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케돈

Chalcedon
칼케돈
【α】★★】
도시
The small church of St Euphemia that serves as the Greek Orthodox cathedral of the Metropolitan Diocese
메트로폴리탄 교구의 그리스 정교회 대성당 역할을 하는 성 유페미아의 작은 교회
어원:카르타고
Bithynia as a province of the Roman Empire, 120 AD
서기 120년 로마 제국의 속주였던 비티니아
좌표:40°59′04§ N 29°01′38§ E/40.98444°N 29.02722°E/ 40.98444; 29.02722좌표: 40°59°04°N 29°01µ38ºE/40.98444°N 29.02722°E/40.98444;29.02722
나라비티니아
Chalcedon is located in Istanbul
Chalcedon
칼케돈
이스탄불 지역 지도에 표시된 칼케돈

칼케돈(Calcedon, /kél/si /dən/ 또는 /ɒkéls greekd:n/,[1] 그리스어: ααλη sometimes sometimes, 때때로 Chokedon으로 번역됨)은 소아시아 비티니아고대 해양 도시였다.이곳은 스쿠타리(현재의 위스키다르) 남쪽의 거의 바로 맞은편에 위치해 있었고 현재는 이스탄불의 도시 카디쾨이(Kadiköy)가 되었다.칼케돈이라는 이름은 칼케돈의 변형으로, 헤로도토스역사, 크세노폰의 헬레니카, 아리아스아나바시스, 그리고 다른 작품들에서 발견됩니다.메이든 타워를 제외하고는 오늘날 카디쾨이에는 이 고대 도시의 지상 흔적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알티욜과 다른 발굴 현장에서 발견된 유물들이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칼케돈은 보스포루스강 하구 부근의 마르마라해 북쪽 해안의 작은 반도에 위치해 있다.고대에는[2] 칼시스 또는 칼케돈으로 불렸고 지금은 쿠르바알레데레로 알려진 개울이 페네르바체 으로 흐른다.그곳에서 아티카메가라에서 온 그리스 식민지 주민들은 기원전 685년, 비잔티움보다 약 17년 전에 칼케돈 정착촌을 세웠다.

고대 도시의 그리스 이름은 페니키아 이름인 콰르트닷(qart-adaadatt)에서 유래한 것으로, [3]카르타고의 이름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도시"를 뜻한다. 광물 카르세돈은 도시의 [4]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선사 시대

피키르테페의 봉분은 칼콜리스기(기원전 5500-3500년)의 유적을 발굴해 선사시대부터 지속적으로 정착했음을 증명한다.페니키아인들은 이 지역에서 활발한 무역상이었다.

플리니에 따르면, 칼케돈은 처음에 프로케라스티스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이 이름은 그 근처의 육지에서 유래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아마도 항구로부터 콜푸사라는 이름이 붙었고, 마지막으로 케코룸 오피둠, 즉 [5]맹인들의 마을이라고 한다.

메가리아 식민지

칼케돈은 기원전 685년에 메가리아 식민지로 시작되었다.메가라에서 온 식민지 주민들은 기원전 6세기 페르시아 장군 메가주스가 [6]칼케돈의 창시자들이 맹인이었음이 틀림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진 보스포루스 강 반대편 해안(세라글리오 지점의 리고스와 세미스트라의 작은 정착지)에서 볼 수 있는 것보다 명백히 열등하다고 여겨지는 곳에 정착했다.실제로, 스트라보와 플리니우스는 아폴로 신전의 신탁이 기원전 657년에 비잔틴을 세운 아테네인과 메가리아인들에게 그들의 도시를 "맹자의 반대"라고 말했고, 그들이 "맹자"를 "맹자의 도시"[7][8]인 칼케돈으로 해석했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케돈은 무역이 번창했고 마을은 번창했고 신탁을 받은 아폴로 신전을 포함한 많은 신전을 지었다.칼케돈에 [9]의존하는 영토인 칼케도니아는 보스포루스 아나톨리아 해안까지 뻗어있었고, 적어도 지금은 요로스 성터인 제우스 우리우스의 신전까지 뻗어있었고, 니코메디아를 향해 뻗은 아스타쿠스 만의 북쪽 해안까지 포함되었을지도 모른다.칼케도니아에서 중요한 마을들은 크리소폴리스와 판테이체온을 포함했다[10].스트라보는 칼케도니아에 있는 "바다 위에 조금 있다"가 "작은 악어를 포함하고 있는 아자리티아 분수"[11]라고 말한다.

초기 역사에서 칼케돈은 비잔틴의 운명을 공유했다.나중에, 기원전 6세기 페르시아사트라프 오타네스가 그것을 포획했다.그 도시는 라세데모니아인과 아테네인의 이익 사이에서 오랫동안 망설였다.기원전 512년 스키타이 원정을 위해 건설된 다리우스 대왕의 배 다리는 칼케도니아에서 트라키아까지 뻗어 있었다.칼케돈은 비티니아 왕국의 일부를 형성했고, 니코메데스 왕은 기원전 74년 비티니아가 죽자 로마인들에게 유언을 남겼습니다.

로마 도시

그 도시는 미트리다테스에 의해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비티니아의 주지사 코타는 안전을 위해 수천 명의 다른 로마인들과 함께 칼케돈으로 도망쳤다.미트리다테스가 도시를 [12]공격한 결과, 그들 중 3천 명이 죽고, 60척의 배가 나포되었으며, 4척의 배가 파괴되었다.

제국 기간 동안, 칼케돈은 회복되었고 자유 도시 지위를 얻었다.3세기 [13]중반 발레리아와 갈리에누스의 통치 기간 동안 공격한 스키타이인들을 포함하여, 비잔틴을 황폐화시킨 후 건너온 야만인 무리들의 거듭된 공격을 받았다.

