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론리 C3

Coloni C3
콜론리 C3
콜론리 C3B
콜론리 C3C
카테고리포뮬러 원
생성자콜론리
디자이너크리스티안 밴더플린
게리 앤더슨
전임자콜론리 FC188B
후계자콜론리 C4
기술 사양[1]
섀시탄소 섬유/케블라 모노코크
서스펜션(전면)코니 댐퍼
서스펜션(후면)코니 댐퍼
액슬 트랙1,810mm(71.3인치)/1,600mm(63.0인치) 프론트/리어(C3)
1,810mm(71.3인치)/1,670mm(65.7인치) 전방/후방(C3C)[2]
휠베이스2,800 mm (110.2 in) (C3)
2,850mm(112.2인치) (C3C)[2]
엔진Cosworth DFR 3,494 cc(213.2 cu in) V8(C3 및 C3C)
Subaru 1235 3,500 cc (213.6 cu in) B12 (C3B)
전송콜론리 6단(C3 및 C3C)
미나르디 6단(C3B)
연료아지프
타이어피렐리
Good year
경기이력
주목할 만한 참가자들콜론리 레이싱 스를
스바루 콜론리 레이싱
주목할 만한 드라이버 31. 로베르토 모레노
31. 베르트랑 가초
32. 피에르 앙리 라파넬
32. 엔리코 베르타기아
데뷔1989년 포뮬러 원 캐나다 그랑프리
항목인종이김.폴스F/Laps
273000

콜론니 C3(Coloni FC189)는 1989년 포뮬러 원 시즌을 위해 크리스티안 밴더플린이 디자인한 포뮬러경주용 자동차였다.이전 시즌에 사용된 콜론리 FC188을 대체하기 위해 제작된 C3는 3.5리터 코스워스 DFR V8 엔진을 사용했다.1989년 시즌이 시작될 준비가 되지는 않았지만, C3는 1989년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로베르토 모레노와 피에르 앙리 라파넬의 손에 의해 개최되었다.C3는 성공적이지 못했고, 1989년 경주에 대한 사전 자격 검증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다.Cosworth DFR이 Subaru 1235 플랫-12 엔진으로 대체되면서 1990년 시즌에 C3B로 업데이트되었지만, 이 엔진은 크고 무겁고 동력이 부족했다.1990년 콜론리의 유일한 드라이버였던 베르트랑 가초는 그가 C3B를 운전했던 8개 경주 중 어떤 경기에서도 사전 자격을 얻지 못했다.Enzo Coloni와 Subaru 사이의 여파가 있은 후, C3C는 다시 한번 Cosworth DFR을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비록 Gachot은 보통 이 버전을 사전 자격인정할 수 있었지만, 그는 결코 경주에 참가할 자격을 얻지 못했다.1991년 C3C가 C4로 진화했지만 결과는 개선되지 않았고 콜론리는 그 시즌이 끝나면서 접었다.

설계 및 개발

크리스티안 밴더플린1989년 콜론리 FC188의 대체품으로 콜론리 C3를 설계했다.[3]FC188과의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차이점은 구형 자동차의 롤바 대신 에어박스가 있다는 것이다.[3]C3는 3.5리터 코스워스 DFR V8 엔진을 사용했다.[3]그러나 차가 늦게 도착하여 상당히 낙후된 상태였으며, 특히 몬자스파-프랑코르샹에서 가장 눈에 띄는 직선 속도가 부족했다.[3]밴더플린 감독이 팀을 그만둔 후 프리랜서 게리 앤더슨은 C3에서 좀 더 많은 경기력을 추출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새로운 노세콘과 프론트 윙을 개발했고, 이것이 그 팀이 포르투갈 그랑프리 대회에서 최고의 예선 자리를 차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3]하지만 새로운 구성에도 불구하고 이 자동차는 여전히 직선 속도가 부족했고 포르투갈에 이어 눈에 띄게 결과가 개선되지 않았다.[3]

1989년 부진한 시즌에 이어, 엔조 콜론리1990년 시즌 이전에 스바루와 계약을 맺고 일본 제조사의 작업팀이 되었다.[3]스바루가 콜론리 팀의 절반을 사들인 이 거래는 코스워스 DFR이 스바루의 1235 플랫12 엔진으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했다.[3]스바루의 전형적인 권투선수 형식이었던 이 엔진은 모토리 모더니(Motori Moderni)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원래 미나르디(Minardi)를 위한 것이었다.[3][4]그러나 엔진은 DFR에 비해 눈에 띄는 개선점은 아니었다. Motori Moderni는 447 kW(599 hp; 608 PS)의 출력을 목표로 417 kW(559 hp; 567 PS)의 완만한 성능만을 생산했고,[3] 또한 159 kg(351 lb)의 과체중이었다.[4]이는 기존 DFR보다 10kg(22lb) 무거울 뿐이었지만, 전체 엔진 어셈블리는 실제로 112kg(247lb)이었다.[3]설상가상으로, 그것은 또한 신뢰할 수 없고 실패하기 쉬운 것으로 판명될 것이다.[4]이 엔진은 Minardi 변속기를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3]C3는 새로운 엔진을 수용하기 위해 C3B 사양으로 업데이트되었으며, 실제로 상당히 큰 변화였습니다. 예를 들어 에어박스를 탈거하고 사이드팟 장착 공기 덕트 두 개로 교체하여 사이드팟이 더 크고 길어진 것이 특징이었습니다.[3]또한 스바루 엔진의 무게는 C3B가 다소 예측불허의 핸들링을 하게 했는데, 이는 중량 균형이 상당히 차량 후방을 향해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이다.[3]

