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덴 증후군
Cowden syndrome카우덴 증후군 | |
---|---|
기타 이름 | 카우덴병, 다발성 하마토마 증후군 |
![]() | |
태어날 때부터 70세까지 카우덴 증후군을 가진 남성과 여성의 암 발병에 대한 누적 위험. | |
전문 | 종양학, 피부과, 위내과, 신경과 |
빈도 | 20만 명 중 1명 |
카우덴 증후군(Cowden's disease and multiple hamartoma syndrome)은 하마토마스라고 불리는 양성 과성장, 유방, 갑상선, 자궁 및 기타 암의 평생 위험 증가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자가 우성 유전 질환이다.[1] 질병 표시의 변동성으로 인해 진단 부족이 자주 발생하지만 환자의 99%가 20~29세까지 점막 증상을 보고한다.[2] 코우덴 증후군은 주로 피부과 질환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다계통 질환으로 거시적혈증과 같은 신경발달장애도 포함된다.[3]
코우덴병 발병률은 20만분의 1 정도로 상당히 드물다.[4] 더욱이 악성종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 질환의 관리에 초기적이고 지속적인 검진이 필수적이다.[4] 그것은 인산염과 텐신 호몰로그램으로 알려져 있는 종양 억제기 유전자인 10Q23.3의 PTEN에서의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세포 증식, 세포 순환, 세포 사멸의 오류를 초래하는 mTOR 경로의 조절을 잘못하게 된다.[5] 신드롬과 관련된 악성종양은 유방의 선각종(20%)이 가장 많고, 갑상선의 선각종(7%)과 피부의 편평한 세포암(4%)이 그 뒤를 이으며, 대장 자궁 등의 잔여물(1%)[6]이 그 뒤를 이었다.
징후 및 증상
코우든병은 다계통 질환이기 때문에 신체 징후는 장기 체계에 의해 분해된다.
스킨
카우덴 증후군에 걸린 청소년기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얼굴에 발병하는 삼차일mmomas라고 불리는 특징적인 병변과 입 주변과 귀에 진균이 생긴다.[7] 구강 유두도 흔하다.[7] 게다가, 중앙의 델이 있는 빛나는 팔마각도 또한 존재한다.[7] 태어날 때나 어릴 때 코우덴의 고전적인 특징으로는 색소 성기 병변, 지질, 표피 네비, 카페아우렛 점 등이 있다.[7] 피부의 편평한 세포암도 발생할 수 있다.[6]
갑상선
환자의 3분의 2가 갑상선 질환을 앓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양성 엽상 아데노마나 갑상선의 다항성 고이터를 포함한다.[8] 게다가, 카우덴의 환자들은 일반 인구보다 갑상선 암에 걸리기 쉽다.[9] 카우덴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의 10% 미만이 엽상 갑상선암에 걸릴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8] 유두 갑상선암 사례도 보고됐다.[3]
여성 및 남성 지니투어리너리
암컷은 자궁내막암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데, 이는 50세 미만에게 가장 높은 것이다.[3] 현재 카우덴 증후군 환자에게 일반 인구에 비해 증가된 비율로 자궁내엽수(피브로이드)나 선천성 유전성 이상이 발생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3] 다발성 고환지질의 발생, 즉 고환지질의 발생은 남성 카우덴증후군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발견이다.[3]
위장
용종은 코우덴 증후군 환자의 약 95%가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고 있어 극히 흔하다.[3] 그것들은 보통 해마토마토스 아형의 몇 개에서 수백 개에 이르는 수많은 종류로, 위장관 내의 다른 부위는 물론 대장에 걸쳐 분포한다.[3][10] 덜 자주 접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용종에는 갱년기, 선종기, 림프성 용종이 있다.[10] 식도의 확산 글리코젠성 아칸토스는 카우덴 증후군과 관련된 또 다른 위장 발현이다.[3]
유방
