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로필라이드

Chlorophyllide
클로로필라이드
Chlorophyllide a.svg
클로로필라이드 a
이름
IUPAC 이름
마그네슘(3S,4S,21R)-3-(2-카르복시에틸)-14-에틸-21-(메톡시카르보닐)-4,8,13,18-테트라메틸-20-옥소-9-비닐-23,25-디데히드로포르빈-23,25-디아이드
식별자
  • 컴파운드
  • a: 클로로필라이드 a
  • b: 클로로필라이드 b
3D 모델(JSmol)
체비
켐스파이더
  • a: InChI=1S/C35H36N4O5.Mg/c1-8-19-15(3)22-12-24-17(5)21(10-11-28(40)41)32(38-24)30-31(35)44-7)34(42)29-18(29)25(39)14-27-20(9-2)(1327)
    키: ANWUQYTXRXCEMZ-NYABAGMLSA-L
  • b: InChI=1S/C35H34N4O6.Mg/c1-7-18-15(3)22-11-23-16(4)20(9-10-28(41)42)32(38-23)30-31)30-31(35)29-17(5)24(39-33)30)12-26-19(8-4027)(1326)
    키: QPDWBRHRBXUNS-IEIVXFASA-L
  • a: CCC1=C(C)C2=Cc3c(C=C)c(C)C4C=C5[C@H](C)[C@H](C)[CCC(O)=O)C6=[N+]5[Mg--5]ncc(C)C6=c31
특성.
CHMGNO353445
몰 질량 614.973 g/g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표준 상태(25°C[77°F], 100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됩니다.

클로로필라이드 a 및 클로로필라이드 b는 각각 클로로필 a 및 클로로필 b의 생합성 전구체이다.그들의 프로피온산 그룹은 경로의 마지막 단계에서 클로로필 합성효소에 의해 피틸 에스테르로 전환된다.따라서 이러한 화합물에 대한 주된 관심은 식물, 조류, 시아노박테리아에서 엽록소 생합성에 대한 연구였다.클로로필라이드 a는 또한 [1][2]박테리오클로로필의 생합성 과정에서의 중간체이다.

구조물들

클로로필라이드 a, (R=H).클로로필라이드 b는 녹색 상자에 표시된 메틸기를 포르밀기로 치환한다.

클로로필라이드 a는 카르본산(R=H)이다.클로로필라이드 b는 위치 13의 메틸기(클로로필라이드 a의 IUPAC 번호부여)에서 녹색상자로 강조 표시된 메틸기포르밀기로 치환한다.

생합성 단계부터 프로토포르피린 IX 형성까지

글루탐산에서 시작하는 생합성 초기 단계에서 테트라피롤포르포빌리노겐히드록시메틸빌란을 통해 아미노레불린산우로포르피리노겐II로 변환하는 탈아미나아제코신테아제에 의해 생성된다.후자는 헴, 시로헴, 보조인자430 F, 코발라민 및 클로로필 [3]자체에 공통적인 첫 번째 대환상 중간체이다.다음 중간생성물은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와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로 완전방향족 프로토포르피린 IX로 산화된다.예를 들어 포유동물에서 프로토포르피린 IX에 철분을 삽입하면 혈액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보조인자인 헴이 생기지만, 식물은 대신 마그네슘을 결합하여 광합성을 [4]위한 엽록소를 얻는다.

프로토포르피린 IX로부터의 클로로필라이드의 생합성

엽록소에 대한 생합성 경로의 마지막 단계는 식물(예: Arabidopsis taliana, Nicotiana tabacumTriticum emistivum)과 박테리아(예: Rubrivivax gelatinosusSynechocystis)에 따라 다르다.그러나 유전자와 효소는 다르지만 관련된 화학반응은 동일하다.[1][5]

마그네슘 삽입

마그네슘이 프로토포르피린 IX에 삽입됨

클로로필은 클로로린이라고 불리는 배위자 내에서 배위된 마그네슘 이온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금속은 반응 EC 6.6.1.1촉매하는 마그네슘[1] 킬라타아제에 의해 프로토포르피린 IX에 삽입된다.

