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네딘 주의 도시 (선박)

City of Dunedin (ship)
역사
이름PSS 두네딘 주의 도시
소유자 존스와 존 카길
등록항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경로포트 찰머스, 두네딘에서 호키티카로
빌더데니앤코, 덤바튼
야드 번호28
완료된1863년 6월 16일
운명1865년 5월 20일 난파
일반적 특성
유형클리퍼
톤수327 총 등록 톤수(GRT)
길이167피트(51m)
22피트(6.7m)
깊이17피트(5.2m)
설치된 전원50hp Denny 및 Co 대각선 보일러 2대
추진노를 젓다
돛 계획스쿠너가 조작되었다.
속도10노트

두네딘 는 1865년 5월 20일 웰링턴에서 넬슨을 거쳐 호키티카까지 항해하던 중 테라히티 케이프 인근 쿡해협에서 난파된 327t급 사이드 휠 패들 기선이었다.[3] 제임스 파커 보이드 대위가 그녀에게 명령했다.[4]

건설

두네딘 시는 덤바튼의 아르키발드 데니가 글래스고에서 건설한 철제 노젓는 기선이었다. 그녀는 100마력짜리 데니와 코 스팀 엔진을 장착했다. 글래스고의 마가렛 롭슨 양이 그녀의 이름을 지었다.

그녀는 뉴질랜드 주변의 해안 무역을 위해 특별히 지어졌다. 그녀는 오타고의 존스와 코의 소유였다.[5][6]

그녀는 외모가 우아하지 않다고 묘사되었지만.. 상당한 비율, 그리고 그녀가 고용될 거래에 대한 철저한 적응... 그녀는 배를 계류하고 계류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윈드글라스를 가지고 있었다. 메인 데크는 스파 데크 밑에서 7피트 아래에 있었다. 그녀는 엔진룸으로 분리된 전방과 후방을 잡고 있었다. 그녀의 치수는 167피트 길이와 23피트 빔이었다. 그녀의 만취는 6.5피트, 깊이는 15피트였다. 그녀의 보통 속도는 10노트였다. 승객을 위한 56개의 정박지가 있었다.

그 보트에서 54/64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던 존 존스는 그의 지분을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다. 나머지 10/64번째 소유주들은 그들의 주식을 보험에 가입했었다.[7]

처녀항해

그녀의 첫 항해는 글래스고에서 맥팔레인 선장 휘하의 두네딘까지 87일이 걸렸다. 그녀는 7월 9일 글래스고를 떠나 11월에 두네딘에 도착했다.[8] 그 여정의 선박 엔지니어들은 경험이 부족해서 엔진을 제대로 유지하지 못했다. 비스케이만에 도착하자 배는 더 이상 증기로 달리지 않고 돛을 다시 달아야 했다. 그녀는 엔진을 수리하기 위해 마데이라에 투입했고 석탄을 얻기 위해 케이프 베르데 제도에 투입했다. 적도에 도달하자 배는 다시 솔란더스에 도착할 때까지 항해하기 위해 되돌아갔다.[9] 여정은 그녀가 강풍에 부딪친 희망봉에서 600마일 떨어진 곳까지 아무런 사고도 일어나지 않았다.[10] 두네딘에 도착한 후 그녀는 멜버른으로 보내져 두네딘에 선착장이 없기 때문에 정박하게 되었다.

연안 무역

1868년 호키티카

그녀의 첫 여행은 1863년 12월 5일 포트 찰머스에서 오타고 헤드로 가는 주인들의 여행이었다. 그녀의 첫 상업 항해는 12월 9일 수요일 오후 1시에 포트 샬머스에서 출항한 다음 주였다. 그녀는 와이쿠에이티, 모에라키, 오오마루, 티마루, 아카로아에 들렀다가 12월 12일 리틀턴에 도착했다.[11] 그녀는 12월 16일 릿텔톤을 출발해 20일 다시 포트 샬머스에 도착했다. 제안은 이것을 질롱 항과 연계하여 이들 항만 사이에 매주 운행하는 전주곡으로 하자는 것이었다.[12]

1864년 5월까지 그녀는 웰링턴으로 항해했고 해블록과 픽톤으로 정기적으로 항해하고 있었다.[13] 1865년 초에 그녀는 웰링턴과 넬슨에게 전화를 걸기 시작했다.[14][15] 서해안 골드러시로 호키티카는 4월까지 자신의 기항지에 추가되었다.[16]

실종

목격담

테라위티 곶

두네딘 시는 1865년 5월 20일 토요일 오후 4시쯤 웰링턴에서 출항했다. 그녀는 그날 오후 해변에 있는 케이프 테라위티에서 말을 타고 나가던 15세 소녀 맥메나멘에[17] 의해 목격되었다. 그녀는 그 기선이 원을 그리며 항해하는 동안 조종이 끊겼다고 생각했다. 선원들은 돛을 올리고 내리는 등 혼란스러워 보였다. 집에 돌아오자마자 그녀는 어머니에게 와서 봐달라고 부탁했지만, 어머니가 바빠서 가지 않았다. 이날 바람은 상쾌한 남풍으로 전해졌다.[18] 이후의 설명은 20일과 21일에 폭풍이 있었다는 것을 가리킨다.[19]

