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에데사
Edessa, Greece에데사 Έδεσσα | |
---|---|
![]() 마을의 랜드마크인 에데사의 폭포 | |
보여 주다 지역 내 위치 | |
좌표: 40°48˚N 22°3°E / 40.800°N 22.050°E좌표: 40°48′N 22°3′E / 40.800°N 22.050°E | |
나라 | 그리스 |
행정 구역 | 중부 마케도니아 |
지역단위 | 펠라 |
구 | 15 |
정부 | |
• 시장 | 디미트리스 지안노우 (ND; 2011년 이후) |
면적 | |
• 시 | 611.212 km2 (1992.990 sq mi) |
• 시 단위 | 321.2km2(제곱.0제곱 mi) |
표고 | 320m(1,050ft) |
인구 (2011)[1] | |
• 합계 | 18,229 |
• 시 | 28,814 |
• 자치체 밀도 | 47/km2(120/sq mi) |
• 시 단위 | 25,179 |
• 시 단위 밀도 | 78/km2(200/sq mi) |
커뮤니티 | |
• 인구 | 19,036 (2011) |
시간대 | UTC+2(EET) |
• 여름(DST) | UTC+3(EEST) |
우편번호 | 582 00 |
지역 번호 | 23810 |
차량등록 | ΕΕ |
웹사이트 | dimosedessas.gov.gr |
에데사(그리스어: έδεσα)는 [ˈeesesa]로 발음되며,[2] 1923년까지 "물의 도시와 오감"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1923년까지 보데나(그리스어: βοδδάάάά)는 그리스 북부에 있는 도시로서 그리스 중부 마케도니아 지역에 있는 펠라 지역 단위의 수도다. 또한 동명의 소멸된 지방의 수도였다.
에데사는 고대 일부 소식통에 따르면 카라누스가 고대 마케도니아의 첫 수도를 세운 곳이 바로 여기에 있었기 때문에 그리스 세계 역사상 특별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3] 이후 비잔틴 제국 하에서는 에데사가 핀두스 산맥에 진입하면서 비아 에그나티아를 지배하면서 전략적 위치로부터 이익을 얻었고, 강력한 성벽과 요새로 유명한 중세 그리스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3] 근대에 에데사는 20세기 중반까지 그리스의 산업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도시와 그 바로 근처에 많은 섬유 공장이 가동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그것의 경제는 주로 서비스와 관광에 의존한다. 에데사는 테살로니키에 본부를 둔 마케도니아 대학의 일부 학과는 물론, 펠라 지역 단위의 행정 서비스 대부분을 주관하고 있다.[4]
이름
그리스어 이름 δδεσα(Edessa)는 '물 속의 탑'[3]을 의미하며, 소수 학자들이 대신 일리리아어로 간주하고 있지만,[5][6] 일반적으로 프리지아 태생으로 생각된다.[7] 슬라브어의 '물'[8]에서 유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보유하는 슬라브어 이름인 '보데nŭ(Vodĭnŭ)'은 10세기에 처음 증명되어 20세기까지 통칭이 되었다.[citation needed]
보다나(Vodena, βοοδεά)는 고대 이름이 부활한 1923년까지 그리스어로 사용된 이름이었다.[9][10]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 이름은 보덴(키릴어: :оее)으로 남아 있다. 터키어로 이 도시는 보다나라고 알려져 있고, 아로마니아어로 이 도시는 에데사, 부데나 또는 보다나로 알려져 있다.
셀레우코스 1세 니케토르는 마케도니아 에데사의 이름을 따서 메소포타미아(터키주 현대 şlıurfa)에 있는 에데사 시를 명명했다.
