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루칸
Caloocan칼루칸 칼루칸 | |
---|---|
칼루칸 주의 도시 | |
(상단,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칼루칸 시청 • 라로마 묘지 • 기념비적 원 • 산로크 대성당-파리시 • 칼루칸 스포츠 콤플렉스 • 칼루칸 도교 사원) | |
모토: 도앙 우나 | |
애국가: "마부하이 앙 칼루칸" | |
![]() 메트로 마닐라 내 칼루칸의 위치 | |
필리핀 내 위치 | |
좌표: 14°39˚N 120°58°E / 14.65°N 120.97°E좌표: 14°39′N 120°58°E / 14.65°N 120.97°E/ °E | |
나라 | 필리핀 |
지역 | 국립수도권 |
주 | 없는 |
구 | 1~3구역 |
설립됨 | 1815 |
도시성 | 1962년 2월 16일 |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 | 1979년 12월 22일 |
바랑게이 | 188(바랑게이 참조) |
정부 | |
• 유형 | 상무니앙판룽소드 |
• 시장 | 오스카 말라피탄 (NP) |
• 부시장 | 루이스 마카리오 E. 아시스티오(NPC) |
• 대표자 | |
• 시의회 | 회원들 |
• 유권자 | 유권자 71만9447명(2019년) |
면적 | |
• 합계 | 55.80km2(21.54제곱 mi) |
표고 | 30m(100ft) |
최고 고도 | 514m(1,686ft) |
최저 고도 | -2m(-7ft) |
인구 (1998년 인구조사) | |
• 합계 | 1,661,584 |
• 순위 | 4일 |
• 밀도 | 30,000/km2(77,000/sq mi) |
• 가구 | 353,357 |
이코노미 | |
• 소득계층 | 제1차 도시소득층 |
• 빈곤 발생 | 4.66% (2018)[4] |
• 수익 | ₱6,811,974,121.00 (2020) |
• 자산 | ₱21,771,799,844.00 (2020) |
• 지출 | ₱8,501,484,007.00 (2020) |
• 부채 | ₱9,938,639,767.00 (2020) |
서비스 제공업체 | |
• 전기 | 마닐라 전기 회사(메랄코) |
시간대 | UTC+8(PST) |
우편번호 | 1400–1413, 1420–1428 |
PSGC | |
IDD : 지역번호 | +63 (0)02 |
네이티브 언어 | 타갈로그어 |
웹사이트 | www |
칼루칸, 공식적으로 칼루칸 시(Tagalog: Lungsod ng Caloocan; IPA: [칼리쇼칸]은 필리핀 메트로폴리탄 마닐라에 있는 1급 도시다. 202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 166만1584명으로 필리핀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다.
칼루칸은 총합면적이 5,333.40헥타르의 두 지리적 위치로 나뉜다. 이전에는 필리핀 남부 루손 지역의 리잘 성의 일부였다. 이 지역은 도시 말라본, 나보타스, 발렌주엘라와 함께 CAMANAVA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사우스칼루칸은 마닐라, 케손시, 말라본, 나보타스, 발렌주엘라와 접해 있다. 주거지역과 결합한 상업 및 산업활동의 존재는 도시화된 중심상업지구로, 메트로폴리탄 마닐라 북부지역의 주요 도시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5] 노스칼루칸은 불라칸 지방의 케손시, 발렌주엘라, 마루라오, 메이카우야얀, 산호세 델 몬테와 국경을 공유하고 있다. 주로 주거지 구획과 광범위한 재정착 지역으로 구성되며, 대부분 도로 환승 지점과 교차로 내에 산업용지가 산재되어 있다.[5]
어원
Tagalog 루트 단어 lo-ok에서 Caloocan이 유래하였고, 칼룩-lookan (또는 칼루브-looban)은 "가장 안쪽 지역"을 의미한다. 이 도시의 이름은 구어체로 칼루칸이라고 한다.
도시 이름 철자 선호에 비해 선호도가 엇갈린다. 변형과 철자에 대한 명백한 혼동은 1970년대 초 시의회가 결의안을 채택하면서 시 부서가 "칼루칸"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도록 요구하면서 일어났다. 1972년 9월 계엄령으로 선포되면서 결의안 집행이 중단됐다. 시와 시의회가 복원된 후, 당시 시의원 오로라 아시스티오 헨슨은 결의안 006호를 제출하여, 이전의 결의안을 수정하고, 시의 모든 주민과 모든 사무실과 시설에 "공적"이든 "사적"이든 "필리핀 민족주의"를 조장하도록 요구하였다. 헨슨에 따르면, '필리핀화된 철자법'은 도시의 역사에 본질과 의미를 부여하며, 그녀는 "시청, 바랑게이 홀, 공공 시장, 그리고 다른 장소들에서 모든 관련자들의 정보와 지도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철자의 변화는 도시민, 사업주, 그리고 공무원들에 의해 비난 받았다. 전 국회의원이자 시장인 비르질리오 로블스는 이 조치가 의회의 승인이 부족했기 때문에 불법이라고 선언했다. 그는 도시의 이름이 도시 헌장에 나타난 것처럼 "Caloocan"으로 표기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비록 혼동이 도시 전역의 많은 사업체들의 다양한 철자 선택으로 이어졌지만, 도시의 일반적인 철자 경향은 기존의 시 조례에도 불구하고 "칼루칸"이 아니라 "칼루칸"이다. 이 공식 로고는 "캘루칸"이라는 이름의 철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철자는 이 도시의 많은 바랑게이들과 공립학교와 사립학교들이 선호하고 있다. '칼루칸'은 마카티에 본사를 둔 필리핀법인(DPC)이 선호하고 있으며, 만달루룡에 본사를 둔 HIDN출판사와 같은 많은 국내 신문과 잡지, 지도 제작자들은 '칼루칸'을 선호한다.[6][7]