불과 8차례의 경합 끝에 스바루와 콜론리의 관계가 파탄났고, 두 회사간의 정쟁에 뒤이어 스바루는 완전히 손을 뗐다.[3]따라서 Coloni는 Langford & Peak이 C3C로 알려진 C3의 최신 버전에서 준비한 Cosworth DFR 엔진을 사용하는 것으로 되돌아갔다. 이 섀시는 Subaru 엔진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지만 에어박스와 로우사이드팟을 갖춘 C3B보다 원래 C3B보다 훨씬 더 가까웠다.[3]C3C는 C3B에 비해 눈에 띄게 향상되었고, 여전히 예측이 불가능하지만 팀의 운명은 다소 개선되었다.[3]벨기에 그랑프리의 경우 업데이트된 엔진 커버가 나왔지만 C3C에 큰 변화를 주지 못했다.[3]1991년에 C3C는 C4로 갱신되었다.[3]

레이싱 히스토리

C3는 개발에 시간이 걸렸고, 이는 1989년 캐나다 그랑프리까지 FC188B의 업데이트된 버전으로 이어졌다.[3]그것은 자동차에 있어서 혼합된 것이 될 것이다; Pierre-Henri Raphanel은 사전 예선전에서 꼴찌를 했지만, Roberto Moreno가 가까스로 자동차 자격을 따냈을 뿐만 아니라, 기어박스 문제에 굴복하기 전에 57바퀴를 완주했다.[5]그러나 두 선수 모두 1989년 프랑스 그랑프리 대회인 다음 경기에 출전할 수 없었다.[6]모레노 감독은 1989년 영국 그랑프리 출전권을 따냈지만 두 바퀴 만에 기어박스 고장으로 또 다른 고전을 면치 못했다.[7]1989년 포루투갈 그랑프리가 끝난 후에야 콜론리가 다시 예선전을 치를 수 있었다.[8] 그때까지 라파넬은 엔리코 베르타기아로 교체되었고 모레노는 콜론리의 역대 최고의 예선전이 될 15위를 차지했다.[3]그러나 토요일 애로우즈의 에디 치버가 C3를 소탕한 후, 업데이트된 앞날개는 파괴되었고, 모레노는 전기그렘린이 11번 랩에서 은퇴를 강요할 때까지 몸부림쳤다.[9]이것은 1989년에 콜로니가 마지막으로 전력망에 오른 것이 될 것이다.[8]

1990년, 새로운 외모를 가진 스바루 콜론리 팀은 베르트랑 가초트에 의해 추진된 단칸반도의 노력으로 날씬해졌다.[3]가초는 1990년 미국 그랑프리 대회에서 최종 예선 탈락자를 냈을 때, 그 팀은 갑자기 상황이 시작되었다.[10]실제로 가초는 스바루 동력 C3B를 모는 각 레이스, 그리고 새로운 코스워스 동력 C3C에서 1990년 독일 그랑프리와 1990년 헝가리 그랑프리를 각각 예선 탈락시켰다.[8]하지만 1990년 벨기에 그랑프리까지는 상황이 조금 나아졌다. 가초는 1년 만에 처음으로 콜론니를 선발했지만, 여전히 30위였고 적절한 예선에서 꼴찌였다.[11]그때부터 가초는 정기적으로 C3C를 사전 예선했지만 한번도 제대로 된 예선 통과를 하지 못했고, 콜론리는 실제로 경기에 출전하지 않고 시즌을 마쳤다.[8]

공식 1 결과 작성

() (볼드 표시 폴 위치, 기울임꼴로 표시된 결과는 가장 빠른 랩을 나타냄)

연도 섀시 엔진 타이어 드라이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PTS. WCC
1989 콜론리 C3 포드 DFR V8 P 브라 SMR MEX 미국 프레이 GBR GER ITA POR ESP JPN AUS 0 NC
로베르토 모레노 리트 DNQ 리트 DNPQ DNPQ DNPQ DNPQ 리트 DNPQ DNPQ DNPQ
피에르 앙리 라파넬 DNPQ DNPQ DNPQ DNPQ DNPQ
엔리코 베르타기아 DNPQ DNPQ DNPQ DNPQ DNPQ DNPQ
1990 콜론리 C3B 스바루1235번길 F12 G 미국 브라 SMR MEX 프레이 GBR GER ITA POR ESP JPN AUS 0 NC
베르트랑 가초 DNPQ DNPQ DNPQ DNPQ DNPQ DNPQ DNPQ DNPQ
콜론리 C3C 포드 DFR V8 DNPQ DNPQ DNQ DNQ DNQ DNQ DNQ DNQ

참조

  1. ^ "Coloni FC189". STATS F1. Retrieved 3 January 2015.
  2. ^ a b "Coloni FC189C". STATS F1. Retrieved 3 January 2015.
  3.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Coloni – Profile". 26 April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December 2010. Retrieved 3 January 2015.
  4. ^ a b c Nyberg, Rainer (11 November 1999). "Engine failures..." 8W. Retrieved 3 January 2015.
  5. ^ "Canadian GP, 1989 Race Report". Grandprix.com. Retrieved 3 January 2015.
  6. ^ "French GP, 1989 Race Report". Grandprix.com. Retrieved 3 January 2015.
  7. ^ "British GP, 1989 Race Report". Grandprix.com. Retrieved 3 January 2015.
  8. ^ a b c d "Coloni – Grands Prix not started". STATS F1. Retrieved 3 January 2015.
  9. ^ "Portuguese GP, 1989 Race Report". Grandprix.com. Retrieved 3 January 2015.
  10. ^ "United States GP, 1990 Race Report". Grandprix.com. Retrieved 3 January 2015.
  11. ^ "Belgium GP, 1990 Race Report". Grandprix.com. Retrieved 3 January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