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펜스 오브 더 아이돌

Defence of the Idol
디펜스 오브 더 아이돌
Defensa del ídolo (Spanish)
작가.루이스 오마르 카세레스
나라칠리
언어스페인어
장르.
출판된1934
출판인노르마
페이지53
OCLC55336848

《우상수호》는 칠레의 시인 오마르 카세레스가 쓴 유일한 책이다.이 책은 원래 카세레스가 [1]30살이었을 때 노르마 출판사에 의해 산티아고에서 출판되었다.초판에 포함된 수많은 오류 때문에 저자는 1996년 페드로 라스트라의 보살핌 아래 LOM 에디시오네스[2]통해 그의 사후 전재에 필요한 몇 권의 책만 남겨두고 책의 대부분을 불태우기로 결정했다.

15편의 짧은 시로 구성된 이 시집은 당대 작가들 사이에 큰 영향을 끼쳤다.이 작품은 비센테 위도브로(Vicente Huidobro)가 쓴 프롤로그가 선행되며, 그의 생전에 창조론 시인이 쓴 유일한 프롤로그이다.오늘날,[3] Defense of the Idol은 칠레에서 라틴 아메리카 아방가르드 작품의 벤치마크 중 하나로 여겨진다.

발행 이력

'우상의 수호'의 저자 오마르 카세레스입니다

연구원 마누엘 페냐 무뇨스에 따르면, 카세레스는 [4]산티아고 운두라가 빌딩에 위치한 문학 카페인 카페 아이리스에서 이 시집을 썼다.시 '새벽의 불감증'은 '침묵의 천사'의 첫 부분과 다섯 번째 부분과 함께 루벤 아소카르에 의해 [5]편집된 시집 '현대 칠레 시'(1931년)에 수록되었다.

그의 책의 초판을 위해, 카세레스는 처음에 시인 앙헬 크루차가 산타 마리아와 파블로 데 로카가 쓴 두 가지 프롤로그에 의존했다.어느 쪽도 마음에 들지 않자 그는 지난해 [7]프랑스에서 돌아온 비센테 [6]위도브로에게 세 번째이자 마지막 버전을 요청했다.이 때문에 로카와 후이도브로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고, 이는 신문 ' 오피니온'[6]에 실렸다.

이 책은 그의 형인 라울 카세레스 아라베나의 재정적인 지원과 [8]카스텔라노 고등학교 교수로 일하는 그의 적은 수입 덕분에 출판되었다.출판된 후, 저자는 초판이 오류 투성이라는 것을 깨닫고 격분했다.카세레스는 그가 할 수 있는 모든 복사본을 모아 그의 안마당에서 모닥불에 태웠다.초판본은 소량만 저장되었다.일부는 시인 에두아르도 앙귀타와 [9]같은 친구들의 손에 남아있을 수 있다.그의 형 라울은 적어도 한 권은 가지고 있었고, 두 권만이 현재 칠레 국립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연구에 따르면 칠레의 다른 공공 도서관에는 더 이상 사본이 없다고 한다.칠레의 시인이자 수필가인 페드로 라스트라는 복사기가 아직 [8]존재하지 않았던 1959년에 이 작품을 텍스트로 옮겨 적은 이 몇 권의 사본들을 사후에 전재할 수 있었다.

1996년 칠레 출판사 LOM Ediciones의 [10]Between Seas 컬렉션에서 첫 번째 재발행이 이루어졌다.이 70쪽 분량의 전재는 라스트라가 준비했고, 그는 그래픽 부록과 추가 에필로그를 포함했다.같은 해 멕시코시티에서 출판사 에디시오네스투칸버지니아에 의해 비타 누오바 시리즈로 출판되었지만, 라스트라의 추가 내용 중 일부만 [11]포함되었다.이듬해인 1997년 베네수엘라의 작은 출판사 베네치아 카라카스에 의해 편집 기금 시리즈의 일부로 출판되었으며, 이번에 첫 번째 [12]재발행의 자료를 포함했다.

작가는 [citation needed]1943년에 죽었다.