역사
원래 칼루칸은 톤도와 탐보봉의 옛 마을이 만나는 지역으로 서쪽으로는 초승달 모양의 내륙 석호인 다갓다탄 해안을 따라 위치해 있었다. 해안가의 정착지는 스페인 사람들에게 "아로마한" 또는 "에스피나"라고 불렸으며, 톤도에서 바다로 통하는 키나부타산의 개활지 쪽으로 좁은 산등성이에 의해 마닐라 만에서 분리되었다.[8]
1700년대 후반에 이르러 아로마한의 어부들은 다갓다간 동쪽 언덕 쪽으로 확장되었다. 이 자연적으로 돌이 많은 언덕은 '칼루간'이라고 불렸는데, '내부 영토'라는 뜻으로, 옛 타갈로그어 '루그'(loog)에서 진화했다. 'g' 소리는 타갈로그 음운론(예: 박삭 > 백삭)에서 'k' 소리로 바뀌어 현재 도시의 이름으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아로마한이 변방으로 강등되면서 이 언덕 꼭대기 지역도 톤도 출신의 억압받는 사람들에 의해 정착되어 1802년에 이르러 공동체의 새로운 중심이 되었다. 동쪽으로는 톱니바퀴로 덮인 넓은 땅이 펼쳐져 있었다. 결국 옛 타갈로그에서 평평한 초원을 뜻하는 '칼라난'으로 불리게 된 이 지역은 현재 일반적으로 그레이스 공원으로 알려져 있다.[8]
칼루칸은 1815년 톤도와 분리되면서 시군이 되었다. 원래의 영토는 동쪽으로는 마리키나, 산 마테오, 몬탈반, 북쪽으로는 티나제로스, 탄자, 탈라 강, 남쪽으로는 샌프란시스코 델 몬테, 삼팔록, 산타 크루즈, 톤도, 서쪽으로는 다갓다가탄과 아로마한으로 확장되었다.[9] 지방 정부 청사는 리비스 에스피나 바로 위에 비교적 잘 정착된 부분에 설치되었다. 옛 아로마한 예배당은 마침내 버려졌고 시청을 마주한 새 교회가 세워졌다. 스페인 당국의 탈출을 위해 이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마을을 제대로 버리고 발린타왁과 푸가드 로윈의 초원으로 피난처를 찾았는데, 이 곳에서 사람들은 거의 백 년 동안 지속된 지상권을 위해 하시엔다 데 메이실로의 지주들과 싸웠다.[9][8]
이 도시는 스페인 필리핀 점령기에 필리핀 혁명을 일으킨 비밀 무장 사회인 카티푸난의 활동 중심지였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의미가 크다. 칼루칸의 한 주택에서는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와 부하들에 의해 비밀회의가 열렸는데, 카티푸난과 스페인 사람들 사이에 처음으로 무장한 만남이 일어난 곳은 도시의 변두리에서였다. 혁명은 1896년 8월 30일 안드레스 보니파시오가 이끄는 '발린타왁의 외침'이 압제자들을 상대로 일으킨 이후 촉발되었다.
1899년, 칼루칸 사람들은 미국에 대한 그들의 패권을 확장하는데 혈안이 되어 있는 미국인들과 타협하는 것에 저항했다. 칼루칸 사람들은 1899년 2월 23일 새로운 침략자들과 싸웠지만, 승리는 안토니오 루나가 아귀날도의 충신들과 갈라섰다는 핑계로 지역군을 따돌렸다.[9] 그 후, 그 도시는 필리핀-미국 전쟁, 칼루칸 전투와 제2차 칼루칸 전투에서 격렬한 전투를 보았다.
1901년 미국 정권 하에서 칼루칸은 리잘 성의 자치구 중 하나가 되었다. 여러 자치체들의 통합으로, 당시 독립된 자치체였던 노발리체스는, 필리핀 위원회의 984조와 1008조에 의해 개정된, 법 942에 따라, 당시 칼루칸 자치체의 일부가 되었다.
1961년, 공화국법 제3278호가 필리핀 의회의 승인을 받아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Caloocan은 1962년 2월 16일 공식적으로 도시에 취임했다.[9]
칼루칸은 대통령령 제824호로 인해 1975년 11월 7일 수도 지방이나 메트로 마닐라의 일부가 될 때까지 리잘 성의 도시로 남아 있었다.[10]
영토 변화
Caloocan은 한때 훨씬 더 크고 인접한 지역을 포함했다. 발린타와크, 라로마, 노발리체스 지역은 한때 칼루칸의 일부였다. 발린타왁은 단당 소라의 집 근처에 있는 '강콩'이라는 위치에 있었던 '푸가드 로인(우낭 시고 사 발린타왁)'의 원래 터였기 때문에 역사적인 지역이다. 노발리케스는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와 카티푸난의 만남의 장소와 은신처 역할을 하는 일부 산허리가 있는 광활한 지역이었다.
1920년대까지 몇몇 자치체들이 통합되었다. Caloocan은 필리핀 위원회의 984조 및 1008조에 의해 개정된 942년 법률에 명시된 이웃 마을인 Novaliches를 합병하여 총 면적은 약 15,000헥타르에 이른다.[9] When Commonwealth Act 502 created Quezon City in 1939, Caloocan ceded 1,500 hectares of land from the barrios or sitios of Balintawák, Balingasa, Kaingin, Kangkong, La Loma, Malamig, Matalahib, Masambong, Galas, San Isidro, San José, Santol and Tatalon. 이전을 반대하는 대신, 칼루칸 주민들은 이 땅이 이 나라의 새로운 수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기꺼이 이 땅을 주었다.[11]
그러나 1949년에 의회는 칼루칸-케손시 경계를 재정립한 공화국법 제392호를 통과시켰다.[12] 바사, 탈리파파파, 산 바르톨로메, 파송 타모, 노발리케스 포블라시온, 반라트, 카부야오, 푸가드 로린, 백백, 파송 푸틱의 바리오스는 한때 노발리케스에 속하고 면적이 약 8,100헥타르에 달했던 칼루칸으로부터 배설되었다. 노발리케스의 나머지 부분은 현재 노스칼로우칸이라고 불린다. 이 Caloocan은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 더 도시화된 남쪽 구역과 교외 지역이 된 북쪽 구역.