시
에데사 시(市)는 2011년 지방정부 개혁 때 다음과 같은 2개의 구(舊) 자치구가 통합되어 시(市) 단위가 되었다.[11]
- 에데사
- 베고리티다속
시군의 면적은 611.212km이며2, 시 단위로는 321.225km이다2.[12]
역사
일부 고대 작가들에 따르면, 아르게아드 왕조의 전설적인 창시자(가장 유명한 멤버가 알렉산더 대왕)인 카라누스는 에데사 시를 세워 고대 마케도니아의 첫 수도로 삼았고,[3] 이후 아르게아드 통치자들은 마케도니아의 수도를 애개와 펠라로 옮겼다. 고고학적 유적은 현대 도시(40°47'48.48"N 22° 3'26.24"E) 바로 밑의 고대 에데사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벽과 많은 건물들이 지금까지 발굴되었다. 그리스어로 새겨진 대장은 로마 시대의 것이다. 그 도시는 서기 1세기에 비아 에그나티아에 위치하면서 어느 정도 두각을 나타냈다. 기원전 27년부터 서기 268년까지 그것만의 민트를 가지고 있었다. 성 바사 정교회와 그녀의 세 자녀들은 AD 3세기에 이곳에서 사형에 처해졌다.[13][14]
AD 500년 이후의 도시의 운명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우리는 그리스의 주교 이시도로스가 692년 에큐메니컬 평의회에 참가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 후 도시는 근원에서 사라지고, 11세기에 들어서야 고질적인 존 스카이리츠에 의한 바실리 2세 황제 불가리아 전쟁의 설명에 슬라브어 이름 보데나(Vodena, 그리스어로는 ὰβδδάάά)로 재등장한다.[15] 불가리아의 역사학자 바실 즐라타르스키(Vasil Zlatarski)는 비잔티움 반란의 코모풀리(Cometopuli)의 근거지인 다뉴브 강에 있는 비딘이 아니라 보다나(Vodena)라고 가설을 세웠다.[15]
비아 에그나티아가 핀두스 산맥으로 들어갈 때 통제하는 전략적 위치 때문에, 이 마을은 1083년 보헤몬드 1세 휘하의 노르만족들이 잠시 점령했지만, 결국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 황제의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니케아 황제 요한 3세 바타체스는 1253년에 포로로 잡혔으며, 14세기 중반에는 비잔틴과 스테판 두샨 휘하의 세르비아인 사이에서 소유권이 분쟁을 일으켰고, 1351년 1월에는 비잔틴과 세르비아인 사이에 소유권이 확보되었다.[15] 이 도시는 한동안 사위 니콜라 바가시에게 지참금으로 준 라도슬라프 라펜의 지배하에 있었다.[16] 도시는 적어도 1385년까지 바그시의 손에 남아 있었다.[17] 그것은 마케도니아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14세기 후반 오스만 전쟁 지도자 에브레노스 비에 떨어졌다.[15]
오스만 통치 기간 동안, 이 도시 인구의 터키와 이슬람 성분은 꾸준히 증가했다. 1860년대부터, 그 도시는 그리스인과 불가리아인 사이의 충돌의 섬광이 되었다.[18]
거의 500년의 오스만 통치 끝에 에데사는 제1차 발칸 전쟁 기간인 1912년 10월 18일 사란타포로 전투에서 헬레니 군이 오스만족을 상대로 군사적으로 승리한 데 이어 그리스에 합병되었다. 당시 에데사는 이미 마케도니아의 주요 산업 중심지가 되는 길을 잘 가고 있었다. 헴프공장을[19] 갖춘 4개의 대형 섬유 공장이 풍부한 폭포를 에너지원으로 채용하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그리스인 외에 에데사 지역도 터키인, 불가리아인, 포목스, 블락스 등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그리스와 터키의 인구 교환 과정에서 에데사에 살고 있는 터키인과 포목민의 대부분이 터키로 전출되었다. 1923년 소아시아 출신 그리스 난민들이 대거 이 지역에 정착했다. 1920년대 인구는 9,441명에서 13,115명으로 늘어났다. 실크 생산에 특화된 인구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에데사가 전후 시기(1922–1940)에 높은 생활 수준을 누릴 수 있게 했다.
그 마을은 1944년 독일의 그리스 점령 마지막 날 동안 고통을 겪었다. 나치는 저항분자들의 병사 한 명 총에 대한 보복으로 에데사에 불을 질렀다. 성당과 제1소학교를 포함한 도시의 절반이 파괴되었고 수천 명의 사람들이 집을 잃었다.
