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라어
Jalaa languageCentautm, [2]Centhum 또는 Cen Tuum으로도 알려진 잘라(자명: bassann da jalahabé ()는 나이지리아 북동부의 멸종된 언어(곰베주 발랑가 지방정부 지역의 Loojaa 정착지)로, 기원이 불확실한 것으로 보아, 언어 고립된 것으로 보인다. 잘라베어(언어의 자손이 불리듯이)는 디카카카어의 빌림 사투리를 구사한다. 일부 기억된 단어들이 종교의식을 위해 보존되어 있을 가능성은 있지만(그러나 확인되지 않은) 1992년에는 몇몇 노인들만이 부모가 사용했던 단어들을 기억하며, 2010년까지 그러한 기억자들은 남아있지 않을 수도 있다.[1]
잘라베 일행은 쵸족과 콰족과 정착지를 공유했던 무리 산맥의 남쪽 몇 마일 지역에서 루자아로 왔다고 한다. (이 정착지의 이름인 Centûm 또는 Cùntûm은 일부 출처에서는 언어의 이름으로 사용된다. 잘라 장로들은 잘라(Jalaa)를 믿는지 센텀(Centum)/쿤텀(Cuntum)을 본래의 이름이라고 믿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 이후 19세기 동안, 디카카는 북쪽의 더 큰 와자로부터 공격을 피해 이 지역에 도착했고, 참은 잘라베와 결혼했고, 잘라베는 디카카카 언어를 채택하기 시작했다.
음운론
렉시콘
잘라 렉시콘은 디카카카(그것이 영향을 끼친 것)의 영향도 강하며, 근처의 쵸와도 일부 유사성이 발견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어휘는 극히 이례적이다. 클라이네윌링호퍼의 말에 따르면, " 어휘의 주요 부분은 주변의 모든 언어와 완전히 다른 것 같은데, 그것은 그들 자신이 다른 언어의 가족을 대표하고 있다"고 한다.
디카카와 Tso는 전통적으로 죽은 사람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피했다. 그 이름들이 흔히 있는 일이지만 언어의 단어들일 때, 이것은 어쩔 수 없이 말을 바꾸게 했고, 때로는 이웃 언어의 단어로 대체하기도 했다. 클라이네윌링호퍼는 이를 잘라에서 디카카로 차입한 특정 사례의 동기로 간주한다.
숫자
잘라의 숫자 1-6은 다음과 같다.
- 나산
- tiyu, təitudo.
- 타타, 반비
- b,,,ŋb,,
- 노
- 투누쿤
5 이상의 숫자는 디카카와 거의 동일하다. 숫자 2에서 5는 Tso와 거의 동일한 반면, "1"은 명확한 인지도가 없다.
형태학
잘라 형태론(적어도 현재 형태로는)은 참의 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명사 등급 체계의 주요 차이점은 복수 접미사 두 가지로, 잘라 -타 대 참 -te̩, (인간의 경우) 잘라 -bo, -ba 대 참 -b(e̩)이다.
명사 형태학은 참과 비슷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Jalaa와 Cham에서 단수 및 복수 명사 집합 샘플:[3]
광택 | 잘라, sg. | 잘라, pl. | 참, sg. | 참, pl. |
---|---|---|---|---|
입을 | bɔɔ | 보니 | iii | 지니 |
나무 | 귀라호 | 그와트슈 | 리야오 | 리트슈 |
고기 | Lìbò. | 이베테 | 나옴 | 나흐트 |
구멍을 내다 | 수로이 | 수로이테 | ||
코를 찌르다 | 야무르 | 야무타 | ʤʊr | ʤʊtɛ |
다리를 | 코브르 | 코바 | ||
고기를 잡다 | 푸이 | 푸우타 | ||
아내 | ʧùw | ʧùùbo | ||
사람 | 은따 | 니타바 | 니이 | Nəb. |
악어의 | Khlɔŋ. | kùlɔ̀ŋtɛ | ||
매듭을 짓다 | 푸브르 | 푸트슈 | ||
개 | ʤɔ | ʤɔɔɛ | ||
낯이 익다 | (ni | fùbɛ |
참고 항목
참고 문헌 목록
- Crozier, David H.; Blench, Roger M.; Hansford, Keir; Stanford, Ronald; Bendor-Samuel, John T. (1992) [1976]. An index of Nigerian languages (2nd ed.). Abuja; Dallas, TX: Nigerian Language Development Centre, Department of Linguistics and Nigerian Languages, University of Ilorin;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참조
- ^ Jump up to: a b Kleinewillinghöfer, 울리히(2010년 12월).Jalaa, 멸종된 언어 가족의 마지막 자손.워크숍 언어 Isolates 아프리카 공화국의프랑스 리용;그 작가의 단어로 Kleinewillinghöfer, 울리히(2001년)의 개정판."Jalaa-NE나이지리아의는 거의 잊혀진 언어:.한 언어 isolate".간호사, 데릭(교육.)에서.역사 언어 접촉 아프리카 공화국의SUGIA Sprache 아프리카. 16/17에 Geschichte.쾰른, 독일:Rüdiger Köppe 출판사..를 대신하여 서명함. 239–271.아이 에스비엔 978-3-89645-091-3.
- ^ Jump up to: a b Blench, Roger (30 June 2014). "African language isolates: Circulation draft" (PDF). Cambridge, UK. p. 9.
- ^ Blench, Roger (2017). "African Language Isolates". In Campbell, Lyle (ed.). Language Isolates. Routledge Language Family. Routledge. doi:10.4324/9781315750026. ISBN 9781138821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