내용

이 시집은 다음 15편의 [13]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거품 맨션'

2. '새벽의 인사' 3. '거울에 하는 말' 4. '비속의 장식' 5. '밤' 6. '반대 앵커' 7. '침묵의 천사' 8. '무성의 오라클' 9. '세컨드 폼' 10. '밤을 거슬러' 12. 푸른색.

15. '극단의 방문'

노마가 발행한 원판과 라스트라가 편집한 LOM 에디시오네스의 판본 모두, 이 시들은 비센테 위도브로([3]Vicente Huidobro)의 프롤로그 앞에 있다.라스트라의 재발행에서 그는 [14]시 뒤에 다양한 추가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 신칠레 시집(1935년)[15]에 실린 시 선집에 앞서 시적 진술과 증언으로 쓰인 저자의 유일한 산문 보존본이다.
  • 여기서 그는 카세레스가 사용한 통사적 특성을 보존하고 원본과 신칠레 시집에 수집된 시들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 작은 수정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한다.
  • 초판 표지 사진, 안토니오 R.의 카세레스 흉상 그림이 포함된 "그래픽 부록".로메라는 안드레스 사벨라의 기사에 처음 포함되었으며, 제목은 "루이스 오마르 카세레스: 그 죽음이 정의를 수치스럽게 하는 시인"(1943년 9월 6일 라스 울티마스 노티시아스 출판, 그 후 하키아 잡지 제5호)이다.안토니오 아세베도 에르난데스의 기사에서 발췌했다."오마르 카세레스는 최고의 비행으로 자신을 발사했다"(Las Ultimas Noticias, 1943년 9월 15일 발행)라는 제목의 이 책에는 그의 얼굴 사진과 시인에게 헌정된 잡지 5호(1955년 9월호)의 표지가 포함되어 있다.
  • 페드로 라스트라의 '오마르 카세레스의 귀환'과 볼로디아 테이텔보임의 '유령 시인'이라는 두 편의 에필로그는 모두 작가의 사생활에 관한 것이다.

리셉션과 영향

이 책의 첫 출간은 당시 칠레 문학계에서 파블로 데 로카와 비센테 [6]위도브로 사이의 서문 제작에 관한 소송으로 논란을 일으켰다.그러나 [3]초판은 저자가 만든 엄청난 양의 소각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없었다.

카세레스의 유일한 책임에도 불구하고, 1996년 재발행은 칠레의 아방가르드 시인들 사이에서 벤치마크로 여겨지기에 충분했다.이 시집은 칠레의 안드레스[16] 사벨라, 베네수엘라인 미겔 [17]고메스와 같은 다양한 작가들의 존경과 감탄뿐만 아니라 비평가들과 [3]학자들의 다양한 연구에 동기를 부여했다.

스타일.

이 작품의 서정적인 시는 라틴 아메리카의 아방가르드 안에 프로이트, 범신론적[16] [2] 융의 요소들과 함께 짜여 있다.에두아르도[16] 앙귀타에게 있어서, 카세레스는 동시대 작가인 미겔 [9]세라노와 연결된다.

그것은 끊임없는 탐구적 태도와 "시적 자아"[18]의 붕괴를 수반하는 심오하고, 의문스럽고, 명쾌하고, 세련된 작품으로 여겨진다.

컬렉션 분석

작가 루이스 메리노 레예스(1912~2011)는 젊은 시절 쓴 이 컬렉션에서 삶에 대한 큰 사랑을 강렬하고 다양한 [19]감정으로 표현하고 있다.