그리스 내전(1946~1949) 동안 에데사는 1948년 그리스 공산당의 통제 아래 그리스 민주군(DSE)에 의해 두 차례 공격을 받았다. 슬라브-마케도니아 민족해방전선(SNOF)은 이후 단순히 민족해방전선(National Liberation Front, NOF)이 이 지역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었고, 11개의 슬라브 마케도니아 당파부대가 도시 주변 산지에서 활동하였다.[20][21] NOF가 그리스 민주군(DSE)과 합병하자 이 지역의 많은 슬라브 마케도니아인들이 DSE에 자원봉사로 입대했다.[22] 1949년 초 그리스 정부의 군사력은 모든 공산군을 파괴하는 일련의 성공적인 군사작전을 실시했고, 1949년 8월 전쟁이 끝난 후 그리스 민족과 슬라브 마케도니아 민족을 모두 그리스에서 추방하고 동유럽 국가로 도망쳤다.[23]
1970년대 이후 에데사의 경제는 더 이상 산업에 의존하지 않는다. 21세기 초에는 고대 펠라, 폭포, 동계 스포츠 등 인근에 고대의 명소가 많아 서비스(대부분 Pella 지역 단위의 수도로서의 기능과 연계)와 관광에 기반을 둔 도시다.
고대 유적 (로고스)
인구통계학
역사인구 | |||
---|---|---|---|
(통계, 1913-2001) | |||
연도 | 마을 | 시 단위 | 시 |
1913 | 8,846 | - | - |
1920 | 9,441 | - | - |
1928 | 13,115 | - | - |
1940 | 12,000[24] | - | - |
1951 | 14,940 | - | - |
1961 | 15,534 | - | - |
1971 | 13,967 | - | - |
1981 | 16,642 | - | - |
1991 | 17,659 | 25,051 | - |
2001 | 18,253 | 25,619 | - |
2011 | 19,036 | 25,179 | 28,814 |
사회 기반 시설
교통
에데사 철도역은 테살로니키-비톨라 철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터시티 열차와 프로아스티아코스 테살로니키 교외 열차가 모두 운행하고 있다.
미디어
스포츠
에데사는 그리스 축구와 핸드볼에서 상위 국가부문에 존재하거나 그 이전까지 존재했던 두 개의 스포츠 클럽을 주최한다. 이 클럽들은 아래에 나와 있다.
에데사 기반의 스포츠 클럽 | |||
---|---|---|---|
클럽 | 설립됨 | 스포츠 | 업적 |
에데사이코스 FC | 1959 | 풋볼 | A Ethniki 초기 존재 |
에어로포스 에데사스 | 1978 | 핸드볼 | A1 에트니키 핸드볼의 존재 |
저명인사
- 현대 그리스 계몽주의의 학자 미나스 미노이드리스(18세기)
- 솔론 그리고리아디스(1912~1994) 육군 장교 겸 기자
- 디미트리스 베이스(1928년 - 2012년)는 1979년 - 1986년 콜로넬스 군정과 아테네 시장에 저항했다.
- 조르고스 파스칼리디스, (1951년 출생) 전 수상이자 코스타스 시미티스 총리의 측근 [1]
- 그리스 독립전쟁의 투사 아겔리스 가토스[25](1771~1839)
- Vangel Ajanovski-Oche(1909–1996) SNOF의 마케도니아 민족 비서
- Beiktata J.K.의 터키의 유명한 축구 선수인 Hakkı Yeten(1910-1989)이 있다.
- 하디-나이마르 (1792년-1870년), 세르비아 자치 공국의 건축가 겸 건축가
- 마르코스 메스코스, 작가, 시인
- Marietta Chrousala (1983년 출생), 패션 모델 및 텔레비전 진행자
쌍둥이 도시
갤러리
에데사 해방을 축하하는 군중 (제1차 발칸 전쟁)
참고 항목
참조
- ^ Jump up to: a b "Απογραφή Πληθυσμού - Κατοικιών 2011. ΜΟΝΙΜΟΣ Πληθυσμός" (in Greek). Hellenic Statistical Authority.