프로토포르피린 IX + Mg2+
+ ATP + HO
2
{ \ ADP + 인산염 + Mg-prot포르피린 IX + 2+
H

C프로피온산환기의 에스테르화

클로로필라이드를 향한 다음 단계는 프로피온산염기 중 하나에서 메틸(CH3)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것으로, 메틸화 반응 EC 2.1.1.11에서 마그네슘 프로토포르피린 IX 메틸전달효소[6] 의해 촉매된다.

Mg-프로토포르피린 IX + S-아데노실메티오닌δ(\ Mg-프로토포르피린 IX 13-메틸에스테르 + S-아데노실-L-호모시스테인

포르피린에서 클로로린까지

에스테르화된 프로피온산염 측쇄가 주 포르피린 고리로 순환되어 디비닐프로토클로로필라이드를 형성할 때 클로로린 고리 시스템이 형성된다.

클로로린 고리 시스템은 포르피린의 프로피온산염 그룹 중 하나가 원래의 피롤 고리 C와 D를 연결하는 탄소 원자로 환산될 때 5원짜리 탄소 고리 E가 생성됩니다.마그네슘-프로토포르피린 IX 모노메틸 에스테르(산화물) 사이클라아제[7] 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일련의 화학적 단계는 EC 1.14.13.81을 제공합니다.

Mg-프로토포르피린 IX 13-모노메틸에스테르 + 3NADPH + 3H+ + 3O2 {\ }디비닐프로토클로로필라이드 + 3NADP+ + 5HO2

보리에서 전자는 환원 페레독신에 의해 공급되며, 환원 페레독신은 광계 I 또는 어두운 곳에서는 페레독신(NADP(+) 환원효소로부터 얻을 수 있다: 사이클라아제 단백질은 XanL로 명명되고 Xantha-l [8]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Rhodobacter sphaeroides같은 혐기성 유기체에서도 동일한 전체적인 변환이 발생하지만 마그네슘-프로토포르피린 IX 13-모노메틸 에스테르에 포함된 산소는 EC 1.21.98.[9]3 반응에서 물에서 나온다.

클로로필라이드에 대한 환원 단계

클로로필라이드 a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추가 변형이 필요하다.둘 다 환원 반응이다.하나비닐기를 에틸기로 변환하고, 두 번째는 마크로사이클의 전체적인 방향성은 유지되지만 피롤링 D에 2개의 수소 원자를 첨가한다.이러한 반응은 독립적으로 진행되며, 일부 유기체에서는 순서가 [1]반대된다.디비닐클로로필라이드 8-비닐환원효소[10] EC 1.3.1.75 반응으로 3,8-디비닐프로토클로로필라이드를 프로토클로로필라이드로 변환합니다.

3,8-디비닐프로토클로로필라이드+NADPH+H+프로토클로로필라이드+NADP+)
원클로로필라이드의 고리 D의 감소는 클로로필라이드의 생합성을 완료한다.

이어서 피롤 고리 D가 원염화물 환원효소[11] 의해 환원되는 EC 1.3.1.33 반응이 일어난다.

프로토클로로필라이드+NADPH+H+클로로필라이드a+NADP+

이 반응은 빛에 의존하지만 환원된 페레독신을 보조 인자로 사용하고 빛에 의존하지 않는 대체 효소인 페레독신:프로토클로로필라이드 환원효소(ATP-dependent)[12]가 있다. 이는 EC 1.3.7과 유사한 반응을 하지만 대체 기질 3,8-디비닐프로필라이드이다.

3,8-디비닐프로토클로로필라이드+환원페레독신+2 ATP+2HO2 }38-디비닐클로필라이드a+산화페레독신+2ADP+2인산염)

이 대체 환원 단계를 사용하는 유기체에서는 예를 들어 다양한 기질을 취하고 필요한 비닐기 환원을 수행할 수 있는 효소에 의해 촉매작용 EC 1.3.7.13에 의해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3,8-디비닐클로로필라이드 a + 2 환원 페레독신 + 2 H+ (\클로로필라이드 a + 2 산화 페레독신

클로로필라이드 a부터 클로로필라이드 b까지

클로로필라이드 a 산소화효소는 전체 반응을 촉매 EC 1.3.7.13으로 하여 클로로필라이드[13] a를 클로로필라이드 b로 변환하는 효소이다.