여성들은 카우덴의 환자들에게서 가장 흔한 악성 종양인 유방암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3] 일부 사례가 보고됐지만, 카우덴 증후군과 남성 유방암의 발병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낼 만한 증거가 부족하다.[3] 최대 75%가 유두교배증, 섬유소변성, 섬유소변화와 같은 양성 유방 상태를 보여준다.[3] 그러나 현재 카우덴의 환자들에게 양성 유방 질환이 유전성 암 증후군이 없는 개인들에 비해 더 자주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충분한 증거가 없다.[3]
중앙신경계
코우덴 증후군 환자의 84%에서 거시적인 분석이 관찰된다.[11] 그것은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으로 커진 뇌, 즉 메가렌스파울리로 인해 발생한다.[12] 환자들은 또한 dolicocephaly를 보일 수 있다.[12]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지적 장애의 정도가 다양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1] Lhermitte-Ducklos병은 양성 소뇌종양으로, 일반적으로 카우덴 증후군 환자에게서 성년이 될 때까지 나타나지 않는다.[13]
유전학
카우덴 증후군은 자가 우위적 방식으로 유전된다.[14] 종양억제제 유전자인 PTEN(인산소화효소·텐신 호몰로겐) 내 세균선 돌연변이가 코우덴 환자의 최대 80%에서 발견된다.[10] Bannayan-Riley-Ruvalcaba 증후군과 같은 몇몇 다른 유전성 암 증후군은 PTEN 유전자의 돌연변이와도 연관되어 있다.[15] PTEN은 세포 성장 및 생존을 담당하는 세포질 수용체 타이로신 키나제 경로를 부정적으로 조절하며, DNA의 오류를 수리하는 기능도 한다.[14][10] 따라서 이 단백질이 없을 때는 암세포가 발달하고 생존하며 증식할 가능성이 높다.[10]
최근 소포체 망막에서 분비된 코팅단백질 복합체 II vesicle 성분인 SEC23B의 생식선 이질 변이가 카우덴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6] 최근 리보솜 생물생식에 각각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증거가 제시되면서 PTEN과 SEC23B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것으로 제시되었지만, 이것이 결정적으로 결정되지는 않았다.[17]
진단
개인을 위한 코우덴 증후군 진단에 대한 개정된 임상 기준은 다음 중 하나에 따라 달라진다. 1.) 3가지 주요 기준을 충족하거나 충족해야 하며 여기에는 대뇌졸리, 레미트-두클로스 또는 GI 하마토마스 2) 2가지 주요 및 3가지 사소한 기준이 포함되어야 한다.[3] 주요 및 부기준은 다음과 같다.
주요기준 |
유방암 |
자궁내막암(심장암) |
갑상선암(민중) |
위장용 하마르토마(갱이온유로마 포함, 과플라스틱 폴리페스 제외; ≥3) |
레르미테-두클로스병(성인) |
매크로체팔리(≥97 백분위수: 암컷 58cm, 수컷 60cm) |
글랜스 페니스의 황반색소 침착 |
여러 점막성 병변(다음 중 하나): |
다중 삼차음파(≥3, 최소 1개의 생체검사가 증명됨) |
아크랄 각질(Acral keratoses, ≥3 팜플렉스 각질 및/또는 아크랄 과육상 유두) |
점피신경종 (≥3) |
경구용 파필로마(특히 혀와 긴기바에), 다중 (≥3) 또는 조직검사에서 입증된 OR 피부과 전문의 진단 |
부기준 |
자폐 스펙트럼 장애 |
대장암 |
식도 글리코제닉 아칸토시스(≥3) |
리포마스 (≥3) |
정신지체(즉, IQ ≤ 75) |
신장세포암 |
고환지질증 |
갑상선암(유두의 양피 또는 모낭 변종) |
갑상선 구조 병변(예: 선종, 다항성 부전증) |
혈관 이상(다중 두개내 발달 정맥 이상 포함) |
선별
카우덴 증후군의 관리는 이 증후군의 일부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암 유형의 조기 발견과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1] 카우덴 신드롬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선별 가이드라인이 국가종합암네트워크(NCCN)에서 발간됐다.[11] 감시는 유방, 자궁내막, 갑상선, 대장, 신장, 피부암의 조기 발견에 초점을 맞춘다.[11] NCCN의 전체 권장 목록은 아래를 참조하십시오.