지리
칼루칸은 총합면적이 53.334제곱미터(574.08제곱피트)인 두 개의 비연속 지역으로 나뉜다. 면적이 13.625㎡(146.66평방피트)인 사우스칼루칸은 남쪽으로는 마닐라와, 동쪽으로는 퀘손시와, 북쪽으로는 말라본, 나보타스, 발렌주엘라 등과 접해 있다. 면적이 39.709㎡(427.42평방피트)인 노스칼루칸은 케손 시 남남동쪽, 발렌수엘라 남서쪽, 불라칸 주의 마릴라오, 메이카우얀, 산호세 델 몬테가 국경을 공유하고 있다.[9]
지형
상업 및 산업 시설이 대부분인 사우스칼로오칸은 대체로 평탄하고 접근성이 높은 땅에 놓여 있으며, 경사가 0~3%에 이른다. 지형은 점차 완만한 경사진 경사로 바뀌어 북루손 고속도로를 따라 구르는데 경사가 3~18%에 이른다. 해발 35.00m의 가장 높은 지점은 이 지역에서 찾을 수 있으며, 가장 낮은 지점은 평균 해발 약 0.993m의 다갓다간 남부에 있다.[13]
노스칼루칸은 경사가 완만하고 가파르게 굴곡진 지형에서 북쪽과 중심부에서 주로 볼 수 있는 3~18%의 경사가 있는 굴곡진 지형에서 점차 경계선 서남쪽 끝까지 평지(平地)가 남하하는 추세로 변모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도로들이 접근하기 때문에, 이 근접한 땅에 많은 산업 및 주택 구역이 개발되었다.[13]
지질학
Caloocan의 두 부분의 지질 형성은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다양하며, 특히 2분위 알루비움, 무두질 침전물, 화쇄성 유동 퇴적물, 대기업으로 분류된다. 마닐라만의 해안선으로 확장되고 사우스 칼루칸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메트로폴리탄 마닐라 동쪽 반쪽에 형성된 이 성형은 모래, 실트, 점토 또는 자갈을 포함하는 비연결 하천 퇴적물로 구성된 2차 알루비움이다.[13]
남칼루칸의 동쪽으로는 터프 침전물과 백악 침전물로 이루어진 넓은 지역을 추적할 수 있어 메트로폴리탄 마닐라의 동쪽 전체를 향해 퍼져 나간다. 화산재 흐름의 석화로 형성된 화쇄성 유동 퇴적물 또는 화성암도 마찬가지로 사우스 칼루칸의 북부 프링그와 노스 칼루칸의 대부분 지역에 존재한다. 노스칼루칸의 북동쪽 국경에서는 탈라 에스테이트를 가로지르고 불라칸 지방과 라 메사 분수령까지 뻗어나가는 거대 암석이 추적되었다.[13]
칼루칸의 두 지역에서 발견된 토양은 주로 노발리케스 시리즈에 속하며, 도시 전체 토지 면적의 96%를 차지한다. 노발리케스 시리즈는 불그스름한 갈색 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관성이 있고 구조가 세밀하다. 구면 콘크리트는 아토양에 존재하며 그 아래는 분해와 풍화 정도가 다양한 백악의 물질이다. 어떤 곳에서는 광범위한 침식에 의해 질퍽질퍽한 물질이 노출된다.[13]
표면 배수
Caloocan은 자연적인 항로(계곡과 강)를 가지거나 토양 표면의 여분의 물을 제거하기 위한 배수구 역할을 하도록 건설된 지표수를 가지고 있다. 사우스 칼루칸은 주로 카우나란 마을로 이루어진 간척지에 해당하는 약 5.0km 길이의 개방된 배수 운하와 11.3km에 달하는 천연 지표수가 서로 다른 자연 하천 시스템을 통해 흐른다. 여기에는 칼루칸-발렌주엘라 경계를 따라 흐르는 티나제로-툴라안 강, 라로마 묘지 내 말리가야 강과 리잘 애비뉴 익스텐션을 건너는 리잘 애비뉴 익스텐션을 건너는 카실리 강, 에스테로 드 메이파조에 종착하는 카실리 강, 칼루칸-말라본 경계를 따라 흐르는 칸타릴라/파나카 강 등이 포함된다. 북칼루칸에서는 모든 지표수가 자연하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긴 것은 칼루칸과 불라칸을 나누는 메이카우아얀-마릴라오 강이다. 그 밖에 바공 실랑 강, 탈라, 카마린, 파송 말라패드, 바굼봉 크리크가 여러 구획을 가로지르며, 이 도시의 영토 경계 내에서 52.7km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13]
기후.
Caloocan에 대한 기후 데이터 | |||||||||||||
---|---|---|---|---|---|---|---|---|---|---|---|---|---|
월 | 얀 | 2월 | 3월 | 4월 | 5월 | 준 | 줄리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도 |
평균 높은 °C(°F) | 29 (84) | 30 (86) | 32 (90) | 34 (93) | 33 (91) | 31 (88) | 30 (86) | 29 (84) | 29 (84) | 30 (86) | 30 (86) | 29 (84) | 31 (87) |
평균 낮은 °C(°F) | 20 (68) | 20 (68) | 21 (70) | 23 (73) | 24 (75) | 25 (77) | 24 (75) | 24 (75) | 24 (75) | 23 (73) | 22 (72) | 21 (70) | 23 (73) |
평균 강수량 mm(인치) | 7 (0.3) | 7 (0.3) | 9 (0.4) | 21 (0.8) | 101 (4.0) | 152 (6.0) | 188 (7.4) | 170 (6.7) | 159 (6.3) | 115 (4.5) | 47 (1.9) | 29 (1.1) | 1,005 (39.7) |
평균 비 오는 날 | 3.3 | 3.5 | 11.1 | 8.1 | 18.9 | 23.5 | 26.4 | 25.5 | 24.5 | 19.6 | 10.4 | 6.4 | 181.2 |
출처: 마테오블루 |
인구통계학
|
| |||||||||||||||||||||||||||||||||||||||||||||||||||
출처: 필리핀 통계청 |
2020년 현재 인구는 166만1584명으로 필리핀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다. [15] 같은 인구조사 연도에 따라 캘루칸 남부(바랑게이스 1~164)의 인구는 58만5,091명이고 캘루칸 북부(바랑게이스 165~188)의 인구는 99만8,887명이다. 두 구가 분리된 도시로 취급된다면 2015년 인구조사에서 여전히 가장 큰 국가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이는 인구가 가장 많은 4위와 17위로 순위가 매겨진다.
인구밀도(평방킬로미터당 2만8387명)는 NCR 인구밀도를 능가한다.[19]
전국 238개 입법구(LD) 중 인구 규모 면에서는 칼루칸 제1 LD가 119만 명으로 가장 많았다.[20]
대부분의 거주자들은 필리핀어와 영어를 모두 구사하며, 상당한 수의 사람들이 다른 언어와 사투리를 구사한다.