분석심리학의 창시자 칼 구스타프 융입니다학자인 미겔 곰즈에게 우상의 방어는 집단 무의식의 중심 원형인 "자아" 발견에서 "시적 자아"의 시작 여정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작가이자 학자인 Miguel Gomes (b. 1964년)의 경우, 이 작품은 "군사적" 어휘를 사용하며, 이는 책 제목에 "defense"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시된다.곰즈는 시의 발음이 모든 시에 걸쳐 반내러티브 연속성과 정확한 방향을 유지한다고 주장한다.명백한 편차는 촉매 성분 또는 서스펜스 발생 수단으로 간주될 수 있다.이 주장에 따르면, 전체 작품의 담론은 "중심을 찾아서" 또는 "추락의 신비"라는 신화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시적 자아"는 몇 단계로 구성된 진화 또는 시작 여정으로서 경험된다는 생각: 외부 약탈, 정신으로의 하강,명료함의 변화, 진정성의 인식, 공황과 불확실성, 이성의 상실, 재구성, 진정한 자아와의 조우.이 여정은 "시적 자아"가 분해되고 다른 시들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인 "우상"으로 변환되는 융기적 동시성 현상의 발전과 일치할 것이다.'아이돌'은 가사의 원천으로 암묵적으로 작용하며 중간의 의미에서는 '자아'가 종속되는 '자아'가 될 것이다.곰즈에게 있어서 후이도브로의 서론은 융기안 심리학[2]원리에 딱 들어맞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곰즈에게 있어서, 첫 번째 시의 제목인 "포밍 맨션"은 현실의 시공간에 대한 우리의 개념에 대한 책의 체계적 파단을 시작하는 공간의 취약성을 언급하고 있다.예를 들어, 2절의 모든 장면은 풍경, 시간, 하늘, 여행의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있어 익숙한 안정감, 고요함 또는 독특함과 함께 깨진다.각 구절의 구두점에 의해 만들어지는 통사적 해석은 미지의 발견을 추구하여 현실의 붕괴를 강화하는 스타카토 리듬을 만들어 낸다.'나'에서 '시적 목소리'로의 전환 자체가 인식되는 마지막 절을 향해 더욱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사실, 즉 '자신'은 마지막 절에서 '알 수 없는 우상'으로 세례를 받았다.이 발음은 다음 시에서 강조된다.이 첫 번째 시에 나오는 "시적 자아"에 대한 급진적인 자기 성찰은 "새벽의 불상사"에서 반복되는데, 그 제목은 정신적인 물리적 상태, 시공간, 그리고 그 의미를 초월하는 가운데, 그 "자아"를 향한 기도의 형식을 취하며, "나"의 자경과 결별한다.소네트 "거울에 대한 말"에서 "나"는 자신의 진정한 "아비"를 찾기 위해 절제된 긴장감을 가지고 자신의 내부를 탐색하기 시작한다.'거품 저택'에서 그의 말을 종이에 "풀어보려는" 의도였던 것은, 거울에 펼쳐보려는 의도였고, 이것은 후속 시들에서 더욱 분명해질 메타 언어적 줄거리를 암시하기 시작했다."내면의 심연"을 향한 여정은 여섯 번째 시 "반대하는 닻들"을 향해 명백해진다. 여기서 말하는 이는 시간과 공간을 바꾸는 원심적인 움직임으로 심령적인 경로에 의해 같은 여정에 놓여진다.'침묵의 천사'에서 전환기의 '나'는 감각으로 이미 감지할 수 없는 감정을 경험하고, 그의 자기성찰에서 '자아'의 바람직한 진정성을 인식한다.다음 다섯 편의 시에서 가을 이야기는 시작 항해의 톤을 채택하고 여행자는 절대적인 이성을 잃기 전에 고통, 두려움, 공포를 경험하기 시작한다.따라서 곰즈에게 "Inconstant Oracle"은 그 여정에 대한 불신과 불확실성의 순간이 있는 숨막히는 시이다.하지만, 'Second Form' ('거울에 대한 말'과 연결된 'Second Form')과 'Against the Night'에서는 고통과 행복한 도착에 대한 희망에 반하여 위로의 시도가 관찰된다.'무인도 블루'에는 '무한 오라클'의 고뇌가 담겨 있지만, '원주민 피규어'에서는 무에서 유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절망과 희망이 연결된다.마지막 세 시는 도착을 축하한다.'도망자에게의 노래'는 지금까지 전해진 모든 이야기를 '신화'하는 역할을 한다.이 시는 서둘렀던 말과 대담한 반감을 담은 대문자로 끝나는데, 이 두 인물의 융합을 통해 외모와 시간의 분해를 강조한다.다음 시 "자아의 계몽"은 전통적인 물리학이 바뀌거나 존재하지 않는 "우상"이 존재하는 곳을 묘사한다.마지막으로 '극단을 찾아가는 길'에서는 여행의 초기 동기가 반복되고 시간과 외부 [2]현실의 부재와 함께 아방가르드 사업의 승리가 나타난다.

