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클로사린

Cyclosarin
사이클로사린
Cyclosarin-2D-skeletal.png
Cyclosarin-3D-balls.png
이름
선호 IUPAC 이름
사이클로헥실 메틸포스포스포노플루오리드산
기타 이름
GF;(Fluoro-methyl-phosphoryl)옥시사이클로헥산
식별자
3D 모델(JSmol)
켐스파이더
펍켐 CID
유니
UN 번호 2810
  • InChi=1S/C7H14FO2P/c1-11(8,9)10-7-5-3-2-4-7/h7H,2-6H2,1H3 checkY
    키: SNTRKUOVAPUGAY-UHFFFAOYSA-N checkY
  • InChi=1/C7H14FO2P/c1-11(8,9)10-7-5-3-2-4-7/h7H,2-6H2,1H3
    키: SNTRKUOVAPUGAY-UHFFFAOYAC
  • O=P(F)(OC1CCC1)C
특성.
C7H14FO2P
어금질량 180.108 g·messages−1
외관 무색액
밀도 1.1278 g/cm3
녹는점 -30°C(-22°F, 243K)
비등점 239°C(462°F, 512K)
거의 불용성인
위험
플래시 포인트 94°C(201°F, 367K)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NVERIFI (?란checkY☒N?
Infobox 참조 자료

사이클로사린 또는 GF(사이클로헥실 메틸인산소폰플루오리드산염)는 화학무기로 사용되는 매우 독성이 강한 물질이다.[1] 게르하르트 슈레이더 박사가 이끄는 독일팀이 발굴해 합성시킨 화학무기 집단인 G시리즈 신경작용제 계열의 일원이다. 주요 신경가스는 G제, 사린(GB), 소만(GD), 타분(GA), VX 등 V제다. 원제인 타분(Tabun)은 1936년 독일에서 유기인산성 살충제에 대한 작업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상업용 살충제 실험실의 산물인 사린, 소만,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이클로사린이 나왔다.

화학무기로서 유엔의해 대량살상무기로 분류된다. 비록 이집트, 이스라엘, 북한, 남수단은 CWC를 비준하지 않았지만, 유엔 결의 687호에 따라 1993년의 화학무기협약(CWC)에 의해 그것의 생산과 비축이 세계적으로 금지되었다.

화학적 특성

이전의 사린과 마찬가지로, 사이클로사린은 액체 유기인산염 신경작용제다. 그러나 그것의 신체적 특성은 사린의 특성과는 상당히 다르다.

실온에서 사이클로사린은 무색의 액체인데, 냄새가 달콤하고 퀴퀴하며 [2]복숭아조개껍질을 닮았다고 다양하게 묘사되어 왔다. 사이클로사린은 사린과 달리 지속성 액체로, 증기압이 낮아 상대적으로 천천히 증발해 사린 비율의 약 1/69와 물의 1/20로 증발한다는 뜻이다.

또한 사린과는 달리, 사이클로사린은 인화성이 있으며, 점멸점은 94°C(201°F)이다.

역사

군사 잠재력이 인정된 후 나치 독일의 유기인산 화합물에 대한 화학 무기 연구의 일환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처음으로 합성된 사이클로사린은 잠재적인 신경작용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1950년대 초 미국영국에서 연구되었다. 하지만 사린(GB) 등 다른 G시리즈 신경작용제보다 전구체가 비싸 대량생산에는 전혀 채택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이라크는 화학 물질로 사용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사이클로사린을 제조하고 그것을 전투에 투입한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나라다. 이란-이라크 전쟁(1980–1988) 동안, 이라크인들은 사린과 사이클로사린을 혼합물로 사용했다. 이것은 사린에 대한 알코올 전구체에 대한 기존의 금수조치에 대한 대응뿐만 아니라 보다 지속적인 화학 물질을 얻기 위해 행해진 것 같다.[3]

군수품

바이너리 무기

다른 신경작용제들과 마찬가지로, 사이클로사린은 2진 탄약으로 수송될 수 있다.

사이클로사린 이진 무기는 한 캡슐에 메틸포소포닐 디플루오라이드를 포함하고 다른 캡슐은 사이클로헥산올 또는 사이클로헥실아민과 사이클로헥산올의 혼합물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다.

GB-GF 혼합물

이라크는 GB(사린)와 GF(사이클로사린)의 혼합물로 채워진 군수품을 생산했다. 생쥐에 대한 테스트에서는 GB-GF 혼합물이 GF와 GB 사이에 상대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

참조

  1. ^ 엘리슨, D. 행크(2008), 화학 생물학전 요원 핸드북(2차 개정), CRC 프레스, 페이지 20-21. ISBN978-0-849-31434-6
  2. ^ 레드가드 J. 화학전 요원의 실험실 역사 (2006년 2월 2일). 197-170 페이지 ISBN 978-0-6151-3645-5
  3. ^ "Nerve Agent:G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8, 2009. Retrieved January 5, 2009.
  4. ^ "CBWInfo.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8, 2009. Retrieved March 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