이 나라의 다른 많은 곳들과 마찬가지로, 로마 카톨릭이 지배적인 종교다. 이글레시아니크리스토와 칼루칸의 배사에 위치한 하나님의 교회와 같은 다른 개신교 교회들이 상당히 많이 있다.
이코노미
칼루칸의 10번가 지역은 오토바이 딜러들과 오토바이 예비 부품 딜러들로 잘 알려져 있다. 주요 거리 및 유명한 거리로는 P. 자모라 가와 A가 있다. 마비니 거리.
도시에는 뱅코 드 오로, 이스트 웨스트 뱅크, 메트로 뱅크, 메이뱅크, 치나방크, 필리핀 제도 은행, 그레이스 신용 협동조합 등의 많은 은행들이 지점을 두고 있다.
The city also has a number of shopping malls and stand-alone supermarkets and hypermarkets including the former Ever Gotesco Grand Central (and future SM City Grand Central), Puregold Maypajo, Monumento and Caloocan, Victory Central Mall, Puregold Monumento, Araneta Square, Uniwide Warehouse Club Monumento, SM Hypermarket Monumento, and SM Center S남쪽의 Membesto 지역에 있는 앙간다 북쪽에는 바공실랑과 카마린 주민을 위한 두 개의 쇼핑몰, 즉 자바테 타운 센터, 홀리데이 아일랜드 몰, 메트로플라자 몰이 있다. 세이브모어 마켓에는 바랑게이 178(키코 카마린)의 키코 카마린, 자바르트 타운 센터 내의 자바르트, 케이비가와 프리마크 디파로 등 3개 지점이 있다. 퓨어골드프라이스클럽도 자바르트, 바공실랑, 데파로에 위치한 노스칼루칸에 3개 지점을 개설했다. 2017년 프리마크 타운 센터 디파로(Deparo)는 디파로 주민과 바굼봉과 라노의 인근 바랑게이 주민에게 봉사하기 시작했다.
마닐라 북부 유료도로주식회사(북루손 고속도로의 양허자)는 칼루칸에 본사를 두고 있다. 10.1 구간을 통과하는 북루손 고속도로도 필리핀 국철도의 오른쪽에서 칼루칸을 횡단한다.
지방 정부
바랑게이
현재 칼루칸에는 188개의 바랑게이가 3개의 입법구로 나뉘어져 있다.[28] 1구역은 59개의 바랑게이(Barangays)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랑게이(Barangays) 1~4번, 사우스 칼루칸(South Caloocan) 132~164번, 노스 칼루칸(North Caloocan) 165~177번 등이 포함된다. 2구역은 118개의 바랑게이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바랑게이 5~76개, 86~131개까지 모두 사우스칼로오칸에 있다. 2021년 만들어진 3구역에는 시의 입법구 외에도 원래 1구역에 속했던 북칼루칸의 11개 바랑게이가 포함돼 있으며, 바랑게이 178~188개로 구성돼 있다.[29]
그 도시는 바랑게이에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사용하며, 도시를 16개 구역으로 더 나누었다. 메트로 마닐라의 도시 중 마닐라, 파세이, 칼루만이 이른바 '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구역은 한 지역에 있는 바랑게이들의 집단이다. 자치구 단위에서는 구역으로 간주되지만, 일반 바랑게이나 지방선거와 유사한 일반 선거에서는 국민들이 구역의 지도자를 선출하지 않는다. 또한, 모든 바랑게이는 해당 번호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 북부 지역에 있는 소수의 바랑게이만이 해당 이름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바리오와 구의 이름이 바랑게이 퍼미터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남부 칼루칸의 바랑게이는 북쪽의 바랑게이에 비해 작다.
1989년, 공화국법 6714호는 첫 번째 의회 구역인 칼루칸을 구성하는 70개의 바랑게이를 단 30개의 바랑게이로 축소하도록 요구되었고, 두 번째 의회 구역인 칼루칸을 구성하는 118개의 바랑게이는 30개의 바랑게이로 축소되었다. 그것은 아마도 뒤따른 국민 투표에서 패배했을 것이다.[30]
Barangay Bagong Silang(176)은 총인구의 16%인 24만6515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바랑게이다. [15] 이는 1970년대 이후 이전 프로그램을 통해 비공식적인 거주자 가정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바공실랑을 7개의 뚜렷한 바랑게이로 세분화해야 한다는 주민들의 요구가 잇따랐다.