여성들. | 남자들과 여자들. |
---|---|
18세부터 시작되는 유방 인식 | 가족 구성품암 최연소 진단(둘 중 먼저 오는 것) 전 18세 또는 5세부터 시작하는 연간 종합 신체검사, 특히 유방 및 갑상선 검사에 주의 |
임상 유방 검사, 6-12개월마다, 25세 또는 5-10세부터 시작하여 가족 중 가장 이른 것으로 알려진 유방암 이전까지 | 가족 중 가장 일찍 알려진 갑상선 암 이전에 18세 또는 5-10세부터 시작되는 연간 갑상선 |
30-35 y세부터 시작하거나 가족 내 초기 연령에 따라 개별화된 연간 유방 촬영 및 유방 MRI 검사 | 대장내시경, 35세부터 시작하여 증상 또는 용종이 발견되는 경우 5세 이상에 한 번씩 실시 |
자궁내막암 검사의 경우 환자 교육을 장려하고 증상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임상시험 참여로 검사 양식의 효과 또는 필요성을 판단하십시오. | 40세부터 시작해서 1-2세까지 신장 초음파 검사를 고려해 보십시오. |
위험 감소 유방절제술 및 자궁 절제술과 보호 정도, 암 위험 범위 및 재건 옵션에 대한 조언에 대해 논의 | 일부 환자의 경우 피부과 관리를 지시할 수 있다. |
위험 감소 유방절제술 및/또는 자궁 절제술 시행에 따른 사회, 사회 및 삶의 질 측면에 대응 | 증상이 있는 경우 진단 시 아동에게 정신감응자 평가를 고려하고 뇌 MRI를 통해 뇌 MRI를 고려하십시오. |
암의 징후와 증상에 관한 교육 |
치료
카우덴 증후군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은 대개 유전성 암 증후군이 없는 환자에게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치료된다.[12] 주목할 만한 두 가지 예외는 유방암과 갑상선암이다.[12] 유방암 1차 진단을 받은 카우덴증후군 환자에서는 관계 유방의 유방 절제술과 함께 비자극성 대측유방의 예방적 유방 절제술을 고려해야 한다.[1] 갑상선암이나 모낭선종 설정에서는 갑상선의 한쪽엽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는 경우에도 총 갑상선 절제술을 권고한다.[12] 이는 재발 가능성이 높은 데다 혈액항진제술만으로 양성자와 악성성장을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12]
카우덴 증후군에서 관찰된 양성 점막성 병변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나타나거나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는 한 치료하지 않는다.[12] 이렇게 되면 국소제, 극저온수술, 경화제, 레이저 절제술, 절연제 등 수많은 치료 선택지가 활용될 수 있다.[12]
역사
Cowden Syndrome은 1963년에 로이드와 데니스가 암에 걸리기 쉬운 소설 유전병을 묘사하면서 묘사되었다. 그것은 발견된 코우덴 가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들은 "아데노이드 페이시스, 하악골과 맥실라의 히포플라시아, 고아치 미각, 연한 미각과 유두의 히포플라시아, 미세스토미아, 입술과 구강 인두의 유두종증, 스크루알 혀, [그리고]다중의 갑상선 아데노마"[18]를 포함한 다양한 임상적 특징들을 설명했다.
카우덴 증후군의 유전적 근거는 1997년 10Q23년 위치에서의 세균선 돌연변이가 소설 PTEN 종양 억제기와 연관되면서 밝혀졌다.[19]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Mester J, Eng C (January 2015). "Cowden syndrome: recognizing and managing a not-so-rare hereditary cancer syndrome".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11 (1): 125–30. doi:10.1002/jso.23735. PMID 25132236. S2CID 33056798.
- ^ Gosein MA, Narinesingh D, Nixon CA, Goli SR, Maharaj P, Sinanan A (August 2016). "Multi-organ benign and malignant tumors: recognizing Cowden syndrome: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BMC Research Notes. 9: 388. doi:10.1186/s13104-016-2195-z. PMC 4973052. PMID 2748839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Pilarski R, Burt R, Kohlman W, Pho L, Shannon KM, Swisher E (November 2013). "Cowden syndrome and the PTEN hamartoma tumor syndrome: systematic review and revised diagnostic criteria".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105 (21): 1607–16. doi:10.1093/jnci/djt277. PMID 24136893.
- ^ a b Habif TP (2016). Clinical dermatology : a color guide to diagnosis and therapy (Sixth ed.). [St. Louis, Mo.] ISBN 978-0-323-26183-8. OCLC 911266496.
- ^ Porto AC, Roider E, Ruzicka T (2013). "Cowden Syndrome: report of a case and brief review of literature". Anais Brasileiros de Dermatologia. 88 (6 Suppl 1): 52–5. doi:10.1590/abd1806-4841.20132578. PMC 3876002. PMID 24346879.
- ^ a b Callen JP. Dermatological signs of systemic disease (Fifth ed.). Edinburgh. ISBN 978-0-323-35829-3. OCLC 947111367.
- ^ a b c d Bolognia J, Schaffer JV, Duncan KO, Ko CJ (2014). Dermatology essentials. Oxford. ISBN 9781455708413. OCLC 877821912.
- ^ a b Kasper D, Fauci AS,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Loscalzo J (2015-04-08).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E (Vol.1 & Vol.2) (19th ed.). McGraw Hill. p. 2344. ISBN 978-0-07-180215-4.
- ^ Niederhuber JE, Armitage JO, Doroshow JH, Kastan MB, Tepper JE, Abeloff MD. Abeloff's clinical oncology (Fifth ed.). Philadelphia, PA. ISBN 9781455728657. OCLC 857585932.
- ^ a b c d e Ma, Huiying; Brosens, Lodewijk A. A.; Offerhaus, G. Johan A.; Giardiello, Francis M.; de Leng, Wendy W. J.; Montgomery, Elizabeth A. (January 2018). "Pathology and genetics of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Pathology. 50 (1): 49–59. doi:10.1016/j.pathol.2017.09.004. ISSN 1465-3931. PMID 29169633.