클로로필라이드 a + 22 O + 2 NADPH + 2 H+ ( \ \ 클로로필라이드 b + 32 HO + 2 NADP+ )

엽록소 a와 엽록소 b의 생합성에 사용

클로로필 A
클로로필 b

클로로필 합성효소[14] 반응 EC 2.5.1.62를 촉매하여 클로로필 a의 생합성을 완료한다.

클로로필라이드a + 피틸이인산염 { \클로로필a + 이인산염

이는 클로로필라이드 a의 카르본산기와 20-탄소 디테르펜 알코올 피톨의 에스테르를 형성한다.클로로필 b는 클로로필라이드 b에 작용하는 동일한 효소에 의해 만들어진다.

박테리오클로로필의 생합성에 사용

박테리오클로로필라이드a(R=H).초기 중간체들은 표시된 아세틸기 대신 비닐기 또는 1-히드록시에틸기를 가진다.
박테리오클로로필a

박테리오클로로필은 광합성 박테리아에서 발견되는 광수확 색소이다: 그들은 부산물로 산소를 생산하지 않는다.그러한 구조는 많지만 모두 클로로필라이드 [1][15]a에서 파생되어 생합성적으로 관련이 있다.박테리오클로로필 a가 대표적인 예다; 그 생합성은 Rhodobacter capsulatusRhodobacter sphaeroides에서 연구되어 왔다.

첫 번째 단계는 피롤 고리 B의 환원(트랜스 입체 화학에 의한)으로, 많은 박테리오클로로필의 특징적인 18전자 방향족 시스템을 제공한다.이는 클로로필라이드 환원효소에 의해 수행되며, 이는 EC 1.3.7.15 반응을 촉매한다.

클로로필라이드 a + 2 환원 페레독신 + ATP2 + HO + 2+ H \ \ 3-deacetyl 3-vinylbacterio chloroplide a + 2 산화 페레독신 + ADP + 인산염

다음 두 단계는 먼저 비닐기를 1-히드록시에틸기로 변환한 다음 박테리오클로로필라이드 a의 아세틸기로 변환합니다.반응은 [2][16]클로로필라이드 3-히드라타아제1(EC 4.2.1.165)와 박테리오클로로필라이드 탈수소효소(EC 1.1.1.396)에 의해 다음과 같이 촉매된다.

3-디아세틸3-비닐박테리오클로로필라이드a+HO23-디아세틸3-(1-히드록시에틸)박테리오클로로필라이드a
3-디아세틸 3-(1-히드록시에틸) 박테리오클로로필라이드a + NAD+ rightleftharlophollide a + NADH+ + H)

이 세 가지 효소 촉매 반응은 광합성을 위한 최종 색소로 에스테르화할 준비가 된 박테리오클로로필라이드를 생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박테리오클로로필 a의 피틸 에스터는 직접 부착되지 않으며, 초기 중간체는 R=게라닐게라닐(제라닐게라닐피로인산으로부터)을 가진 에스테르이며, 그 후 사이드체인 알켄 결합 중 3개가 [16]감소함에 따라 추가 단계를 거친다.