1957년, 바그바긴의 시티오는 케이비가의 바리오와 분리되어 바리오 바그바긴으로 알려진 뚜렷한 바리오로 개조되었다.[33]
칼루칸 (남) | ||
---|---|---|
바랑게이 | 구 | 영역/이름 |
구역 1 | ||
바랑게이 1호 | 첫 번째 | 산간단 시 |
바랑게이 2호 | ||
바랑게이3길 | ||
바랑게이4길 | ||
바랑게이5길 | 두 번째 | |
바랑게이6길 | ||
바랑게이7길 | ||
바랑게이로8번길 | 다갓다가탄 | |
바랑게이로9번길 | 포블라시온 | |
바랑게이로10번길 | ||
바랑게이로11번길 | ||
바랑게이로12번길 | 다갓다가탄 | |
구역 2 | ||
바랑게이로13번길 | 두 번째 | 포블라시온 |
바랑게이로14번길 | 다갓다가탄 | |
바랑게이로15번길 | 포블라시온 | |
바랑게이로16번길 | ||
바랑게이로17번길 | ||
바랑게이로18번길 | ||
바랑게이로19번길 | ||
바랑게이로20번길 | 카우나란마을(C-3길) | |
바랑게이로21번길 | ||
바랑게이로22번길 | ||
바랑게이로23번길 | ||
바랑게이로24번길 | ||
구역 3 | ||
바랑게이로25번길 | 두 번째 | 메이파조 |
바랑게이로26번길 | ||
바랑게이로27번길 | ||
바랑게이로28번길 | 다갓다가탄 | |
바랑게이로29번길 | 메이파조 | |
바랑게이로30번길 | ||
바랑게이로31번길 | ||
바랑게이로32번길 | ||
바랑게이로33번길 | ||
바랑게이로34번길 | ||
바랑게이로35번길 | ||
구역 4 | ||
바랑게이로36번길 | 두 번째 | 마루라 |
바랑게이로37번길 | ||
바랑게이로38번길 | 그레이스 파크 웨스트 | |
바랑게이로39번길 | ||
바랑게이로40번길 | ||
바랑게이로41번길 | ||
바랑게이로42번길 | ||
바랑게이로43번길 | 그레이스파크웨스트(3번가) | |
바랑게이로44번길 | ||
바랑게이로45번길 | ||
바랑게이로46번길 | 그레이스파크웨스트(4번가) | |
바랑게이로47번길 | ||
바랑게이로48번길 | ||
5구역 | ||
바랑게이로49번길 | 두 번째 | 그레이스파크웨스트(5번가) |
바랑게이로50번길 | ||
바랑게이로51번길 | ||
바랑게이로52번길 | 그레이스파크웨스트(7번가) | |
바랑게이로53번길 | ||
바랑게이로54번길 | ||
바랑게이로55번길 | 그레이스파크웨스트(6번가) | |
바랑게이로56번길 | 그레이스파크웨스트(8번가) | |
바랑게이로57번길 | ||
바랑게이로58번길 | ||
6구역 | ||
바랑게이로59번길 | 두 번째 | 그레이스파크웨스트(8번가) |
바랑게이로60번길 | ||
바랑게이로61번길 | ||
바랑게이62길 | 그레이스파크웨스트(10번가) | |
바랑게이로63번길 | ||
바랑게이로64번길 | ||
바랑게이로65번길 | ||
바랑게이로66번길 | ||
바랑게이로67번길 | ||
바랑게이로68번길 | ||
바랑게이로69번길 | 그레이스 파크 웨스트 | |
바랑게이로70번길 | ||
7구역 | ||
바랑게이로71번길 | 두 번째 | 그레이스 파크 웨스트 |
바랑게이로72번길 | 그레이스 파크 웨스트 (빅토리 컴파운드) | |
바랑게이로73번길 | 그레이스 파크 웨스트 (PNR 컴파운드) | |
바랑게이로74번길 | 그레이스 파크 웨스트 (Heroes Del 96 | |
바랑게이로75번길 | ||
바랑게이로76번길 | 그레이스 파크 웨스트 (모뉴멘토) | |
바랑게이로77번길 | 첫 번째 | University Hills (삼손길) |
바랑게이로78번길 | 유니버시티힐스 (모뉴멘토) | |
바랑게이로79번길 | 유니버시티힐스 (카이미토 로드) | |
바랑게이로80번길 | University Hills (UE Caloocan) | |
구역 8 | ||
바랑게이로81번길 | 첫 번째 | 모닝브리즈 서브디비전 |
바랑게이로82번길 | ||
바랑게이로83번길 | ||
바랑게이로84번길 | 모닝브리즈 서브디비전(MCU) | |
바랑게이로85번길 | 모닝브리즈 서브디비전 | |
바랑게이로86번길 | 두 번째 | 그레이스 파크 이스트 (EDSA) |
바랑게이로87번길 | ||
바랑게이로88번길 | 그레이스파크이스트(11번가) | |
바랑게이로89번길 | ||
바랑게이로90번길 | ||
바랑게이로91번길 | ||
바랑게이로92번길 | ||
바랑게이로93번길 | ||
구역 9 | ||
바랑게이로94번길 | 두 번째 | 그레이스 파크 이스트 (비글랑-아와) |
바랑게이로95번길 | 발린타와크 | |
바랑게이로96번길 | 그레이스 파크 이스트 (EDSA) | |
바랑게이로97번길 | 그레이스파크이스트(11번가) | |
바랑게이로98번길 | ||
바랑게이로99번길 | 발린타와크 (도로테아 화합물) | |
바랑게이 100 | 그레이스파크이스트(11번가) | |
바랑게이로101번길 | 그레이스 파크 이스트 (바리오 갈리노) | |
바랑게이로102번길 | 그레이스파크 이스트(9번가) | |
바랑게이로103번길 | 그레이스파크 이스트(8번가) | |
바랑게이로104번길 | ||
바랑게이로105번길 | ||
구역 10 | ||
바랑게이로106번길 | 두 번째 | 그레이스파크 이스트(10번가) |
바랑게이로107번길 | ||
바랑게이로108번길 | ||
바랑게이로109번길 | 그레이스파크 이스트(8번가) | |
바랑게이로110번길 | 그레이스파크 이스트(7번가) | |
바랑게이로111번길 | ||
바랑게이로112번길 | ||
바랑게이로113번길 | 그레이스파크 이스트(6번가) | |
바랑게이로114번길 | ||
바랑게이로115번길 | ||
바랑게이로116번길 | ||
바랑게이로117번길 | 그레이스파크 이스트(5번가) | |
바랑게이로118번길 | 그레이스 파크 이스트 (라로마 묘지) | |
바랑게이로119번길 | 그레이스파크 이스트(4번가) | |
바랑게이로120번길 | 그레이스파크 이스트(2번가) | |
11구역 | ||
바랑게이로121번길 | 두 번째 | 그레이스파크 이스트(7번가) |
바랑게이로122번길 | ||
바랑게이로123번길 | 그레이스파크 이스트(5번가) | |
바랑게이로124번길 | ||