- ^ a b c d e Jelsig AM, Qvist N, Brusgaard K, Nielsen CB, Hansen TP, Ousager LB (July 2014). "Hamartomatous polyposis syndromes: a review". Orphanet Journal of Rare Diseases. 9: 101. doi:10.1186/1750-1172-9-101. PMC 4112971. PMID 25022750.
- ^ a b c d e f g h Gustafson S, Zbuk KM, Scacheri C, Eng C (October 2007). "Cowden syndrome". Seminars in Oncology. 34 (5): 428–34. doi:10.1053/j.seminoncol.2007.07.009. PMID 17920899.
- ^ Pilarski R (February 2009). "Cowden syndrome: a critical review of the clinical literature". Journal of Genetic Counseling. 18 (1): 13–27. doi:10.1007/s10897-008-9187-7. PMID 18972196. S2CID 5671218.
- ^ a b Kumar V, Abbas AK, Aster JC, Perkins JA (2014).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Ninth ed.). Philadelphia, PA. ISBN 9781455726134. OCLC 879416939.
- ^ Turnpenny, Peter D.; Ellard, Sian (2012). Emery's elements of medical genetics (14th ed.). Philadelphia, PA: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ISBN 9780702040436. OCLC 759158627.
- ^ Yehia, Lamis; Niazi, Farshad; Ni, Ying; Ngeow, Joanne; Sankunny, Madhav; Liu, Zhigang; Wei, Wei; Mester, Jessica; Keri, Ruth; Zhang, Bin; Eng, Charis (5 November 2015). "Germline Heterozygous Variants in SEC23B Are Associated with Cowden Syndrome and Enriched in Apparently Sporadic Thyroid Cancer". Am J Hum Genet. 97 (5): 661–676. doi:10.1016/j.ajhg.2015.10.001. PMC 4667132. PMID 26522472.
- ^ Yehia, Lamis; Jindal, Supriya; Komar, Anton; Eng, Charis (15 September 2018). "Non-canonical role of cancer-associated mutant SEC23B in the ribosome biogenesis pathway". Hum Mol Genet. 27 (18): 3154–3164. doi:10.1093/hmg/ddy226. PMC 6121187. PMID 29893852.
- ^ LLOYD, KENNETH M. (1963-01-01). "Cowden's Diseas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58 (1): 136. doi:10.7326/0003-4819-58-1-136. ISSN 0003-4819.
- ^ Liaw, Danny; Marsh, Debbie J.; Li, Jing; Dahia, Patricia L. M.; Wang, Steven I.; Zheng, Zimu; Bose, Shikha; Call, Katherine M.; Tsou, Hui C.; Peacoke, Monica; Eng, Charis (May 1997). "Germline mutations of the PTEN gene in Cowden disease, an inherited breast and thyroid cancer syndrome". Nature Genetics. 16 (1): 64–67. doi:10.1038/ng0597-64. ISSN 1061-4036.
추가 읽기
- de Jong MM, Nolte IM, te Meerman GJ, van der Graaf WT, Oosterwijk JC, Kleibeuker JH, Schaapveld M, de Vries EG (April 2002). "Genes other than BRCA1 and BRCA2 involved in breast cancer susceptibility". Journal of Medical Genetics. 39 (4): 225–42. doi:10.1136/jmg.39.4.225. PMC 1735082. PMID 11950848.
- Eng C (November 2000). "Will the real Cowden syndrome please stand up: revised diagnostic criteria". Journal of Medical Genetics. 37 (11): 828–30. doi:10.1136/jmg.37.11.828. PMC 1734465. PMID 11073535.
- Kelly P (October 2003). "Hereditary breast cancer considering Cowden syndrome: a case study". Cancer Nursing. 26 (5): 370–5. doi:10.1097/00002820-200310000-00005. PMID 14710798. S2CID 8896768.
- Pilarski R, Eng C (May 2004). "Will the real Cowden syndrome please stand up (again)? Expanding mutational and clinical spectra of the PTEN hamartoma tumour syndrome". Journal of Medical Genetics. 41 (5): 323–6. doi:10.1136/jmg.2004.018036. PMC 1735782. PMID 15121767.
- Waite KA, Eng C (April 2002). "Protean PTEN: form and function".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70 (4): 829–44. doi:10.1086/340026. PMC 379112. PMID 11875759.
- Zhou XP, Waite KA, Pilarski R, Hampel H, Fernandez MJ, Bos C, Dasouki M, Feldman GL, Greenberg LA, Ivanovich J, Matloff E, Patterson A, Pierpont ME, Russo D, Nassif NT, Eng C (August 2003). "Germline PTEN promoter mutations and deletions in Cowden/Bannayan-Riley-Ruvalcaba syndrome result in aberrant PTEN protein and dysregulation of the phosphoinositol-3-kinase/Akt pathway".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73 (2): 404–11. doi:10.1086/377109. PMC 1180378. PMID 12844284.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카우덴 증후군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