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메디아

Nicomedia
니코메디아
Grande rue de Nicomédie - Texier Charles Félix Marie - 1882.jpg
프랑스어 니코메디아 삽화, 1882년
Nicomedia is located in Turkey
Nicomedia
터키 내에서 표시됨
Nicomedia is located in Sea of Marmara
Nicomedia
니코메디아 (마마라해)
위치터키
지역코카엘리 주
좌표40°45′45″N 29°55′03″e/40.76250°N 29.91750°E/ 40.76250; 29.91750좌표: 40°45′45″N 29°55′03″E / 40.76250°N 29.91750°E / 40.76250; 29.91750

니코메디아(/ˌnɪkəmiːdiə/;[1] 그리스어: νιοομήδδαα, 니코메데아, 현대 İzmit)는 지금의 터키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 도시였다.286년 니코메디아는 로마 제국의 동부와 가장 원로적인 수도가 되었고(동부에서 통치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차지), 이 도시는 4차 체제(293–324) 동안 유지되었다.

테트라제는 324년 콘스탄티누스리치니우스를 무찌르고 유일한 황제가 되면서 흐리소폴리스 전투(üsküdar)로 막을 내렸다.330년 콘스탄티누스는 인근 비잔티움(콘스탄티노플, 현대 이스탄불)을 로마 제국의 새로운 수도로 스스로 선택했다.

이 도시는 비잔틴 제국에 대항한 술탄 오르한 가지의 승리로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었다.비잔틴은 앙카라 전투의 여파로 가까스로 재탈환했지만, 1419년 오스만에게 절대적으로 떨어졌다.

역사

기원전 712년/11년 메가리아 식민지로 설립되었으며, 원래 아스타쿠스(/ˈstəkəs/; 고대 그리스어: ἀστακς, '로브스터')[2]로 알려져 있다.리시마코스에게 파괴된 후,[3] 니코메디아라는 이름으로 기원전 264년 비티니아의 니코메데스 1세에 의해 재건되었으며, 이후 서북아시아 마이너스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위대한 군 사령관 한니발 바르카는 말년에 니코메디아에 와서 인근 리비사(길리스켈레시, 게브제)에서 자살했다.역사학자 아리아인은 그곳에서 태어났다.

콘스탄티우스 2세와 파우스티나를 기리는 메달리온을 묘사한 벨트의 이 부분은 니코메디아에서 채굴되었다.[4]월터스 미술관.

니코메디아는 로마 제국 치하의 로마 비티니아 지방의 대도시 및 수도였다.그것은 플리니 젊은이비티니아 총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트라얀에게 보낸 서간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된다.[5]플리니씨는 편지에서 원로원, 수도관, 포럼, 사이벨레 사원 등 도시의 여러 공공건물을 언급하고 있으며, 그 동안 그 곳이 많은 피해를 입었던 큰 화재에 대해 말하고 있다.[6]디오클레티안은 286년 4차정치를 도입하면서 로마 제국의 동쪽 수도로 삼았다.

박해로303번길

니코메디아는 디오클레티아누스와 그의 카이사르 갈레리우스 휘하에서 일어난 디오클레티아누스 기독교 박해의 중심에 있었다.디오클레티아누스는 303년 2월 23일 테르마니아의 이교도 축제에서 니코메디아에 새로 지은 교회를 파괴하고 경전을 불태우며 귀중한 돌들을 압수하라고 명령했다.[7]다음날 그는 "기독교인에 대한 최초의 칙령"을 발표했는데, 이 칙령은 제국 전역의 교회에서 이와 유사한 조치를 취하도록 명령했다.

니코메디아 교회의 파괴는 도시에 공포를 불러일으켰고, 월말에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의 일부를 화재로 소실시켰고, 16일 후 또 다른 화재로 이어졌다.[8]화재 원인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지만 공식적으로 고발된 당사자는 없었지만 갈레리우스는 기독교인들에게 책임을 돌렸다.그는 303년 4월 말까지 6명의 사형이 집행된 데 이어 기독교인들과 공모해 불을 지른다고 주장한 궁내내시 2명의 사형을 감독했다.곧 갈레리우스가 니코메디아를 안전하지 않다고 선언하고 허세 부리며 로마로 도시를 떠났고, 곧 이어 디오클레티안이 그 뒤를 따랐다.[8]

후기 제국

4차 왕조 시대의 로마 제국 지도, 교구와 4차 왕조의 영향권 구역을 보여준다.니코메디아는 동양의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가진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선택한 동양의 가장 오래된 수도였다.