바랑게이로125번길 | ||
바랑게이로126번길 | 바리오 산호세 | |
바랑게이로127번길 | ||
바랑게이로128번길 | ||
바랑게이로129번길 | ||
바랑게이로130번길 | ||
바랑게이로131번길 | ||
구역 12 | ||
바랑게이로132번길 | 첫 번째 | 바공 바리오 웨스트 |
바랑게이로133번길 | ||
바랑게이로134번길 | ||
바랑게이로135번길 | ||
바랑게이로136번길 | ||
바랑게이로137번길 | ||
바랑게이로138번길 | ||
바랑게이로139번길 | ||
바랑게이로140번길 | ||
바랑게이로141번길 | ||
13구역 | ||
바랑게이로142번길 | 첫 번째 | 바공 바리오 웨스트 |
바랑게이로143번길 | ||
바랑게이로144번길 | ||
바랑게이로145번길 | ||
바랑게이로146번길 | ||
바랑게이로147번길 | ||
바랑게이로148번길 | ||
바랑게이로149번길 | ||
바랑게이로150번길 | ||
바랑게이로151번길 | ||
바랑게이로152번길 | ||
바랑게이로153번길 | ||
바랑게이로154번길 | ||
바랑게이로155번길 | ||
구역 14 | ||
바랑게이로156번길 | 첫 번째 | 바공 바리오 이스트 |
바랑게이로157번길 | ||
바랑게이로158번길 | 리비스 배사 (영원한 정원 기념공원) | |
바랑게이로159번길 | 리비스 배사 | |
바랑게이로160번길 | ||
바랑게이로161번길 | 리비스 레파로 | |
바랑게이로162번길 | 산타키테리아 | |
바랑게이로163번길 | ||
바랑게이로164번길 | 탈리파파 |
칼루칸(북) | ||
---|---|---|
바랑게이 | 구 | 영역/이름 |
구역 15 | ||
바랑게이로165번길 | 첫 번째 | 백바구인 |
바랑게이로166번길 | 케이비가 | |
바랑게이로167번길 | 라노 | |
바랑게이로168번길 | 데파로 | |
바랑게이로169번길 | BF 홈스칼루칸 | |
바랑게이로170번길 | 데파로2길 | |
바랑게이로171번길 | 바굼봉 | |
바랑게이로172번길 | 우르두자 마을 | |
바랑게이로173번길 | 의회 | |
바랑게이로174번길 | 카마린(중앙) | |
바랑게이로175번길 | 카마린 | |
바랑게이로176번길 | 바공실랑[34] | |
바랑게이로177번길 | 카마린 (시엘리토) | |
바랑게이로178번길 | 3번째 | 카마린 (키코) |
구역 16 | ||
바랑게이로179번길 | 3번째 | 암파로 |
바랑게이로180번길 | 탈라 | |
바랑게이로181번길 | 판가랍 마을 | |
바랑게이로182번길 | ||
바랑게이로183번길 | 탈라 | |
바랑게이로184번길 | ||
바랑게이로185번길 | ||
바랑게이로186번길 | ||
바랑게이로187번길 | ||
바랑게이로188번길 |
지정 | 제1구 | 제2구 |
---|---|---|
대표자 | 데일 곤살로 R. 말라피탄 | 에드가 R. 에리스 |
시장 | 오스카 G. 말라피탄 | |
부시장 | 루이스 마카리오 E. 아시스티오 3세 | |
참의원 | 빈센트 라이언 R. 말라피탄 | 에드가르도 N 아루엘로 |
안나 카리나 R. 테림시코 | 루이스 아시스티오 3세 | |
딘 아시스티오 | 로베르토 R. 삼손 | |
크리스토퍼 말론조 | 알렉산드르 망가사르 5세 | |
카르멜로 F. 아프리카 3세 | 마. 밀라그로스 S. 메르카도 | |
메리루 Z. 누블라산부에나벤투라 | 리카르도 J. 바구스 | |
ABC 프레지던트 | 호세 로렌초 T. 알메다 | |
SK 프레지던트 | 오르빈스 하워드 A 에르난데스 |
시장·부시장 목록
리잘 현 칼루칸 시 | ||
---|---|---|
재직기간 | 시장 | 부시장 |
1902–1904 | 페드로 세비야 | |
1904–1906 | 실리오 발타자르 | |
1906–1908 | 토마스 스사노 | |
1908–1910 | 레온 나두라타 | |
1910–1913 | 에밀리오 산체스 | |
1913–1915 | 고도프레도 에레라 | |
1915–1921 | 호세 산체스 | |
1922–1925 | 도미니도어 아키노 | |
1926–1928 | 파블로 파블로 | |
1928–1931 | 도미니도어 아키노 | |
1932–1940 | 파블로 파블로 | |
1941–1944 | 코넬리오 코데로 | |
1945–1946 | 오스카 바엘로 | |
1946–1951 | 예수 바사 | 아나클토 부스타만테(1950–1954) |
1952–1962 | 마카리오 아시스티오 스르 | 마테오 루알하티(1962~1963) |
리잘 현 칼루칸 시 | ||
1962–1971 | 마카리오 아시스티오 시니어 | 알레한드로 피더(1964–1971) |
1972–1976 | 마셜 삼손 | 이가니 아르카디오 |
메트로폴리탄 마닐라 칼루칸의 도시 | ||
1976–1978 | 알레한드로 피더 | |
1978–1980 | 버질리오 로블레스 | |
1980–1986 | 마카리오 아시스티오 주니어 | 마카리오 "맥" 플로로 라미레스 시니어 |
1986 | 버질리오 로블레스 | 비센테 델 문도 |
1986–1987 | 안토니오 마르티네스 | 비센테 델 문도 |
1987–1988 | 크리스풀로 산가브리엘 | 리나 아우렐리오 |
1988–1995 | 마카리오 아시스티오 주니어 | 셀레스티노 로스카 |
1995–1998 | 레이 말론조 | 낸시 킴포 |
1998–2001 | 오스카 말라피탄 | |
2001–2004 | 루이스 바렐라 | |
2004–2010 | 엔리코에치베르리 | |
2010–2013 | 에드가 에리스 | |
2013–2022 | 오스카 말라피탄 | 마카리오 아시스티오 3세 |
사회 기반 시설
교통

LRT 1호선은 시내에 두 개의 역이 있는데, 바로 Membesto와 5번가이다. 이 철도는 리잘 애비뉴 익스텐션을 가로지르며 마닐라 시와 파사이 시와 퀘존 시로 들어간다. 스트레칭은 약 30분이면 갈 수 있다. 필리핀 국철도 노선이 있어 삼손로에 터미널이 있고, 칼루칸 역, 10번가 역, 5번가 역 등을 통과한다. 현재 건설중인 MRT 7호선은 또한 Carrist Heart와 Tala를 지나게 될 Caloocan의 북쪽에 위치한 두 정거장을 제안했다.