에두아르도 앙귀타는 "자아"의 신비에 대한 카세레스의 관심에 대해 곰스의 의견에 동의하며,[9] 단어들을 강제로 나누기 위해 하이픈을 사용하여 스펙트럼 수치와 꿈을 묘사하려는 그의 시도를 강조한다.

비평가 Marcelo Pellegrini에 따르면, "Opposing Anchors"에서 도로 위의 자동차에 대한 언급은 이러한 기계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는 분명한 전위적인 제스처이다; Vicente Huidobro를 제외하고 그의 동시대 사람들 중 극소수에 의해 공유되었다.후이도브로 자신도 자동차에게 시를 바쳤다.그러나 펠레그리니는 후이도브로에서 "어린애 같은 열정"인 것은 카세레스에서 아이러니한 일이지만, 카세레스가 그의 작품을 알지 못했던 포르투갈인 페르난도 페소아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고 경고한다.펠레그리니는 시 "반대하는 앵커"를 "바퀴"와 연관짓는다.이 책은 '알바로 드 [17]캄포스'라는 필명으로 출간된 페소아.

레퍼런스

  1. ^ Defensa del ídolo: poemas. WorldCat. 2016. OCLC 55336848. Retrieved 17 October 2016.
  2. ^ a b c d Gomes, Miguel (1997). "El viaje interior de la vanguardia: Defensa del ídolo de Omar Cáceres". Mapocho (41). Retrieved 19 October 2016.
  3. ^ a b c d "Omar Cáceres: Defensa del ídolo". Memoria Chilena. Retrieved 17 October 2016.
  4. ^ Peña Muñoz, Manuel (2001). "El Café Iris". Los cafés literarios en Chile (PDF). RIL Editores. pp. 125–127.
  5. ^ "La poesía chilena moderna: antología". Memoria Chilena. Retrieved 31 October 2016.
  6. ^ a b c "Posteriores reediciones de esta obra". Memoria Chilena. Retrieved 17 October 2016.
  7. ^ "Prologado por Vicente Huidobro". Memoria Chilena. Retrieved 17 October 2016.
  8. ^ a b 카세레스 1996
  9. ^ a b c Anguita, Eduardo (2000). "Revelación de Omar Cáceres". Páginas de la memoria. Ediciones DIBAM. pp. 41–42. OCLC 46658761.
  10. ^ Defensa del ídolo (LOM, 1996). WorldCat. OCLC 35956572. Retrieved 17 October 2016.
  11. ^ Defensa del ídolo (Tucán de Virginia, 1996). WorldCat. OCLC 37280120. Retrieved 17 October 2016.
  12. ^ Defensa del ídolo (1997). WorldCat. OCLC 55395564. Retrieved 17 October 2016.
  13. ^ "Defensa del ídolo". Memoria Chilena. Retrieved 22 October 2016.
  14. ^ Defensa del ídolo (LOM, 1996) (II). WorldCat. OCLC 644389727. Retrieved 17 October 2016.
  15. ^ "Yo, viejas y nuevas palabras". Memoria Chilena. Retrieved 17 October 2016.
  16. ^ a b c "Estudios y notas de prensa". Memoria Chilena. Retrieved 17 October 2016.
  17. ^ a b Pellegrini, Marcelo (23 March 1997). "La dispersión del yo". El Mercurio de Valparaíso. Retrieved 18 October 2016.
  18. ^ "Omar Cáceres (1904-1943)". Memoria Chilena. Retrieved 16 October 2016.
  19. ^ Merino Reyes, Luis (25 January 1998). "Un poeta trágico: Omar Cáceres". La Discusión. Retrieved 18 October 2016.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