니코메디아는 324년 로마 제국의 동부(그리고 대부분의 원로) 수도로 남아 공동 제국인 리치니우스가 324년 크리소폴리스 전투에서 콘스탄티누스 대왕에게 패배했다.콘스탄티누스는 이후 6년 동안 주로 니코메디아에 임시 수도로 거주하다가 330년 가까운 비잔티움(콘스탄티노플로 개명)을 새로운 수도로 선포했다.콘스탄티누스는 337년 니코메디아 부근의 왕실 별장에서 사망했다.새로운 수도로 통하는 아시아 도로의 융합에서의 위치 때문에 니코메디아는 콘스탄티노플이 건국된 이후에도 그 중요성을 유지했다.[9]

그러나 358년 8월 24일 대지진이 일어나 니코메디아에 광범위한 참화를 초래했고, 이어 화재가 발생하여 대재앙을 완성했다.니코메디아는 재건되었지만 규모가 더 작았다.[10]6세기에 저스틴 1세 황제 휘하에서 도시는 새로운 공공 건물들로 확장되었다.수도로 통하는 길목에 자리잡고 있는 이 도시는 비잔틴의 칼리파이트 반대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주요 군사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11]비문을 통해 우리는 제국 말기에 니코메디아가 로마 식민지의 영광을 누렸다는 것을 알게 된다.[12]

45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관할하는 메트로폴리탄 광장으로 승격되었다.[13]니코메디아의 대도시는 총대주교의 대도시 중 노티티에 성공회 7위에 올랐다.[14]8세기에 콘스탄티누스 5세 황제는 콘스탄티노플에서 페스트가 발생하여 746–[15]47년에 수도에서 그를 몰아낸 바 있다.840년대부터 니코메디아는 옵티마토이 테마의 수도였다.그 무렵, 페르시아 지리학자 이븐 쿠르다드비(Ibn Khurdhbih)는 대부분의 오래된 바다쪽 도시를 버려두고, 언덕 꼭대기 성채에 정착지가 제한되어 폐허가 되어 있다고 묘사하고 있다.[11]1080년대에 도시는 셀주크 투르크에 대항하는 그의 캠페인에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의 주요 군사기지 역할을 했고, 1차 십자군과 2차 십자군 모두 그곳에 진을 쳤다.

이 도시는 콘스탄티노플1204년 제4차 십자군에 함락된 후 라틴제국에 의해 잠시 열리게 되었다: 1206년 후반에 원로찰 티에리 로스가 이곳을 그의 근거지로 삼으면서 성 소피아 교회를 요새로 개조했다. 그러나 십자군 거점은 니케아 테오도르 1세 라스카리스 황제로부터 계속되는 습격을 받았다.Ich de Loose는 니카이아 병사들에 의해 붙잡혔다; 1207년 여름 플랑드르 황제 헨리 황제는 디 로스와 다른 죄수들을 감금한 대가로 니코메디아를 피난시키기로 동의했다.[16]그 후 1세기 넘게 비잔틴의 지배하에 머물렀지만 1302년 바프헤우스 전투에서 비잔틴이 패한 뒤 떠오르는 오스만 베일릭의 위협을 받았다.이 도시는 오스만족에 의해 두 번 체에 매이고 봉쇄되었다(1304년과 1330년). 결국 1337년에 굴복했다.[11]

앙카라 전투와 그 후의 오스만 인터폴이 이웃 국가들이 다른 왕자들에 대한 지지의 대가로 오스만 왕자들로부터 정복된 영토의 반환을 요구할 만큼 그들을 약화시킬 때까지 도시는 오스만 수중에 남아 있었다.이렇게 해서 비잔틴인들은 니코메디아와 보스포루스 동쪽에 있는 다른 땅들을 포함한 상당한 영토 양보를 확보했다.그러나 이 비잔틴 통치의 마지막 시기는 1419년경 니코메디아가 확실히 오스만족에 의해 점령되었기 때문에 다소 짧은 기간이었다.

사회 기반 시설

제국 시대에 니코메디아는 로마의 주요 도시에 적합한 모든 편의시설을 제공받은 국제적이고 상업적으로 번창하는 도시였다.니코메디아는 2개에서 3개까지의 수로가 풍부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17] 그 중 하나는 헬레니즘 시대에 건설되었다.플리니 더 젊은이는 서기 110년에 쓰여진 트라잔에게 보낸 서신에서 니코메디안 사람들이 미완성 수로에 3,518,000 세스터스를 낭비했다고 불평하고 있는데, 이것은 두 번이나 공학적인 문제에 부딪혔다.트라잔은 그에게 수로를 완성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라고 지시하고, 거액의 돈 낭비 이면에 숨겨진 공직 비리를 조사하라고 지시한다.[18]트라잔 휘하에는 로마군의 대규모 수비대도 있었다.[19]다른 공공 시설로는 극장, 헬레니즘 도시의 전형적인 식민지화된 거리, 포럼 등이 있다.[20]

주요 종교 사당은 항구 위의 언덕 위에 있는 신성한 경내에 서 있는 데메테르의 신전이었다.[5]도시는 로마 공식 숭배단을 열렬히 채택했고,[21][22] 옥타비아누스에게 바치는 도시의 신성한 경내인 코모두스 황제를 기리는 신전과 공화정 말기에 바친 로마 신전이 있었다.[5]