비잔틴과 오스만 제국의 교외

칼케돈에서 가져온 작은 은주전자.

칼케돈은 콘스탄티노플의 새로운 제국 수도와 가깝기 때문에 다소 어려움을 겪었다.처음에 비잔틴과 후에 오스만 투르크이곳을 콘스탄티노플의 기념비적인 [14]건축자재를 위한 채석장으로 사용했다.칼케돈은 또한 동쪽에서 콘스탄티노플을 공격하는 군대에 반복적으로 함락되었다.

서기 361년에는 칼케돈 재판소가 열렸는데, 이 곳에서 율리아누스는 그의 적들을 재판에 회부했다.

서기 451년 기독교 지도자들의 에큐메니컬 협의회가 이곳에서 소집되었다.이 칼케돈 평의회는 아래를 참조해 주십시오.

벨리사리우스 장군은 아마도 그의 은퇴 몇 년을 칼케도니아에 있는 루피니아나에 있는 그의 사유지에서 보냈을 것이다.

616년에 시작하여 적어도 10년 동안, 칼케돈은 조스로스[15] 2세 휘하의 페르시아인들에게 진지를 제공하였다.콘스탄티노플 공성전(626년)그것은 나중에 잠시 야지드 치하의 아랍인들에게 넘어갔다.콘스탄티노플 공성전 (674)

칼케돈은 제4차 십자군 (1204) 중에 심하게 손상되었다.그것은 오트만이 콘스탄티노플을 정복하기 1세기 전에 오르한 가지 통치하에 확실히 들어왔습니다.

교회사

칼케돈은 초기에 주교좌였고 몇몇 기독교 순교자들은 칼케돈과 관련되어 있다.

  • 성모 마리아 4세기 초 에페미아 및 그녀의 동료들; 칼케돈 성당은 그녀에게 봉헌되었다.
  • 페르시아인 성 사벨과 그의 동료들.

그곳은 다양한 교회 협의회가 있던 곳이었다.칼케돈 평의회로 알려진 제4차 에큐메니컬 평의회는 451년에 소집되어 예수님의 인간성과 신성한 본성을 정의했으며, 이는 동양 정교회를 구성하는 교회들과 분열을 일으켰다.

의회 이후 칼케돈은 수도 대주교가 되었지만 참의원은 없었다.안티무스 알렉수데스[17]완성한 르퀴앙[16]있는 주교들의 목록은 파르과이어[18]의해 초기에 개정되었다.그 중에서도 다음과 같은 [19]것이 있습니다.

그리스와 가톨릭의 계승

칼케돈의 그리스 정교회 수도원은 콘스탄티노플의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 시노드에서 고위직(현재 3위)을 차지하고 있다.현직은 메트로폴리탄 아타나시오스 파파스입니다.그 성당은 성당의 그것이다. 에페미아

대분열 이후 라틴 교회는 1356년 이후 알려진 현직 신자들과 함께 칼케돈을 명목상[20]관구로서 존속시켰다.이 주교좌에 임명된 명목상의 주교들 중에는 윌리엄 비숍 (1623–1624)과 리처드 스미스 (1624–1632)가 있었는데, 그들은 영국에는 가톨릭 교구 주교가 없던 시기에 가톨릭 신자들의 목회적 보살핌을 위해 교황으로 임명되었다.그러한 임명들은 제2차 바티칸 평의회 이후 중단되었고 1967년 [21]이후 명목상의 관구는 배정되지 않았다.

칼케돈은 또한 두 개의 동방 가톨릭 교구의 명목상 대주교직을 맡아왔다.

  • 시리아(안티오키아 의식, 1922년 제정, 1958년부터 공석)
  • 아르메니아 가톨릭(아르메니아 의례, 1951년 제정, 두 명의 현직 성직자 후 1956년 탄압)

주목받는 사람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찰케돈'Dictionary.com 요약되지 않음(v 1.1).Random House, Inc. (접근처:2008년 9월 21일).
  2. ^ 윌리엄 스미스, LLD, ed. (1854년)그리스 로마 지리 사전'찰케돈'
  3. ^ Harper, Douglas. "Chalcedon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Retrieved 2010-05-19.
  4. ^ Erika Zwierlein-Dihl: Antike Gemman and Ihr Nachleben.베를린(Verlag Walter de Gruyter) 2007, S. 307(온라인)
  5. ^ 플리니, 나트 5.43
  6. ^ 헤로도토스.역사 4.144
  7. ^ 스트라보 (320페이지)
  8. ^ 플리니, Nat. 9.15
  9. ^ 헤로도토스.이력. 4.85)
  10. ^ 크세노폰, 크세노폰Anab.6, 38-Z1
  11. ^ 스트라보 1.597
  12. ^ 아피안, 미트리드, 71세, 플루트8월 8일
  13. ^ Zosimus 1.34
  14. ^ Ammian. 31.1과 Valesius의 기록입니다.
  15. ^ 기번, 100.46엔 하락
  16. ^ 미셸 르퀴앙, 오리엔스 크리스티아누스, I, 599
  17. ^ 아나톨리코스 아스터 XXX, 108번지
  18. ^ 에코스 디 오리엔트 3세, 85, 204; IV, 21, 104.
  19. ^ 소프로네 페트리데스, 가톨릭 백과사전의 칼케동(1908)
  20. ^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ia Editrice Vaticana, 2013, ISBN 978-88-209-9070-1), 페이지 855
  21. ^ Chalcedon (제목 참조
  • 이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