||||||||||||||||||||||||||||||||||||||||||||||||||||||||||||||||||||
(딸) | 코미토 | 테오도라 | 유스티니아누스 1세 527–565 | 비질리아 § 둘시디우스 | 게르마누스 | 보라이데스 | |||||||||||||||||||||||||||||||||||||||||||||||||||||||||||||||||||||||||||||||||||||
아나스타시우스 517 영사 | 소피아 § 저스틴 2세 | ( ) 。 테오도라 | 쥐스탱 2세 565–574 | 마셀루스 일반적인 § 줄리아나 | 프라에젝타 § 1. 아레빈두스 마지스터 2. 존 | 저스틴 집정관 540 | 유스티니안 일반적인 | ||||||||||||||||||||||||||||||||||||||||||||||||||||||||||||||||||||||||||||||||||||
아라비아 § 바두아리우스 | |||||||||||||||||||||||||||||||||||||||||||||||||||||||||||||||||||||||||||||||||||||||||||
아레오빈두스 | 티베리우스 2세 578–582 | 이노 아나스타샤 | |||||||||||||||||||||||||||||||||||||||||||||||||||||||||||||||||||||||||||||||||||||||||
아나스타시아 아레오빈다 | 피터야. 쿠로팔레이트 | 모리스 582–602 | 콘스탄티나 | ||||||||||||||||||||||||||||||||||||||||||||||||||||||||||||||||||||||||||||||||||||||||
티베리우스 | 테오도시우스 공동 연구 590–602 | 마리아야. | 호스로 2세 페르시아의 샤 | (언니) | 샤흐르바라즈 페르시아의 샤 | 헤라클리우스 황제 610-641 헤라클라이언스 | |||||||||||||||||||||||||||||||||||||||||||||||||||||||||||||||||||||||||||||||||||||
나이키 | 테오도시오스 | 콘스탄티누스 3세 황제 641 | |||||||||||||||||||||||||||||||||||||||||||||||||||||||||||||||||||||||||||||||||||||||||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174
- ^ a b c 카메론 2000, 페이지 63
- ^ a b 1923년, 페이지 19
- ^ 프로코피우스시크릿 히스토리, 인용: Burry (1923, 페이지 19)
- ^ Sarris 2011, 페이지 137. 오류: : 2011
- ^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175
- ^ 카메론 2000, 페이지 64/65
- ^ 1923년, 페이지 23
- ^ 1923년, 페이지 88
- ^ 1923년, 페이지 135
- ^ 1923년, 페이지 171
- ^ 1923년, 페이지 176
- ^ 1923년, 페이지 183
- ^ 1923년, 페이지 213
- ^ 1923년, 페이지 283
- ^ Corrick 2006, 59페이지
- ^ Chisholm, Hugh, ed.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17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909. .
- ^ Meyer, Eduard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6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71–272. . In Chisholm, Hugh (ed.).
원천
- Bury, John Bagnall (1923).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Macmillan & Co. Ltd. Retrieved 13 March 2013 – via LacusCurtius.
- Cameron, Averil (2000). "Chapter 3".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ameron, Averil; Ward-Perkins, Bryan & Whitby, Michael (2000).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 14. Late Antiquity: Empire and Successors, A.D. 425 - 6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orrick, James (2006). The Byzantine Empire. Farmington Mills MI: Thompson & Gale.
- Treadgold, Warren T. (1997).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