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CS 휴 린제이 (1829년)
HCS Hugh Lindsay (1829)역사 | |
---|---|
![]() | |
이름 | 휴 린제이 |
네임스케이크 | 휴 프림로즈 린제이 |
주인님. | 동인도 회사 |
연산자 | 동인도 회사 |
빌더 | 봄베이 선착장[a] |
비용 | 루피 225,000 (hull)[1] |
시작됨 | 1829년 10월 14일 |
운명 | 난파된 1865년 8월 18일 |
일반적 특성 | |
톤즈버튼 | 411 [3]또는 414[4](bm) |
길이 | 140피트 4인치(42.8m)[1] |
빔 | 24피트 10인치(7.6m)[1] |
설치된 전원 | Lambeth의 [1]Henry Maudslay가 만든 2 x 80HP 증기 엔진[3] |
추진 | 패들 찜통 |
속도 | 6마일[5] |
무장을 | 포[3] 4문 |
H[onourable] C[옴파니] S[hip] 휴 린제이는 1829년 봄베이에서 영국 동인도 회사(EIC)의 해군을 위해 건조된 패들 기선이었으며 봄베이에서 건조된 최초의 증기선이었다. 그녀는 수에즈와 봄베이 사이의 우편물 경로를 개척했다. 휴 린지는 1865년 8월 18일 페르시아만에서 길을 잃었다.
오리진스
1823년 봄베이 주지사 마운트스타트 엘핀스토네(Mountstuart Elphinstone)는 잉글랜드와 봄베이를 잇는 우편항로를 홍해를 거쳐 EIC의 이사회에 제안하였다. 이사들은 흥미가 없었다. 그가 1826년에 그 제안을 갱신했을 때 그들은 여전히 관심이 없었다.[6] 육로라고 불릴 만한 개념은 런던에서 알렉산드리아로, 몰타를 거쳐 수에즈로 가는 육로, 그리고 수에즈에서 봄베이로 가는 기선들이 포함되었다. 엘핀스토네의 후계자인 존 말콤 경은 스스로 진행하기로 했다.[6]
Mrs. Mrs.에. 윌슨은 휴 린제이를 발사했고 휴 린제이는 인도에서 처음 건조된 [7][8]것은 아니지만 봄베이에서 건조된 최초의 증기선이었다.[4] (인도에서 발사된 최초의 대양행 증기선은 1823년 7월 12일 캘커타에서 발사된 다이애나였다.)[9]
경력
그녀의 발사 후, 1830년 3월 20일 인도 해병의 사령관 존 H. 윌슨은 봄베이를 떠나 홍해로 향했다. 그는 '홍해의 첫 증기선 항해사'가 되고 싶은 마음에서 실험 항해를 자원했다.[10] 역시 수에즈호는 21일 8시간이 걸렸고 봄베이로 돌아오는 항해는 19일 14시간이 걸렸다.[3] 그러나, 이 항해를 성취하기 위해 휴 린제이는 봄베이와 아덴 사이의 1641마일의 다리에 충분한 석탄을 운반했는데, 그녀는 5일분의 석탄을 운반하도록 설계되었지만, 11일이 걸렸다. 여분의 석탄은 승객과 화물을 희생하여 왔다. 게다가, 아덴, 제다, 수에즈까지 500톤의 석탄을 운반하는 항해용 광선 여단이 휴 린제이에 앞서 있었다. 마지막으로, 항해 시간 외에도, 그 항해는 특히 석탄 운송을 중단하는데 여분의 시간이 필요했다.[6] 아덴에서는 노동력을 찾기 어려워서 180톤을 싣는 데 6일이 걸렸다. 따라서 EIC는 대신에 마쿨라에 코일링 스테이션을 설립했다.[11]
윌슨의 다음 세 번의 항해는 1830년 12월 5일, 1832년 1월 5일, 그리고 1833년 1월 14일에 이루어졌다. 윌슨은 모두 7번 항해를 했다.[12][b]
1833년 2월 4일 봄베이 정부는 인도 해군의 선박 분류를 허가했다. 그것은 휴 린지를 3류로 분류했다.[13]
1834년, 휴 린제이가 수에즈 항해를 마치고 돌아온 후, 봄베이 정부는 반다르 압바스 근교의 페르시아 만에 있는 바사도레에 파견과 함께 그녀를 보냈다. 거기서 배를 타고 바스라로 가서 육로를 통해 알레포까지 수송할 수 있었다. 거리는 1000mi(1600km) 정도였고, 다시 한 번 가는 길에 코일링 스테이션이 없었다. 그녀는 5월 24일에 출발하여 5월 31일에 바사도레에 도착하여 석탄을 거의 다 써버렸다. 그녀는 돛을 달고 봄베이로 돌아오는 항해를 했고, 바사도레에서 조달한 목재를 가지고 돌아왔다.[14] 이듬해 휴 린제이는 영국 유프라테스 원정대를 지원했고 바스라에서 봄베이까지 우편물과 파견을 실어 날랐다.