그 도시는 광범위한 도로망을 가지고 있는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Membesto 지역에서 시작되는 Epifanio de los Santos Avenue이다. 케손 시와 동부 불라칸을 잇는 퀴리노 고속도로도 칼루칸 북부를 가로지른다. 북루손 고속도로의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와 고속도로의 발린타와크 통행료 장벽은 칼루칸에 있다. 나보타스와 마닐라 항구를 연결하는 NLEX 하버링크 내 확장도 칼루칸을 가로지른다. 하버링크와 마닐라, 스카이웨이를 연결하는 NLEX Connector 프로젝트가 현재 건설 중이다. 남북 루손 고속도로를 잇는 스카이웨이 북쪽 끝도 NLEX 발린타와크 요금소 부근에서 발견돼 신마닐라 국제공항으로 이어지는 향후 유료도로와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버스노선 빅토리 라이너 주식회사는 엠미엄보 역 근처 리잘 애비뉴 익스텐션에 본사와 터미널을 두고 있다.
랜드마크
이 도시의 가장 유명한 명소는 혁명가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의 기념비인데, EDSA, 맥아더 하이웨이, 삼손 로드, 리잘 애비뉴 익스텐션이 교차하는 로터리 위에 서 있다. 기념비는 1933년에 세워졌으며, 국립 예술가인 기예르모 톨렌티노의 조각이 새겨진 오벨리스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념비는 1896년 8월 3일 필리핀 혁명의 첫 전투를 기념한다. 이전 터였던 보니파시오 서클과 랜드마크에서 100m 떨어진 EDSA의 칼루칸 연장 등 기념비 주변은 최근 보수공사를 하고 있다. 이 일대는 모두 '모뉴멘토'로 알려져 있다.
새로운 칼루칸 시청은 도시의 남쪽 8번가와 9번가, 8번가와 9번가 사이에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부지에 서 있다. 옛 칼루칸 시청은 A에 서 있다. 카티푸난 성당의 만남이 이뤄진 칼루칸 최초의 교구 교회인 산로크 교구 성당 건너편 남부의 마비니 거리.[37] 카마린의 자포테 거리를 따라 위치한 시 북부를 섬기는 칼루칸 시청 북부가 있다. 시의 내국세무서는 EDSA와 함께 있다.
역사적 중요성의 다른 사이트 시 정부에 의핸 Gregoria 드 Jesus,의 Gertrudes 세비야, 주인의 유산 집의 조카,[38][37]산타 Quiteria 교회 Baesa;그리고 우리의 레이디 그레이스 패리시의 11일 Avenu에 P. 사모라 스트리트의 카티푸난 지도자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의 아내는 거주했던 많은 포함한다.e, 라 Lo마 묘지] 마닐라에서 가장 오래된 묘지, 그리고 6번가를 따라 있는 타이 토도사.
경찰
칼루칸 시 경찰서는 필리핀 국립 경찰청의 모 기관인 National Capital Region Police의 북부 경찰 지구 아래에 있다.
칼루칸 시 경찰 전체가 최근 조직원들에 의해 살해와 강도 등 일련의 범죄로 인해 경질되었다. 그러나, 그들은 침해를 당한 경찰관들을 해임하는 대신, 당시 로널드 델라 로사(Ronald dela Rosa) 당시 PNP 수장에 의해 재교육을 받을 예정이었다.
교육
시의 한 공립대학은 칼루칸 시립대학(1971년 칼루칸 시립대학, 1975년 칼루칸 시립 폴리테크닉대학)이다. 3차 교육을 제공하는 다른 교육 기관으로는 동칼루칸 대학교, 마닐라 중앙 대학교, 라 콘솔라시온 대학교, 라 콘솔라시온 대학교-노발리체스 등이 있다.
K12에 부응하는 공립 및 사립학교도 다음과 같이 여럿 있다.
- 칼루칸 국립과학기술고등학교(North Caloocan 최초의 과학기술고등학교, 경쟁시험에 합격하면 입학)
- 칼루칸 시립 과학 고등학교
- 칼루칸 시립 경영 고등학교
- 칼루칸 고등학교
- 암파로 고등학교
- 마리아 클라라 고등학교
- 필리핀 문화대학 (애넥스 주)
- 홀리 유아 몬테소리 센터
- 노던 리잘 요클린 학교
- 성모 마리아 칼루칸 시립 아카데미
- 바금봉고등학교
- 안토니오 루나 고등학교(전 바굼봉 고등학교-안넥스)
- 카마린 고등학교
- 탈라 고등학교
- 마누엘 루이스 케존 고등학교
- 삼파기타 고등학교
- 시엘리토 자모라 고등학교
- 바공실랑고등학교
- 미국주택공사고등학교(NHC HS)
- 창세기 기독교 칼루칸 아카데미
- 칼라야안 국립 고등학교
- 데파로 고등학교
- 캘리포니아의 에스쿠엘라 데 소피아
- 에스쿠엘라 산가브리엘 드 아크엔젤 재단, 주식회사
- 콜지오 데 산 가브리엘(Colegio de San Gabriel, Inc. Caloocan)
- 수호천사학교
- 호라시오 델라 코스타 초등학교
- 호라시오 델라 코스타 고등학교
- 안토니오 위 탄 고등학교
- 성 베네딕트 노발리체스 학교
- 칼루칸 시티의 성 도미니크 사비오 학교
- 세인트 앤드류 스쿨 MHANLE Inc.
- 이마쿨라다 컨셉션 대학교
- 시스템 플러스 컴퓨터 칼리지
- 세인트 가브리엘 아카데미
- 아시아 컴퓨터 연구 협회 – Caloocan
- 세인트 클레어 칼루칸 대학교
- 신비로운 로즈 스쿨 오브 칼루칸, Inc.
- 홀리엔젤 스쿨 오브 칼루칸, Inc.
- 세인트 아그네스 아카데미
- 로즈 스쿨의 성 테레스,
- 젊은 성취자들 칼루칸 학교
- 성 요셉 노발리체스 대학교
- 성 라파엘라 칼루칸의 마리아 학교
- 루르드 카톨릭 학교의 성모
- 마라나타 기독교 칼루칸 아카데미 (카마린)
- 그레이스 파크 초등학교
- 삼팔루칸 초등학교
- 리비스 탈리세이 초등학교
- 카우나란 초등학교
- 레르마 초등학교
- Pag-Asa 초등학교
- 카마린 초등학교
- 라 콘솔라시온 대학교
- 칼루칸 캠퍼스
- 노발리케스(데바로) 캠퍼스
UE 칼루칸 앞 삼손로드 길모퉁이 카이미토로에 접근컴퓨터대학, AMA컴퓨터대학캠퍼스, 학위추천 3차교육기관, STI아카데미센터 칼루칸이 있다.