이 도시는 서기 253년에 고트족에 의해 축출되었지만, 서기 283년에 디오클레티안이 이 도시를 그의 수도로 만들었을 때, 그는 웅장한 복원 작업을 하고 거대한 궁전, 무기고, 민트, 그리고 새로운 조선소를 지었다.[5]

저명한 원주민 및 주민

잔해

이즈밋의 니코메디안 수로 유적

니코메디아의 유적들은 인구밀도가 높은 현대 도시인 이즈미트 아래 묻혀 있는데, 이 때문에 종합적인 발굴이 크게 방해받고 있다.20세기의 도시화가 일어나기 전에, 로마시대 도시의 엄선된 유적들을 볼 수 있었는데, 이 유적들은 이 도시를 둘러싼 로마 방어벽의 가장 두드러진 부분들과 한때 니코메디아의 물을 공급했던 여러 수도관들을 둘러쌌다.다른 기념물들로는 이스타불 거리에 있는 AD 대리석 님파움의 기초, 이 도시의 유대인 공동묘지에 있는 큰 시스터, 그리고 항구 벽의 일부가 있다.[5]

도시 대부분을 심각하게 훼손한 1999년 이즈미트 지진도 그 후의 잔해 정리 과정에서 고대 니코메디아에 대한 주요 발견으로 이어졌다.헤라클레스, 아테나, 디오클레티아누스, 콘스탄티누스 동상을 포함한 많은 고대 조각상이 발견되었다.[23]

이즈미트 지방 문화원장은 지진 발생 후 몇 년 동안 디오클레티아 궁전으로 확인된 유적지와 인근 로마 극장 등 소규모 지역을 발굴에 전용했다.2016년 4월 코카엘리 박물관 주관으로 보다 광범위한 궁전 발굴이 시작되었는데, 이 유적지는 6만㎡(19만6850㎡)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24]

참고 항목

참조

  1. ^ ""Nicomedia" in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9-30. Retrieved 2012-07-03.
  2. ^ Peter Levi, ed. (1971). Guide to Greece By Pausanias. p. 232. ISBN 0-14-044225-1.
  3. ^ Cohen, Getzel M. (1995). The Hellenistic settlements in Europe, the islands, and Asia Minor. p. 400. ISBN 0-520-08329-6.
  4. ^ "Belt Section with Medallions of Constantius II and Faustina". The Walters Art Museum.
  5. ^ a b c d e W.L. MacDonald (1976). "NICOMEDIA NW Turkey".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 '어린애 플리니스트' 10.42, 46
  7. ^ Timothy D. Barnes (1981). Constantine & Eusebius. p. 22.
  8. ^ a b Patricia Southern (2001). The Roman Empire: From Severus to Constantine. p. 168.
  9. ^ C. Texier, Asie 지뢰(Paris, 1839), V를 참조하십시오.쿠넷, 투르키 다시(Paris, 1894년).
  10. ^ Ammianus Marcellinus 17.7.1–8 참조
  11. ^ a b c Kazhdan, Alexander, ed. (1991),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pp. 1483–1484, ISBN 978-0-19-504652-6
  12. ^ Public Domain Smith, William, ed. (1854–1857). "Nicomedei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London: John Murray.
  13. ^ Kiminas, Demetrius (2009). The Ecumenical Patriarchate. Wildside Press LLC. p. 79. ISBN 978-1-4344-5876-6.
  14. ^ Terezakis, Yorgos. "Diocese of Nicomedia (Ottoman Period)". Εγκυκλοπαίδεια Μείζονος Ελληνισμού, Μ. Ασία. Retrieved 13 November 2012.
  15. ^ 데이비드 터너, 절망의 정치:746–747년 비잔틴 제국의 페스트와 이코노클라스, 아테네의 대영학교 연차, 85권 (90년), p428
  16. ^ M. R. B가 번역한 제프리빌하두인., 조인빌, 빌레하두인: 십자군 연대기(런던:펭귄, 1963년), 147페이지, 154~56페이지
  17. ^ Libanius. Oratories. p. 61.7.18.
  18. ^ Pliny the Younger. Epistulae. p. 10.37 & .38.
  19. ^ Pliny the Younger. Epistles. p. 10.74.
  20. ^ Pliny the Younger. Epistles. p. 10.49.
  21. ^ Dio Cassius. Roman History. p. 73.12.2.
  22. ^ Cassius Dio. Roman History. p. 51.20.7.
  23. ^ "Ancient underground city in izmit excites archaeology world". Hürriyet Daily News. 2016-03-04. Retrieved 2018-01-14.
  24. ^ "Ancient underground city in izmit excites archaeology world". Hürriyet Daily News. 2016-03-04. Retrieved 2018-01-14.

이 글에는 현재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