휴 린제이는 1836년까지 수에즈에게 일년에 한 번 항해를 했다. 그녀는 북동 몬순 동안 항해했다; 그녀는 남서 몬순 동안 항해할 만큼 충분히 강하지 않았다.[15] 1834년 EIC는 소코트라를 봄베이가 수에즈가 운영하는 코일링 스테이션의 장소로 간주하고 약 1년 동안 그곳에 수비대를 주둔시켰다. 하지만, 그것은 부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대신 영국은 1839년 아덴을 코일링 스테이션으로 사용하기 위해 인수했다.
1837년 4월 13일 휴 린제이, HMS 윈체스터, HCS 아탈란타는 반란군의 포위망을 완화하기 위해 병력과 포병을 이끌고 망갈로레로 갔다. 하지만, 배가 도착했을 때, 그들은 칸나노르에서 온 군대가 이미 포위를 풀었다는 것을 발견했다.[16]
1837년 6월 17일 봄베이의 강풍이 휴 린지와 다른 많은 선박들을 손상시켰다.[17] 휴 린제이는 계류장을 갈라 베레니체에게 반칙을 당했고, 패들박스, 커트워터, 피규어헤드를 잃어 다른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한 가지 설명으로, 휴 린지는 1839년 또는 1840년까지 수에즈 경기를 유지했다. 1839년 휴 린지 중위의 지휘 아래.캠벨, 페르시아만 주재 영국 정부 주재원, 헤넬 대위 승선 헤넬과 휴 린제이는 해군 활동에 대한 1년간의 휴전을 다시 시작하도록 셰이크들에게 격려하기 위해 걸프 서쪽 해안의 항구들을 둘러보았다.[18][c] 헤넬이 휴 린지를 부시레에 남겨둔 후, 그녀는 부소라에게 우편물을 운반했다. 거기서 그녀는 카룬을 타고 모하메드라로 올라갔는데, 이것은 강에 오른 최초의 증기 전쟁 선박이었다. 캠벨은 휴 린제이를 페르시아 총독의 요새 옆에 눕혔고, 그 결과 주지사는 EIC의 창고에서 석탄을 운송하는 것을 금지하기로 했던 이전의 결정을 번복했다.[19]
이후 그녀는 마드라스로 옮겨져 1857–8까지 항해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 후 그녀는 아마도 헤어졌을 것이다.[20] 또 다른 계정은 휴 린제이가 1857년에 헤어진 대가로 팔리게 했다.[4] 그러나 휴 린지는 또 다른 7, 8년 동안 항해를 계속했다.
1855년 인도 정부는 인도 해병으로부터 우편 서비스에 대한 책임을 이양하고 P&O 라인과 계약을 맺었는데, P&O 라인은 이미 영국과 알렉산드리아 간의 우편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였다.
운명
휴 린제이는 1865년 8월 18일 바사도레에서 난파되었다.26°39′N 55°22′E / 26.650°N 55.367°E). 탑승자 전원이 생존했다.[21][22]
주석, 인용문 및 참조문헌
메모들
인용구
- ^ a b c d 피프스(1840), 페이지 212.
- ^ 깁슨 힐(1954년), 페이지 147.
- ^ a b c d 와디아(1986), 페이지 269–270.
- ^ a b c Hackman(2001), 페이지 333.
- ^ 아시아 저널 (1841), 페이지 245.
- ^ a b c 코하르(1994년), 페이지 968.
- ^ 피프스(1840), 페이지 165.
- ^ 와디아(1986년), 페이지 343.
- ^ 핍스(1840), 페이지 202-204.
- ^ 낮음(1877), 페이지 526.
- ^ 낮음(1877), 페이지 116.
- ^ a b 더글러스(1900), 페이지 138.
- ^ 낮음(1877), 페이지 11.
- ^ 게스트(2015), 페이지 109.
- ^ 케네디(1903년), 페이지 48.
- ^ 낮음(1877), 페이지 51.
- ^ "배송 정보" 모닝 크로니클(2169) 런던. 1837년 9월 19일.
- ^ a b 낮음(1877), 페이지 25-26.
- ^ 낮음(1877), 페이지 26, fn.
- ^ 깁슨힐(1954년), 페이지 138.
- ^ "The Bombay Mail". The Standard (12846). London. 10 October 1865.
- ^ "Shipping Intelligence". Caledonian Mercury (23803). Edinburgh. 12 October 1865.
참조
- Douglas, James (1900). Glimpses of Old Bombay and Western India, with Other Papers. S.Low, Marston.
- Gibson-Hill, C.A. (1954). "The Steamers employed in Asian Waters, 1819-39". Journal of the Malay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27 (1): 120–162.
- Guest, John S. (2015). Euphrates Expedition. Routledge. ISBN 9781317726869.
- Hackman, Rowan (2001). Ships of the East India Company. Gravesend, Kent: World Ship Society. ISBN 0-905617-96-7.
- Kennedy, John (1903). The history of steam navigation. Liverpool: Charles Birchall.
- Kochhar, R. K. (1994). "Shipbuilding at Bombay". Current Science. 66 (12): 965–969.
- Low, Charles Rathbone (1877). History of the Indian Navy: (1613-1863). R. Bentley and son.
- Phipps, John (1840). A Collection of Papers Relative to Ship Building in India ...: Also a Register Comprehending All the Ships ... Built in India to the Present Time ... Scott.
- Wadia, R. A. (1986) [1957]. The Bombay Dockyard and the Wadia Master Builders. Bom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