- ^ "Edessa city of waters. Pella - Macedonia - Greece. Waterfalls, Agios Athanasios, Kaimaktsalan. Εδεσσα, Πέλλα, Μακεδονία, Ελλάδα. Καταρράκτες, Αγιος Αθανάσιος, Καιμάκτσαλάν". www.edessacity.gr. Retrieved 2021-08-16.
- ^ Jump up to: a b c d "Pellanet - Καθημερινή ενημέρωση".
- ^ "Edessa - Tourism".
- ^ N.G.L. 해먼드, 케임브리지 고대사 2편 "이주를 위한 문학 전통"1975년 2B:710
- ^ 해먼드 N.G.L, 마케도니아, 역사 지리 및 선사시대 역사, 1979년 옥스포드 1권
- ^ 울리히 윌킨, 알렉산더 대왕, 23페이지
- ^ Chisholm, Hugh, ed.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28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70. .
- ^ 폴 헬랜더, 그리스, 론리 플래닛, 2008, 페이지 302
- ^ cf 그리스에서 지명이 바뀐다.
- ^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in Greek). Government Gazette.
- ^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PDF) (in Greek).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09-21.
- ^ 아마존닷컴은 2014년 10월 24일에 접속했다.
- ^ 폴로스, Fr. 조지 정교회 성도: 현대인을 위한 정신적 프로파일 2005. 3. 홀리 크로스 정통 출판사, ISBN 9780917651663
- ^ Jump up to: a b c d Browning, Robert; Kazhdan, Alexander (1991). "Vodena". In Kazhdan, Alexander (ed.).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2185. ISBN 978-0-19-504652-6.
- ^ Зборник радова Византолошког института. Научно дело. 1987. p. 219.
... свакако пре 1366/7 ...указана је могућност да га је Хлапен одмах након тога уступио Николи Багашу, ожењеном једном од његвих кћери..
- ^ Зборник радова Византолошког института. Научно дело. 1987. p. 164.
- ^ 바칼로풀로스, 콘스탄티노스 A. 마케도니아의 현대사 테살로니키 1988 페이지 52, 57, 64
- ^ "Old Hemp of Edessa (Artspace Culture & Industrial Museum)". youingreece.com. Retrieved 2018-10-20.
- ^ "Les Archives de la Madagesoine, Food: 에게 마케도니아 in NLW" - (NOF 본사령부에 미하일 케라미지예프의 현장 보고), 1945년 7월 8일
- ^ 심슨, 닐(1994) 마케도니아의 역사 분쟁 빅토리아: 아리스토크 프레스, 105,106 & 94. ISBN 0-646-20462-9
- ^ Η Τραγική αναμέτρηση, 1945-1949 – Ο μύθος και η αλήθεια. ζαούηηη αλανΔδ" (ISBN 9607213432).
- ^ 심슨, 닐(1994) 마케도니아의 역사 분쟁 빅토리아: 아리스토크 프레스, 101,102 & 91. ISBN 0-646-20462-9
- ^ "Edessa - 3000 years history". Edessacity.gr. Retrieved 2013-03-26.
- ^ Επίτομο Γεωγραφικό Λεξικό της Ελλάδος (Geographical Dictionary of Greece), Μιχαήλ Σταματελάτος, Φωτεινή Βάμβα-Σταματελάτου, εκδ. Ερμής, ΑΘήνα 2001
추가 읽기
- F. 파파조글루, 마케도니아 로메인(로마케도니아의 도시), BCH Suppl. 16, 1988, 127–131.
- 월터 바우어, 초대 기독교의 정교회, 헤리시 (영어 1971년) (온라인 텍스트)
외부 링크
- 에데사 공식 사이트
- 에데사에 대한 인포사이트
- 에데사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는 Pella 지역 단위 공식 사이트
- 그리스 문화부: 에데사의 옛 대성당
- Encyclopædia Britannica. 8 (11th ed.). 1911. p. 929. .