레퍼런스

  1. ^ a b c d e Willows, Robert D. (2003). "Biosynthesis of chlorophylls from protoporphyrin IX". Natural Product Reports. 20 (6): 327–341. doi:10.1039/B110549N. PMID 12828371.
  2. ^ a b Bollivar, David W. (2007). "Recent advances in chlorophyll biosynthesis". Photosynthesis Research. 90 (2): 173–194. doi:10.1007/s11120-006-9076-6. PMID 17370354. S2CID 23808539.
  3. ^ Battersby AR, Fookes CJ, Matcham GW, McDonald E (May 1980). "Biosynthesis of the pigments of life: formation of the macrocycle". Nature. 285 (5759): 17–21. Bibcode:1980Natur.285...17B. doi:10.1038/285017a0. PMID 6769048. S2CID 9070849.
  4. ^ Battersby, A. R. (2000). "Tetrapyrroles: the Pigments of Life. A Millennium review". Natural Product Reports. 17 (6): 507–526. doi:10.1039/B002635M. PMID 11152419.
  5. ^ R. Caspi (2007-07-18). "3,8-divinyl-chlorophyllide a biosynthesis I (aerobic, light-dependent)". MetaCyc Metabolic Pathway Database. Retrieved 2020-06-04.
  6. ^ Shepherd, Mark; Reid, James D.; Hunter, C. Neil (2003). "Purification and kinetic characterization of the magnesium protoporphyrin IX methyltransferase from Synechocystis PCC6803". Biochemical Journal. 371 (2): 351–360. doi:10.1042/BJ20021394. PMC 1223276. PMID 12489983.
  7. ^ Bollivar DW, Beale SI (September 1996). "The Chlorophyll Biosynthetic Enzyme Mg-Protoporphyrin IX Monomethyl Ester (Oxidative) Cyclase (Characterization and Partial Purification from Chlamydomonas reinhardtii and Synechocystis sp. PCC 6803)". Plant Physiology. 112 (1): 105–114. doi:10.1104/pp.112.1.105. PMC 157929. PMID 12226378.
  8. ^ Stuart, David; Sandström, Malin; Youssef, Helmy M.; Zakhrabekova, Shakhira; Jensen, Poul Erik; Bollivar, David W.; Hansson, Mats (2020-09-08). "Aerobic Barley Mg-protoporphyrin IX Monomethyl Ester Cyclase is Powered by Electrons from Ferredoxin". Plants. 9 (9): 1157. doi:10.3390/plants9091157. PMC 7570240. PMID 32911631.
  9. ^ Porra, Robert J.; Schafer, Wolfram; Gad'On, Nasr; Katheder, Ingrid; Drews, Gerhart; Scheer, Hugo (1996). "Origin of the Two Carbonyl Oxygens of Bacteriochlorophyll a. Demonstration of two Different Pathways for the Formation of Ring e in Rhodobacter sphaeroides and Roseobacter denitrificans, and a Common Hydratase Mechanism for 3-acetyl Group Formation".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239 (1): 85–92. doi:10.1111/j.1432-1033.1996.0085u.x. PMID 8706723.
  10. ^ Parham, Ramin; Rebeiz, Constantin A. (1992). "Chloroplast biogenesis: [4-vinyl] chlorophyllide a reductase is a divinylchlorophyllide a-specific, NADPH-dependent enzyme". Biochemistry. 31 (36): 8460–8464. doi:10.1021/bi00151a011. PMID 1390630.
  11. ^ Apel, Klaus; Santel, Hans-Joachim; Redlinger, Tom E.; Falk, Heinz (2005). "The Protochlorophyllide Holochrome of Barley (Hordeum vulgare L.)".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111 (1): 251–258. doi:10.1111/j.1432-1033.1980.tb06100.x. PMID 7439188.
  12. ^ Muraki N, Nomata J, Ebata K, Mizoguchi T, Shiba T, Tamiaki H, Kurisu G, Fujita Y (May 2010). "X-ray crystal structure of the light-independent protochlorophyllide reductase". Nature. 465 (7294): 110–4. Bibcode:2010Natur.465..110M. doi:10.1038/nature08950. PMID 20400946. S2CID 4427639.
  13. ^ Eggink, Laura L.; Lobrutto, Russell; Brune, Daniel C.; Brusslan, Judy; Yamasato, Akihiro; Tanaka, Ayumi; Hoober, J Kenneth (2004). "Synthesis of chlorophyll b: Localization of chlorophyllide a oxygenase and discovery of a stable radical in the catalytic subunit". BMC Plant Biology. 4: 5. doi:10.1186/1471-2229-4-5. PMC 406501. PMID 15086960.
  14. ^ Schmid, H. C.; Rassadina, V.; Oster, U.; Schoch, S.; Rüdiger, W. (2002). "Pre-Loading of Chlorophyll Synthase with Tetraprenyl Diphosphate is an Obligatory Step in Chlorophyll Biosynthesis" (PDF). Biological Chemistry. 383 (11): 1769–78. doi:10.1515/BC.2002.198. PMID 12530542. S2CID 3099209.
  15. ^ Senge, Mathias O.; Smith, Kevin M. (2004). "Biosynthesis and Structures of the Bacteriochlorophylls". Anoxygenic Photosynthetic Bacteria. Advances in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Vol. 2. pp. 137–151. doi:10.1007/0-306-47954-0_8. ISBN 0-7923-3681-X.
  16. ^ a b R. Caspi (2015-12-08). "Pathway: bacteriochlorophyll a biosynthesis". MetaCyc Metabolic Pathway Database. Retrieved 2020-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