트윈 타운 – 자매 도시
국부적
국제
갤러리
포블라시온 지구의 산로크 대성당-파리시
라로마 묘지의 옛 성 판크라티우스 예배당
참조
- ^ 칼루칸 주의 도시 (DILG)
- ^ "2015 Census of Population, Report No. 3 – Population, Land Area, and Population Density" (PDF).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Quezon City, Philippines. August 2016. ISSN 0117-145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May 25, 2021. Retrieved July 16, 2021.
- ^ a b Census of Population (2020). "National Capital Region (NCR)".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PSA. Retrieved 8 July 2021.
-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Table%202a.%20Updated%20Annual%20Per%20Capita%20Poverty%20Threshold%2C%20Poverty%20Incidence%20and%20Magnitude%20of%20Poor%20Population%20with%20Measures%20of%20Precision%2C%20%20by%20Region%2C%20Province%20and%20HUC_2018.xlsx; 발행일: 2020년 6월 4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 ^ a b "Comprehensive Land Use Plan Report, City of Caloocan (1995-2020) - Free Download PDF". kupdf.net.
- ^ "Confusion over spelling: Caloocan or Kalookan?". The Manila Times. October 19, 2004. Retrieved April 2, 2020.
- ^ Samonte, Severino (December 6, 2018). "Which is which, Caloocan or Kalookan?". Philippine News Agency. Retrieved April 2, 2020.
- ^ a b c Joaquin, Agapito. "The Role of Kalookan in the Nation's Quest for Freedom". Retrieved 26 April 2020.
- ^ a b c d e f "History2". caloocancity.gov.ph.[영구적 데드링크]
- ^ "Presidential Decree No. 824 November 7, 1975. Creating the Metropolitan Manila and the Metropolitan Manila Commission and for Other Purposes". lawphil.net. Arellano Law Foundation. November 7, 197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2, 2016. Retrieved July 10, 2020.
- ^ "Commonwealth Act No. 502". www.officialgazette.gov.ph. Retrieved 2020-07-11.
- ^ Juris, The Corpus (June 18, 1949). "R.A. No. 392: An Act to Amend §3 of C.A. No. 502, as Amended, Redefining the Boundaries of Quezon City". The Corpus Juris.
- ^ a b c d e f "Climate change action plan" (PDF). caloocancity.gov.ph.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9-07-17. Retrieved 2020-07-11.
- ^ "Caloocan: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Meteoblue. Retrieved 13 May 2020.
- ^ a b c Census of Population (2015). "National Capital Region (NCR)".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PSA. Retrieved 20 June 2016.
- ^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10). "National Capital Region (NCR)".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NSO. Retrieved 29 June 2016.
- ^ Censuses of Population (1903–2007). "National Capital Region (NCR)". Table 1. Population Enumerated in Various Censuses by Province/Highly Urbanized City: 1903 to 2007. NSO.
- ^ "Province of Metro Manila, 3rd (Not a Province)". Municipality Population Data. Local Water Utilities Administration Research Division. Retrieved 17 December 2016.
- ^ "Philippine Population Density (Based on the 2015 Census of Population)".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trieved 6 December 2016.
- ^ "Population Counts by Legislative District (Based on the 2015 Census of Population)".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trieved 6 December 2016.
- ^ "Poverty incidence (PI):".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trieved 28 December 2020.
-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NSCB_LocalPovertyPhilippines_0.pdf; 발행일: 2005년 11월 29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2003%20SAE%20of%20poverty%20%28Full%20Report%29_1.pdf; 발행일: 2009년 3월 23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2006%20and%202009%20City%20and%20Municipal%20Level%20Poverty%20Estimates_0_1.pdf; 발행일: 2012년 8월 3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2012%20Municipal%20and%20City%20Level%20Poverty%20Estima7tes%20Publication%20%281%29.pdf; 발행일: 2016년 5월 31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City%20and%20Municipal-level%20Small%20Area%20Poverty%20Estimates_%202009%2C%202012%20and%202015_0.xlsx; 발행일: 2019년 7월 10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Table%202a.%20Updated%20Annual%20Per%20Capita%20Poverty%20Threshold%2C%20Poverty%20Incidence%20and%20Magnitude%20of%20Poor%20Population%20with%20Measures%20of%20Precision%2C%20%20by%20Region%2C%20Province%20and%20HUC_2018.xlsx; 발행일: 2020년 6월 4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 ^ "Duterte splits Caloocan into 3 districts".
- ^ https://www.officialgazette.gov.ph/downloads/2021/05may/20210523-RA-11545-RRD.pdf
- ^ "REPUBLIC ACT NO. 6714 AN ACT MERGING, DIVIDING, AND/OR REVIVING THE DIFFERENT BARANGAYS IN CALOOCAN CITY AND FOR OTHER PURPOSES".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February 28, 1989. Retrieved July 26, 2019.
- ^ Bajo, Ramil; Galupo, Rey (September 17, 2013). "Mayor supports move to split Caloocan barangay into seven". The Philippine Star. Retrieved 29 April 2020.
- ^ "House Bill No. 5410"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9-05-13. Retrieved 2020-04-29.
- ^ "An Act to Convert the Sitio of Bagbaguin, Municipality of Caloocan, Province of Rizal, into a Barrio to be known as Barrio Bagbaguin of the Same Municipality and Separating it from the Barrio of Caybiga of the Same Municipality". LawPH.com. Retrieved 2011-04-12.
- ^ a b c "Home". caloocancity.gov.ph.
- ^ a b "Local shelter plan" (PDF). www.caloocancity.gov.ph. Retrieved 2020-07-11.
- ^ "mayors-of-caloocan List of Mayors and Vice Mayors of Caloocan".
- ^ a b "CALOOCAN CITY MEDIUM TERM". yumpu.com.
- ^ Cayabyab, Marc Jayson (June 16, 2019). "Caloocan elderly remember Bonifacio's wife". The Philippine Star. Retrieved 30 April 2020.
- ^ "Sister cities". Manila Bulletin. Retrieved 30 August 2016.
외부 링크
![]() | 위키보이지에는 칼루칸을 위한 여행 가이드가 있다. |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칼루칸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공식 웹사이트
- 필리핀 표준지리코드
- 필리핀 칼루칸의 역사
OpenStreetMap에서 Caloocan과 관련된 지리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