검색

두네딘 시가 넬슨에 도착하지 못했을 때 그녀는 처음에는 지연되거나 호키티카로 직항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시간이 흘러 웰링턴 해안을 따라 파편이 발견되면서 그녀는 케이프 근처의 바위 중 하나를 맞고 가라앉은 것으로 여겨졌다.[20]

폭스 선장 휘하의 포선 샌플라이호는 해협 양쪽에 있는 해안을 수색했다.[21]

리올 만에서 오하리우 만까지의 해안 도보 탐색은 J W 레이어가 선박들의 운명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해안을 따라 여러 조각의 배와 내용물이 흩어져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난파선의 대다수의 유물은 파일럿 스테이션과 싱클레어 헤드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실제 탑승객의 추정치는 행사 후 20~40년이 지난 뒤 발간된 일부 논문에서 250~600명이었다. 그녀는 1863년 오타고 헤즈로 처음 여행을 갔을 때 이런 종류의 숫자를 실을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22] 이 주장과 반대되는 요점은 배가 실종되었을 당시의 신문들은 단지 50명에서 60명 정도의 선원에 대해서만 언급했다는 것이다.[23] 게다가, 그녀가 발견했어야 할 해안선을 수색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고아와 과부들을 위한 기금

가족을 잃은 사람들을 돕기 위한 기금 모금이 전국 각지에서 실시되었다.[24]

참조

  1. ^ "Steamer 'City of Dunedin'- Mysterious Sinking Cook Strait, New Zealand May 20, 1865". November 2003. Retrieved April 13, 2015.
  2. ^ "PSS City of Dunedin (+1865)". WreakSite.eu. Retrieved April 13, 2015.
  3. ^ SS도시 두네딘과 모든 손, 오타고 증인 03호, 이슈 705, 1865년 6월 3일, 페이지 11
  4. ^ 도착, Wellington Independent, Volume XIX, 이슈 2199, 1865년 4월 29일, 페이지 2
  5. ^ 잃어버린 도시 두네딘, 데일리 남십자, 권 XXI, 이슈 2463, 1865년 6월 12일, 페이지 4
  6. ^ 보고된 P.S. 손실. 두네딘의 도시, 노스오타고 타임즈, 제4권, 제68호, 제8권, 1865년 6월 8일, 페이지 3
  7. ^ 제목 없음, 이브닝 포스트, 이슈 107, 1865년 6월 13일, 페이지 2
  8. ^ 제목 없는 오타고 데일리 타임즈, 이슈 605, 1863년 11월 25일, 페이지 4
  9. ^ 기선 도시 두네딘, 흰 날개 제 1권 뉴질랜드 무역 50년 - 1850년부터 1900년까지
  10. ^ 배송 정보, Lyttelton Times, Volume XX, 이슈 1164, 1863년 12월 1일, 페이지 4
  11. ^ Dunedin에서 Lyttelton까지 - 두네딘, Lytelton Times, Volume XX, 1170호, 1863년 12월 15일, 페이지 5에 탑승
  12. ^ 배송 정보, Lyttelton Times, Volume XX, 이슈 1173, 1863년 12월 22일, 페이지 4
  13. ^ 배송 정보 - 북부와 남부 메일, Lyttelton Times, Volume XXI, 1243, 1864년 5월 31일, 3페이지
  14. ^ 페이지 2 광고란 4, 웰링턴 독립, 볼륨 XIX, 이슈 2164, 1865년 2월 7일 페이지 2
  15. ^ 1865년 2월 24일자 2면 2면 휘트웰 선장, 콜로니스트, 제8권, 제76호
  16. ^ 스팀 레이싱, 웰링턴 인디펜던트, 볼륨 XIX, 이슈 2199, 1865년 4월 29일, 페이지 2
  17. ^ "Loss of the City of Dunedin with all hands".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8 January 2015. Retrieved 2 April 2015.
  18. ^ 두네딘 시의 파괴, 넬슨 심사관 및 뉴질랜드 크로니클, 권 XXIV, 이슈 115, 1865년 9월 23일 페이지 3
  19. ^ 잃어버린 도시 두네딘, 식민지 개척자, 제8권, 제793호, 1865년 6월 2일, 페이지 2
  20. ^ 두네딘시, 브루스 헤럴드, 제3권, 제61, 1865년 6월 8일, 페이지 5의 분실.
  21. ^ 더네딘의 도시, 이브닝 포스트, 103호, 1865년 6월 8일, 2페이지
  22. ^ 고대 난파선, 말버러 익스프레스, 제13II권, 제174호, 1909년 7월 21일, 페이지 2
  23. ^ 기선 도시 두네딘의 상실 - 편집, 이브닝 포스트, 94호, 1865년 5월 29일, 2페이지
  24. ^ 1865년 6월 23일자 2면, 제7권, 제82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